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 󰡔주역󰡕에 나타난 ‘도道’로 명명된 개념의 분류와 그 함의

        이선행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주역󰡕에 나타난 도道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요약하면 도道는 작용성을 전제로 하는 형이상의 원리를 의미하고, 역에서 말하고자 하는 근본원리로서 역도易道를 의미한다. 이러한 역도易道․도道는 변화의 원리를 의미한다. 변화의 원리인 역도易道는 변화에 중점을 두고 정의하면 변화지도變化之道라고 한다. 변화의 근원적 원리인 역도易道 즉 변화지도變化之道는 공간성과 시간성을 내용으로 하는데, 공간성을 개념화한 것이 삼재지도三才之道이다. 시간성은 주야지도晝夜之道·일월지도日月之道·삼극지도三極之道를 통해 개념정의 하였는데, 주야지도晝夜之道는 공간성을 표현하는 삼재지도三才之道 중 지도地道인 강유剛柔를 통해 시간성을 밝힌 것이고, 일월지도日月之道는 공간성을 표현하는 삼재지도三才之道 중 천도天道인 음양陰陽을 통해 시간성을 밝힌 것이다. 마지막으로 삼극지도三極之道는 시간성을 시간 자체 즉, 시간의 운행원리를 육효의 변화를 통해 정의한 개념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주역』에 나타난 “도(道)”로 명명된 개념의 분류와 그 함의

        이선행 ( Yi Sun Hae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주역』에 나타난 도道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요약하면 도道는 작용성을 전제로 하는 형이상의 원리를 의미하고, 역에서 말하고자 하는 근본원리로서 역도(易道)를 의미한다. 이러한 역도(易道)·도(道)는 변화의 원리를 의미한다. 변화의 원리인 역도(易道)는 변화에 중점을 두고 정의하면 변화지도(變化之道)라고 한다. 변화의 근원적 원리인 역도易道 즉 변화지도(變化之道)는 공간성과 시간성을 내용으로 하는데, 공간성을 개념화한 것이 삼재지도三才之道이다. 시간성은 주야지도(晝夜之道)·일월지도(日月之道)·삼극지도(三極之道)를 통해 개념정의 하였는데, 주야지도(晝夜之道)는 공간성을 표현하는 삼재지도三才之道 중 지도地道인 강유(剛柔)를 통해 시간성을 밝힌 것이고, 일월지도日(月之道)는 공간성을 표현하는 삼재지도(三才之道) 중 천도(天道)인 음양(陰陽)을 통해 시간성을 밝힌 것이다. 마지막으로 삼극지도(三極之道)는 시간성을 시간 자체 즉, 시간의 운행원리를 육효의 변화를 통해 정의한 개념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Summarizing the general notions of Tao, it means the metaphysical principles with the premises of its actional quality and Tao of I-Ching, the fundamental principle, which is said in Book of Changes. What Tao or Tao of I-Ching means the principle of changes. Tao of I-Ching, the principle of changes, can be interpreted as Tao of Changes, when focused on changes. Tao of I-Ching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hanges, that is, Tao of Changes, tells the characteristic of space and the characteristic of time.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is characteristic of space is Tao of the Three Elements(Heaven, Earth and Man). The characteristic of time was conceptualized through Tao of Day and Night, Tao of the Sun and the Moon, and Tao of the Three Extremes. The characteristic of time in Tao of Day and Night is conceptualized through hardness and softness, that is Tao of Earth, among the Tao of the Three Element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 of time. The characteristic of time in Tao of the Sun and the Moon is conceptualized through Yin and Yang, that is Tao of Heaven, among the Tao of the Three Element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 of time. Lastly, it can be concluded that Tao of the Three Extremes is the no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ime, that is to say, time itself, the principle of time movement, conceptualized through the changes of the hexagrams.

      • KCI등재

        『음부경(陰符經)』의 기(機) 연구

        박혜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08 생명연구 Vol.9 No.-

        동양사상 전통에는 작금의 생태계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 있는가? 나는 이 글에서『음부경』은 “기(機)”개념을 통해 생태학적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음부경(陰符經)』이 삼재상도(三才相盜)사상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이치는 간단하다. 그것은 바로 하늘과 땅 그리고 천지만물이 모두 각자에게서 기(氣)를 훔치며 살아간다는 것이고, 그 구조가 곧 도기(盜機)라는 것이다. 천지인 삼재가 서로서로 기(氣)를 뺏고 빼앗기며 살아가는 구조 속에서는 자연의 이법에 맞게 훔치는 도(道)가 필요하다. 자연에는 천기(天機)의 법칙이 있고 그 주된 기능은 생살(生殺)작용에 있다. 즉 하늘은 때가 되면 낳고 때가 다하면 죽인다. 이 법칙은 자연 사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우주 만물에 두루두루 적용된다. 따라서 인간 역시 이 법칙을 벗어날 수 없다. 때문에 인간과 자연의 영속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인간은 물론이고 자연사물 모두가 이 법칙을 따라야 한다. 그러나 자연의 법칙은 쉬운 듯 하면서도 손에 잡히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다. 누구나 그 속에 살지만 자연의 이법에 따라 살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성인밖에 없다. 인간의 욕망에 발맞추어 발달한 현대기술문명은 천기(天機)의 구조를 벗어나고 있다. 때문에 생살(生殺)의 조화가 깨졌고, 나아가 생태계파괴가 급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천지, 만물 그리고 인간의 공생(共生)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간의 도기(盜機) 사용이 중요시된다. 인간이 우주 변화의 중심주체이기 때문이다. 결국 지구의 미래, 우리의 미래는 도기(盜機)사용에 대한 우리의 선택 여하에 달려 있다는 것이나의 결론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석개(石介) 도통관에 대한 소고(小考)

        이연정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8

        The thought of Confucianism inheriting is a category that guides where to go in every age, so that i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as it is a root for the relevant era. The viewpoint of such Confucianism inheriting was established systematically in the Song dynasty of China, rooted from Sòng Chūsān Xiānshēng (宋初三先生: Three great teachers of early Song dynasty). Among them, Shíjiè led the way to enhance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with innovative attitude and played the role to found the authentic spirit of Confucianism focusing on ‘the Zhì-dào (治道: to pave the way)’. First of all, he advocated ‘ the Theory of Huá-yí (華夷論: Theory to admire China while rejecting other nations)’, so that he established the position of Confucianism by referring to four border nations as non-Confucian states. Furthermore, he suggested the Cháng-dào (常道: norm of ethics) as the truth for moral standard based on the Sān-cái-zhī-dào (三才之道: the principle among heaven, earth and human). Such his move can be thought to have helped the systematical establishment of Confucianism by paving the way for the Confucianism of North Song dynasty. 도통 의식은 각 시대마다의 지향해야 할 바를 지시하는 범주로써, 시대의 정신 근간이 되기에 시대정신을 표명한다. 유가 도통은 송대에 들어 그 체계적인 입장이 구축되었는데, 그 본원에 송초삼선생(宋初三先生)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석개는 가장 혁신적이고 실제적인 태도로 유가의 지위를 제고하는 데 앞장섰는데, ‘치도(治道)’에 입각하여 유가 정통의식을 확립한다. 그는 우선 ‘화이론(華夷論)’을 제창하여 중국 변방의 ‘사이(四夷)’를 불도에 대입하여 유가의 위치를 확립한다. 또한, 삼재의 도(三才之道)를 정치이론 기저로 삼아, 윤리 강상의 도로써의 ‘상도(常道)’를 제시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북송 유학의 기틀을 마련하여 유가의 체계적인 구축에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韓ㆍ中 儒學者들이 계승한 孔子의 易學思想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3 No.-

        This research is a fundamental study to rediscovering the value of the chapter “Geys” written by Confucius himself in the Book of Divination. This chapter is considered as the core concept of Confucius divination. Korean and Chinese Confucian scholars officially accept and inherit this stands that “Gyesa” reflects the essence of the idea of Confucius’ divination. In the conclusion of the second part of “Gyesa” from the Book of Divination, ‘description of divination’ takes an opposite patterns of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edition. It consists of 3 steps as follow: First Step: The description of divination is so extensive that almost all subjects are included. That is, three elements of tao, the tao of heaven, the tao of earth and the tao of mankind, are included. It suggests that the tao is changeable; therefore, it is the causes for the good and ills. Second Step: This part of the chapter fundamentally takes the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beginning and end to see the true nature of causes of incident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divination. Third Step: The divination can neglect the reading of books. The change of the tao of divination is so vary that one cannot define a common rule. It means that one cannot achieve tao by being obsessed to the study of divination itself because there always are possibilities for the good and ills, regrets, stinginess and conflicts of interests. The fundamental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rue meanings of the chapter “Gyesa.” “Gyesa” is respected and inherited because it was a work of Confucius himself in Ch’eng I’s Compilation of Divination of Sung dynasty while Chu Hsi critically accepted the idea in his True Meaning of the Book of Divination. Because of the inevitability of the improvement of order, Gueon Geun(1352~1409), Yi Hwang(1501~1570), Geong Yak-yong(1762~1836), Bak Yong-jae(1920~ ) of Korea inherited the concepts of “Gyesa,” after the correction and repletion to consult of the ‘pattern of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ese developments is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Confucius’ idea on divination. At the same time, it aims to inherit the settlement and consolidation moral and ethics in a futuristic manner. 『주역』 「계사전」은 孔子作이며 孔子易學의 진수임을 韓ㆍ中 儒學者들이 공인하고 전승하여 왔음을 재인식시키고 본원적으로 硏究 하려고 한다. 『주역』 「계사하전」 5장은「계사전」 전체를 마무리하고 있는데 ‘易의 글됨(易之爲書)’은 종전(改正前)체재의 서차(序次)와는 정반대인 3단계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제1단계 ; 易의 글됨(易之爲書)이 너무나 방대하여 모든 문제들이 그 속에 내포되어 있다. 즉 하늘의 道(天道), 땅의 道(地道), 사람의 道(人道) 등 三才의 道가 들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道에는 변동이 있어서 吉凶이 생겨나는 要因이 있다고 하였다. 제2단계 ; 易의 글됨(易之爲書)을 볼 때에 일의 단서(事端)를 本原으로 하여 그 마침(終)과 처음(始)의 中을 잡아서 이를 살펴본 것으로 본질로 삼고 있다. 제3단계 ; 易이란 책(글)은 멀리할 수 가 없다. 易道의 변화는 千變萬化하니 일정한 常法을 정할 수 없다. 吉凶이 생기고 후회와 인색함과 利害가 생기니 그렇다고 가까이만 해도 얻는 게 없다는 내용이다. 본 연구는 「계사전」의 참 뜻을 窮究함이 본래의 의도이다. 「계사전」이 孔子作으로 존중하고 계승한 宋代 程颐의 『易傳』과 朱熹의 『周易本義』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序次의 改修에 따른 必然性 때문에 한국의 權近(1352∼1409), 李滉(1501∼1570), 丁若鏞(1762∼1836), 朴用載(1920∼현)의 釋義樣相을 참고로 하여 수정보완하며 계승한다. 이는 본원적으로 孔子의 진의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함이며 미래지향적으로 도덕의 정착을 위한 목표를 두고 계승하혀고 한다.

      • KCI등재후보

        성재 김익수선생 고희기념 특집호 : 특별기고 논문 : 주역계사전 석의연구(2) - 역의 우주관을 중심으로 -

        김익수 ( Ik So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36 No.-

        第 二章에서는 章次를 改修한 것은 없다. 다만 본래의 계사상전 4章과 5章을 합해서 一章三節로 改修했을 뿐이다. 본 연구는 孔子易의 우주관(宇宙觀)을 연구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1) 天地가운데 인간이 준칙이기 때문에 인간의 위대성과 位相이 明示되어 있다. 인간이 모든 것의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성인의 궁리를 말하고 있다.) 또한 孔子易의 위상과 그 능력이 잘 들어내고 있다. 2) ``一陰一陽의 道``를 正道로 받아 계승하는 것이 ``善``이다. 至善의 마음을 받아서 이루어 주는 것이 性品이다. 이 성품속에는 仁, 知, 元, 貞이 들어 있는데, 이 모든 것의 변화를 易이라 한다. 3) 모든 것은 一陰一陽之道로 인해서 成立한다. 乾은 陽, 坤은 陰이니 주역의 축(軸)이 되는 乾卦와 坤卦도 一陰一陽之道를 本받은 것이다. 一陰一陽之道가 곧 天道이다. 그런데 天道가 곧 神道이다. 1. There is neither reworking on the content nor recompilation of the original order within the Chapter 2 of the Copula, Volume I, I Ching; however, Chapters 4 and 5 have been merged into single one of the Chapter 3. 2.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onfucian cosmology of the Classic of Changes. The heaven and earth refer not only to the way the whole world of nature operates but also to signify the original undifferentiated Reality from which the universe is evolved. 3. It is a virtue to take over and practice the basic dualism of nature, yang and yin that has been given as the correct Way (i.e. practicing yang once and then do yin another time.) A good moral character is what may be achieved with the mind of the supreme good. The necessary qualities of the character include human heartedness, prudence, good upbringing, and inner integrity. 4. Everything is determined by the Way to the Yang and Yin, the cosmic concepts that are mutually complementary and balancing. The way to the Yang and Yin is the Way to the Sky. And the Way to the Sky is the Way to God.

      • KCI등재

        대종교(大倧敎)의 불도유(佛道儒) 삼교회통관(三敎會通觀) 분석

        이찬희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1

        Daejonggyo’s (大倧敎) doctrine of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Religions (三敎會 通) is based upon a new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Self’ (我). Daejonggyo presents its own unique concept of ‘Self’ that can neither be found in the whole tradition of the East Asian philosophy nor in any other new religious movements emerged in modern Korea. Its uniqueness lies in its three-way structure which is grounded in Daejonggyo’s cosmology that consists of the triple-dimensional view of the ontological horizon which in turn is based upon its ideas of the ‘Triple-Person of God’ (三神)―Hwain (桓因), Hwanung (桓雄) and Hwangeom (桓儉)―and the Triple-Nature of Heaven-Earth-Human (天地人 三才). Those ideas can be regarded as expressions of the spiritual horizon of awakening to the ultimate principle of Trinity (三元性). They also imply an ontological view of life derived from absolute confirmation of the Trinity. On the basis of the ultimate principle of Trinity that intrinsically transcends all diversities, the three religions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can be integrated completely without limit. Daejonggyo’s concept of ‘Self’ is also based upon the principle of Trinity. The concept of ‘True Self’ (大我) as advocated by Daejonggyo can never be compared to any idea of ‘Self’ presented by each of the three religions and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Their concepts of ‘Self’ are either monistic or dichotomous at best, and can be integrated only through Daejonggyo’s concept of ‘Self’ that is based upon the ultimate principle of Trinity. Any analogy of the concept of ‘Self’ presented by Daejonggyo cannot be found in the Western modernity, either. It is a quite unique concept of ‘Self.’ Daejonggyo’s doctrine of integration of the three religions by means of its unique concept of ‘Self’ is significant that it endorses the validity of distinctive individual standpoints. It perhaps can be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concept of ‘Self’ as presented by Daejonggyo lies in this point. It furthermore can be applied extensively to animals and plants, or even to inanimate world leading to a kind of hylozoism, for not only three religions but also anything can be integrated into one when the principles of God-Human harmony and of Trinity. 대종교의 삼교회통관은 우리에게 아(我)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시각을던져 준다. 그런데 이는 會三經과 三法會通 두 문헌만으로는 온전히 규명될 수는 없으며, 天符經과 三一神誥 등 大倧敎經傳 전반에 대한이해의 맥락 가운데서, 그리고 삼일(三一)철학적 원리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해석에서 가능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대종교가 말하는 아(我)의 보다심층적인 의미 규명과 여기에 내재한 삼원성의 존재론적 의미와 인식 지평에 관한 탐구는 앞으로 더욱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대종교의 삼교회통관이 원리적인 근거로 제시하는 자아관은 중국철학사전통과 한국의 근대 신종교들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독자적인 고유성을 가진 자아관이다. 이 자아관의 특성은 한마디로 자아의 삼원적인 구조에 기반한다. 그런데 이 삼원(三元)적 구조는 대종교의 교리가 의거하는 삼신(三神) 사상과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삼원적인 존재론적 지평의 우주론에근거한다. 이는 삼원성(三元性)의 인식 지평과 삼원성의 절대긍정으로서의생명 존재론으로 규정 가능하다. 이러한 삼원성의 내적 초월의 지평에서 불도유(佛道儒) 삼교는 원리적으로 원융자재(圓融自在)하게 회통이 가능하다는 이론적 근거가 제시될 수 있다. 결국 대종교가 말하는 참된 아(我)는 단지 기존의 중국철학에서 행해진유불도 비판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대종교가 규정하는 소아(小我)의 측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구의 근대성에서 말하는 사유로서의 자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한국적인 특성을 지닌 아(我)이다. 이러한아(我)를 통해 삼교를 회통하고자 한 시도는 그 독특한 아(我) 개념에서뿐만 아니라 주체적 시각과 주체성의 고유한 의미의 전개라는 점에 있어서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대종교의 아(我)는 이러한 삼교회통의 신인합일(神人合一)적 성격과 천지인 삼재의 삼원회통적 성격으로 인하여 인간의 아(我)뿐만 아니라 동식물과 무생물의 아(我)로까지 확장하여 물활론(物 活論)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특징이기도 하다.

      • 일본의"유서(類書)에서 백과사전에 이르기까지" -18세기『와칸산사이즈에(倭漢三才圖會)』를 중심으로

        류사와타케시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2 No.-

        본고에서 필자는 지식의 종합적인 집대성을 위한``유서``형식의 일본에서의 발전 과정을 『와칸산사이즈에』와 몇몇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각 텍스트의 생산자 및 텍스트를 생산한 당대``도서 환경``과``독자``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데라시마 료안의『와칸산사이즈에』는 오키의『산사이즈에』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그 부문 체계에서부터 차이가 있다. 후자가 매우 고전적인 구조임에 반해 전자는 현실 세계를 중시하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즉 생활지이자 민속지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독자들의 편의를 중시하였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후 유서 형식의 출판은 독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대규모 출판 형태를 보여주는 상업 출판의 성행 속에서 이루어졌다. ``간기``를 비롯한 서지 사항들에서 나타나는 유명 옥호들의 연기(連記)라든가 출판에 참여한 인물들의 권위를 드러내고자 했던 것 등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대백과사전』으로 이어지는 일본의 유서로부터 백과사전의 출판은 일본의``서구화``, ``근대화``를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동아시아``유서``가 지닌 유구한 역사와 그``유서``를 일본어에 의한 지식 검색의 적합한 방식으로 다시 만들어내었던 전사가 큰 영향을 발휘한 결과인 셈이다. 또한``지식``의 소수독점으로부터``독자``의 요구가 반영되어``지식의 집성``과``지식의 평준화``가 투영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서``라는 도서형식이 일본에서 어떤 지식의 전개와 인식의 틀을 가져왔는가에 대한, 그리고 동아시아 여러 지역과의 비교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의 본격적인 공동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마지 않는다.

      • KCI등재

        문의 은유 -『주역』 「계사전」에 나타난 고대 중국의 질료적 상상력-

        임형석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6

        This essay is examining how the metaphor of Door appeared in The Great treatise of The Book of Changes and is comprising of five parts as below. The Ch.1 reviews Sarah Allan's application of the root metaphor concept to the ancient Chinese thought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metaphor theory in the cognitive linguistics, that confirms the theory is valuable to study the ancient Chinese philosophy. The methodology of this essay presents a l’imagination matérielle. After analyzing several cases of the Door metaphor in The Great treatise, the Ch.2 reveals that it worked in a key logic of the text. The Ch.3 compares the nature of door space in many early Chinese texts and dictionaries, also tracks down the trace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Ch.4 reveals it was the newest metaphor or logic that was difficult to find in previous similar texts. It also examines Lao-zi and other texts of the Huang-lao school and the Confucian, for finding something else to be. As far as I can find, The Great treatise had a similar world view with the Huang-lao school, that had proposed a trinity model of Heaven, Earth and Man. The Way and Door metaphor may be regarded as a metamorphosis of the World Tree. The Ch.5 is a conclusion: The Great treatise is able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step in the transforming era of the Chinese philosophy and a creation of the new world view even, that is, to be a transition into the unique immanent world from the trisected transcendental world. Now, the human beings came to be citizens in this unique world that was in coincidentia oppositorum, not only temporal dwellers. 본고는 『주역』 「계사전」에서 문의 은유 내지 이미지가 어떻게 등장하는지 고찰하고 있다. 사라 알란의 주장과 인지언어학의 은유 이론을 검토한 다음, 중국철학 연구에 은유 이론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고의 주요 방법론으로 질료적 상상력을 제시한다. 이어서 「계사전」에 나타난 문의 은유 사례를 분석하고 「계사전」이 논의를 전개할 때 문 은유가 핵심 논리로 작동한다는 점을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힌다. 「계사전」의 문 은유는 초기 문헌에서 유사 사례를 찾기 어려운 새로운 것이다. 유사한 사유 방식 내지 체계가 존재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문이라는 공간에 대한 고대 중국의 공통 관념을 해명한다. 여기서 문 은유의 세계관이 생사 관념과 관련된 삼재의 구도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따라서 「계사전」은 삼분된 세계를 전제했던 전통 관념을 벗어나서 새로운 세계관을 창조하는 과정의 결과라고 파악한다. 「계사전」의 새로움은 삼원 세계의 분절=초월 세계의 인정을 이원적 원리가 작동하는 유일 세계로 재구성했다는 점이다. 초월 세계의 일부로 위축되어 있던 인간은 이제 비로소 이원적 원리=모순이 공존하는 유일 세계에 거주=내재하는 존재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따라서 「계사전」은 후일 만개하게 될 내재적 세계관의 첫 발걸음을 내디딘 중요성을 지녔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