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교육 형성의 동아시아적 특질에 관한 시론적 고찰: 일본근대교육의 특질을 중심으로

        오성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1

        Main theme of this paper is the East-Asian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modern education. In order to approach to those characteristics, critical reviewing of major researches on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educational system and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it is carried in this paper. In modern era, Japanese government has started the major projects of making modern educational system under the strategy of ‘catching-up’of Western societies. As the ‘intended consequences’ of that projects, Japanese model of modern education had possessed its own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modern education. Several aspects such as open and egalitarian aspects of ladder-like school system and the neut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curriculum independent from dominant class culture, enormous effects of educational credentials on the attainment of social status bring peculiar characteristics to the formation of Japanese meritocracy and appearances of so called ‘academically qualified elites’in Japan. On the one hand, Japanese modern education developed its own educational forms such as ‘community-oriented class system’or ‘generalist-oriented teacher’s culture’. In the modern era of East Asian worlds, the Japanese model of modern education began to put influences on the modern educational reformations of societies such as Korea or China. Under the colonial dominations of Japanese empire on the Taiwan or Korea, the Japanese model of modern education had been transplanted into the colonized societies unilaterally. And the post-colonial legacy of that Japanese model has been maintained at least partially in the educational worlds of Taiwan or Korea even after the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s. As the results of those complicated historical processes occurred during the modern era, the hypothesis that the East-Asian characteristics of modern education might have been established can be probable and from now on, that hypothesis should be verified through positive and historical researches 일본, 대만, 한국 등 동아시아의 근대교육에는 서구의 그것과는 다른 역사사회적 특질이 존재한다는 전제 위에서, 그것을 밝히기 위해 일본 근대교육의 특질을 다룬 연구들을 리뷰하고 그로부터 동아시아 근대교육의 특질에 관한 시사를 도출한다. 서구에서의 근대교육체제, 즉 국가교육체제는 산업혁명 이후 제 사회계급ㆍ계층 간의 지위경쟁 과정이 빚어낸 ‘의도되지 않은 결과’로 창출된 측면이 강한 반면, 일본의 그것은 후발 자본주의 국가의 ‘따라잡기’ 근대화 전략의 일환으로 국가에 의해 위로부터 구상 되고 합목적적으로 만들어진 ‘의도된 결과’의 측면이 강했다. 국가는 근대적인 학교교육을 국민ㆍ인력 만들기 및 엘리트 양성의 장치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그에의 접근 기회를 범계층적으로 개방했 다. 또한 근대 일본의 교육과정은 서구의 그것과는 달리 특정한 사회계급ㆍ계층문화의 관련성이 희박했고 그런 만큼 그것의 내면화 과정에서 계층적 장벽은 존재하지 않았다. 학교교육에의 접근 기회가 수평적으로 개방되고 동시에 객관적인 학력(學力) 경쟁을 통해 취득되는 학력(學歷)에 따라 사회적 지위와 보상이 수직적으로 현격히 달라지는 체제가 일본형 메리토크라시의 특질이다. 일본형 메리토크라 시 및 일본형 학급제나 교육형식 등, 일본적 근대교육 모델은 20세기 전반에 일본제국의 식민지 지배 상황에서 동아시아의 다른 사회로 파급되어 가면서 동아시아 근대교육의 특질을 형성시키게 되었다

      • KCI등재

        탈현대교육으로서의 유교교육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14 사회사상과 문화 Vol.30 No.-

        Today's sociologist should concentrate the whole power on exteriorization of the post-modern civilization at the time of the grand transition of civilization. This paper is about how the Confucian education can be utilized to exteriorize the post-modern education. The Confucian education includes many pre-modern elements, a little modern elements, and plentiful post-modern elements. The reason why the Confucian education includes plentiful post-modern elements is that the Confucian thought is based on the post-modern view of human being. The Confucian thought is based on the view of human being who has 'the real I' and who has diverse characteristics. The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is post-modern. Therefore, the Confucian education based on the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has much implication in exteriorization of the post-modern education. In this paper, first,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which can be utilized to exteriorize the post-modern view of human being which can be become of the post-modern education. Second, we will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Confucian education for the exteriorization of the post-modern education. Main point is how the Confucian education which is to cultivate saint and the Confucian education which is to cultivate the man who can take the golden mean can be utilized as the post-modern education. 문명 대전환기에 해당하는 현 시점에서 사회학자는 탈현대문명의 구 상화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본 논문은 탈현대교육을 구상화하는데 있 어서 과거 유교교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유교교 육에는 물론 전현대적인 요소가 많고, 현대적인 요소 역시 일부 포함되 어 있지만, 탈현대적인 요소도 풍부하게 내장되어 있다. 유교교육에 탈 현대적인 요소가 풍부한 이유는 유교가 갖고 있는 탈현대적인 인간관에 기인한다. 유교는 ‘참 나[仁]’를 내재하고 있는 존재로서의 인간관과 ‘참 나’가 헤게모니를 행사하는 가운데 인간의 욕망, 감정, 생각, 본능, 육체 등을 존중하는 전체적인 존재로서의 인간관을 갖고 있다. 이런 유교 인간관은 탈현대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에, 유교 인간관에 바탕을 둔 교육도 탈현 대교육의 구상화를 위해 풍부한 시사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탈현대교육의 기반이 되는 탈현대 인간관의 구 상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유교 인간관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둘 째, 탈현대교육의 구상화를 위해 의미 있는 유교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자 한다. 주된 내용은 유교의 성인聖人교육과 중용中庸교육이 어떻게 탈 현대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 KCI등재

        기획논문 : 탈현대적 가정교육을 위한 제언 -『주역』을 바탕으로-

        이현지 ( Hyun Ji Lee ) 한국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 Vol.41 No.-

        As social structures has changed, so have the family roles. In the pre-modern society, family took part of socializing and educating children through home training. But, in modern society, family has transferred its economic, educational, religious, and political functions to the respective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has lost these functions. Nevertheles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family is home education and the disciplining role of family can not be emphasized too much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s such as modern society. The present state of home educ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modern home education has lost its directions about what to pursue and what to teach. Second, the objective of modern home education is focused on aiding children to achieve the modern style success. Third, the main concern of modern home education is to help children to overcome and solve their problems. The above-mentioned features of modern home education only serve to expand the ego of children but the ultimate happiness can not be obtained through the expansion of ego. Given this, this is the time to face the problems of modern home education and develop some arguments of new home education for post-modern society. Modern society is destined to give its way to post-modern society, where the purpose and content of general education will be changed and thus the purpose and quality of home education will be changed, too. In order to map out post-modern home education, this paper attempts to set up the purpose of post-modern home education, to plan its content, and to propose the methods of post-modern home education. The proposal for post-modern home education will be based on I-Ching, which can provide practical and concrete answers for the questions made in modern society because it includes plenty of creative wisdoms.

      • KCI등재

        죽음교육의 교육철학적 의미

        金泰希 韓國宗敎敎育學會 2002 宗敎敎育學硏究 Vol.15 No.-

        일반적으로 죽음교육의 논의는 인간의 생물학적 죽음 차원에만 한정짓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죽음교육을 대안이 없는 추락체험을 동반하는 거대한 ‘죽음이미지 증후군’으로서 인식하며, 이런 통찰이 기초가 될 때만이 죽음교육은 홀리스틱한 교육을 살릴 수 있는 지평임을 논한 시론이다. 다시 말하여, 이 글은 근대의 시각에서 매몰된 죽음교육의 지평을 새롭게 드러내고, 근대교육이 가정하는 전제로부터 탈주의 지평으로서 죽음교육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죽음의 지평은 어떠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성찰하는가라는 교육의 해석학적 지평이다. 이러한 ‘죽음의 해석학’은 근대교육을 근대 안에서 바라보는 동시에 근대교육 밖으로 탈주하게 하는 유일한 원점이다. 따라서 죽음교육은 근대문명의 ‘안티테제’로서 교육현실에 대한 사유의 혁명적 전환을 도모하는 관점에 서 있다. 이 탈주의 시공간이야말로 근대에서 금기로 경계지은 성찰의 공감지대이며, 제로섬의 무한경쟁으로부터 인류의 연대로 향할 수 있는 가능성의 지평이다. 이 글의 목적은 근대교육의 구도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적 한계성 즉 금기의 공간으로 가리워지고 사장시키는 죽음교육의 세계를 교육의 본질적인 관점으로 현시하는데 있다. 근대에서 죽음은 패배와 소멸의 이미지이며, 이 구도의 이탈 자체는 우리에게 엄청난 공포와 불안을 야기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교육의 지평은 금기의 영역으로 벗어날 수 없도록 경계지우며, 아이들을 한 방향으로 몰아가는 것이다. 그러나 죽음은 인류역사상 죽음을 넘어서는 세계를 통해 성스러움을 도약하는 고뇌와 성찰의 공간이다. 근대교육의 구도에서 죽음교육의 현시는 우리로 하여금 근원적으로 중요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새로운 초점을 제시할 수 있다. 죽음교육은 공교육을 새로이 자리매김하는 의미로서 작위적 문명으로부터 인간의 원형성을 찾아나아가는 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복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죽음에 관련한 논의의 중요성은 교육이 소수의 성공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오히려 교육은 죽음의 위기에서 수많은 도약을 발견하는 관점에 서 있다. 죽음의 세계는 근대에서 금기된 시공간이지만, 그 세계는 수많은 역사와 소외된 아이들의 세계를 살려나아가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인 것이다. In general, death education is discussed only to the extent of the biological death of human beings. However, this study affirms the death education as a huge 'death image syndrome', an unavoidable experience of falling. This insight becoming the base, the death education will be a crucial factor for the holistic education. This paper proposed a new era of death education which has been forgotten from the modern viewpoint. In addition, it examined the meaning of 'education of death', which plays a role of a new starting out of the modern education. The scope of death is defined by how it is viewed and understood. This 'interpretation of death' makes the modern education understood within the scope of the modern time,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escape from the modern education itself. Accordingly, education on death is an 'antithesis‘ of the modern civilization and innovates ideas on educational reality. This transformative time and space is the shared area of contemplation which has been a forbidden boundary in the modern time. It is a new area of possibility towards the human history of infinite competition. Death Education has been forbidden and buried as a fundamental limit of the modern education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on death from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education. Death is an image of failure and disappearance in the modern time, and the deviation of this structure causes enormous horror and anxiety. In this regard, the scope of the modern education cannot include the forbidden area, driving children only one direction. However, death is a boundary of anguish and contemplation from which a human being overcomes the reality of death and leaps into the sacred world. The realization of death education in the structure of modern education will provide us with an important focus where we can explore a fundamentally important meaning of education. Death Education settles a new area of public education, and restores the original meaning of education, exploring the original humanity out of the artificial civilization.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iscussion on death is that education is not conducted just for a few success-makers. Rather, education is to find out numerous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death. The world of death is a forbidden area in the modern time, but it is a new starting area of education that can give opportunities of life for numerous children isolated from the human history.

      • KCI등재

        통일체적 세계관을 통한 현대사회의 교육소외 극복

        안신국(Ahn, Shin-Guk) 한국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anquish the alienation of education through the Unitary world view. The perspective on the society is an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sociological reality. The view of society in modern world can be divided into an individual - oriented one and a whole - oriented one. These two views of society are different in that one emphasizes the individual and other the whole but they stand on the same premise in that both views think that they individual and society are basically separate categories. These don’t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the alienation of education. Thus the new world needs new world view. The Unitary world view can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education. Actually, the modern education is based on the modern view of human being. The modern civilization has pursued the satisfaction of human beings desire and just tries to achieve it. It brought about many serious problems of human life in various fields of modern society as well as alienation of education. Modern education is devoted to make separated ego. It doesn’t have human being achieve the ‘self realization’. Because modern education has focus on increasing of productivity and objec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unitary education that encourage s self-realization and self-study can replace the modern education that puts focus on knowledge-delivery and instruction. Education should develop the self-realization and help one to change oneself. Thus unitary education can make to one recover real-self. In Unitary world view, the first way to achieve education is to build ability to love oneself(suhang). The second way is to make education to build the ability to love another(Su-hang). The third way to achieve education is to enjoy loving(Nak-do). The self-realization as a Su-hang and Nak-do of education is the ideal of education. Unitary education is to overcome the alienation of modern education and an attempt to have the spirit of education distorted by the modern education.

      • KCI등재

        잡지 『학생계』 연구- 1920년대 초반 중등학교 학생들의 ‘교양주의’와 문학적 욕망의 본질

        박지영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0 No.-

        본고는 현재까지 텍스트의 실체를 확인할 수 없었던 잡지 『학생계』 자료를 발굴하여 고찰한 최초의 논문이다. 잡지 『학생계』는 한성도서주식회사가 1920년 7월부터 1922년 11월 1일까지 발간한 총 18호의 종합교양지이다. 이 매체는 동경유학생 출신의 엘리트들이 민족자본의 힘을 빌어 조선의 학생들을 계몽하기 위해 발간한 잡지이다. 그들이 이 매체를 통해 계몽하고자 한 내용은 ‘근대 지식을 섭취하고 인격을 수양하는 것’이었다. 이는 근대적 교육 제도를 통해서 양성된 엘리트 집단의 주요한 이론적 기반으로서의 ‘교양주의’였다. 이 ‘교양주의’는 당대 학생들이 1910년대 청년 담론이 주장하는 근대적 국민이 되는 것에서 한 걸음 벗어나 자아 실현의 방도를 모색하는 근대적 개인이 될 수 있게 하였다. 이들은 독서를 통해 근대적 지식을 섭취하고 인격을 수양함으로써 사회 지도자 계층이 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는 것이 학생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이는 민족해방의 전선에 나서야 하는 강박에서 벗어나게 하는 면죄부 구실을 하기도 했다. 더구나 학력주의와 결합되면서 이 ‘교양주의’는 한국 근대 지식인의 특권의식, 선민 의식을 구성하는 데 이바지하게 된다. 거기에 ‘문학’은 은밀하게 많은 부분 공모한 것이다. 『학생계』 현상문예란은 1920년대 초반 학생들의 이러한 문학적 열정을 받아안았다. 상금을 걸고 시행된 이 제도는 당선된 학생들에게 저명한 선배 문인들에게 발탁된 유망한 문학청년이라는 명예와 동시에 금전적인 이익도 함께 안겨 주었다. 이러한 제도적 특성은 문학을 고고한 자리에 얹어놓는 동시에 이를 통해 금전적 이익 등, 학생들의 세속적 출세에 대한 욕망도 함께 충족시켜 주었을 것이다. 『학생계』의 현상문예란은 이러한 토대에서 ‘근대적 문인’이 어떻게 구성되어 가는가를 보여주었다. 『학생계』 현상문예란은 김억, 황석우, 오천석, 노자영 등 유학파 지식인들이 자신들이 조선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문학의 이념을 전수하는 場이었다. 그래서 이 공간에서는 유학 중 얻어온 소위 『동인지』의 문학적 의식이 교과서적으로 향유되면서 재생산되었다. 그러면서 이 제도 안에서 ‘문학’은 학생이 섭취해야 할 근대적 지식의 일환, 혹은 인격 수양의 도구 중 단연 최고의 것으로 자리 잡았다. 이 안에서 문학청년들은 당대 최고의 인텔리인 유학파 선생들의 가르침을 전수 받았는데, 이는 물론 그들이 근대적 교육제도의 수혜자인 ‘학생’이었기에 가능한 특권이었다. 이로써 1920년대 초반 문학은 근대교육제도 안에 포섭되었다. 근대교육제도의 수혜자인 ‘학생’이 문학의 정당한 주체로 호명되는 순간, ‘문학’은 근대교육을 받을 수 있는 일부 부르조아 계급, 지식 계층의 특화된 전유물로 자리잡으면서 고고한 후광을 얻는다. 자연스럽게 문인이 되는 것도 곧 이 계급, 계층으로 상향 조정되는 것을 의미했다. 결국 1920년대 초반 ‘문학 장의 성역화’는 『동인지』 문학만이 지향하는 바가 아니었던 것이다. 『학생계』의 문학란이 암시하는 것은, 이후 ‘문학의 대중화’란 구호조차도 실상은 근대 교육 제도 안에서만 수용한 가능한, 매우 계급적인 언사일 수밖에 없다는 점이었다. This is the first paper to study on a magazine Hacksaengkye whose text has recently been found. Hacksaengkye, a comprehensive education magazine, has all together eighteen volumes, published from July 1920 to November 1922 by Hansung Publishing Company. The publisher of the magazine was a group of elites who had studied in Tokyo, Japan, and whose object was to enlighten students in Chosun. “Learn modern knowledge and cultivate character” was the specified aim to be achiev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magazine and this was what is called “education-oriented principle,” the theoretical foundation established by those elites who were benefited from modern education system. This education-oriented principle enabled students to pursue self-realization and modern individualism, taking a different direction from realizing modern citizen that was the major discourse among the youth in the 1910s. Those elites believed that it was students’ obligation to gain modern knowledge and cultivate character through avid reading in order to establish leadership. This also served as a good excuse for students from the thought that they should take part as activists for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Moreover, combining with elitism, this education-oriented principle led modern intellectuals in Korea to form the sense of privilege and the sense of being a chosen people. Literature took its part in this trend significantly but secretly. The introduction of a prize essay system in Hacksaengkye was the answer for students’ literary desire in the early 1920s. This system brought the prize-winner students not only a monetary benefit but also fame that they were promising writers chosen by prominent senior writers. Through this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literature was able to be highly regarded and, at the same time, students could fulfil their pursuit of elevating the social status. The prize essay system in Hacksaengkye well showed the process of the foundation of the world of “modern writers” at that time. Kim, Uk, Hwang, Sukwoo, Oh, Chunsuk and No, Jayoung were those who educated abroad and utilized the system to spread their literary ideology in Chosun. Hence, the prize essay column functioned as the place to enjoy and reproduce the literary ideas of Dongin, which those writers were educated and influenced while studying abroad. Under the prize essay system, “literature” was the most desired medium for students to learn modern knowledge and cultivate character. Future writers were taught by the most prominent and high educated professional writers who studied abroad. Of course, it was only possible because they were “students,” the beneficiary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Thus, literature of the early 1920s was now exclusively appropriated within the modern education system. Once students, the beneficiary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became the main body of the literary society, literature was exclusively learned and enjoyed within the circle of intellectuals and bourgeois who afforded to receive modern education. This enabled literature to strengthen its position. Hence, Becoming a writer meant elevating his/her social statue to that of intellectuals and bourgeois. Therefore, “sanctuarization of the literary world” in the early 1920s was not only pursued by Dongin. What the literary columns in Hacksaengkye reflected was the fact that even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a slogan in the 1920s, could, in fact, be realized within the modern education system, and, consequently, was very much the class expression.

      • KCI등재

        고전의 재발굴 :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와 일제시기 한국교육사 연구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5 No.-

        본 연구에서는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조선의 근대교육)의 한국교육사 연구에서의 연구사적 의미 및 학술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H. H. 언더우드는 미국 북장로교회 파견의 선교사로 1934년부터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고, 미군정기에는 고문관으로 교육정책을 조언한 한국에서 태어난 선교사 2세이다. 1926년 뉴욕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고 책으로 출간한 것이 『Modern Education in Korea』이다.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조선의 근대적 학교교육체제 도입 과정에서 선교사들이 수행한 교육활동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부각시킨 연구서로, 근대교육학적인 방법과 이론으로 연구된 최초의 우리나라 교육사 연구서로 평가받는 책이다. 하지만 선교사관에 입각하였고, 각종 자료를 사용하여 단순히 교육현황을 정리 기술한 책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하지만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선교사의 입장에서 또 1920년대의 조선 교육 연구 경향에 비추어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출간 당시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조선교육의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그동안의 선교교육에 대하여 내밀하고 자세하게 정리하였고, 또 조선 교육 연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고 평가받았다. 1920년대는 조선 교육에 대한 연구 관심이 제기되는 시기로서,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을 대변하는 식민지 관료들의 역사적 연구가 나오고 있었고, 연구라기보다는 논설문에 가까운 조선인들의 저서가 출간되는 형편이었다. H. H. 언더우드는 『Modern Education in Korea』에서 조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을 제공하고자 "관찰자"의 입장에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을 살펴보고, "능동적인 참여자"의 입장에서 조선에서의 선교교육을 정리하였다. 또 조선 정부와 조선인의 근대 교육 도입과 운영 노력도 다루었다. 결론에서는 "교육에서의 멋진 실험을 위한 실험실"로서 조선총독부, 선교사, 조선인 모두에게 다양한 기회가 있음을 제안했다. H. H. 언더우드의 연구는 선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할지라도 한국 근대교육체제 형성에서 기독교계 교육의 역할에 대한 탁월한 사실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academic significance of H. H. Underwood``s book Modern Education in Korea. Underwood was a missionary with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America and served as the principal of Chosen Christian College from 1934 and as an educational advisor in the USAMGIK(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He obtained a Ph.D. from New York University in 1926 and published a doctoral thesis titled Modern Education in Korea. Modern Education in Korea is a study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aries and is considered the first research on Korea``s education history using modern educational methods and theories. However, it is based on a missionary``s view of history and has been criticized as merely arranging the state of education with several data. However, Modern Education in Korea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and research trends of the 1920s.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it was seen as a study of missionary education in Joseon by an active participant that broke ground in a new field- Korean Studies. In the 1920s, there were already some studie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were done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academism by Japanese researchers in normal schools and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by Koreans who had studied education both in Korea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were devo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educational theories and were less interested in the study of Korean education per se. H. H. Underwood endeavore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spectator and active participant. He looked at the policies and educational works of the Japanese government, surveyed missionary educational activities in Korea, and summarized Korea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He also proposed many opportunities for the Japanese government, Korean private education, and missionary education, suggesting that Korea could be a laboratory to experiment with education for all. Although his research was aimed at mission education, Modern Education in Korea was an excellent piece of research on missionary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ir role , and it opened the way for historical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육노마디즘을 향한 근대교육의 파르마콘 현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소희(Kim, So-H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2

        ‘교육의 새로운 해석학’은 근대교육을 근대 안에서 바라보는 동시에 근대 밖으로 성찰하도록 하는 새로운 지평이다. ‘근대교육의 자기배반성’은 전세계적으로 확산시킨 혁명적 대중교육과 평등이 비록 의도하지 않았지만, 교육카스트로서 교육의 등급화와 낙인의 과정을 통해 스스로 자기모순에 빠지는 것이다. 화려한 성공을 부추기며 실패의 공포와 불안으로 몰아가는 금기의 기제는 성찰성을 상실한 채 근시안적 시야에 갇혀 교육의 세 주체인 학습자-학부모-교사의 ‘연대적 신뢰관계’를 파괴하고, 치열한 제로섬의 경쟁에 매달리는 경쟁논리에 쫒기며 적응하게 한다. 그 결과, 근대교육의 빠른 흐름에 적응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평균적 인간’의 재생산에 그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모순의 근본원인은 근대교육이 그 기저에서 ‘국가와 시장’의 두 축이 ‘파르마콘’을 가동하는 ‘교육시스템’과 공포와 불안으로 몰고가는 ‘금기’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호폐쇄성과 자기증식성’의 구조에 함몰되어있는데 있다. 무엇보다도 금기로부터 성찰성의 마비를 회복하는 세계는 바로 교육 세 주체간의 협력적-지지적-시너지적 소통세계이다. 교육노마디즘의 세계는 근대교육을 넘어서는 탈주의 관점에서 ‘교육의 새로운 재구조화’를 논의해야 할 긴박한 시점에 서 있다. 이 연구는 한국교육의 소생을 위해 왜, 어떠한 엑소도스가 필요한가에 대한 교육노마디즘의 새로운 재구조화의 지평을 환기하고자 한다. The new way of interpreting education' is a totally different approach not only to look at the modern education inside of modern ages but also to introspect modern education beyond modern times. 'The self-contradiction of modern education' means that modern education got some fruitful results that came from revolutionary public education and equality but ended up contradicting itself by classifying education according to what kind of social classes students belong to and stigmatizing process. The mechanism of taboo that drives students crazy by instigating students to have unfulfilled dreams lost the introspection and was confined in shortsightedness while it destroys the jointly trusting relations among learners, parents, and teachers and adapts itself to zero sum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 In results, to be adapted to rapid changes of modern education leads students to become just average students. The basic reason for the problem is that the 'modern education system', 'nation and market', which are the two axes for operating pharmakon at the base of the modern education system, and sociocultural 'taboos', which blocks you from deviating from modernity, are combined organically in many aspects and assert power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modern toxin. The current selection systems are based on the taboo, which weeds out unqualified ones and makes students worried and insecure instead of focusing on the potential of the students. When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 on a failure is changed by a view of pedagogy, modern education can be transformed to harmonic education by being freed from raw fear and anxiety for a failure as well as modernity. The recent supranational expansion of education keenly requires a new reorganization of education and has different phenomena from the modern education, which has required donation for mutual benefits among the educational subjects. It is the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 three educational subjects with cooperation, support, and synergy that can recover inspection from taboos. In the world of educational nomadism, a new reorganization of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to be discussed in a view of escape beyond the modern educa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discovering a new area of educational nomadism on what exodus is needed to revive the education of Korea.

      • KCI등재

        리오타르의 숭고의 미학과 통합예술교육

        이철우 한국현상학회 201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Jean-Francois Lyotard's Aesthetics of the Sublime to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concept of sublime opens up a new area that cannot be reached by reason and thinking, giving some kind of light to today's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confronts many conflicts and problems under the system of modern education centered on knowledge and reason. Therefore, first of all,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ublime, the archeological method is applied to examine the gap between the modern art and post-modern sublime. Then, by studying the concept of post-modern sublime, I would like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sublime and education in the advanced industrial society, and further explor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integrated art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sublime. Lyotard summons sublime as a concept to realize an aesthetic society based on heterogeneity and diversity. The interest in sublime is deriv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re is something that cannot be solved by cognitive judgment, and it is the sublime that reveals and suggests, not suppresses and conceals it, and that opens up areas beyond the limits of reason and thought. Therefore, the sublime is presented as a condition of possibility of other education and alternative to modern education where the value of diversity and quality of aptitude could not be respected by advocating subject-centered and reason-oriented education. If we apply aesthetics of the sublime to education,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the imagination of learners. Since the concept of sublime originates from the gap between reason and imagination, the greater the gap between the two, the greater the feeling of sublime. Post-modern sublime-based education allows learners to enter into a mixed emotion of pleasure and displeasure. In addition to stimulating the harmonization of reason and emotion and the enthusiasm to pour out passion, the awakening of attitude values will strengthen the ability to accept life in the face of negative situations such as tragedy and pain. If modernism-based education has overlooked the process of respecting and elevating the feelings of sublime, and as a result have neglected the value of pure imagination manifested through the feelings of sublime, an educational theory of postmodern sublime manifests what cannot be manifested. In other words, the post-modern position recognizes that there is an idea that cannot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sublime education view, and attempts to incorporate the imagination that brings up the idea as an educational content. In this sense, the study of the category of sublime that Lyotard is activating can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s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Therefore, to reveal the value of things concealed by knowledge and beauty, and to open the possibility of new understanding by shifting from thinking through reason to thinking through imagination, we will propose an integrated art education based on sublime to realize the pedagogy of others. 본 연구는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의 숭고의 미학의 통합예술교육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숭고의 개념은 이성과 사고로는 도달할 수 없는 새로운 영역을 개방해준다는 점에서, 지식과 이성 중심의 근대적 교육의 체계 하에 적지 않은 갈등과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의 교육환경에 모종의 빛을 던져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숭고 개념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모던적 미의 예술과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예술을 대결시키면서, 양자의 간극을 규명하기 위해 고고학적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어서 포스트모던적 숭고의 개념을 천착함으로써 선진 산업사회에서 숭고와 교육 사이의 연관성을 밝혀내고, 나아가서 숭고개념을 통한 통합예술교육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숭고에 대한 관심은 인지적 판단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과 이를 억압하고 은폐할 것이 아니라 드러내고 암시하게 해 주고, 이성과 사고의 한계 밖의 영역을 개방해주는 것이 바로 숭고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숭고는 주체중심, 이성중심의 교육관을 표방함으로써 다양성의 가치, 소질과 적성의 가치들이 존중받을 수 없었던 모던교육의 대안이자 타자교육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제시된다. ‘재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미적 감수성’, ‘의식에 알려지지 않으며, 의식에 의해 구성될 수도 없는 것’으로서의 숭고의 미학을 교육에 적용한다면, 학습자의 상상력 고양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숭고의 개념이 이성과 상상력 사이의 간극에서 비롯되는 바, 양자 사이의 간극이 커질수록 숭고의 감정이 더욱 커진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적 숭고에 기반한 교육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쾌와 불쾌의 혼합 감정 속에서 이성과 감성의 조화와 더불어 열정을 뿜어내도록 자극할 뿐만 아니라 태도의 가치를 각성시킴으로써 비극과 고통 등의 부정적 상황 속에서도 삶을 의연하게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모더니즘에 근거한 교육이 숭고의 감정을 존중하고 고양하는 과정을 간과하였고, 그 결과로 숭고의 감정을 통하여 발현되는 순수한 상상력의 가치를 무시해 왔다면, 포스트모던적 숭고교육론은 현시할 수 없는 것을 현시하고 암시하기 위해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의 배양을 필요로 한다. 즉 포스트모던적 입장은 숭고의 교육관에 따라 표현될 수 없는 사고가 존재함을 인정하고, 그 사고를 기르는 상상력의 고양을 교육내용으로 편입하고자 시도한다. 상상력의 표현으로 숭고의 교육을 강화할 때 기존 교육을 지배하던 메타권위는 해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숭고개념이 교육이론과 실제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 가능성과 그 방법이 제시되며, 숭고의 미학에 기반한 통합예술교육은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라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리오타르가 활성화시키고 있는 숭고의 범주에 대한 연구는 변화된 시대에 부합하는 교육 방법 개발의 철학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지식과 아름다움에 의해 은폐되었던 것들의 가치를 드러내고 이성을 통한 사고로부터 상상력을 통한 사고로의 전환에 의해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열고, 타자의 교육학을 실현하기 위해 숭고에 ...

      • KCI등재

        한국, 일본, 중국 근대미술교육의 변화양상 연구

        이성도,김혜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3 No.-

        Modern art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was influenced by the theories of Western art education whose advocators were Europeaneducator such as Jean Jacques Rousseau, Johann Heinrich Pestalozzi, Friedrich Wilhelm August Frobel, Franz Cizek and American educators, Arthur Wesley Dow and John Dewey. In the beginning, several Japanese who studied in America and Europe seized the trends and adapted the theories of Western art education. Their transplanted theories in their homeland were again imported and adapted to Korean modern art education to no small extent. The transplantation and fixation of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along with inflow and development of modern art education in Japan and China greatly influenced to organize and buil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of Korean modern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modern art education as follows. Firstly, we try to find out how Western modern art education influenced art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Secondly, we briefly investigate Japanese and Chinese modern art education which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Korean art education. We try to re-establish our own desirable art education by inquiring into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art education which was done just by importing foreign education theories. 한국, 중국, 일본의 근대미술교육은 당시 서구 교육사상의 흐름인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치젝 등의 미술교육의 이론과 아더 웨슬리 도우, 존 듀이 등의 미국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개되었다. 1900년 전후 유럽과 미국에서 미술을 전공한 일본유학생들이 당시 서구미술교육의 흐름과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귀국 후 이를 이식하고 정착시켰다. 그 후 일본에 유학한 한국의 유학생은 우리나라 근대미술교육의 형성에 기여를 하였다. 중국 또한 유럽과 일본에 유학한 미술가나 교육자들은 서구 근대미술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이끌었다. 서구근대미술교육의 이식과 정착 그리고 일본과 중국에서 근대 미술교육의 유입과 전개 등은 한국근대미술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습방법등의 체계를 구조화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서구미술교육이 한국, 중국, 일본 등 미술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전개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직·간접으로 영향이 컸던 일본근대미술교육과 중국근대미술교육을 고찰하면서 한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외국의 교육이론이 도입되면서 근대 한국미술교육의 형성과정의 검토를 통하여 바람직한 우리 미술교육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