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흥부전』의 전래동화화 작업에 대한 고찰

        권혁래 ( Hyeok Rae Kw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adaptation process of Heungbu-jeon conducted within the category of ``modern inheritance of classic novels.`` Two issues are addressed in the paper. Mainly, the review traces the process of how Heungbu-jeon was changed into a fairy tale. In addition, the author compares aspects of transformation in its subject and meaning are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lbu and Heungbu(1) included in the Chosun Fairy Tales(1924) was shortened and modified from the original printed version, Heungbu-jeon composed of 25 chapters. Moreover, it has succeeded to the Heungbu-jeon written in Japanese since 1910, and consolidated its base as the main axis of passing fairy tales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is characterized that in the rewritten version the original was condensed and described in the center of the incident of splitting a gourd into two. When characters were configured, the greedy, cruel and negative personality of Nolbu and the ``congenial and kind`` personality of Heungbu were newly brought in relief. Nolbu and Heungbu(2) included in the Joseon Jeollae Donghwajip(1924)is an idiomatic work, showing characteristics of a folk tale. The writer, Park Yeong-man only highlighted the swallow and a gourd while he omitted all the other incidents. Nolbu and Heungbu`s destinies were determined by their attitude to the swallow. Here, virtue and vice between Nolbu and Heungbu were distinguished; with the incident one became happy but the other unhappy. Nolbu and Heungbu(2) never gave Nolbu an opportunity to become a new man and only focused on punishing him. In addition, the story concluded with Nolbu`s death, which is an interesting structure. This is the uniqueness of Nolbu and Heungbu(2).

      • KCI등재

        <흥부전>의 인물 형상 - 경판본과 <연의각>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경남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This study has compared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targeting “Heungbujeon”, text published in Seoul among the different edition text of “Heungbujeon”, and “Yeonuigak” of Lee Haejo. When comparing character figures of Heungbu and Nolbu described in “Heungbujeon” and “Yeonuigak”, good and evil deepens in “Yeonuigak”. The good of Heungbu has deeply involved in scenes where performs ancestral rites, makes excuses to his wife after hit by Nolbu, gets help from neighbors, and embracing Nolbu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Nolbu is deeply described as an evil figure with greed through the scenes of property distribution, kicking Heungbu out, acting violently to Heungbu when he came to collect some food, breaking a leg of swallow and committing atrocities at Heungbu’s place when Heungbu got rich. The deepening phenomenon of good and evil on main characters are shown by sub-characters. The number and appearance frequency of sub-characters are more in “Yeonuigak”. They are wives of Heungbu and Nolbu, their son, and neighbors who are deeply involved in forms of main characters, Heungbu and Nolbu for sure. Suppose, wife of Heungbu appeared in “Yeonuigak” actively responses to evil deeds of Nolbu, when he came after Heungbu got rich, to make misdeeds of Nolbu stood out more. Sub-characters play a role of deepening the formation of main characters, such as characters related to Heungbu intensify good of Heungbu, and intensify evil of Nolbu for Nolbu related characters. 이 논문은 <흥부전>의 이본 가운데 기록 전승의 우위를 보이는 경판본 <흥부전>과 이해조의 <연의각>을 중심으로 작품에 형상화된 인물을 비교한 글이다. 경판 <흥부전>과 <연의각>에 그려진 흥부와 놀부의 형상을 비교해 보면, <연의각>에서 선과 악이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흥부의 선함은 조상 묘에 제사를 지내는 장면, 놀부에게 맞고 돌아와 아내에게 변명을 하는 장면, 동네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는 장면, 결말 부분에서 놀부를 포용하는 장면 등에서 그 선한 형상은 심화되었다. 반면에 놀부의 형상은 재산 분배 장면, 흥부를 내쫓을 때와 양식 얻으러 온 흥부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장면, 제비 다리를 부러뜨리는 장면, 부자가 된 흥부의 집에 찾아와 포악을 부리는 장면 등을 통해서 탐욕스러움에 포악함까지 갖춘 악한 형상으로 심화되었다. 흥부와 놀부의 선악이 심화되는 현상은 다양한 보조 인물을 등장시킴으로써 가능했다. 보조 인물은 주인공의 인물 형상을 심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흥부와 관련된 인물은 흥부의 선한 형상을, 놀부와 관련된 인물은 놀부의 악한 형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경판 <흥부전>보다 <연의각>에 등장하는 보조 인물이 수적으로도 많고 등장 빈도도 높다. <연의각>에 더 많은 보조 인물을 등장시킨 것은 주인공의 성격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려는 의도와 함께 소설적 흥미를 고려한 때문이다. 소설이 대중적 독서물로 자리함에 따라 흥미 요소의 강화는 필요했던 것이다. 흥부의 선행과 놀부의 악행, 그리고 그에 대한 보답과 징벌은 서로 다르게 그려졌지만, 경판 <흥부전>과 <연의각>에 형상화된 흥부는 끝까지 선과 우애를 지향함으로써 그 대가로 복을 받았고, 반면에 놀부는 물질적인 욕심을 지향함으로써 패망하고 말았다. 소설 <흥부전>이 지향한 가치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 셈이다. 흥부와 놀부를 통해 선을 지향하는 가치관은 인간에게 필수적이라는 것과 물질을 중시하는 가치관은 지속될 수 없음을 동시에 보여준 것이다.

      • KCI등재

        고전소설의 주인공3 <흥부전>의 인물 형상 -경판본과 <연의각>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경남 ( Kyung Nam Jang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4 No.-

        This study has compared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targeting “Heungbujeon”, text published in Seoul among the different edition text of “Heungbujeon”, and “Yeonuigak” of Lee Haejo. When comparing character figures of Heungbu and Nolbu described in “Heungbujeon” and “Yeonuigak”, good and evil deepens in “Yeonuigak”. The good of Heungbu has deeply involved in scenes where performs ancestral rites, makes excuses to his wife after hit by Nolbu, gets help from neighbors, and embracing Nolbu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Nolbu is deeply described as an evil figure with greed through the scenes of property distribution, kicking Heungbu out, acting violently to Heungbu when he came to collect some food, breaking a leg of swallow and committing atrocities at Heungbu`s place when Heungbu got rich. The deepening phenomenon of good and evil on main characters are shown by sub-characters. The number and appearance frequency of sub-characters are more in “Yeonuigak”. They are wives of Heungbu and Nolbu, their son, and neighbors who are deeply involved in forms of main characters, Heungbu and Nolbu for sure. Suppose, wife of Heungbu appeared in “Yeonuigak” actively responses to evil deeds of Nolbu, When he came after Heungbu got rich, to make misdeeds of Nolbu stood out more. Sub-characters play a role of deepening the formation of main characters, such as characters related to Heungbu intensify good of Heungbu, and intensify evil of Nolbu for Nolbu related characters.

      • KCI등재

        장혁주의 일본어 개작 <흥부와 놀부> 연구

        진은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6

        This study is based on Jang Hyeok-ju's feature-length fairy tale Heungbu and Nolbu. The work is an adaptation of Heungbu-jeon in Japanese. The Chinese translation, Heibaiji was introduced previously, but there was no research on Heungbu and Nolbu. This paper is the first to introduce bibliography of Heungbu and Nolbu and to study its contents, its meaning, and so on. Heungbu and Nolbu that the Japanese adaptation of Heungbu-jeon is similar to Heungbu-jeon published by a publisher named Parkmoomseoguan. Jang Hyuk-ju, the author of the work, is a pro- Japanese artist who is naturalized in Japan and wrote the work for Japanese children. So the cover is removing the Joseon feeling and reviews of Heungbu and Nolbu also lowers the value of Heungbu-jeon by arguing that it is a Mongolian story. Since Heungbu and Nolbu was adapted into feature-length fairy tales, simple content was expanded and pansonic traits such as laughter and poverty were omitted. In addition, Jang Hyuk-joo stresses the lesson too much and reveals the colonial ideology. This is because Jang Hyuk Joo internalized colonial ideology thought because he wanted to be Japanese. He was confident that he had previously translated classics. So I thoroughly reviewed the original text and faithfully reworked it and the work was adapted with content that can inspire imagination and interest in children. But the lessons were so emphasized that they were less realistic. Heungbu and Nolbu are sad to lose both the most important poverty and laughter in Heungbu-jeon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he expanded the horizon of Heungbujeon by translating into Chinese. 일제강점기 일본어로 개작된 동화 『흥부와 놀부』는 1942년 친일 작가인 장혁주가 쓴 장편 동화로, 중국어로 번역이 되기도 했다. 중국어 번역본인 『흑백기』는 이미 학계에 소개되어 논의가 진행되었던 반면, 장혁주 본 『흥부와 놀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장혁주 본 『흥부와 놀부』를 바탕으로 작품에 대한 내용과 특징, 의의 등을 소개함으로써 이 작품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조선인 작가에 의해 일본어로 쓰인 작품이라는 이 작품의 특수성은 작품의 성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데, 작가가 발문에서 ‘내지의 어린이들을 위해’ 『흥부와 놀부』를 쓰고 있다고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표지에서도 조선색을 지우려고 한 흔적들이 엿보이며, <흥부전>이 몽고의 ‘박 타는 처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 왜곡된 사실을 기록해 놓고 있기도 하는 등 친일 작가로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런 작가적 한계는 내용에서도 드러난다. 장혁주는 1938년, 희곡으로 『춘향전』을 발표하기도 하였으며, 1940년에는 <심청전>을 방송극 대본으로 각색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작가의 고전에 대한 자신감과 근대적 장르에 대한 관심은 <흥부전>의 동화화 작업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흥부와 놀부』는 고전소설, 특히 박문서관본 <흥부전>의 서사를 매우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일본 어린이 독자에 초점을 맞추느라 판소리적인 특성이나 재미, 조선적인 것을 소거한 채 ‘보편성’을 지닌 작품으로 개작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동화라는 장르에 충실하여 서사 양식을 새롭게 바꾸고, 어린이에게 상상력과 흥미를 줄 수 있는 에피소드를 확장하고 있기도 한데, 지나친 교훈의 강조와 계몽주의적인 태도는 작품의 개연성이나 현실감을 떨어뜨리기도 하였다. 장혁주의 『흥부와 놀부』는 <흥부전>의 가장 중요한 가난과 웃음을 둘 다 잃고 있으며, 지나치게 순종적이고 온순한 흥부의 인물 형상화를 통해서 조선인으로서 일본인이 되기를 열망했던 장혁주의 열등감을 무의식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원전을 바탕으로 꼼꼼하게 개작을 하고 있다는 점, 중국어 번역본과 함께 <흥부전>의 지평을 넓혔다는 점에서 장혁주와 그의 일본어 개작본 『흥부와 놀부』의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놀부 징벌의 양상과 그 의미 -권선징악 주제 교육의 측면에서-

        이상일 ( Lee Sang Il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先淸語文 Vol.51 No.-

        In the current classical novel education, ‘good and evil(it means ‘poetic justice’)’ is treated incorrectly only as a rudimentary knowledge.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 and meaning of punishment for Nolbu, a villain in Heungbu-jeon, on the premise that the subject education of good and evil is very important in classical novel education. Punishment for Nolbu is mainly made up of direct retaliation for Nolbu by lower-class figures. And the specific contents of these retaliations are ‘economic confiscation’ and ‘physical pain cycle’. Punishment for Nolbu is directed in a festive atmosphere such as a festival. The punishment of Nolbu is romanticiz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justice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opular will and orientation for common good. The punishment of Nolbu is well harmonized in the exciting festival venue with two elements: collective violence and inclusion and co-prosperity. This article proposes three things in relation to the good and evil of Heungbu-jeon. First, understanding the subject of good and evil should be deviated from the preconceived notion of interpreting works at a rudimentary level. Second, the education of good and evil should be able to encourage learners' experiences of empathetic and critical reflection. Third, since the education on the subject of good and evill is not a content that can be completed at a specific stage of growth, it should be hierarchized into a spiral structure of repetitive deepening.

      • KCI등재

        〈흥부와 놀부〉(1967)의 〈흥부전〉 서사 전용 양상과 의미

        김선현(Kim, Sun-Hyun)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흥부와 놀부〉(1967)는 한국 최초의 스톱 모션 인형 애니메이션으로, 〈흥부전〉 영화화의 초기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면서 동시에 〈흥부전〉으로 매개된 1960년대 후반의 사회, 문화의 특성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주목해, 〈흥부전〉 서사가 영화에서 어떻게 독해되고 재구성되는가, 그 과정에서 어떠한 사회, 문화적 의미를 창출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애니메이션은 흥부전〉의 주요 서사 단락을 수용하면서도, 흥부와 놀부의 인물 형상화 방식이나 흥부 박과 놀부 박 대목을 부분적으로 변개하고, 새로운 인물과 화소를 삽입하여 기존의 흥부전〉과는 다른 가치와 지향을 보여준다. 특히 놀부 박에서 나온 존재를 호랑이, 귀신, 용 등의 괴수로 설정하여 놀부의 징치를 강화하는 한편, 흥부의 아이들을 〈어린이 헌장〉을 외치고, 스스로 학교를 건설하며, 제비를 구출하는 주체로 설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서사와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이 작품이 제작되고 상영되었던 1960년대라는 사회, 즉, 국가의 재건과 국민 만들기, 그 토대로서 가족, 어린이를 내세웠던 당시의 사회, 정치적 배경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filmmaking in Heungbujeon, focusing on “Heungbu and Nolbu”(1967). This was Korea"s first stop-motion animation, which provides insight into the early stages of the filming of “Heungbujeon,” as well as th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te 1960s mediated through the animation. This study focuses on its value as a resource and explor es how the “Heungbujeon” narrative is read and reconstructed in the film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created in the process. This film shares the primary narrative of Heungbujeon. However, it partially changes the characterization of Heungbu and Nolbu, the part regarding their gourds, and inserts new characters and motifs. In particular, it established the existence of Nolbu’s gourd and used monsters such as tigers, ghosts, and dragons to reinforce the punishment of Nolbu, while establishing Heungbu"s children as the subjects who declare the “Charter of Children’s Rights,” build schools by themselves, and rescue swallows. In this respect, the story is very different from the Heungbujeon narrative. This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of the 1960s when the film was produced and screened, namely “the rebuilding of the state and the family and children on the basis of it.”

      • KCI등재

        비교문학 관점에서 본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 연구 - 한국,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의 흥부놀부형 설화를 중심으로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Folktale is an important literary genre that contains cultural elements such as common values ​​and lifestyles of a nation.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literary approach to folktales common to many countries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s well as the literary origin and homogeneity of folktales in each country, Do.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foreigners staying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a country in order to acquire the language of a country well, because language and culture are inseparable. Therefore, interest in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literary sanctions is increasing, and studies about it are accumulat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a task that should be preceded for cultivation of Korean ability and adaptation to life in Korea not only for Koreans but also for foreigners. The folktale is a universal archetype and universality of the human race. It is a story that the masses co-created and enjoye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is simpl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similar to 'Korea's representative tale' Heungbu and Nolb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Heungbu and Nolbu' in Korean culture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and the number of Korean residents in Vietnam and Uzbekistan have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lktales of Vietnam and Uzbekistan with Korean folktales, we tried to grasp the tales of folk tales such as tradition and creative literatur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is aimed to clar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literatures of various countrie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folktales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The stories that are common in many Asian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themes are common, universal objectivity, so they can easi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y also reflect different values ​​and specific cultures in different countries.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folktale is advantageous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accepts it more easily based on commonality with its own culture. It is meaningful that differences provide cultural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이 연구는 문학의 모태가 되는 설화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설화는 한 민족의 공통적인 가치관과 생활양식 등의 문화적 요소가 담겨 있는 중요한 문학 장르이다. 특히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 화에 대한 비교문학적 접근은 각 나라의 설화가 가진 문학적 원형성 및 동질성과 아울러 한국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과 독자성을 파악하게 하여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게 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최근 한국어 학습자와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 나라의 언어를 잘 습득하기 위해서 그 나라의 문화를 알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언어와 문화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문학을 제재로 하는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그에 관한 연구들도 누적되고 있다. ‘지구촌’이라는 말처럼 현대 세계는 문화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활발한 교류 양상으로 보이며, 단일민족으로 구성되었던 대한민국도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닌 현실에서 다문화적 이해는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한국어 능력 배양과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설화는 인류보편적인 원형성과 보편성을 지니며 대중이 공동 창작하고 향유한 이야기로서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단순하므로 외국인 학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설화인 ‘흥부와 놀부’와 비슷한 이야기 체계를 보이는 다른 나라의 흥부놀부 유형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흥부와 놀부’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징과 아울러 이를 통한 한국어 문화교육에서 ‘흥부와 놀부’의 설화적 의의 및 가치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최근 학습자 수와 체류지 수가 증가한 두 나라, 베트남과 우즈베키스탄의 설화를 한국 설화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음성언어를 통한 전승과 창작 문학이라는 설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나라 문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련성을 밝히며, 한국 설화의 특성과 독자성을 확인하여 설화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해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광포설화들은 중심 주제가 공통적으로 드러나 보편성 객관성을 지니므로 쉽게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나라별로 가치관과 구체적인 문화가 반영되어 변별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설화가 가진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은 자문 화와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증진시키고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며, 아울러 차이점들을 통해 문화적 상대성과 타문화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여 자문화에 대한 각성과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아시아 선악형제담 비교연구-‘놀부와 흥부’․‘황금수박’ 유형을 대상으로-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2 No.-

        This thesis compared and examined the narrative features, good and evil notions and cultural symbols of good and evil sibling stories in six Asian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study are six works; "The Golden Watermelon" in Indonesia, "Waja and Wira" in Malaysia, "Nolbu and Heungbu" in Korea, "Star Tree Story" in Vietnam, and "Sparrow with Broken Back" in Japan, and "The Shining Golden Watermelon" in Uzbekistan. The six works are fairy tales based on the property conflict between evil and good brothers. The above Asian good and evil sibling stories have the following contents; The good brother accidentally heals the injured bird. In order to repay her grace, the bird gives her younger brother a mysterious seed as a gift. The fruit grows from the seed, and the treasure comes out, and the younger brother becomes rich. The greedy older brother follows his younger brother and fails. The notions of good and evil grasped in the Asian good and evil sibling stories, are identified as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respect for life vs. heartlessness', 'Diligence and simple life ethics vs. greed and stingy life ethics', 'brotherhood vs. property monopoly' etc. Cultural symbols such as Philanthropist Mr. Dermawan, Nolbu, Heungbu characters, etc., Sparrow, Swallow, Stork with broken back, Golden Island, Golden Watermelon, Pumpkin in each story show the cultural symbols of Islamic culture, Confucian culture, and ecological culture. 이 논문은 문화소통의 관점에서 아시아 6개국의 선악형제담의 서사적 특징과 문화요소, 선악관념 및 문화상징을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황금수박>(인도네시아), <와자와 위라>(말레이시아), <놀부와 흥부>(한국), <별나무 이야기>(베트남), <허리 부러진 참새>(일본), <빛나는 황금수박>(우즈벡)이다. 이상의 선악형제담은 형제 간 재산갈등이 핵심 제재이며, 착한 동생이 다친 새를 치료해주며 새의 보은으로 얻은 열매에서 금은 등의 보화가 생겨 부자가 되며, 욕심 많은 형은 동생을 따라 했다가 실패한다는 내용의 서사이다. 일본, 우즈벡 이야기는 주인공이 ‘이웃’인 변이형태로서, 구성이나 내용은 공통적이지만 형제간 재산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아시아 선악형제담에서 파악된 선악관념은 ‘생명존중 대 무정함’, ‘근면ㆍ소박의 생활윤리 대 욕심ㆍ인색의 생활윤리’, ‘형제우애 대 재산독점’ 등의 대립구조를 보인다. 자선가 드르마완ㆍ놀부ㆍ흥부ㆍ인자한 할머니 캐릭터 등, 허리 부러진 참새ㆍ강남제비ㆍ황새, 황금섬ㆍ황금수박ㆍ박 등의 문화상징은 이슬람문화권, 유교문화권의 문화적 기호, 생태문화적 세계관 등을 보여준다. 선악형제담에서 파악된 서사, 선악관념 및 문화상징을 활용해 아시아인들의 문화소통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문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의 성격과 형상 연구

        오윤선 ( Oh Yoonsu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한국의 도깨비는 주로 부(富)를 가져다 주는 신으로 존재해왔는데, 1889년부터 1955년에 출간된 영문 한국설화집에서는 부신(富神)으로서의 도깨비 이외에, <콩쥐팥쥐>에서 콩쥐를 도와주는 조력자로도 등장한다. 이후 국내외에서 발간된 영문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은 부신 도깨비와 함께, <흥부놀부>에서는 놀부를 응징하기 위해 도깨비가 등장한다. 이와 같은 도깨비의 권선징악 수행자로서의 역할은 계속 확대되고 있는데, 이는 어린이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흥부놀부>의 상여꾼, 왈자, 추노하러 온 옛 상전 등은 조선 문화를 모르면 알 수 없기 때문에, 이해가 쉬운 도깨비로 대치된 것이다. 도깨비의 형상은 영문 한국설화집이든 영문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에서든 일본의 오니를 닮은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일본의 영향도 있지만, 한국 도깨비상이 정립되지 않은 까닭도 있다. 또한 표기에 있어서 도깨비를 ‘tokgabi’라 쓰지 않고 ‘goblin’으로 번역한 책들도 많았는데, 영어원어민들은 ‘tokgabi’로 옮기고, 한국인들이 ‘goblin’이라 번역했다. 한국인 역자들은 도깨비와 고블린의 성격과 특징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와 같이 성격, 형상, 표기 등 다양한 면에서 도깨비에 대한 왜곡이 고착화되기 전에, 한국의 도깨비상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Korea, tokgabi has been mostly perceived as a god of wealth. Therefore, that is the portrayal of tokgabi in the books of Korean folktales recorded before 1950. In the books of Korean folktales published in English from 1889 to 1955, tokgabi had brought wealth to good people. In “Kongjwi and Patjwi”, tokgabi appears as a mystical creature that helps good people such as Kongjwi. Picture books of Korean folk-tales published in English in and out of Korea since then were influenced by the above-mentioned books of Korean folktales. There are three stories describing tokgabi as the entity that brings wealth. Tokgabi also appears in six stories of “Heungbu and Nolbu”. In the stories, tokgabi comes out from the gourd of Nolbu to punish the mean older brother. In both the books of Korean folktales in English and picture books of Korean folktales in English, tokgabi looks like a Japanese oni(demon). This is because Korea was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for decades, and there was no clearly defined image of the Korean tokgabi. Another reason is because the role of tokgabi is that of a mighty creature who encourages good and punishes evil. Furthermore, the imagery of such being as a scary oni was necessary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readers. In addition, the bier-carrier, roughneck, and former master who are tracking a fugitive slave in the “Heungbu and Nolbu” story cannot be understood by people who do not know the Korean culture well; therefore they were replaced with tokgabi in the Korean folktales that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Some books translated tokgabi into goblin. While native English speakers translated tokgabi as is, Korean translators translated it into goblin. This could be because they did not consider the fact that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okgabi and gobli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ly, an agreement on the image of the Korean tokgabi will have to be reached, before the wrong image of tokgabi in diverse records is permanently solidified.

      • KCI등재후보

        두 형제, 두 자매를 다룬 동화에 나타난 선악 개념과 그 무의식적 원형

        오정민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Au lieu de s’arrêter sur la morale selon laquelle il faut être bon et il ne faut pas être mauvais, notre intérêt porte sur la recherche pour savoir d’où viennent le bien et le mal. Surtout nous partons à paritr de la question: “Pourquoi l’être humain est amené à penser qu‘un phénomène ou une personne est bon ou mauvais?” Selon l’obsevation de Mélanie Klein faite sur de jeunes enfants qu’elle a analysés, le nourrisson perçoit le sein maternel comme “bon” s’il ressent une satisfaction, et comme “mauvais” s’il n’approuve pas de gratification au niveau de son désir. Donc, le bien et le mal ne sont que la création du psychisme vis-à-vis de ce premier objet d’amour. Et ce dualisme psychique va prendre d’autres objets divers au fil de la vie ultérieure. “Le mauvais sein” engendre ce qu’on peut définir comme attributs du mal : détérioration envieuse de l’objet, l’avidité(dont le but est l’introjection destructive), l’envie(qui est une projection vers l’exérieur), jalousie. “Le bon sein”, comme attributs du bien: gratitude, créativité, bonheur. L’analyse psychanalytique a révélé que, non seulement le mal seul peut entraîner le schizoïde, mais aussi l’effort contre nature de ne privilégier que le bien tout en excluant le mal crée un refoulement. Puisqu’une certaine dose d’agressivité est essentielle dans le travail productif, le bien ne peut pas exister sans le mal. Les deux frères dans <Azur et Asmar> de Michel Ocelot montrent chacun les deux aspects du bien et du mal. Dans <Heungbu et Nolbu> et <Kongdjui et Patdjui>, les deux frères et les deux soeurs incarnent respectivement le bien et le mal. Mais ils sont présentés toujours ensemble comme le signalent les titres de ces contes traditionnels. Car les deux frères en fait, symbolisent deux personnalités dans une seule personne qui est notre être haumain. Cela implique que le bien et le mal n’existent pas séparément l’un de l’autre, ce qui correspond à la découverte de la psychanaly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