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실도계(行實圖系) 교화서(敎化書)의 전개와 충행위(忠行爲)의 추이 : 17세기 초기의 관찬(官撰) 교화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분석을 통해

        Kaneko Yuki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民族文化硏究 Vol.51 No.-

        임진왜란 직후 조선에서 忠은 어떠한 인물상 및 행위로 나타났는가. 그리고 그러한 인물상과 행위는 어떤 경위를 거쳐 형성된 것인가. 본고에서는 官撰敎化書인 『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이용하여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고찰에 있어서 행실도라고 이름 붙여진 일련의 관찬교화서들에 주목하였다. 우선, 전체 행실도 간의 관련양상을 확인하고, 그 관계 속에서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에 근거하여, 세종대의 初刊『三綱行實圖』부터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 이르기까지의 충신도에서 강조된 충행위의 추이 양상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확인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역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충행위에 대해 실제로 기재된 기사를 이용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사항이 밝혀졌다. 첫째, 행실도라고 불리는 교화서들은, 덕목을 忠·孝·烈로 유지하면서 간행 당시 조선의 旌表記事를 추가한 계열과,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면서 덕목을 삼강에서 오륜으로 늘려간 계열이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은 전자에 속하며, 후자의 속하는 『五倫行實圖』와의 관련은 적다. 둘째,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이전부터 그려져 온 충행위를 대체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나라나 임금을 위해 전장에서 죽는 力戰 행위를 처음으로 강조한 것과 간언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신하의 隱遁을 충행위로서 처음으로 기재한 것은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독자적인 특징이다. 결국, 행실도는 두 가지 계열에 근거하며 상호 관련을 가지는 일련의 교화서 군이며, 이를 행실도계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오륜행실도』와 다른 계열에 속하며, 충행위도 이러한 계열에서 대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역점을 두는 곳이 바뀌고 새로운 충행위도 구비되었으므로, 강조되는 충신상도 이전과 달라졌던 것이다.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otherwise just after Toyotomi Hideyoshi's Invasion, How was loyalty for king drawn as a image or action? And what kind of process did they pass through?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this theme with referring to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published by King Gwanghae. In this regard, we took particular note of some books for Confucian indoctrination named Haengsildo. At first, we checked that how Haengsildo books relate each other, then, also checked Dongguk's position on their relationship. Second, we traced transition of act for putting loyalty accentuated on above relationship from King Sejong's Samgang-Haengsildo(初刊『三綱行實圖』) to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Moreover, we analyzed the focused acts on articles in it mainly.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we can make following observation. 1: Haengsildo books, the groups for indoctrination of Confucian ethics, are related as two kinds of evolution line as below; one is that edited and evolved them by current Korean articles which topics are fixed the three bonds, those are loyalty, filial piety, or chastity, the other is that edited and evolved them by biographies in Chinese classics with expanding from the three bonds to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those are seniority piety (especially brotherhood) and belief between school friends (including master and pupil), and three bonds.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the end of the former, and have little relativity with Oryoon-haengsildo(『五倫行實圖』) edited by King Jeongjoh positioned on the end of the latter. 2: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nherited previous contents about acts of loyalty from prior Haengsildos. Although it has two unique saliencies; one is desperate fight for King or dynasty(力戰) was put emphasis on there at first, the other is secluding oneself(隱遁) was provided as a new kind of putting loyalty in practice at the first time. Finally, Haengsildo group has their linkage based on two of evolutional lines. Therefore we can recognize them as Haengsildo genealogical series.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the end of one kind of line without Oryoon-haengsildo, and almost took over acts for loyalty in existence. Although image of loyalists on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is differ from other Haengsildo's caused by changing emphasis and taking on a new kind of putting loyalty on practice.

      • KCI등재

        『삼강행실열녀도』의 출처 연구

        홍현보(Hong Hyun-bo)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6

        이 글은 세종의 지시로 처음 간행된 『삼강행실도』(한문본)의 출처를 자세히 분석하여, 뒤이어 매우 많은 종류⋅수량으로 간행된 이른바 ‘행실도류’의 책들과 내용⋅형식 면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행실도류는 『삼강행실도』(한문본), 『삼강행실도』(언해본),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열녀전(언해)』등이 있다. 『삼강행실도』한문본이 처음 나왔을 때는 3권 3책 330인의 행적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는데,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그 가운데 각권마다 35인을 뽑아 모두 105인의 행적을 묶어 한문으로 기록하고, 그 판 위쪽에 언해문을 새겨서 간행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전체를 다 살펴보지 못하고 「열녀도」만을 살펴본 것인데, 『삼강행실열녀도』의 110인은 대다수 중국사람이어서, 그 출처를 맨 처음엔 중국유향이 썼다는 열녀전(列女傳) 등에서 찾았으나, 실제로는 중국의 많은 역사서들을 망라하여 참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륜행실도』는 『삼강행실도』 언해본과 『이륜행실도』를 새롭게 언해하고 편집하여 판각함으로써 가장 발전된 양식을 보여주었다. 원문의 방대한 출처를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세종의 『삼강행실도』 편찬 의도를 찾고, 중국의 행실도류(『열녀전』)와의 연관성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I in this article focused on finding out the source of Samgang haengsildo by comparing the form and content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ich were published in a great deal of kind and quantity in Joseon dynasty,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amgang haengsildo, the first illustrated book of admonition, with other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gang haengsil yeolnyeodo and Lienu zhuan of China. Samgang haengsildo(Chinese version), Samgang haengsildo (Korean translation version), Sok Samgang haengsildo,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ryun haengsildo, Oryun haengsildo, Yeolnyeo jeon(Korean transla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en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composing 3 gwons 3 chaeks it recorded the deeds of 330 persons. The compilers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selected 35 persons from each gwon of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t recorded in Chinese the deeds of 105 persons in total and engraved Korean translation on the upper part of woodblock. Most of 330 persons were Chinese. At first, I tried to find its source from Lienu zhuan, Gu Lienu zhuan, Gujin Lienu zhuan which were compiled by Liu Xiang of China. However, I came to know the fact that the compilers of Samgang haengsildo referred widely to many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Han shu, Jin shu, Wei shu, Sui shu, Jiu Tangshu, Xin Tang shu, Song shi, Jin shi, Yuan shi. While Sok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followed Samgang haengsildo in form and content,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showed many changes in that it recorded only the deeds of about 1,590 Koreans as its title shows. Unlike precedent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s a pure creative work without any reference book. It is significant that Korean translation for the first time came to take up its position in the body of the book. Oryun haengsildo published afterwards showed the most developed form in that it newly translated the Korea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renewed its compilation and newly engraved. I in this article studied only Illustrations of Virtuous Women not the whole of Samgang haengsildo, came to find out Sejongs intent of the compilation of Samgang haengsildo by making a correct investigation on the extensive sources of the book and could trance its association with Chinas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 KCI등재

        朝鮮時代 『行實圖』에 나타난 日本의 表象

        孫承喆(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7 No.-

        이 글은 조선인들이 일본 또는 일본인, 나아가 일본문화에 대해서 갖고 있는 否定的인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 졌으며, 그것은 어떻게 전승되었을까를 연구한 것이다. 조선시대, 조선인들에게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14세기 후반의 倭寇의 약탈과 16세기 후반의 壬辰倭亂이었다. 왜구의 약탈과 임진왜란은 조선인에게 많은 傷處와 苦痛을 주었으며, 이것은 곧바로 조선인의 부정적인 曰本認識으로 고착되었다. 조선왕조에서는 국민들을 敎化하기 위해 5종의 『行實圖』를 편찬하였다. 그런데 이들 『行實圖』속에 倭寇와 壬辰倭亂과 관련된 내용이 591건이 수록되어 있다. 『行實圖』에 수록된 왜구관련 기사는 『三綱行實圖』9건, 『續三綱行實圖』3건, 『五倫行實圖』3건이다. 『三綱行實圖』의 왜구관련 기사는 1377년부터 1389년까지 왜구의 약탈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에 일어났고, 대상지역도 경기를 비롯하여 경상, 전라, 충청도 등 전국에 걸쳐 있다. 피해자의 신분은 9건 중 8건이 여성이었으며, 피해형태는 殺害가 7건, 自殺이 1건, 拉致가 1건이었다. 한편 『續三綱行實圖』에 수록된 3건은 조선초의 사건으로 납치가 대부분이다. 『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는 576건이 임진왜란 때의 기록인데, 희생자 가운데 433건(75%)이 여성이다. 그만큼 임진왜란 때 여성들의 희생이 컸음을 나타낸다. 또한 신분별로도 피지배층이 60%에 달했고, 지역별로는 경상 전라도지역이 50%를 차지하고 있다. 『行實圖』는 충?효?열의 三綱을 강조하여 유교사회의 敎化와 紀綱을 바로 잡는 목적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행실도의 간행과 보급은 한편으로는 조선인들에게 왜구와 임진왜란에 대해 잊을 수 없는 사건으로 기억되었고, 그 이후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고착되어 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Joseon"s negative image toward Japan, the Japanese and their culture had been created and transmitted. The most shocking incidents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of Joseon were plunder of Japanese pirate raiders(倭寇)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and Imjin War(壬辰倭亂)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These plunder and invasion gave an unbearable damage and pain to Joseon people which, in turn, formed a negative recognition of Japan by the Joseon people. In Joseon dynasty, five sorts of "Haengsildo"(行實圖) were edited to enlighten people. There are 591 cases related to japanese pirate raiders and Imjin War in the "haengsildo." Ardcles on pirate raiders are 3 in "Samganghaengsildo", 3 in "Soksanganghaengsildo"(續三綱行實圖), and 3 in "Oryunhaengsildo(五倫行實圖)" respectively. Records of Taoanese pirate raiders in "Sangganghaeingsildo" cover from 1377 to 1389 at a time when the plundering activity was in its peak in Gyeonggi, Jeolla and Chungcheong. The victims of 8 out of 9 cases were women: 7 were killed, 1 made suicide and 1 were kidnapped. On the other hand, 3 cases in "Soksangamhaengsildo" were mainly kidnapping cases taken place in the early Joseon period. "Dongguksin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records 576 incidents of the Imjin War and 433 cases (75%) were women victims. It demonstrates a great deal of women loss during the Imjin War. 60% of the victims belonged to the subjugated class, and Gyeonggang and Jeolla provinces took up 50%. The original aim of "Haengsildo" was to educate and tighten the disciple of the Confucian society by emphasizing "Samgang"(三綱: three basics) of loyalty, filial duty and chaste. But,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Haengsildo" made the people of Joseon to remind the Imjin War a never-forgettable incident that led to a negative perception toward Japan thereafter.

      • KCI등재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수용 양상

        이정원(Lee Jeong w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삼강행실도』는 사회 존속의 이념으로서 삼강(三綱)을 사회 전계층에 확산시키기 위한 중요한 문헌적 수단이었다. 그런데 『삼강행실도』가 전파하는 충, 효, 열의 실천적 지식은 '자기 상해'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그 지식의 수용과 실천은 긴장 관계에 놓여 있다. 이런 점에서 조선 후기 판소리 문학은 그러한 권위적 지식의 수용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교화서로서 『삼강행실도』의 파급력에 걸맞게 <춘향전>과 <심청전> 두 작품의 곳곳에서 『삼강행실도』의 언술들은 발견된다. 이를 통해 삼강의 범주 안에서 춘향과 심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식의 공유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춘향전>과 <심청전>에서 '열녀 되기'와 '효녀 되기'라는 당위적 지식의 수용은 일면적이지 않다. 한편으로 주인공들은 그러한 윤리를 체현할 숭고한 존재로 태어나 훈육되었으면서도, 서사의 곳곳에서 그들의 인간적인 번민이 발견되기도 하고, 그들의 도덕적 숭고함은 때로 다른 인물에 의해 조롱받기도 한다. 이러한 권위의 균열은 두 작품에서 균질적이지는 않지만, 삼강행실도의 이념에 대한 다층적이고도 진솔한 서민층의 수용 양상을 서사화하고 있다는 의의는 같다.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권위적 지식이 성찰되는 양상은 역설적이기도 하다. 즉, 춘향의 열녀 되기와 심청의 효녀 되기를 가장 극적으로 체현하는 장면은 오히려 역설적으로 그 당위들에 내재한 폭력성을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가령, 수의사또가 춘향에게 수청을 요구하는 장면이나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장면은 가장 극적으로 그들의 도덕적 고결함을 증명하기도 하지만, 두 인물로 하여금 그간의 모든 고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덕적 정체성을 증명해야 할 의무를 부과한다는 점에서 폭력적이다. 즉, 서사의 진행은 그들의 고통이 무엇에서 비롯되는가라는 구조적이고도 현실적인 문제보다는 그들의 고통이 무엇으로 보상받는가라는 우연적이고도 환상적인 결말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서사는 인물들이 열과 효를 지향하면서 겪어야 하는 고통의 진실을 직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기적 무지'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이기적 무지'는 『삼강행실도』의 지식이 현실에서 실현되는 하나의 관습으로서 이해된다. Samganghaengsildo was a important book to diffuse the Samgang which was the idea for the continuance of society. But loyalty(Chung), filial piety(Hyo), chastity(Yurl) which were diffused with Samganghaengsildo need one to hurt his own body, so the reception and the practice of the knowledge were in the relation of tension. At this point, Pansori literature was worthy of showing the process of reception of such authoritative knowledge. There are many pieces of discourse which are from Samganghaengsildo in <Chunghyangjeon> and <Shimcheongjeon>. And it inform us that the knowledge was shared enough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Chunhyang, Shimcheong in the category of Samgang. In <Chunghyangjeon> and <Shimcheongjeon>, the reception of the authoritative knowledge, such as being a Yulnyuh(chaste woman) or being a Hyonyuh (one who do the filial piety) is not one-sided. On the one hand, the heroine was born and educated to practice such sublime ethics. But on the other hand, at many part of narratives their agony were discovered, and their moral sublime was ridiculed by many characters. Such crack were not homogeneous in two works, but all of this show how the people have received the ideas of Samganghaengsildo. The aspect of reflection about the authoritative knowledge is an paradox. Because the scene in which Chunhyang and Shimcheong practice their moral obligation discover the violence hidden in the moral. So, the narrative focus not on from where their sufferings arise, but on with what they are rewarded for their sufferings. These narratives does not look squarely the truth of the sufferings, and we could call it 'selfish ignorance'. And the selfish ignorance is understood as a management that a knowledge has been practiced in the real.

      • KCI등재

        열전(列傳)에서 교화서로: <<삼강행실도-열녀편>> 판화의 고전 재해석

        유재빈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5

        This paper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style of the prints in Samgang haengsildo (三綱行實圖), An illustrated Guide to the Three Bonds and examined the function of visual edification in the Era of King Sejong (世宗, r. 1418-1450). Samganghaengsildo selected 110 exemplary historical figures from Chinese classics and Korean historical books who conducted filial piety, loyalty and chastity respectively. Although Samganghaengsildo referred to Chinese classics, it strengthened its edifying functions through various adaptations and editing. The engravings and poems were inserted before and after every text of Samganghaengsildo. These prints and poems created by court painters and Jibhyeonjeon (集賢殿) scholars in Joseon Dynasty, evidently represent edifying intentions of the compilation. This paper focused the prints in 'Female Chastity (烈女)' volume in Samganghaengsildo and tried to investigate its the re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To this end, I compared it with the Chinese classic, The Old Stories of Exemplary Women (古列女傳) by Liu, Xiang (劉向). As a result, while The Old Stories of Exemplary Women emphasized women's outstanding ability or political position, Samganghaengsildo stresses women's sacrifices and devotions as the subject of painting. In addition to women's action of chastity, Samganghaengsildo also added the results after her death to the scene, in order to establish a patriarchal ideology of the dynasty that women's sacrifices are eventually rewarded by the state. <<三綱行實圖>>(1434)는 중국의 효자, 열녀 등 列傳을 방대하게 인용하되 이를 조선왕실의 유교적 이념에 맞게 교화서로 변형시킨 관찬 출판물이다. <<삼강행실도>>는 다양한 각색과 편집을 통해 교화적 기능을 강화하였는데, 특히 행록 앞뒤에 붙여진 판화와 찬시에 그 의도가 집약되어 있다. 본 논문은 열녀도 판화에 집중하여 <<삼강행실도>>의 고전 재해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삼강행실도-열녀편>>을 중국의 <<고열녀전>>(근유당본) 판화와 비교하였으며, <<삼강행실도-열녀편>>의 판화와 찬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삼강행실도>>의 글은 방대한 재편집을 거쳤다. <<고열녀전>>과 비교해본다면 여성의 뛰어난 능력이나 정치적인 입지 대신에 희생과 정절을 강조하는 부분이 강조되었다. 판화는 이처럼 재편집된 문헌에서 교화적 의도를 더 강화하였다. 판화는 철저하게 『삼강행실도』 안의 내용에 근거하되 그 중에서도 제목으로 선정한 가장 핵심적인 행실을 중심으로 화면을 구성하였다. 그림은 문헌의 내용 중 추상적인 상황보다 구체적인 행동을 주제로 삼았는데, 그 결과 명약관화한 자기 희생의 행실만이 전면에 부각되게 되었다. 행실의 전후로 그려지는 사건들은 여성의 희생이 결국 국가에 의해 포상되고 정려된다는 인과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삼강행실도>> 판화는 문헌의 편집 의도나 집현전 학사들이 지은 찬시의 방향과 매우 근접하였다. 국가의 안위에 위협적인 문구를 삭제하고, 모범이 될 만한 행실을 규정하고, 그 의미를 평가하고 칭송하는 시의 태도는 그림에서 그대로 찾을 수 있다. 그림을 보고 행록을 읽고, 시를 암송하고, 다시 그림을 반복해 봄으로써 『삼강행실도』가 규정한 행실은 깊이 각인되었을 것이다. 이는 <<삼강행실도>> 판화가 이후의 행실도에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삼강행실도』의 폭력성 재고 -열녀편을 중심으로-

        이경하 ( Kyung Ha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첫째, 조선후기 열녀전의 핵심인 종사형 열녀는 삼강행실도 열녀서사의 핵심이 전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는 종사형 열녀서사에 대한 비판적 해석에 종종 삼강행실열녀도를 끌어들여 논하면서 그 차이를 간과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둘째, 삼강행실도를 `약자에게 강제된 도덕의 폭력`이라고 규정하는 선행연구의 관점이 조선사회에서 이 교화서가 발휘한 효과의 부정적 측면만을 부각시키고, 삼강행실도 텍스트의 소재가 된 `역사적 실재`로서의 자기폭력의 진정성을 무시하고 있지 않은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론에서는 먼저 삼강행실도의 폭력성에 관한 논의를 세 층위로 나누어 볼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충·효·열과 같은 윤리 자체의 폭력성, 둘째, `재구성된 역사`인 삼강행실도 텍스트가 열녀서사를 재현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폭력성, 셋째, `역사적 실재`로서의 열녀서사를 구성하는 사건의 폭력성이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세 번째 층위에 초점을 맞추어 삼강행실도 열녀서사가 어떤 특별한 위기상황을 전제하고 있음을 분석하고, 그러한 위기상황에서 보여준 열녀들의 자기폭력이 세계의 폭력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 동시에 상층신분의 도덕적 자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로써 삼강행실도의 폭력성에 관한 논의의 시각을 다각화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Samganghaengsildo is a literature that praises basic Confucian morals such as royalty, filial piety and women`s devotion. Samganghaengsildo contains many episodes related to royalty, filial piety and devotion, which are characterized as irrationality and cruelty. The distribution of Samganghaengsildo led to trends of following such episodes contained in the literature. Since firstly issued in the period of King Sejong, the literature had been distributed to the public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Choseon, though changed in form. The Choseon regime tried to distribute the literature in great quantities over a long time. Such morals urged by Samganghaengsildo as royalty, filial piety and devotion are principles that force people in low social position to unilaterally serve those in high social position. Under the name of Confucian principles, the literature is the very means of violence to the weak. The Choseon regime actively recommended such trends and in this sense, Samganghaengsildo was ethical violence to the weak. However, it remains unclear yet what the self-violence of faithful women means. It`s not enough to explain the meaning of faithful women`s suicide and self-injury as a result of forcible indoctrination education for women`s devo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considerate such general explanation of women`s self-violence in general feminist opinion. In this paper, analysis of 110 faithful women`s narratives shows that self-violence of faithful women in upper class was an inevitable choice to keep their honor, not only their purity, and self-violence for their honor was a symbol of ethical authority.

      • KCI등재

        삼강행실도의 아동교육사적 가치 연구

        강미희(Kang Mee-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삼강행실도 언해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아동과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추고 아동교육의 역사라는 큰 틀 속에서 삼강행실도가 차지하는 비중과 교육적 가치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연구방법은 삼강행실도와 관련된 선행연구 및 고서 등 광범위한 자료에 기초하여 아동교재, 아동교육, 아동문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삼강행실도를 연관지어 비교 분석하는 한편 통시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을 통해 고찰 및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삼강행실도는 아동교육사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가치가 있었다. 첫째, 아동을 성인 못지않게 중요한 교육대상자로 인식하고 아동의 흥미와 이해수준을 일정부분 반영하여 내용과 형식을 구성했다. 둘째, 우리나라 아동이 처음으로 접한 유교이념을 내용으로 한 그림교재ㆍ위인전기 그림책 및 역사소설ㆍ우리나라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옛날 이야기 그림책이다. 셋째, 소학보다 먼저 아동들에게 대중적인 보급에 성공하여 조선 전기 15세기 아동교육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큰 비중을 차지했다. 넷째, 조선시대 아동들에게 가장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널리 읽혀졌다. 다섯째, 아동 교육기회균등 정신을 내포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했다. 여섯째, 현대적인 의미의 효과적인 시청각적 교수매체 기능을 갖추었다. 즉 삼강행실도는 우리나라 아동교육 역사상 아동이 접하고 아동에게 사용된 교재로는 삼강행실도 간행 전의 책과는 확연히 다른 파격적이고 차별화된 교재일 뿐 아니라 아동들에게 매우 놀랄 만한 파급효과와 교육적인 성과을 거두었다. 이는 그만큼 삼강행실도가 조선시대의 아동들에게도 좋은 책으로서의 특성과 긍정적인 요소를 두루 갖춘 우수한 삼강윤리 교재로써 이동교육에도 크게 기여했음을 시사해 준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amkang-haengsil-do Eonhaebon(Korean Annotation) and this study aims at intensively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Samkang-haengsil-do in a large frame of child education by focusing on its relation with children For this purpose, it compares and analyzes Samkang-haengsil-do in various view points such as child teaching materials, child education and juvenile literature based on extensive materials including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Samkang-haengsil-do and old books while examining and interpreting Samkang-haengsil-do through diachronic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ople recognized that Samkang-haengsil-do was made for adults rather than children still children were included as major educational objects together with women and its educational value lies in the fact that the contents and form of Samkang-haengsil-do vividly reflect the recognition. Secondly, Samkang-haengsil-do is the picture materials with Confucious ideology that Korean children first experienced. In addition, in terms of juvenile literature, it is a picture biology of great mind or historical novel and has the educational value as the oldest picture book in Korea which exists. Third, although Samkang-haengsil-do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to children later than Sohak which is materials for children, it was popularly distributed to children. In addition, Samkang-haengsil-do Eonhaebon was published and distributed to prior to Sohak and played a great role in educating the ethical education of the three bonds to children in the 15th century of early Choseon Dynasty under a historic situation when the materials for children had not become general yet. Fourth, the educational value is that it was distributed and widely read by children for the longest time through the publication of Samkang-haengsil-do sequel, Fifth, the education value lies in the fact that it implied the spirit of equal opportunity for child education and practiced it in detail. Sixth, the educational value iles in the fact that it had the function as audio-visual teaching materials in the modern sense.

      • KCI등재

        조선 초 `칙찬권계서(勅撰勸戒書)`의 수용과 『삼강행실도』 편찬

        이상민 ( Lee Sang Mi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6

        본고는 칙찬권계서의 수용과 그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 『삼강행실도』의 편찬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문물의 수용과 변용, 나아가 동아시아적 견지에서 바라본 한국 사상의 특징을 조선 초 사례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명 초에는 국내외적 질서 안정을 위해 황제 편찬의 교과서인 칙찬권계서(勅撰勸戒書)가 편찬되었다. 이들은 국내와 국외의 질서를 통일하고자 하는 목표로 기획되었고, 유교·불교·도교를 포섭하였으며, 원을 정통왕조로 인식하였다는 특징이 있었다. 영락제는 이와 같은 칙찬권계서를 중국 국내는 물론, 주변국인 안남·조선에까지 수용시키고자 하였다. 명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대외질서 확립과정으로서 대량의 칙찬권계서가 주변국에 보급되었다. 칙찬권계서는 조선 태종, 명 영락제시기 발생한 조선·명관계의 안정화 국면에 맞추어 태종·세종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조선에서는 칙찬권계서를 교화서로 파악하고 그 활용방안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칙찬권계서의 일부가 유교적 기준에 따라 비판적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명으로부터 수용된 칙찬권계서들은 조선 건국 이전부터 진행된 교화서 편찬의 전통들과 결합하여 『삼강행실도』 편찬의 중요한 참고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칙찬권계서는 『삼강행실도』의 편찬과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이에 따라 편찬된 『삼강행실도』는 내용상으로도 주력 인용 전거가 되었던 칙찬권계서들의 내용과 나아가 이들을 선별한 조선 국내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종래 『효행록』의 특성들을 여러 방면에서 극복하였다. 『효행록』에서 강조된 신이사례를 배제하고 정표사례를 강조하여 관민간의 명분질서를 드러내었고, 나아가 절의·정절사례를 통해 사적 결속을 넘어선 義로서의 군신·부부간의 명분질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형식적으로는 칙찬권계서의 영향하에서 조선 초기의 논의들이 반영된 결과였다. 명 초 국내외 질서의 안정책이 반영되어 편찬·유포된 칙찬권계서들은, 조선 초의 교화관념과 지방질서의 정립과 정치권력의 안정화를 반영한 『삼강행실도』편찬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삼강행실도』는 당대의 현실에 맞게 새롭게 들여온 명 초 문헌들에 담긴 관념과 조선내부의 입장이 함께 수렴된 결과물이었다. 『삼강행실도』 편찬은 국내외적 조건에 따라 이루어진 당대의 세계관과 이상이 반영된 사업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incorporation of Imperial Morality books (勅撰勸戒書) and the subsequent influence on the Samganghaengsildo (三綱行實圖) compilation process. In doing so, the paper will use case studi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analyze the adoption and modification of Chinese culture, as well as the East Asian perspective regarding endemic Korean thought.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the Emperor published a series of Imperial Morality books (勅撰勸戒書) in order to consolidate order within and without the dynasty. These books were compiled with the purpose of unifying the organization of the dynasty. Emperor Yongle (永樂帝) wanted to disseminate the Imperial Morality books throughout not only the Chinese region but also the neighboring nations of Annam and Joseon. Kings Taejong (太宗) and Sejong (世宗) maintained an abundant influx of the Imperial Morality books as part of Joseon`s proactive efforts to defuse diplomatic tensions arising from Emperor Yongle expansive foreign policies. The Joseon dynasty generally considered Imperial Morality books to be edifying texts and eagerly sought to devise application methods. Imperial Morality books, incorporated with existing domestic, were used to publish the Samganghaengsildo (三綱行實圖), The Morality book of Joseon. The Samganghaengsildo is overcome the Hyohaengnok (孝行錄), the Morality book of late Koryo in many ways by the contents of the Imperial Morality books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 Joseon. Imperial Morality books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The Samganghaengsildo in early Joseon. The Samganghaengsildo was a convergence of discourse in the newly introduced documents in early Ming and the position of Joseon. Compilation of the Samganghaengsildo was a project reflecting the ideals of the contemporary world, which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domestic and external conditions.

      • KCI등재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 : 시대적 배경과 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일영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본고의 목적은 광해군대에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를 분석하여 그 역사적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것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다른 행실도처럼 일반 백성들을 교화시키기 위한 책이었지만, 한편으로는 당시 정황의 영향을 받아 다른 행실도와는 차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는 임진왜란의 영향으로 조선인이 다수 수록되었다. 이는 이 책이 보훈사업의 일환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에는 전쟁 직후의 여러 가지 불안감이 반영되어 있다. 민심의 이반을 걱정하는 위정자의 불안뿐만이 아니라, 여성들의 정절에 대한 남성들의 강박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선사회를 지탱하던 유교적 가치들의 재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또한 나타난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결과적으로 ‘실패한 프로젝트’였지만, 당대의 현실과 욕망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examine historical meaning of Chosǒn Dynasty by analyzing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was published to enlighten the common people like other Haengsildo(行實圖), but it ha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by undergoing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e book embodied Many Korean(東國人) and the number of cases were peerless because it was a kind of prize after war. Also this book reflected many kind of anxiety after war ― not only the ruling class’s anxiety for alienation of the public but men’s obsession for chastity of women. And there is reassignment of Confucian value in the book. Thus we can examine one side of the middle of Chosǒn Dynasty by the book’s peculiarity.

      • KCI등재

        朝鮮時代 孝子圖

        이수경(Lee Su-kyung)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2·243

        孝子圖는 孝行故事를 圖解한 그림으로, 鑑戒的인 故事人物圖이다. 효자도의 주제인 孝는 개인적인 윤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忠과 함께 조선왕조의 사상적 기둥이었으며 지배 이데올로기였다. 조선시대 효자도는 유교적 윤리관의 확립을 위해 제작되었던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효자도는 크게 판화 형식의 行實圖類 효자도, 一般 繪畵 형식의 효자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행실도류 효자도에는 『三綱行實圖』(1434), 『續三綱行實圖』(1514), 『東國新續三綱行實圖』(1617). 『五倫行實圖』(1797)의 효자도와 家傳 孝行錄이 포함되고, 일반 회화 형식의 효자도에는 孝子圖屛風과 民畵 孝悌文字圖 중 ‘孝’字 圖像이 해당된다. 조선시대 효자도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효행고시를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주인공인 효자가 곤경에 처한 부모를 위해 효성으로 난관을 극복하는 이야기를 내용으로 한다. 효행고사는 여러 개의 에피소드들로 구성되어 있고 에피소드들은 여러 사건(event)들로 이루어져 있다. 효행고사는 효행이 언제 행해졌는가에 따라 平常時ㆍ異變時ㆍ憂患時ㆍ死後 孝行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체로 부모의 사망 이후에 행해지는 장례, 제례에 관한 사건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효행고사는 발생 지역과 시대에 따라 내용상의 차이를 보이는데, 시기가 이르고 중국의 것은 기적적인 이야기가 많은 반면, 시대가 내려가거나 우리나라의 것은 실현 가능하고 현실적인 이야기들이 많다. 행실도류 효자도에 수록되는 효행고사는 시대적 요구사항과 집권층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고, 일반 회화 형식의 효자도에는 주로 중국의 효행고사가 그려진다. 행실도류 효자도는 그림을 이용하여 글을 모르는 백성들에게도 실천적인 효 사상을 전달을 위해 제작된 것이므로, 이야기의 재현을 위해 사용된 회화적 방법들을 주시해야 한다. 행실도류 효자도는 한 화면에 다수의 에피소드가 그려지는데, 각각의 에피소드들은 대표적인 한 사건(event)을 표현한 한 장면(scene)으로 제시된다. 사건들은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전형적인 방식으로 표현되며, 사건의 내용을 집약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상징물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장면간의 배치는 일반적으로 사건이 발생한 시간적 순서에 의해 결정되지만, 동일한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들일 경우 시간적 순서를 무시하고 동일한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장면의 구획과 배치는 시대가 내려갈수록 모호해지며 단순해지고 수평적으로 진행된다. 초기의 효자도에는 이야기의 상세한 전달을 위해 한 화면에 많은 사건들이 그려졌으나 후대로 내려갈수록 점점 효행고사의 내용도 짧아지고 화면에 그려지는 사건의 수도 줄어들게 되면서, 또한 장면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면서 점차 산수 배경이 증가하게 된다. 산수 표현은 시대에 따른 화풍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인물 표현도 점점 사실적이고 정교해지며, 한국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일반 회화 형식으로 제작된 효자도 병풍의 수요자는 효행고사를 잘 알고 있는 왕실과 사대부 계층이었다. 그러므로 효자도 병풍에는 설명적인 행실도류 효자도와는 달리 한 화면에 한 사건만을 표현하여 환기적이다. 조선시대 초기부터 제작된 효자도 병풍은 왕실에서는 주로 왕세자와 관련되어 교육을 위해 시용되고 효성을 드러내는 징표로 역할을 하였고, 또한 왕이 효자에게 내리는 하사품으로서 사용되었다. 사대부계층에서는 후손 교육을 위해 제작되었다. 병풍마다 선택되었던 효행 고사들은 모두 다르지만 시대에 따라 선호하는 고사들의 차이가 분명히 나타난다. 효제문자도의 ‘효’ 자 도상은 효행고사 재현의 상징화와 장식화 단계에 해당한다. 상징물들로 표현되는 ‘효’ 자 도상을 통해 조선시대 가장 선호되었던 효행고시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조선시대 효자도의 다양한 양상의 한 국면을 보여 주는데, 설명적인 방식에서 상징적인 방식으로 진행되는 마지막 단계를 고찰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조선시대 효자도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 회화의 한 화제의 변회장을 고찰할 수 있었다. 제작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설명적인 특성이 강해지기도 하고 수요층의 취향에 따라 환기적인 양상도 보이기도 하고, 점차 대중화되어 가면서 상징적이고 장식적인 성향이 강화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회화자료가 적은 조선 초ㆍ중기의 인물화 연구에서 중요한 화목으로 자리매김되길 바란다. Hyojado (Xiaozi-tu, 孝子圖), which illustrates stories of filial piety, is a figure painting with didactic purpose. It aims to inculcate Hyo (孝), filial piety, not only as a virtue for individuals but also as a dominant ideology of Joseon dynasty along with loyalty. In other words, Hyojado of Joseon dynasty was made to serve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onfucian ethics. Hyojado was produced in two formats, in print and painting. Hyojado in print includes three types: Model Behaviors in Three Bonds (三綱行實圖, Samganghaengsildo), Model Behaviors on Five Basic Human Relations (五倫行實圖, Oryunhaengsildo) and family album of stories of filial acts (家傳 孝行錄): Hyojado in painting includes the Hyojado screen and an icon Hyo from illustrated Chinese characters of genre painting. Hyojado of Joseon dynasty is an illustration of Chinese and Korean stories of filial piety, mainly stories of a filial son's adventure to rescue his parents in trouble and to surmount obstacles. A single story of filial acts is composed of several episodes and one episode of diverse events. According to when filial acts are performed such as whether at the time of everyday life, accidents, troubles, or after the death of the parents, stories of filial acts can be classified: most of the stories deal with the funeral and memorial ritual after the death of the parents. The contents of stories are varied depending on the place and the time of origin. While the earlier, Chinese stories are full of miraculous stories, the later, Korean ones are replete with realistic and practicable stories. The stories in Hyojado in print change according to their social background and the interests of a ruling group, but Hyojado in painting portrays mostly Chinese stories of filial piety. Since Hyojado in print was produced with a view to inculcate filial piety, to illiterate peopl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ictorial methods of representing stories. Hyojado in print is composed of several episodes in one picture: each episode is portrayed with one typical scene from an event. The portrayal of events follows stereotyped conventions to make people understand easily. As a result, symbolic devices which deliver messages concisely become crucial. The scenes are generally arranged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of events, but in the case of events happening in the same place, the scenes are arranged regardless of the time order. The composition of such pictures becomes more ambiguous, simplified and horizontal. The earlier Hyojado contained diverse events in one painting in order to deliver stories in details: the later ones contain shorter stories with fewer events in one painting with the concentration on one event and more landscapes. Since the portrayal of landscape represents contemporary painting styles, the depiction of figures becomes more realistic, meticulous and Korean in people's physical features and attires. The patrons of Hyojado Screen were members of the royal and noble families. Therefore, the Xiaozi-tu Screen, unlike illustrative Hyojado in print, portrays a single event in one painting, delivering messages suggestively. Hyojado Screens, produced from the early Joseon were used to educate the royal prince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to be bestowed upon filial sons as a royal gift. The members of noble families commissioned screens for the education of their descendents. The stories of filial acts represented in the screens, although diverse, reveal some patterns of preference of each period. The icon of illustrated Chinese characters, Hyo, lies at a transit from symbolic paintings to decorative paintings. Through the Chinese letter, Hyo, used as icons, it can be surmised what was the most common story of filial piet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period, one aspect of the diverse Hyojado, indicates a transit from illustrative approach to symbolic approach. This research on Hyojado aims to speculate the development 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