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해체주의 연극 : 〈청춘예찬〉〈서안화차〉〈자객열전〉을 중심으로

        이미원 ( Mee Won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09 드라마연구 Vol.- No.30

        The ideas of Deconstruction have influenced theatres of the post-modern world.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are the break of the bina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margin, and the idea of differance. Korean theatres are also influenced by Deconstruction around after the new millenium. This essay will analyze the three productions of〈Adoration of the Youth〉,〈Train to the Tomb of Emperor Jinsi〉 and〈A Hot Contest of Terrorists〉 as examples of Deconstruction in Korean theatres.〈Adoration of the Youth〉 breaks the social hierarchy of father and son, of teacher and student, and of man and wife.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are obscure and delayed. There is no extinction of relationships even between the divorced man and wife. The wife gives the man some money whenever he visits her. Every relation and value is individualized and the social common norms are broken.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 breaks the binary of social norm and hierarchy. Thus, the new sensibility is unfolded to the audience. That sensibility is somewhat annoying but indicates another truth.〈Train to the Tomb of Emperor Jinsi〉 also breaks the binary of an assaulter and a victim. The love that motivates this story is not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but homosexual lov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is hard to tell whether it is a performance or an exhibition. There are many mud sculptures on the stage, which reminds us of the mud sculptures inside of the tomb of the Emperor Jinsi. When the protagonist makes his alive lover a mud sculpture, we realize that he wants his love forever like the sculpture of Emperor Jinsi. In this sense, the performance is an individualized history of Emperor Jinsi. The accidental witnessings are far more important than logical causality in the plot. The whole story is a recollection of the protagonist on the train to the tomb of Emperor Jinsi. The train ride gives us some distance from the story and let us think about the rest of the meanings in the story. No moral judgement is imposed on the audience.〈A Hot Contest of Terrorists〉 is a reflection of today`s terrorism. The performance asks us whether we all react hysterically toward terrorism after 9.11 in the United States. It breaks the binary of terrorism and patriotism. It shows all sorts of people who would willingly die for the ideal whether they are called a patriot or a terrorist. All patriots and terrorists are exaggerated and distorted in the performance. The completion of the terror is delayed forever. And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is ambiguous and delayed. All three performances break the binary of present norms, and show us the new possibilities and meanings. They also try to intermingle the theatre genre with others genres. Thus, these performances make us experience new sensibilities and complicated delayed meaning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deconstruction. 연극에서의 해체주의도 근본적으로 데리다(Derrida)의 세계관과 방법론의 연장이다. 해체주의 이전의 "중심"은 흔히 종합적이며 총제적인 의미망의 핵심이었다. 해체주의는 바로 그 중심을 거부한다. 텍스트의 의미는 조직된 상하구조가 아니라, 드러났다 숨고 숨었다 드러나는 의미들의 상호작용이라고 진단한다. 차연(deferring & differing)은 해체주의 세계관의 핵심이라고 하겠으니, 작품의 궁극적 의미는 끝없이 지연되며 관객은 현재의 어떤 특수성만을 경험한다. 작품은 문자로 고정되어진 단어들이 아니라, 원초적 글쓰기에 연관된 모든 경험과 사고를 섭렵하는 텍스트(Text)라고 명명했다. 따라서 작품의 궁극적 의미는, 텍스트 및 공연에서 반복해서 새로운 상황으로 대체되고, 어떤 지적, 윤리적, 정치적 질문에도 궁극적인 결론은 불가능 하다.궁극적으로 해체주의가 보여주는 의미 없음 혹은 다의성을 통해서, 결국 기성의 이분법을 부정한다. 우리 연극계에서 ``해체``라는 단어가 처음 쓰인 것은 90년대 초반 이윤택에 의해서가 아닌가 싶다. 그는〈햄릿〉을 재구하면서 자신은 작품을 해체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자신의 ``해체``는 서구의 해체와 다르다고 말했다. 우리 연극계가 흔히 해체라고 행했던 플롯의 재구성은 ``해체주의``의 부수적인 효과일 수도 있으나, 본격적인 해체주의가 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기성의 이분법을 해체해야 한다. 이런 희곡은 선구적으로 80년대 이현화의〈불가불가〉 같은 작품을 꼽을 수 있으나, 본격적으로 이러한 공연들이 우리 연극계에 나타난 것은 새 밀레니엄을 전후하여 일어나기 시작했다. 99년〈청춘예찬〉을 시작으로, 2003년〈서안화차〉와 2004년〈자객열전〉은 이러한 해체주의의 징후를 확연히 보여준다. 해체주의 분석을 위하여 몇몇 중요한 개념들이 있으니, 중심(Center) 및 주변(Margin), 차연(Differance), 역사관(Historiality) 등이 그것일 것이다. 이들을 적용하여〈청춘예찬〉〈서안화차〉 및〈자객열전〉을 분석하였다.〈청춘예찬〉의 독특한 감각은 기성가치의 파괴와 그 개별화에서 온다. 부자지간이나 사제지간의 상하구조가 파괴되고, 각각 인물들의 관계 역시 지연되거나 모호하며, 어떤 역사관도 피력하지 못하는 사소함이, 이 작품을 이 시대의 새로운 고발자로 만들고 있다. 기성담론 이분법의 파괴 이후의 삶이야말로 이 작품이 보여주는 세계인 것이다. 한편〈서안화차〉는 얼핏 단순한 회상 같지만, 여기에는 여러 해체주의적 해석들이 얽혀있다. 선악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피해자와 가해자 경계를 모호하게 흐렸으며, 등장하는 사랑 역시 남녀 간이 아닌 동성애간의 사랑이다. 굳이 신역사주의를 들먹이지 않아도, 어찌 보면 이 공연은 진시황이라는 역사에 대한 개인사적인 해석이기도 하다. 또한 기법에서도 미술의 ``조각``에서 빌려 와 장르의 혼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부조리극과 같이 ``우연``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기차여행이라는 설정을 통해, 일정 부분 빈 의미를 제시하며 관객의 글쓰기를 유도했다. 이야기하면서도 객관적으로 거리를 두기에, 공연은 어떤 의미도 강요하지 않을뿐더러 연기하고 있다. 실로 새로운 시각이며, 다의적인 현실이다.〈자객열전〉은 한 마디로 우리 시대의 반성이다. 9.11 이후 테러리즘에 히스테리적 반응을 보이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이것 역시 하나의 테러리즘이 아닌가를 묻고 있다. 애국/테러리즘이라는 분명한 이분법에 대한 반발이다. 실로 오랜만에 연극의 사회적 소명을 상기시키고, 그 ``사고하는 연극``의 무게와 재미를 일깨웠던 연극이었다. 이들 세 공연들은 모두 기성의 이분법적 통념을 벗어나서, 제3의 의미와 가치를 지적하고 있었다. 공연에서 토용이나 인형들을 사용하는 것도 장르의 복합적 시도이다. 공연의 신선한 감각은 바로 이 다의성에서 온다고 하겠다.

      • KCI등재

        근대문인의 문학관 건립 및 기념사업 방안 연구 - 민태원(서산시), 류주현(여주시)의 지역상징 작업을 중심으로

        박덕규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3

        This thesis aims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re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government's literary museum and establishing implementation plans by taking the example of Min Tae-won who wa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Seosan-si, Chungcheongnam-do, and Ryu Ju-hyeon who was activ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n Yeoju-si, Gyeonggi-do. Min Tae-won (1894-1934), well-known for “Cheongchu’n-Yecha’n(Youth Praise)”, started as a reporter for the “Maeil Shinbo” in 1917 and lived as a journalist for nearly 20 years until his later years. Most of the writings he left behind were also created and published as an extension of his journalistic job. His outstanding achievements, such as adapted novels, editorials, and essays, have been neglected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ry history. Ryu Joo-hyun (1921-1982) has expressed his interest in reality and history in a tremendous volume of works for 30 years since his debut in 1948. His short and medium-length novels, about a hundred or less, revealed the inner side of human beings who were damaged by war, division,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ictatorial power. Historical novels such as “Joseon-Chongdokbu(Governor-General of Chōsen)”, which caused a sensation in the mid-1960s, became “history textbooks” of an era that required a grounded interpretation of modern Korean history, such as “the source of Japanese colonial rule”. Min Tae-won enables the establisher various types of storytelling based on securing the original source of “Cheongchu’n-Yecha’n”, contents related to the special feature of 'Cheongchunho' of “Byeolgeong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book inclusion of “Cheongchu’n-Yecha’n”, and the overall release of creative materials such as adapted novels. Ryu Joo-hyun can be reproduced based on the storytelling of his literary life, especially the moment when distinctive twists and turns of his fate appears, understanding of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 and characters of historical novels, and research and recycling of adapted movies and dramas. Min Tae-won and Ryu Joo-hyun are characterized by ‘writer journalist’ and ‘popular writer of prolific and masterpieces’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respectively,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examples of the modern regional symbolic work in the region as well as other communities. 이 논문은 20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충남 서산시의 민태원, 20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경기 여주시의 류주현의 예로 지방자치단체의 문학관 건립의 방향성을 재고하고 시행 방안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인 내용을 제공하려 한다. 「청춘예찬」으로 잘 알려진 민태원(1894~1934)은 1917년 매일신보 기자로 출발해 말년에 이르는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신문기자 직분으로 살았다. 번안소설, 논설, 수필 등 대부분의 문학적 성과는 이 기자 직분의 연장선에서 창작하고 발표한 것이다. 하지만 「청춘예찬」 외의 작품들은 한국문학사의 평가에서 소외되어 왔다. 류주현(1921~1982)은 1948년 등단한 이후 30년 동안 현실과 역사에 대한 관심을 엄청난 작품량으로 드러냈다. 100편에 달하는 중단편소설은 주로 전쟁과 분단, 급진적인 산업화와 독재 권력 등을 겪으며 훼손된 인간상을 그렸다. 196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 등의 역사소설은 ‘일제 강점의 근원’ 등 한국 근대사에 대한 근거 있는 해석을 요하는 시대의 ‘역사교재’가 되었다. 민태원은 「청춘예찬」과 관련해 원전의 확보, 게재 지면인 별건곤 의 ‘청춘호’ 특집 발표문 전체, 교과서 수록 상태 등을 활용하거나 번안소설 등 창작자료 전반의 해제 작업을 통해 구현 방안을 마련한다. 류주현은 문학적 생애에서 특히 인생사의 곡절이 뚜렷한 시절에 대한 스토리화, 역사소설의 시공간적 배경·인물 등에 대한 이해, 각색된 영화·드라마의 조사와 재활용 등을 기반으로 다채롭게 구현 가능하다. 민태원과 류주현은 각각 20세기 전반과 후반, 그리고 ‘작가기자’와 ‘다작·대작의 인기작가’라는 특징으로 해당 지역은 물론 다른 지역사회에서의 근대문인 지역상징 작업의 본보기가 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박근형 희곡의 아버지 혹은 부성의 부재와 상실의 의미

        전성희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3

        Geun-Hyung Park is a writer who also directs and works for playwrights at the same time. The way he works his play gets support from public and the republic of literary critics. This article is focusing on absence of father and what that loss represents by looking through his plays that utilized the loss and absence of father repeatedly through out the plays such as, <chung-chun-yae-chan; Praise for Youth>, <Dae-dae-son-so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Kyung-sook yi Kyung-sook ah-bu-ji; Kyung-sook, Kyung-sook's father>, and <Nuh-mu nol-la-ji ma-ra; Don't be too scared>. I tried to find out how the father who represents mental order has been changed in this modern society that is full with materialism after industrialization. Based on Luigi Zoja's anthropolog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approach to study on father, I tried to find out the origin and change of fatherhood and its modern definition and in that form, I tried to relate ill-behaved and shameful father's runaway from home and death with modern society. And also found out what it means and metaphors. 박근형은 연출과 함께 희곡 작업을 함께하는 작가이다. 그런 그의 연극작업은 평단과 대중의 지지를 고루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의 희곡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모티브인 아버지 부재를 다룬 <청춘예찬>, <대대손손>, <경숙이, 경숙 아버지>, <너무 놀라지 마라>를 대상으로 아버지의 부재와 상실이 의미하는 바를 찾아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정신적 질서를 상징하는 아버지가 산업화 이후 물질주의가 만연한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그 변화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 보았다. 루이지 조야의 아버지에 대한 인류학적이고 심리학적이며 문화적 접근을 토대로 부성의 기원과 변화 그리고 현대적 의미 등을 규명하고 그 틀 안에서 박근형의 희곡에 등장하는 불량하고 부끄러운 아버지의 가출과 죽음을 현대의 사회와 연관 지어보았다. 그리고 그것이 상징하고 은유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혀보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일상극의 글쓰기와 공연방식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09 드라마연구 Vol.- No.31

        One of major trends appeared in Korean plays of 2000s is rising of an everyday drama. However, performances named an everyday drama in our country have a difference from ``everyday drama`` constructed in an aesthetic form`s concept. The dramas often named an everyday drama in our country are close to a materialism concept. By the way, if we prescribe a drama form by taking this standpoint, we get to fall in an error neglecting a style or aesthetics of arts. The present research aims for a materialism standpoint, and tried to clarify that the everyday drama is a drama form having new world recognition, drama aesthetics and the avant-garde-like writing.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on characteristics and major trends of Korean everyday drama while referring to aesthetics of an everyday drama established as a unique drama form after appearing in Western Europe of 1970s with a conceptual framework. Also, the present research selected〈Glory of Youth〉 of Keun-hyung Park,〈Birthday party day for one-year old baby〉 of Myeong-hwa Kim and〈Travel〉 of Young-seon Yoon as representative works and analyzed writing and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se three works. As the everyday drama keeps a horizontal viewpoint and an approaching attitude viewing closely, it has a unique content and form. This is a drama that tries to put aspects and all conflicts, various viewpoints and chaos of various lives included in usual life in the stage, while approaching usual life in a position of ``an observer as a participant``.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an everyday drama is to induce the spectators to introspect on usual life by newly suggesting peripheral figures and multifaceted meanings of usual life being underestimated in a drama stage in the meanwhile. The everyday drama suggests ordinary and stale life to spectators instead of grand discourse like an ideology or history, makes spectators fill a gap of the meaning and compose a meaning of text according to one`s own world recognition through segmented scenes or split figures, time-space mixed with revenging voice and viewpoints, an open conclusion and others, namely, is ``a drama of spectators`` inducing active meaning analysis of spectators. 2000년대 한국연극에 나타난 주요 경향 중의 하나는 일상극의 부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일상극으로 지칭되는 공연들은 프랑스나 독일 등에서 하나의 미학적 양식 개념으로 구축된 ``일상극``과는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일상극으로 지칭하는 연극들은 소재주의적 개념에 가깝다. 그런데, 이 입장을 취해 연극양식을 규정한다면 예술의 스타일이나 미학을 경시하는 오류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는 소재주의적 입장을 지양하고, 일상극이 새로운 세계인식과 연극미학 및 아방가르드적 글쓰기를 가진 연극 양식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1970년대 서구에서 등장하여 특유의 연극양식으로 정립된 일상극의 미학을 개념틀로 참조하면서 한국 일상극의 특성과 주요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일상극의 대표작으로 박근형의〈청춘예찬〉, 김명화의〈돐날〉, 윤영선의〈여행〉을 선정하고, 이들 세 작품의 글쓰기와 공연미학을 분석해 보았다. 일상극은 일상에 대한 수평적 관점과 가까이서 조망하는 접근 태도를 견지하기 때문에 독특한 내용과 형식을 갖는다. 일상극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그동안 연극무대에서 폄하되어 왔던 주변부 인물과 일상의 다면적 의미를 새롭게 제기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일상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는 점이다. 일상극은 이념이나 역사 같은 거대담론 대신 평범하고 진부한 일상을 관객 앞에 제시하면서 파편화된 장면이나 분열된 인물들, 복수의 목소리와 관점이 혼재하는 시공간, 열린 결말 등을 통해 관객이 그 의미의 틈새를 메우고 자신의 세계인식에 따라 스스로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게 만드는, 다시 말해 관객의 능동적인 의미해석을 유도하는 ``관객의 연극``이다.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의 변화

        백로라(Rora Pae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2 한국문학과 예술 Vol.9 No.-

        본 연구는 최근 연극사 서술이나 비평담론에서 1990년대를 동시대 연극으로 범주화하는 관점을 전제로, 1990년대 연극계에서 발견되는 변화의 징후를 통해 최근 우리 연극의 특징적인 현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첫째, 1990년대에는 ‘작가-연출가’라는 개념이 연극계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것은 90년대에 이르러 연출가의 욕망과 대중의 욕망이 동일한 지점을 지향하게 되었던 것과 관계되며, 연극 생산의 과정에서 극작가를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로써 90년대 이후의 연극은 연극성과 대중성을 강하게 성취하게 되지만, 희곡의 미적 자율성이 상당 부분 약화되어 공연을 통해 완성되는 창작극이나 동시대 번역극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 둘째, 1990년대 후반 박근형의 <청춘예찬>을 출발점으로 사실주의 영영에서 이전과는 다른 제재, 창작방법론, 연기스타일, 무대메커니즘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것은 리얼리티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시켜주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갖지만, 대중들의 일상적 감각에 호소하는 연극적 지향성과 관련하여 사실주의 연극이 가볍고 대중적인 방향으로 치우친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낳기도 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현상은 무엇보다도 ‘대중의 감각이나 욕망’의 변화와 긴밀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다. 이처럼 90년대로부터 ‘대중성’이 연극 생산과 수용과정에서 강한 힘을 발휘하게 된 현상은 ‘바라보는 연극’으로부터 ‘소통하는 연극’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동시에 ‘예술가 중심의 연극’으로부터 ‘수용자 중심의 연극’으로의 전환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이것은 어떠한 단일한 미적 기준을 통해 하나의 공연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유보하게 만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요컨대, 그 미적 성과와 연극사적 가치가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미끄러지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90년대 연극은 그 이전 시기의 연극보다는 2011년 현재의 연극과 더욱 가까운 특징을 함유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distinguishing phenomena which began to emerge in the 1990s and are pervasive in recent Korean theater. It investigates the origin of characteristics which have dominated Korean theater since 1990s. Therefore, this research is not concerned with the novelty of 1990s theater,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earlier theater of the 1980s. Instead, this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in 1990s theater and that still relate to the present theater (2000s) as well.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wo phenomena which are found in 1990s theater: the spread of the ‘author-director’ and the appearance of ‘mundane realism’. Specifically, the spread of the ‘author-director’ compelled full-time playwrights to be isolated in the course of theater production and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methodology of play writing as well.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mundane realism’ caused a paradigm shift in terms of the concept of ‘reality’ in the realism theater area. Those phenomena which had reflected new desires of the public during the 1990s caused crucial changes in contemporary Korean theater. Unlike earlier theater, the popularity of theater since the 1990s has started to exert strong influence in the course of production-reception of theater. More specifically, contemporary theater changed from ‘watching theater’ to ‘communicating theater’ and from ‘theater for artists’ to ‘theater for audience’.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distinguishing phenomena which began to emerge during the 1990s caused the change of the theatrical paradigm in Korean theatrical history.

      • KCI등재

        빈민 가족 서사 속 폭력과 호모 사케르

        이은하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homo sacer as a political meaning in the family narration and determine that the family violence and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sub-class is the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The assertion by Giorgio Agamben that the antidemocratic incidents happened through homo sacer in the liberal democracy system were born when the modern sovereignty power was formed is the excellent idea. Play <Youth admiration> and movie <Blowfly> show that the domestic violence which seems to closely connected with the patriarchy in the family narration does not stay only in the domain of family discourse, and the destruction of family which appears in the poor family actually belongs to the exceptional phenomenon such as the homo sacer. In the play <Youth admiration>, it shows an attitude to follow the existing gender inequality by replacing unethical violence as a male-female relationship although it tries to break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father and son relationship.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highly appreciated because it started dismantling of existing perspective, the contradictions of this problem awareness compromise the achievements of the deconstructivism. However, if the former tries to have microscopic solution through love for the family, the latter reveals by the independent movie of the documentary character that the poor family is the situation of homo sacer which happened in the Korean fast growth and the cover of the society called neoliberalism, which is more problematic. In particular, when he was beaten by the police and killed and abandoned by Youngjae, there was no sanctions by public authority or legal protection. At this point, it shows the Homo Sacer as the existence of the poor in a liberal democratic state. Therefore, the movie <Blowfly> shows the possibility of a meta-narrative which is still necessary. 본 연구는 가족 서사 안에서 정치적 의미로서의 ‘호모 사케르’(homo sacer)를 발견하여, 하위 계층의 가족 폭력과 가족 관계가 사회의 정치적 구조와 연관 있음을 살피려는 시도이다. 자유민주주의 체제 속에서 법과 제도의 예외 상태로서 호모 사케르라는 인간 존재를 만들어내는 현재의 국가 권력의 작동 방식이 극 서사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연극 <청춘예찬>과 독립영화 <똥파리>의 분석을 통해서 밝히고자 한다. 가부장제와 긴밀히 연결된 듯 보이는 가정폭력이 실제로는 법과 제도로부터 소외된 빈민층의 존재 상태임을 가족 서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데, 한국 사회에서 신자유주의가 예감되던 1999년 공연된 박근형의 <청춘예찬>은 기존 가족 서사와는 전혀 다른 폭력과 충격적인 가족 관계를 보여주면서 빈민의 새로운 존재 상태를 보여주었다. 각자도생과 이합집산의 사회에서 마지막 거처로 생각되었던 ‘가정’의 불행을 통해 하위 계층의 절망을 보여주면서도 미시적인 관점을 고수하여 가족애를 통한 삶의 회복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부자관계에서의 가치전도와는 달리, 부부관계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관계를 답습했다는 점에서 가부장제 파괴에 대한 작가의 관점에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과 10년의 의미 있는 시간차를 보여주며 등장한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는 빈민 가정에서 벌어지는 일상적인 폭력을 통해 법과 제도 외부에 존재하는 호모 사케르의 존재 상황을 보여주며, 그것이 국가 권력에 기원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특히 주인공 상훈이 폭력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순간 죽음을 당하므로써 폭력적 구조의 소모품으로서 버려지는 장면은 호모 사케르의 ‘조에’적 존재를 은유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는 순찰중인 경찰을 두들겨 패도 공권력의 제재를 받지 않으며 영재에게 죽임을 당해도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한다. 이는 철저히 국가권력과 제도에서 벗어난 인간을 표상한다. 이렇게 <똥파리>는 호모 사케르적 삶을 사는 도시 빈민의 존재 상황에 국가의 제도적 폭력이 연관되어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거시 담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소설의 증오인식과 공존의 가치 연구-조선족과 탈북자 서사를 중심으로

        오연옥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hange in South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reproduced in modern novels, while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between them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of hatred inherent between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hatred, shame, and fear experienced by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among Korean diaspora. In order to form a new perception and discourse on hatred, the pain and hatred experienced by North Korean refugee women following Korean- Chinese women were discussed through Georzo Agamben's concepts of “Homo Sacer” and “Exception Status.” Along with this, the reproduction of Korean diaspora was divided into ‘the migration background of Korean-Chinese women and North Korean defectors’, ‘Homo Sacer, who was thrown into an exceptional state due to migration’, ‘reproduction of hatred after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and confirmed the perception between North Korean and Korean women. The change in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s possible with a humanities response that understands the reproduction and meaning of diaspora in novels of Korean writers, Korean-Chinese writers, and North Korean defector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experience was promoted for Heo Ryeonsun's A Chinese Brid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Chinese, Kim Yoo-kyung's Youth Sonata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n defectors, Yoo Kyung-eun's Old Promis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And the pos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Chinese looking at each other was confirmed by targeting Korean-Chinese writer Geum-hee's 「Okhwa」 and North Korean defector's 「Seogigol Loban」. I am confident that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designing future orientation by promoting the exchange and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value of coexistence of Korean diaspora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현대소설에 재현된 중국재외한인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는 한편,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내재한 증오의 발생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의 화합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중 조선족과 탈북자 사이에 연관된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겪은 혐오와 수치심, 공포에 주목한다. 그리고 증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 형성을 위해 조선족 여성에 이어 탈북여성이 겪은 고통과 증오의 담론은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와 예외공간’과 마사 누스바움의 ‘혐오’ 개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을 ‘조선족 여성과 탈북 여성의 이주배경, 이주로 인해 예외상태로 던져진 호모 사케르, 한국사회에서의 정착과 증오의 재생산’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이들의 이주과정에 드러난 교차점을 확인하고, 탈북 여성과 조선족 여성 서로 간의 인식양상을 확인한 바이다. 조선족과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변화는 조선족 작가, 탈북 작가, 한국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하는 인문학적 대응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 작가, 조선족 작가, 그리고 탈북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재현 양상과 의미를 다각도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이주에 대한 교차점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에 정착한 조선족과 탈북자의 대립구도 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조선족, 탈북자 간의 왜곡된 정체성 인식 양상을 개진하고 사회통합력을 제고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조선족과 탈북자 소재의 서사 재현양상 분석 및 비교를 통해 이들의 정체성을 규명하되, 조선족 작가의 중국색시 , 탈북 작가의 청춘예찬 , 한국 작가의 오래된 약속 을 대상으로 이주 경험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조선족 작가의 「옥화」와 탈북 작가의 「서기골 로반」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가 탈북자와 조선족을 바라보는 관점과 탈북자와 조선족 서로가 견지해 온 증오의 발생과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공존의 가치를 정립하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박근형 연극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

        김숙경 ( Suk Kyung Kim ) 한국연극학회 2012 한국연극학 Vol.1 No.48

        Geun Hyung Park is one of the playwrights who consistently pursues his unique world of play.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is constantly discovered in Park`s plays is the motif of ``family.`` park chooses family as the motif in most of his work. Park particularly emphasizes ``family life`` rather than ``individual life`` to focus on the internal problems of families. Therefore, the motif of family in Park`s plays tak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tent and theme. The Korean society imposes unique value on families and possesses a strictly obstinate family ideology. Park observes distorted family relations or individuals who cannot be happy within their families to identify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amily ideology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Korean society. This is one of the important backgrounds for which Park is constantly dealing with ``family life.`` This study selected five of Park`s most famous plays to specifically examine Park`s critical understanding of family ideology. First, his <Gyee> criticizes extreme family egoism by depicting a family that cannibalizes people to keep the family full. Park chooses ``absurd time and space`` and the extreme subject of ``human flesh`` to warn his audiences about the awful consequences of family egoism. His <DaeDaeSonSon>, which is the only piece that deals with family history among the five pieces selected, criticizes Korea`s unique family-centered ideology by humorously depicting the history of the Cho family that is all about maintaining and worshipping the its clan. He reveals the unethical and hypocritical attitudes of the Cho family for the audiences to reconsider the family-centered ideology of the Korean society. In <ChungChunYaeChan>, he talks about the son and the father who lose his ethical authority and fail to perform his paternal responsibilities to criticize the traditional family ideology of patriarchism and suggests the pessimistic future of patriarchism. <GyeongSook GyeongSook ABuGee> contrasts a blood-related family with an irresponsible father and a quasi-family to criticize the identity of blood-related families. In <NueMu NolRaGee MaRa>, Park depicts a ``smelly house`` of a family in agonizing relations to deny the family myth and the maternal myth. He clearly shows how the ideals of family myth and maternal myth are distant from the reality. In result of this study, Park`s criticism of family ideology appears in various forms. He comprehensively criticizes both the general family problems and the unique family issues of Korea. The family ideology of Korea is currently undergoing a radical change. It has been long since the traditional family ideologies have exposed problems to show the signs of crisis. Also, there have emerged various forms of families, including single-parent families, one-person families, adoption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this respect, Park`s critical understanding of family ideologies allows you to see the obvious family forms from a new perspective and greatly contributes to awakening the essential questions about families. Park`s work is noticeable among the various artistic and literature pieces that deal with family issues because of his extraordinary skills to capture the key issues inherent in the problems of family ide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