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수행론의 돈점 문제

        진영유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본 논문은 화엄수행론에 있어서 돈교와 점교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것이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경전의 위상을 논하는 교상판석에서 화엄의 돈점 문제를 시작하였다. 교상판석이 논의된 이후 『화엄경』은 전통적으로돈교에 넣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은 『화엄경』에서 돈점에 관련된 경문을 살펴봄으로써 『화엄경』 자체에서의 돈점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엄경』은 돈점이 교차하는 교의를 바탕으로 중도 원융을 나타내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중국 화엄 주석가들의 문헌에 나타난 돈점의 문제를 고찰하여지엄과 의상이 『화엄경』을 돈교와 원교에 대응시킨 점과 법장의 원교 대응, 그리고 징관의 선종 대응까지 고찰하였다. 또한 화엄수행론에 있어서는 돈점이 교차하는 원융론을 기반으로 하여 화엄의 돈점수행론은 중도수행이라고 결론짓고, 중도수행을 강조한 대표자로신라의 의상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화엄의 돈점수행론을 통하여 원융무애한화엄 성불론을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논문을 마감하였다.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oncepts of don-gyo [頓敎], sudden enlightenment, and jeom-gyo [漸敎], gradual enlightenment, as they apply to Avatamsaka practice. This study starts with investigating issues related to Avatamsaka’s concepts of don and jeom [頓漸] in the context Gyosang Panseok [敎相判釋] which classified various Buddhist doctrines that appeared after Buddhism spread to China. I investigated these issues from different sectarian points of view even though the Avatamsaka Sutra was traditionally tied to the concept of don-gyo. by examining relevant sutras within the Avatamsaka Sutra. My findings reveal that the sutra explains woyung [圓融], the doctrine of all-encompassing harmony of the Middle Way [中道] by suggesting that the concepts of don and jeom overlap. I also analyzed issues that appeared in records and documents of those who applied exegesis to the Avatamsaka Sutra in China so that I could explore the fact that Zhiyan [智儼] and Uisang [義湘] associated the sutra with don-gyo and won-gyo [圓敎]. Fazang [法藏] did it with won-gyo, and Chengguan [澄觀] did it with Zen [禪] Buddhism. As for the theory of Avatamsaka practice, I concluded that the concepts of don and jeom in practicing Avatamsaka is the execution of the Middle Way. I also concluded it is based on the concept of wonyung and that Uisang was one of those who emphasized the practice of the Middle Way.

      • KCI등재

        리스페리돈으로 치료 후 퇴원한 일 대학병원 정신분열병 환자의 2년 후 결과 : 정형 항정신병약물과의 비교

        김철응,이선영,강민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리스페리돈과 정형 항정시병약물로 치료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연적 치료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후향적, 개방형으로 고안된 연구이다. 방 법 : 리스페리돈 치료군 33명과 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군 17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24개월 이상의 추적기간 중 중도 탈락율, 재 입원율을 병록지 및 전화 면접으로 조사하여 모수 및 비모수법으로 평균을 비교했고 비율검증은 카이검증을 시행했다. 결 과 : 1) 리스페리돈 치료군과 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군 간에 연령, 교육정도, 이병기간의 차이는 없었고 성비 상 남·녀 차이도 없었다. 2) 거역퇴원한 환자를 제외한 재원기간은 리스페리돈 치료군이 46.9±21.8, 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군이 54.1±30.8일로 리스페리돈 치료군의 재원기간이 다소 짧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3) 중도 탈락율은 리스페리돈 치료군이 33.3%로 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군의 75.6%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4) 리스페리돈 치료군의 재 입원율은 1년째 182.%, 2년째에 45.5%로 정형 항정신병약물로 치료한 Hogarty등의 이전의 연구 결과보다 낮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 치료 시 정형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중도 탈락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 To explore the naturalistic outcome of the schizophrenics, we evaluated key clinical outcome-drop-out rte and readmission rate among the 33 risperidone and 7 conventional antipsychotics (such as haloperidol, chlorpromazine, mesoridazine) treated patients who met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schizophrenia at psychiatric department of university hospital. Method : Outcome data was extracted from the charts of 50-schizophrenic patients who were more than 2 years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with risperidone and conventional antipsychotics. Results : During over the 2-year period, the drop-out rate of the conventional antipsychotics treated schizophrenic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isperidone treated patients. But no significant factors(such as age, education level, duration of illness) were found between these two differently treated groups. Among the risperidone treated patients, the percentage of readmission was 18.2% at 12 months and 45.5% at 24 months. Conclusions : Reduced drop-out and rehospitalization rate suggest that risperidone was better than conventional antipsychotics among schizophrenic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Our data may contribute essential functional outcome information to assist the clinician in long-term, comparative treatment evaluation in 'real'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관동대지진을 응시하는 세 개의 시선 -곽말약(郭沫若),이기영(李箕永),중도돈(中島敦)

        김양수 한국중문학회 2009 中國文學硏究 Vol.39 No.-

        本稿比較分析了韓國、中國、日本文學作品裏書寫關東大地震的三個視角。三部作品分別都흔好地反映了不同的民族(Nation)的立場。韓國作家李箕永的《豆滿江》比較均勻地對震動, 震裂等地震這個自然現象和受到驚하的人們阿鼻叫喚四處亂逃的客觀景象, 以及地震後緊隨的自警團員的풍狂的屠殺和在恐怖中四處逃포的朝鮮人的形象做了比較客觀性的敍述和描寫。可以說"較好地體現了受害者的視角"。正如作品中所描繪的地震後到處傳播著朝鮮人放火的流言蜚語、日本人以此爲借口迫害朝鮮人的行爲在흔多敍述關東大地震的專門著作中都已經涉及過。帶著尋조離散的家屬名字的牌子, 把自己裝扮成日本人的場景反映了作家自己的經驗。日本作家中島敦的《有巡査的風景》中彌漫著作爲"迫害者的恐懼感"。妓女金東蓮的"客人"對저不知道地震後的大屠殺情況表示驚訝。"客人"對金東蓮說明朝鮮人遭屠殺的場面的描寫一帶而過。고計這是因爲作家意識到了日本政府對作品的政治審査。我們可以體會到作家因爲害파不能具體表達的氣분。作家的恐怖感也可從聽到故事後的金東蓮的失聲狀態中感覺到。也許這種恐怖感是由於在東京大地震時作家沒在日本而在朝鮮, 所以害파"被朝鮮人報複"的意識愈加强烈而導致的파。郭沫若在《牧羊哀話》(1919)中曾經通過對朝鮮某個貴族家族的沒落, 描寫了朝鮮淪落爲殖民地的悲慘的國家命運。作爲中國作家, 他是關注殖民地朝鮮現實的少數作家之一。《百合與番茄》中在主人公之間的對話中論及了關東大地震, 但竝沒有發展成整個作品的主題, 只是停留在了一般的話題層面上。對話當中"因爲中國人象朝鮮人也受到了迫害"的語句給人一種民族(Nation)間的距離感。《鷄之歸去來》中關東大地震與主題更爲接近。在日本作爲"邊緣人"來看待朝鮮人的眼光總的來說還是比較溫暖的。但是作品中朝鮮·日本·中國的位置給人以太固定的感覺。對於朝鮮人偸鷄的毫無根據的日本女人的結論主人公즘마就那마輕信내。對於朝鮮人的惡性流言蜚語, 還說這些流言有産生的理由, 這樣的主人公是否與日本人的意識更爲接近니。這也反映了當時日本人非常熟悉竝且已經習慣的"非文明卽野蠻"的二元化意識。20世紀東亞經曆了不幸的時期, 在曆史上加害者、受害者、旁觀者的面貌互相複雜地重疊出現。文學藝術一方面具有記錄曆史的功能, 同時在령一方面타還具有一種制造曆史記憶的機制。本文裏所探討的作品都是用韓、中、日不同的語言所寫的韓國、中國、日本三國的民族文學。每部作品都從不同的視角來看待過去的曆史。這是因爲存在著互相不同的民族主義(Nationalism)。對自己曆史的把握흔重要, 可是從客觀上承認對方的存在, 非常淸楚地了解對方的想法也흔重要。雖然上面提到的作品不能說在這方面可以完全代表各自的民族文學。可是了解東亞三國文學是如何對同一個曆史事件進行不同的解釋的, 同時再回過頭來重新審視一下自己, 這樣做是否才是走向東亞共同體的出發點니?

      • KCI등재

        월산선사의 중도선사상(2)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21 大覺思想 Vol.36 No.-

        월산스님(1913∼1997)의 중도선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월산스님의 화두 는 ‘이뭣고’ 화두가 중심이었다. 그러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선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크게 분류하면 전문선원의 수좌들을 위한 실참지도법과 재가자를 위한 근기에 맞는 지도법에 차이가 있다. 수행자의 見處를 표현하는 방법인 게송작송법과 守本眞心인 自心을 밝히고, 중생구제로 회향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는 월산스님은 자신의 중도관적인 입장에서 선원대중들이 수행할 것을 설하고 있다. 스님의 중도적인 수선방법은 화두에 전념하되 양변을 버리고, 자신의 근기에 따라 중도적 입장에서 頓漸修行을 하라고 하였다. 월산스님의 中道禪이란 자신의 근 기에 따라 최적의 수행법을 선택하여 ‘한 법도 버리지 않는 것이 中이고, 한 마음도 산란하지 않는 것이 道이다’고 한다. 셋째는 실크로드의 대미를 장식한 것은 석굴암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달 마대사가 바다의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와서 소림굴에서 선법이 전했고, 우리나라 대표적인 석굴인 석굴암에서 월산스님은 정진하였고, 이를 펴기 위해 불국선원을 개 원한 것이다. 특히 월산스님은 청도 적천사 토굴에서 수행하였고, 그 연장선상에서 석굴암에서 용맹정진하였음을 볼 때 달마의 소림굴의 수행과도 유사점이 있다고 유 추해 볼 수도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Middle Way Thought of Seon by Great Seon Master Wolsan (1913-1997) as follows : First, the topic of Wolsan's Hwadu (話頭) was 'What is it?.' In the meantime, he taught Seon meditation in various ways.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capabilities between the actual guide for the senior monks of Seon monastery and the more suitable for the layperson. He emphasizes the need to turn to the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It was presented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meditator's deluded views (見處), the Gatha hymn practice, and the own mind (自心) as the keeping the original and true mind (守本眞心). Second, Wolsan explained what the meditators in Seon monastery should practice from a middle way point of view. He suggested was the moderate method, which is to concentrate on the Hwadu. But it was to abandon both sides, and to take a middle way stance in accordance with one's own tenacity. Wolsan's middle way thought of Seon (中道禪) means that we chooses the optimal method of training according to his or her strength. He said, "The middle way is to not throw away a single, and the ultimate principle to not give up even one mind is the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at Seokguram Grotto(石窟庵), which marked the end of the Silk Roa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odhidharma came to China via the Maritime Silk Road, and the Chan (Seon) practice was transmitted to the Shaolin Cave. Afterwards, Wolsan devoted himself to Seokguram, a representative cave in Korea, and opened Bulguk Seonwon to spread his way. In particular, it can be inferred that he practiced in the crypt of Jeokcheonsa Temple in Cheongdo, performed valiantly at Seokguram as an extension of that line, that his ceremonies are similar to practice of the Bodhidharma's Shaolin Cave.

      • KCI등재

        현대 한국 선사상의 두 지평: 성철의 "철(徹)"적 가풍과 탄허의 "탄(呑)"적 가풍

        권기완 ( Kwon Ki-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성철의 『선문정로』가 나와 보조의 돈오점수를 강력히 비판하며 돈오돈수를 주창한 이래 한국의 불교계는 한국사상사 전체에 기록될 만큼 중요한 돈점논쟁이 이어졌다. 보조선(普照禪)과 성철선(性徹禪)의 전면전이라 할 만큼 활발한 토론과 논쟁이 이어졌으나 35년이 지난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퇴색하여 활발발한 불교수행론 논의들이 잠잠한 형국이다. 본 논문은 성철의 가풍을 ``철(徹)``적 가풍으로, 탄허의 가풍을 ``탄(呑)``적 가풍으로 정리하여 지난 세기 한국의 선사상을 복기(復棋)해 보고자 한다. 돈오돈수와 태고법통론을 주장한 성철과 스승 한암의 보조선 영향을 받아 돈오점수와 보조종조론을 주장한 탄허의 선사상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한국의 선사상을 두 갈래로 정리하였다. 성철은 돈오점수의 돈오는 구경의 증오(證悟)가 아닌 지해(知解)요 해오(解悟)로써 화두삼매에 들어 숙면일여를 투과하고 대사각활(大死却活)하여 제8아뢰야식의 미세망념을 제거한 대오견성이 아니므로 선문(禪門)의 바른 정론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탄허는 돈오돈수는 부처나 육조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전등록』의 조사들도 돈수의 경지에 도달한 이를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돈오점수를 통해 발심주(發心住)의 견도위(見道位)를 거쳐 끊임없는 정진을 통해 정각을 이루는 화엄선(華嚴禪)적 점수론을 주장했다. 성철이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보조를 조계종의 법통으로 인정하지 않고 태고법통론을 주장한 반면 탄허는 종명을 ``조계종``으로 한다면 당연히 보조를 종조로 인정해야 함을 주장했고 스승 한 암 역시 보조종조론을 강력하게 역설했음을 법어에서 밝혔다. 성철이 간화독존론(看話獨尊論)적 경향을 띠며 숙면일여를 수행의 지침과 목표로 삼았던 것에 반해 탄허는 근기수행론(根機修行論)을 내세워 관법과 묵조선, 주력과 염불 등 다양한 수행법을 모두 포용하여 근기에 맞는 수행을 하도록 하는 회통선(會通禪)적 사상을 견지했다. 돈점논쟁이 학자들 중심의 토론으로 진행되었지만 선원을 중심으로 한 승가에서는 성철의 돈수론에 자극되어 가일층 엄격한 수행을 하는 선사들이 늘어났다. 본고에서는 여러 근거들을 모아 보조의 후신이 한암임을 주장하는 ``보조 후신한암설(普照後身漢巖說)``을 제기함으로써 과거의 보조가 아닌 현대의 한암과 탄허가 보여준 점수론적 사상을 중심으로 새로운 돈점논의를 재개할 것을 제안했다. 보조선-성철선의 패러다임이 아닌 한암선-성철선 내지 ``철``적 가풍-``탄``적 가풍의 구도로 잡아, 점검과 수행은 돈수론적 측면으로, 포교와 교육은 점수론적 측면으로 ``중도``적으로 ``회통``할 것을 제안했다. This paper is to rethink Korean Seon Thought of the last century by ``thoroughgoing(徹)`` style of Seongcheol(性徹) and ``swallowing(呑)`` style of Tanheo(呑虛). Seongcheol claimed that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and Taego lineage of the transmissioon of the precepts. Tanheo claimed that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jo as founder of Jogye Order, and his teacher Han-am(漢巖) claimed the same theory. And I will summarize the Korean Seon Thought into two, by comparing Seongcheol and Tanheo`s thoughts. Seongcheol criticized understanding and awakening(解悟) to sudden enlightenment of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that is not realization(證悟). And He also criticized that is just intelligence(知解) not great enlightment(大悟) and not meditative approach`s correct path(禪門正路). But Tanheo sai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is applicable only to Buddha and Sixth patriarch, so he emphasized Hwayan Seon`s gradual cultivation. Whereas Seongcheol let continuous awareness during deep sleep(熟眠一如) as guidelines and objectives of the cultivation having tendency to the ganhwaseon supremacy, Tanheo maintained Interpenetration-Seon(會通禪) to cultivate by a variety of methods of contemplation(觀法),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照禪), Mantra, remembrance of the Buddha on the basis of Theory of suggesting cultivation by the capacity for growth(根機修行論). In this paper, I was raised in this paper by ``Theory that Bojo`s afterlife is Han-am (普照後身漢巖說)`` and we must restart new sudden and gradual discussion as the center of Han-am and Tanheo`s theory of gradual cultivation. It is needed that Hanam-Seon and Seongcheol-Seon or ``thoroughgoing(徹)`` style of Seongcheol and ``swallowing(呑)`` style of Tanheo rather than Bojo-Seon and Seongcheol-Seon paradigm. I proposed to interpenetrate by Middle way for Check and meditation practice as sudden cultivation, Missionary activities and education as gradual cultiv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中島敦『プウルの傍で』における 朝鮮人遊廓の表象と<越境>への欲望

        미쓰이시 아유미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4 일본언어문화 Vol.29 N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licensed quarter(朝鮮人遊廓) described in Atsushi Nakajima(中島敦)’s Puuru No Sobade(「プウルの傍で」,besides the pool). Puuru No Sobade describes, through the eye of a junior‐high‐school boy, Sanzo(三造), the reality of the Korean licensed quarter that could be only known by someone who had experienced a colony. In this sense, Puuru No Sobade could be read as a work that revealed the prostitution issues in colonies. However, Sanzo’s experience was described in a style of recalling narrative as one‐time ‘sexual adventure’ of a boy, in other words, an attempted whoredom, and we cannot regard it getting to the heart of the discriminations in a colony or exploitations of women’s sexuality by prostitutions.

      • KCI등재
      • KCI등재

        中島敦『プウルの傍で』における 朝鮮人遊廓の表象と<越境>への欲望

        光石亜由美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4 일본언어문화 Vol.29 N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licensed quarter(朝鮮人遊廓) described in Atsushi Nakajima(中島敦)’s Puuru No Sobade(「プウルの傍で」,besides the pool). Puuru No Sobade describes, through the eye of a junior‐high‐school boy, Sanzo(三造), the reality of the Korean licensed quarter that could be only known by someone who had experienced a colony. In this sense, Puuru No Sobade could be read as a work that revealed the prostitution issues in colonies. However, Sanzo’s experience was described in a style of recalling narrative as one‐time ‘sexual adventure’ of a boy, in other words, an attempted whoredom, and we cannot regard it getting to the heart of the discriminations in a colony or exploitations of women’s sexuality by pro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