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국(帝國)에서 제국성(帝國性) 국민국가(國民國家)로(2) -제국의 지배전략과 근대적 재구성-

        전인갑 한국중국학회 2012 중국학보 Vol.66 No.-

        爲什마要在現階段分析中國的帝國屬性니? 首先是因爲有必要把硏究的觀點從傳統時代和近現代之間的斷絶性轉變爲타們之間的連續性. 學界的主流學說是將傳統時代和近現代曆史相分離進行解釋. 也就是說, ``中華帝國``滅亡後, 國民國家成爲替代``中華帝國``的新的統治體制. 這種認識是以對``西歐中心主義統治體制的曆史體系``的``確信``爲基礎的. 這種``確信``是中國停滯論, 乃至東方學派不可否認的前提, 幷且將中國的帝國體制淪落爲壹種需要克服幷斷絶的遺産. 但最近開始慢慢出現試圖將中國的帝國體制及其替代物--國民國家看做是統治體制變化的壹種過程的動向. 全球化時代的今天, 分析中華帝國和近代國民國家之間關系的傳統理論--革命的斷絶性的意義逐漸被削弱, 反而從``中華帝國``的連續性的角度理解現在的中國的必要性逐漸加强. 這時, 也可以發現將現在的國民國家理解爲, 在新時代環境下重建帝國遺産的可能性. 況且, 考慮到21世紀的中國正在擴充作爲帝國所需的內涵, 而且不可能在短時期內創造這種內涵的事實, 將帝國體制和國民國家分開理解的方法只能更加錯誤地理解現中國統治體制的本質特征或作爲區域帝國的作用的擴大. 這在韓國制定未來戰略的過程中, 會起到消極作用. 즌洋理解中國的區域帝國化和隨之發生的變化, 是韓國學界面臨的重大課題. 雖然在短暫的冷戰時期韓國幾乎근中國沒有任何的交流, 但這是壹種極其例外的現象, 可以說不過是壹種偶然事件. 雖然中國現在還沒有能力在全歐洲範圍內試圖開展帝國計劃, 但在亞洲已經確立了地區帝國的地位. 而且包括韓國在內的周邊國家迅速卷入到中國作爲地區帝國創造的선渦之中. 鑒于在長期的韓中關系中積累的曆史經驗, 韓國只能對中國的這種動向表現出敏感的反應. 韓國關注中國的帝國體制和帝國屬性的現實理由也在于此. 最近中國的學界也開始將帝國的遺産刻畵爲建設中國未來的主要資産. 這種認識是與5·4時期開始進行的否定傳統的浪潮相反的, 是肯定從經營帝國的經驗和曆史中形成的社會、經濟、文化、經濟的積累. 借此, 我們可以認識到中國的知識結構從對傳統的否定轉變爲對傳統的肯定. 這種轉變歸根結底是對經營帝國的經驗和中華文化的肯定. 鑒于以過去爲模型策劃未來的中國文化史的慣性, 我們可以預見到這將會這用于擴充新帝國的軟實力. 在此, 我們可以再次認識到探索能구綜合考察中國的過去、現在和未來的學問的必要性. 這就是關注中國的帝國屬性和帝國秩序的穩定性的原因. 據此, 我們可以弄淸楚形成幷維持中國的帝國體制的結構, 從而可以조到不受王朝和政體變化的影響, 而不斷向外擴張幷加强其穩定性的原因. 而且還可以조到繼承帝國遺産的現中國能구合幷爲``壹個中國``的原因. 本硏究中所說的帝國是指, 作爲壹種國家形態(統治體制)的帝國. 與現在的國家形態--國民國家不同, 帝國是以廣闊的領土、空間的組織能力、語言和宗敎的多洋性、文明的主動權等爲其特征. 帝國通過利用基于官僚體制形成的直接統治和羈미政策等手段, 將擴大的領域合幷爲壹個政治單位. 而且創造幷這用能구整合語言、宗敎、文化等多洋性的規律, 從而具備了能安定帝國的能力. 當然, 壓倒性的軍事力量、經濟實力和强有力的稅收控制力(材政)是支탱這種規律的核心因素.

      • KCI등재

        종번(宗藩)과 중화(中華)로 청제국을 볼 수 있는가 - 왕위안총 ‘조선 모델’의 가능성과 한계

        손성욱(Son Sungwook)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6

        본고는 왕위안총의 『중화제국 다시 만들기: 만한(滿韓) 관계, 1616 -1911(Remaking the Chinese Empire: Manchu -Korean Relations, 1616 -1911)』을 소개하고, 청(淸)·조(朝) 관계를 중심으로 청제국을 중화제국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왕위안총은 청·조 관계를 종번 관계로 규정하고, 이를 추적하여 청이 중화제국임을 보여준다. 청은 입관 이전 스스로 중화제국임을 규정하였고, 조선을 통해 중화제국의 정통성을 획득하였다. 이후 중화문명의 담론 주도권을 확고히 하며, 서세동점의 위기 속에서 전통적 청·조 관계의 재확인을 통해 종번 관계를 강화해갔다. 그에 의하면, 조선은 청을 중화제국으로 만드는 데 핵심 요소이다. 여기서 중화제국은 정치-문화 제국으로서 영토 제국과는 구별되며, 저자는 이 구별을 통해 제국으로서의 청을 설명하고, 청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을 극복한다. 1894년 청일전쟁을 통해 조선을 구하고 중화제국을 지키고자 했으나, 패배함으로써 정치-문화 제국은 쇠퇴하고 근대 국민국가로서의 중국이 흥기하였다. 그러나 청일전쟁의 결과에도 정치-문화 제국의 유산은 지속되었고, 그것이 완전히 청산되는 것은 한국전쟁 이후 한국이 남북으로 나뉘어 완전히 독립된 주권국가로 성립된 시점이다. 저자의 이와 같은 논리 속에서, 조선은 ‘중화제국/중국’으로서의 청제국을 설명하고 현대 중국의 이행을 설명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하지만 이를 설명하기 위해 내세운 종번주의에 대해서는 그 역사성과 성격에 대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과도하게 강조된 청·조 관계가 내번과 다른 외번 사이에 구체적인 역할을 했는지에 대한다층적 설명이 있어야만 중화제국으로서의 청제국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Yuanchong Wang’s Remaking the Chinese Empire: Manchu-Korean Relations, 1616 -1911 and how the book contributes to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Qing Dynasty and Korea-China relations beyond Han and non-Han dichotomy in understanding the Qing dynasty. It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Qing Dynasty as one of the Chinese empires. Wang characterizes that the Qing Dynasty and Chosŏn had a suzerain-vassal relationship and thereby defines Qing as a Chinese empire. The author argues that Qing declared itself as a Chinese empire through the ascension of Hong Taiji even before the entry into the Central Plain (Zhongyuan), gained legitimacy as a Chinese empire through Chosŏn, secured its hegemony in the discourse of the Chinese civilization, and bolstered feudal Zongfan (China’s suzerainty over other small polities) relationship through reassurance of the traditional Qing-Chosŏn relationship in the midst of the crisis due to rising Western powers. According to his accounts, Chosŏn was a critical factor in making the Qing Dynasty a Chinese empire. The author establishes that the Chinese empires throughout history were politico-cultural empires, which differentiate them from territorial empires, and defines Qing as an empire based on such distinction, overcoming the criticism on the Qing imperialism. Despite efforts to save Chosŏn through the 1894 Sino-Japanese War and to protect the Chinese empire, the defeat led to the declination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empire and gave rise to new China as a modern nation-state. In spite of the consequences of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the legacy of the political and cultural empire persisted, and it was completely cleared after the Korean War when Korea wa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and established itself as a completely independent, sovereign state. According to the author’s line of reasoning, Chosŏn has been at the heart of characterizing the Qing Dynasty as a Chinese empire and at the transition into modern China. However, more advanced discussion 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the Zongfan framework used for the aforementioned explanation seem necessary, and only when there is a multi-layered explanation on whether the overly emphasized concept of Qing-Chosŏn relationship played any specific role in internal and external Zongfan relations, it would become truly possible to understand the Qing Dynasty as a Chinese empire.

      • KCI등재

        제국(帝國)에서 제국성(帝國性) 국민국가(國民國家)로(1) -제국의 구조와 이념-

        전인갑 한국중국학회 2012 중국학보 Vol.65 No.-

        爲什마要在現階段分析中國的帝國屬性니? 首先是因爲有必要把硏究的觀點從傳統時代和近現代之間的斷絶性轉變爲타們之間的連續性. 學界的主流學說是將傳統時代和近現代曆史相分離進行解釋. 也就是說, ``中華帝國``滅亡後, 國民國家成爲替代``中華帝國``的新的支配體制. 這種認識是以對``西歐中心主義支配體制的曆史體系``的``確信``爲基礎的. 這種``確信``是中國停滯論, 乃至東方學派不可否認的前提, 幷且將中國的帝國體制淪落爲壹種需要克服幷斷絶的遺産. 但最近開始慢慢出現試圖將中國的帝國體制及其替代物-國民國家看做是支配體制變化的壹種過程的動向. 全球化時代的今天, 分析中華帝國和近代國民國家之間關系的傳統理論-革命的斷絶性的意義逐漸被削弱, 反而從``中華帝國``的連續性的角度理解現在的中國的必要性逐漸加强. 這時, 也可以發現將現在的國民國家理解爲, 在新時代環境下重建帝國遺産的可能性. 況且, 考慮到21世紀的中國正在擴充作爲帝國所需的內涵, 而且不可能在短時期內創造這種內涵的事實, 將帝國體制和國民國家分開理解的方法只能更加錯誤地理解現中國支配體制的本質特征或作爲區域帝國的作用的擴大. 這在韓國制定未來戰略的過程中, 會起到消極作用. 즌樣理解中國的區域帝國化和隨之發生的變化, 是韓國學界面臨的重大課題. 雖然在短暫的冷戰時期韓國幾乎근中國沒有任何的交流, 但這是壹種極其例外的現象, 可以說不過是壹種偶然事件. 雖然中國現在還沒有能力在全歐洲範圍內試圖開展帝國計劃, 但在亞洲已經確立了地區帝國的地位. 而且包括韓國在內的周邊國家迅速卷入到中國作爲地區帝國創造的선渦之中. 鑒于在長期的韓中關系中積累的曆史經驗, 韓國只能對中國的這種動向表現出敏感的反應. 韓國關注中國的帝國體制和帝國屬性的現實理由也在于此. 最近中國的學界也開始將帝國的遺産刻畵爲建設中國未來的主要資産. 這種認識是與5·4時期開始進行的否定傳統的浪潮相反的, 是肯定從經營帝國的經驗和曆史中形成的社會、經濟、文化、經濟的積累. 借此, 我們可以認識到中國的知識結構從對傳統的否定轉變爲對傳統的肯定. 這種轉變歸根結底是對經營帝國的經驗和中華文化的肯定. 鑒于以過去爲模型策劃未來的中國文化史的慣性, 我們可以預見到這將會這用于擴充新帝國的軟實力. 在此, 我們可以再次認識到探索能구綜合考察中國的過去、現在和未來的學問的必要性. 這就是關注中國的帝國屬性和帝國秩序的穩定性的原因. 據此, 我們可以弄淸楚形成幷維持中國的帝國體制的結構, 從而可以조到不受王朝和政體變化的影響, 而不斷向外擴張 幷加强其穩定性的原因. 而且還可以조到繼承帝國遺産的現中國能구合幷爲``壹個中國``的原因. 本硏究中所說的帝國是指, 作爲壹種國家形態(統治體制)的帝國. 與現在的國家形態-國民國家不同, 帝國是以廣闊的領土、空間的組織能力、語言和宗敎的多洋性、文明的主動權等爲其特征. 帝國通過利用基于官僚體制形成的直接統治和羈미政策等手段, 將擴大的領域合幷爲壹個政治單位. 而且創造 幷這用能구整合語言、宗敎、文化等多洋性的規律, 從而具備了能安定帝國的能力. 當然, 壓倒性的軍事力量、經濟實力和强有力的稅收控制力(材政)是支撑這種規律的核心因素. 本文著重考査了帝國的結構和理念.

      • KCI등재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를 보는 방법 - 제국과 근대국가 그리고 지역 -

        윤해동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0

        As a “historical region” the region of East Asia is not a self-evident one. Wherein is the necessit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which is also a “national history,” as an East Asian history (therefore the history of a region)? In the East Asian region, the modern nation building process has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 empir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nation building as interacting with the formation of the modern empire, that is, to interpret the interactions between East Asia’s empire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or the history of one nation-state). Put another way, in order to understand East Asia’s transition to modernity, or “modern East Asian history,” one must first look at empire and the nation-st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 historical region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empire and the nation-state. This paper seeks to explain “Korean history as East Asian history”by using three pairs of metaphorical concepts. These are “imitation and distinction,” “autonomy and independence,” and “separation and integration.” First, “imitation and distinction” refer to the transition to or replacement by empire in the East Asian region. China’s attempt to analogously copy the Western empire in constructing its own modern empire and Japan’s pursuit of simultaneously learning both the Chinese and Western rules of empire while establishing a new modern empire of its own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imitation” and “distinction.”Second, “autonomy and independence” indicate to what Korea had aspired, or the situation it had found itself in with regard to East Asia’s transition to or replacement by empire. While autonomy symbolizes Korea’s position within the pre-modern Chinese(中華) order,independence represents its position within the modern order of the nation-state. Third, “separation and integration” are metaphors for the “society” of Joseon which functioned separately from the “colonial state”during the colonial era. Rather than an independent entity, the “society in Joseon” was a part of the “society of a transnational region” within the Japanese empire or the East Asian region. 역사적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는 자명한 지역이 아니다. 그렇다면 국민국가의 역사인 한국사(곧 일국사)를 동아시아사(곧 지역사)로 이해할 필요는 어디에 있는가? 동아시아지역에서도 근대 국민국가 건설과정은 근대 제국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국민국가 건설과정을 근대 제국의 형성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 곧 동아시아의 제국사와 국민국가사(일국사)의 상호 관련을 해석하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동아시아지역의 근대 이행 곧 ‘동아시아 근대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국과 국민국가 그리고 그 양자의 상호관련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제국과 국민국가의 상호관련을 통해 역사적 지역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모방과 차이’, ‘자주와 독립’, ‘통합과 분리’라는 세 쌍의 은유적 개념을 통하여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를 설명하려 하였다. 첫째, ‘모방과 차이’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제국의 이행 혹은 교체를 지칭한다. 중국이 근대적 제국을 건설하기 위하여 서구의 제국을 유비적으로 따라했던 시도, 그리고 일본이 중화질서와 서구의 제국질서를 동시에 배우면서 새로운 근대적 제국을 수립하려 했던 추구를 ‘모방’과 ‘차이’라는 개념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자주’와 ‘독립’이라는 개념은 동아시아지역에서의 제국의 이행과 교체 속에서 한국이 지향했던 바 혹은 위치하고 있었던 바를 나타내는 것이다. 자주는 전근대 중화질서 속에서의 한국의 위치를, 독립은 근대 국민국가 질서 속에서의 위치를 상징하는 것이다. 셋째, ‘통합’과 ‘분리’라는 개념은 식민지시기에 ‘식민국가’로부터 분리되어 기능하고 있던 조선의 ‘사회’를 은유한다. ‘조선사회’는 독자적으로 기능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일본 제국 속에서 혹은 동아시아 지역 속에서 ‘트랜스내셔널 지역 사회’의 일부로 형성되어 기능하고 있었다.

      • 当今中国与大唐帝国的召唤

        崔?娥(최진아) 한국중어중문학회 2016 한국중어중문학회 우수논문집 Vol.- No.-

        이 논문에서는 현 시기 중국이 ‘중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大唐帝國을 모델로 소환하는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고찰의 과정에는 당제국을 제재로 하는 현대 영상물, 서사와 西安 지역의 지역학을 논거로 들었다. 고찰의 결과 오늘의 중국은 정치, 경제적 대제국만이 아니라 대당제국과 같은 문화제국의 위상을 지향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측천무후, 당태종, 양귀비 등과 같은 대당제국의 역사적 인물들이 오늘의 중국에 필요한 문화컨텐츠가 되었고 대당제국의 수도였던 서안은 古都 회복의 사업과 신 실크로드 사업의 중심지임을 밝혀 내었다. 현 시기 중국이 대당제국을 전략적으로 소환하여 그 결과가 패권국가를 지향할지 아니면 문화대국을 실현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대당제국이 지닌 ‘개방성’과 ‘혼종성’이라는 특성을 중국이 얼마만큼 구현해 내는지에 따라 대당제국으로 가는 ‘중국의 꿈’을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신중화제국주의’적 역사해석과 중국 왕조의 계통성 고찰

        윤명철(Youn, Myung-Chul) 고조선단군학회 2018 고조선단군학 Vol.39 No.-

        중국은 ‘신화시대’부터 ‘중화인민공화국’까지 일관된 계통성을 지니지 않았다. 공간적으로 전체는 물론, 중심 공간조차도 통일한 상태가 아니며 종족적으로는 한족이 주도해서 전국을 ‘직접 통치’ 및 ‘직접 관리’하지는 않았으며, 중국문명을 생성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중국을 비롯한 주위 국가 및 종족들은 이러한 사실을 잘 인식하지 못했다. 거기에는 한자를 비롯한 기호의 문제를 이해하지 못했으며, 종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한 탓도 있다. 또한 중국이라는 정치체와 주도집단들의 몇 가지 의도도 강력하게 작동했다. 그리고 현재는 ‘신중화제국주의’라고 평가될 만한 행위를 하는 중국이 국가팽창, 영토갈등, 내부의 몇 가지 문제들을 활용하여 또 다른 형식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중국 또는 중화문명을 만들고 발전시키는 데에는 한족 외에 주위의 많은 종족들이 큰 역할을 했으며, 필자의 분류에 따르면 동방문명과 북방문명의 일부 구성원들이 정복왕조를 세우고, 중국의 활동범위를 확장시키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There never was so-called ethnic orthodoxy in China from the Chinese mythology era to the period of the People’s Republic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even in the central area, unified time usually lasted a very short time. However, China and other countries and tribes did not recognize this fact. It does not understand the problem of symbols,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and lack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race. Also, some of the intentions of China’s politicians and leading groups also acted strongly. And now China, which is considered to be regarded as a ‘New chinese imperialism’, is distorting its history in another way, using the expansion of the state, territorial conflict, and some internal problems. In this thesis, first of all, the author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integrity of Chinese history, furthermore, The author explored the holistic approach and the realistic background of Chinese historical studies. In addition, the authors analyzed from a biological point of view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In addition to the Han Chinese, many of the surrounding tribes played a large role i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or Chinese civilization, and according to my classification, some members of Eastern civilization and northern civilization established a conquest dynast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중화제국질서’를 둘러싼 논의의 확산과 수렴 - 조공체제론과 다중체제설을 중심으로

        최희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5 No.-

        It has been rather widely accepted among scholars that traditional China maintained the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for a long time with neighboring nations in which China claiming cultural superiority enjoyed prestige, while the tributary states gained practical benefits for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arose renewed concern about the tributary system, resulting in the divergence of views on its historical roles and realities. Encouraged by the spotlight shed on Confucian culture and traditional system in the age of China’s economic rise, a growing number of philosophers and scholars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world order of the pre-modern China. Some of them began to actively advocate that the tribute system based on the Confucianism contributed to the peace and stability of East Asia since it tended to esteem Confucian culture and rituals in international relations. On the other hand, from decades ago many other scholars had disputed the tribute system theory’s overstated Sino-centrism and culturalism. According to them, tributary states’ views of the ‘tribute system’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n recent years, as the general interest in the hyperbolic discourse on the system’s affirmative functions increased considerably, critics of the theory apparently began concerted efforts to pinpoint its deficiencies and problems. Among others, it came to be stressed that traditional China was never ‘benevolent’ empire. Not a few scholars claimed that premodern China was not different from other Western empires, referring to its frequent resorts to military forces to consolidate its rule and to expand its territory. After all, a growing number of critical researchers, at least in the field of historical studies, seemingly came to share the view that the tribute system theory has serious deficiencies in explaining the traditional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So alternative paradigms such as multi-system theory have been proposed by some, while some others are advocating for the discard of the treaty system theory. 중화제국의 세계질서에 대해서는 특히 조공체제와 관련해서 이미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며 그 과정에서 논란도 적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널리 받아들여졌던 ‘중화제국질서’상이 존재했던 것도 사실이다. 책봉과 조공을 매개로 문화적 우월감을 가진 중국과 실익을 추구하는 동아시아 주변국들 간의 형식상 위계적인 관계망이 형성되어 19세기 중후반까지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근년 들어 새삼스럽게 그 문제를 보는 시각 차이가 커지며 논쟁이 확대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굴기에 따른 새로운 세계질서의 탐색과 관련하여 전통적인 문화와 제도에 대한 우호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이를 배경으로 철학자, 정치학자들의 참여도 늘어나며 전근대 중국의 국제질서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조공질서가 조화를 중시하는 유교적 이념에 근거하여 제도화 된 것으로 동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했다는 등 과도하게 단순화된 주장이 제기되고,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신조공질서, 신천하주의, 천하체계 등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이 이뤄지고 있다. 다른 한편에서는 조선, 베트남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입장에서 조공관계의 실상을 해명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책봉-조공과는 무관한 다양한 형태의 동아시아국제관계가 존재했으며, 조공국의 경우도 조공체제에 대한 이해가 중국의 입장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되어 왔었다. 그런데 새로운 제국질서의 탐색과 관련하여, 과거의 조공질서를 과도하게 단순화, 이상화 시키며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담론이 부각되게 됨에 따라 조공체제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가 폭넓게 확대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먼저 ‘관용과 평화’의 제국의 이상과는 달리 과거의 중화제국이 주변국에게 정치 군사적인 압박을 가하고, 무력정복을 통해 ‘식민주의’적 영토 확장을 추진했다는 점 등이 강조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조공질서 외에 회맹질서, 호시제도 등 다양한 방식이 전근대 국제관계 기제로서 사용되었다는 점이 중시되며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다중체제, 혹은 다원적 질서로 파악해야 된다는 주장이 강화되었다. 한편으로는 그 개념이 유발한 여러 혼란과 관련하여 조공체제론이 신화, 환상이 되었다며 그것을 넘어서야 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대안적 틀의 모색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주장에 대해 적어도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상당한 공감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근년에 특히 새롭게 활성화된 조공체제를 둘러싼 논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본고에서는 그 흐름을 위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그러면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가? 조공질서 개념은 여전히 부분적이나마 유용성을 갖는가 아니면 완전히 폐기되는 것이 나은가? 다중체제론의 문제는 무엇인가 하는 등의 의문이 남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논문 : 대당(大唐)제국과 팍스 시니카(Pax-Sinica)의 기획: 당대(唐代) 서사에 나타난 중국 문화의 혼종성(混種性) 연구

        최진아 중국어문학회 2011 中國語文學誌 Vol.37 No.-

        正如中國將2008年北京奧林匹克的主題定爲``盛唐氣象``一樣,現在的中國正在開始重新認識唐帝國的文化和价値,要把타當作現代中國的榜樣。大唐帝國幷不是以漢族爲中心的單一文化國家,而是漢族和周圍其他民族文化和諧共存的混種文化國家。當時的首都長安是東亞的中心城市,因此屬于唐帝國的所有文化算是東亞的中心文化。換言之, 唐帝國就是Pax-Sinica的時代--在唐帝國的領導下,追求同樣的文化和秩序。而且唐帝國把互不相同的文化和价値積極地接納,所以才能구實現Pax-Sinica的時代。本論文關注了大唐帝國文化中最獨特的特点---混種,接着通過唐代的筆記和傳奇考察了當時是如何描寫混種的特点的。唐代的筆記和傳奇里包含了中國邊緣民族的各種各樣的文化。其里面不僅包括漢族的文化,而且南方的越南文化、西方的胡文化和東方韓半島的文化也都混在了一起。因此筆記和傳奇里又包含了現實界的敍事和幻想界的敍事,所以硏究這些唐代的筆記和傳奇等于探索唐帝國的价値觀和唐人的思維方式。但是, 安史之亂后,唐帝國開始了仇外主義, 卽排斥外國人和外來文化。唐朝庭和儒學者開始主張以漢族中心的復舊主義, 漸漸地抛棄安史之亂前的混種特点。因此,自然地瓦解了唐帝國追求的Pax-Sinica。本論文也硏究了安史之亂后的筆記和傳奇里如何消滅混種特点,幷擧了例子。最后,本論文豫測了以中華主義爲主的現代中國的未來。結論是:无論如何, 只要像唐帝國那樣接納幷肯定混種特点,就能實現21世紀的Pax-Sinica。

      • 근대 한국의 탈중화주의

        김문식(Kim Moon-sik)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조선중화주의’의 연원은 기자에게로 소급된다. 기자가 주나라 무왕에게 홍범을 전해 주고 조선으로 오자 조선은 중화문화를 계승한 문화국가가 되었다는 논리이다. 조선인들은 기자 조선의 실재를 믿었고 기자의 행적을 정밀하게 검토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기자의 도읍지로 파악되는 평양에 있는 기자 관련 유적을 발굴하고 보존했다. 이에 따라 기자의 무덤과 사당은 고려시대부터 있었지만, 조선시대에는 기자를 기념하는 서원이 세워지고 우물이 발굴되었다. 조선이 중화문화를 계승한 문화국가라는 인식은 자기 문화에 대한 자신감으로 나타났다. 조선은 기자의 가르침이 전해진 나라이며, 성리학을 계승하고 유교적 의례를 거행한다는 것은 문화국가의 상징이 되었다. 중화주의에 나타난 문화적 자신감은 대한제국을 건설하고 황제국의 위상에 맞는 전례를 정비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대한’이란 국호는 삼한을 하나로 통일했다는 ‘일통삼한一統三韓’의 의미를 부각시킨 표현이었다. 1894년에 발생한 청일전쟁에서 청이 일본에 패하는 것을 목격한 조선인들은 세계관을 변화시켰다. 이제 조선인들은 중국 중심의 세계에서 벗어나 서양 중심의 세계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유교문화를 중시하는 중화주의는 여전히 한국인의 의식에 남아 있으며, 이러한 한국의 전통문화를 어떻게 평가할지는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이다. The origin of Korean Sino-centrism is retroactive to Gija(箕子). Since Qin dynasty, Chinese scholars insisted that Gija had handed down Hongbeom(洪範), confucian political code, to Wowang(武王) and became a Gija-Chos?n's Leader. Chos?n scholars also believed Gija-Chos?n's existence, studied carefully the achievements of Gija's lifetime. And there were appeared many remains connected with Gija on Pyungyang map made in Chos?n dynasty. Though the Gija Tomb and Shrine had existed in Gorye dynasty already, the Auditorium and the well to commemorate Gija were built and preserved in Chos?n dynasty. Chos?n scholars thought that their nation was the only nation having Zhonghua's civilization,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rituals Chos?n had were the symbol of a civilized country. They had great confidence in their high cultural level and their confidence led to construct Daehan-jekuk, Great Han Empire, at last. But the name of empire called Daehan(大韓) had its origin not in Gija-Chos?n but in unifying Samhan(三韓) countries. After Sino-Japanese War in 1894, Chos?n scholars started to change their view of the world widely. So they could escape from Sino-centrism, but compelled to include in western-centered world. Nowadays, Korean has Sino-centrism steadily on the respect of taking confucian culture seriously. It's our task to make the standard to be able to reestima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like this.

      • KCI등재

        『중화제국전지(中華帝國全志)』에 나타난 예수회의 중국관(中國觀)과 한국관(韓國觀)

        전종호(Chun Jong H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4

        예수회원 장 바티스트 뒤 알드(Jean-Baptiste Du Halde)가 1735년 당시 중국에 파견되었던 예수회선교사들의 서한과 보고서를 편집하여 출간한『중화제국전지(La Description de l’empire de la Chine)』는 프랑스 계몽사상의 형성기에 유럽인들에게 중국의 문화를 호의적으로 소개하여 그들이 중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예수회의 동양문명에 대한 시각은 이 책에 수록된 장 바티스트 레지스(Jean-Baptiste Régis)의 한국에 대한 자료에도 반영되어 한국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