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음악밴드를 활용한 음악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이수진,정주연,신지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3

        This study explored cases of popular music b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abroad with an interest in the recent trend of application of popular music in public schools. First by defining key words including popular music and popular music band, and by discussing som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education in general, researchers intended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range of this study. Case studies on popular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U.S. and Netherlands through literature review method finally yielded implications regarding popular music education in Korea. In Korea, popular music education took place mainly as after school program, extra-curricular club, or out of school program; and more interests and needs for popular music education were found. Reported results reported the program content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guitar ensemble at James Robinson Middle School and Rhythm Workshop at Harvard-Westlake in U.S., as well as Sound Check in Netherlands. Furthermore, Little Kids Rock, a non-profit organization supporting popular music education, and its school program Modern Band were examined. Through case analyzation, researchers suggested implications for continuing progress of popular music educations as need of financial supports,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 education. 본 논문에서는 대중음악교육이 학교 교육에 적용되는 최근의 경향에 관심을 두고 대중음악밴드를 활용한 학교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국내외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먼저 대중음악과 대중음악밴드의 정의 및 대중음악교육의 일반적 특징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국내외의 대중음악교육 사례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짚어보고,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대중음악교육 활용을 위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경우, 대중음악밴드 활용 교육은 대개 교육과정 안에서 보다는 방과후 학교, 동아리 활동이나 학교 밖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점점 관심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국외는 미국의 제임스 로빈슨 중등학교의 기타 앙상블과 하버드-웨스트레이크 학교의 리듬 워크숍, 네덜란드의 사운드체크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적 특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비영리단체로서 미국 학교의 대중음악밴드 교육을 지원하는 리틀키즈록(Little Kids Rock)이 제공하는 대중음악밴드 프로그램인 모던밴드(Modern Band)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대중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재정적인 지원, 대중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 교육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 대중음악과 종교교육

        孫元暎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7 No.-

        최근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기독교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CCM으로 불려지는 기독교대중음악은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라이브공연장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글은 CCM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통해 새로운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세가지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된다. 첫째, 대중문화로서 기독교대중음악은 어떻게 정의되고 또 분류될 수 있는가? 둘째, 문화란 의미를 만드는 실천이라고 할 때, 기독교문화적 실천으로서의 기독교대중음악은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셋째, 앞의 논의를 통해, 향후 종교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이상의 탐구주제를 통해, 연구자는 기독교 종교교육이 기독교적 문화교육으로 재개념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CCM이 문화적 실천으로써 적어도 해방적 실천, 해석학적 실천, 그리고 영성적 실천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빠른 시일 내에 기독교문화를 실천할 수 있는 종교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s the popular culture which is focused on "Contemporary Christian Music"(CCM), and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more details, this paper follows three issues about CCM which are in debates. First of all, the researcher tries to clarify the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as well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terms of what culture means by "signifying practices." Based on such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CCM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models: worship and praise model, communio sanctorum model, and neighborhood mission model. Secondly, this paper argues that CCM could be theologically interpreted by three-folded theological praxes, i.e., liberating praxis, hermeneutical praxis, and spiritual praxis. Thirdly, following the above results, researcher tries to reconstruct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us, this paper suggests to re-conceptualiz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s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evangelization in postmodern cultural society, and to develop the new religious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 popular cultures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문학사교육과 대중서사

        최미진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6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uggest Bricolage Literary History as one of the horizons of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then to study the cross-section of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communicates and the popular narratives. After the 1990s the Korean literature research opened up in earnest to the study on popular narrative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past while posing the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xtension of modern literature admit of literature crisis. As a literary education, new form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ve been presented in the deconstruction movement, but the field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s not changed despite the narrowed ground. For the result of this problem recognition, the paper investigates bricolage literary history using education for the limited time postwar period. Bricolage-type literary history presuppose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literary practices of various subjects.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postwar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focused on the ‘process’ itself, which is the confusion and competitions in the literary fields triggered by the Korean War. First, it shall be critically understood that conventional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the postwar period was biased toward the nationalism and the literary system preempting the literary power. Then, th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t he diversity which was closely integrating with the field of popular narrative. The detailed stages of the popular narrative education are as followed. First is the stage of understanding the interoperability of media environment and popular narratives in the postwar period, and review cross-check with the field of literary system. Second is the stage for contemp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narratives by the medias as well s the communication methods with public readers, attempting to rediscover the critical interpretation and topics. Third is the stage to examine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and activation of the literature filed by setting the public readers as the subject of creation and enjoyment in education of literature history. Last is the stage of building up the identity by expanding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by comparing the literary field at the time to other cultural arts in their naturally and distinctiveness. Further measures still remains in the from of opinions. Even though it is only the beginning, further changes in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s expected as new discussions are added on.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문학사교육과 문학사 기획들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 전후(戰後) 시기에 한정하여 브리콜라주 문학사의 방향과 접근방식을 고찰하는 데있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문학연구의 장은 문학의 위기 속에서 근대문학의 외연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가운데 간과되어왔던 대중서사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문학교육으로서 문학사도 탈구축의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문학사교육이 제안되고 있지만, 문학사교육의 현장은 좁아진 입지에도 큰 흔들림이 없었다. 그러한 문제의식의 소산으로 전후 시기에 한정하여 브리콜라주 문학사교육을 살폈다.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브리콜라주의 정당성에 따라 설계되고 학습자의 비판적 해석력 신장을 위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주체들의 문학적 실천들이 서로 다른 장(場)과 가치체계들이 교차되는, 다층적으로 구조화된 문학장(場)으로 전제했다. 그런 측면에서 전후 문학사교육은 한국전쟁으로 촉발된 문학 장의 혼란과 경합의 ‘과정’ 자체에 주목해야 했다. 그 ‘과정’을 보다 분명하면서도 다각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문학 장을 분화시키거나 가로지르는 세 가지 장으로 나누어 살폈다. 우선, 전후 문학제도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기존의 문학사교육이 국가주의와 문학권력을 선점한 문학제도의 장에 편향되어 있음을 비판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음으로, 전후 대중서사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대중서사의 장과 함께 호흡했던 다양성에 주목해야 한다. 대중서사교육의 구체적 단계는 첫째, 전후 매체환경과 대중서사의 연동성을 이해하고 문학제도의 장과 비교 검토하는 단계다. 둘째, 매체별로 대중서사의 특징적 면면과 독자대중과의 소통방식을 고찰하여 비판적 해석과 논제의 재발견을 꾀하는 단계다. 셋째, 문학사교육에서 독자대중을 창작과 향유의 주체로 곧추세워 소통방식의 다각화와 문학 장의 활성화를 검토하는 단계다. 마지막으로, 전후문화예술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문화예술 영역으로 확장하여 이시기 문학 장이 다른 문화예술과의 친연성과 차별성을 비교 검토하여 독자성을 구축해야 한다. 이상의 접근 방식은 아직 시론에 머물러 있다. 성글지만 새로운 논의를 더해가며 문학사교육이 변전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탈구화된 대중-민속음악 교육현장에 관한 비교문화적 재고찰: 감비아, 스웨덴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김 책(Kim, Chae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9 대중음악 Vol.- No.23

        본고는 탈구화하는 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대중음악과 세계음악 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쟁점들을 재고찰해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 탈구화라는 것은 세계화라는 사회변화의 맥락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서, 우리가 음악 교육을 통해 성취해야 할 역량으로 제시되는 ‘도덕적 세계시민으로서의 경험’이라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렇듯 타자의 음악문화를 연구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비교의 방법론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지만, 비교방법론을 다루는 다양한 학문들이 제국주의, 식민주의와 같은 역사특수적 이원론(지배자와 하위주체) 구조 속에서 다소 굴절되었다는 상황 인식이 본 연구의 동기가 되었 다. 각론에서는 이러한 지배/저항의 고답적 이분법을 떠나, 학교의 교실이라는 유형학적 공통점을 배경으로 한국과 서아프리카 그리고 북서유럽의 사례 들을 비교문화적으로 제시하고 그를 바탕으로 기존의 제국주의식 교육구조와는 다른 대안적, 중립적 의미에서 세계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 다. 연구 과정에서 세계음악, 민속음악, 대중음악 교육의 준거점에 대해 묻는 인식론적 연구 질문으로 우회하게 되었다. 제시된 한국과 감비아, 세네갈, 스웨덴의 각 사례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적 양식의 유지와 근대화, 현대화라는 탈구적 맥락 앞에서 파편화된 존재로 여겨지는 하위주체인 개별행위자 (human agency)가 어떻게 자신들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며 대중음악이라는(비 종교적, 비정치적) 일상적 맥락에서 어떠한 선택과 회피전략을 통해 정체성의 정치학을 구성해 가는가를 교육학적인 시각에서 일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and contextual changes on the issues of music education in the challenging context of Korean Education through ethnographic field works. Basic research plan was started out by doing field interviews with a comparative perspectives and summarizing distinctive characterizing agents of these cultures or social systems. But in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the term ‘comparative musicology’, already was representing terrible reputations according to the prior history such as emperialism or colonialism. because most of compar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born between western researcher and isolated indigenous ethnic groups those who are representing authentic culture. With these perpective,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cultures and musics it self should be re-defined. In this article I decided to remain neutral on these complicated ethical topics. and try to let the field it self could speak the alternative solutions. I determined the interview topic as school setting in order to have a grid as a common standard to compare notions or systems up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out the procedure of ethnographical field work, I realized that rethinking on the issues of the taxanomy or category of music education such as folk music, popular music, world music is being required. As a distinctive contrast from Korean school education, Gambia field case has been representing: non school music learning system which is having beautiful plural acculturation with world musics, folk musics, polular musics while the counter case, swedish field case was mentioned as case of learning all kind of music cultures(world musics, folk musics, polular musics) through public school system.

      • KCI등재

        화법의 교수,학습 방법 ;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과 교육 방법

        이도영 ( Do Young Lee ) 한국화법학회 2010 화법연구 Vol.0 No.16

        현재의 대중 의사소통 교육은 화법 교육에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대중 의사소통 교육은 보편적인 언행적 목적 추구에만 관심을 갖게 되고 일반적인 언어 사용의 심리적 과정에만 치중하고 있다. 대중 의사소통 교육 고유의 교육 내용과 방법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대중 의사소통이 다른 유형의 의사소통과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의사소통 구성 요소 별로 비교, 검토하여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을 걸러내었다. 그런 다음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에 맞는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중 의사소통의 본질적 목표가 설득에 있다면, 대중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청중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데 있다. 하지만 이는 화자의 입장에서만 타당하므로 청자의 입장에서도 대중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 청자의 경우에는 일단 화자의 생각, 견해, 의견, 주장, 근거 등을 객관적으로 들을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에 화자와 공유할 만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가려내고, 이를 청자의 생각과 융합하여 청자 자신의 생각이나 견해, 의견, 주장 등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판적 듣기가필수적이다. 대중 의사소통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 역시 화자와 청자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화자 입장에서는 `청중 분석, 내적 의사소통, 메시지 선정과 조직, 논증 방법, 설득 방법, 메시지 소구 방법, 표현과 전달, 소통의 윤리성`등을 가르쳐야 한다. 청자 측면에서는 `화자 분석, 내적 의사소통, 메시지 분석, 화자의 표현과 전달 분석, 비판적 듣기` 등이 필요한 교육 내용이 된다. 대중 의사소통의 교육 방법은 이해와 표현을 이중적으로 결합한 형태가 된다. 이해 Ⅰ은 대중 의사소통 담화의 유형을 익히는 단계이다. 학생들에게는 대중 의사소통이라는 담화 유형이 낯설기 때문에 이처럼 담화 유형을 이해하는 것부터 출발해야 한다. 주된 활동은 담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대중 의사소통 담화란 어떤 것인지를 이해 하고, 이를 표현에 활용하는 것이다. 표현 단계에서는 메시지 선정, 조직, 표현, 전달 등 담화 생산과 관련된 제반 활동을 가상의 청중을 대상으로 실제로 해 보는 것이다. 이해Ⅰ에서 배운 것과 관련지으면서 활동을 하되, 원고를 써 보는 활동을 포함시킨다. 이해 Ⅱ에서는 동료 학생들의 대중 의사소통 관련 담화를 듣고 이를 객관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기초적인 듣기 방법은 이해Ⅰ에서 배우고, 이해Ⅱ 단계에서는 실제적인 듣기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도는 대중 의사소통을 통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을 통합해서 가르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education of public communication doesn`t become an object of atten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public communication is more interested in pursuit of general speech act purpose and psychological process of language use.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we need to derive the properties of public communication, and then to establish the aims, contents, method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The aim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is to develop the persuasion abilities of students. Also speaking as listener, students can objectively and critically listen speaker`s thoughts, viewpoints, opinions. The content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is also divided into speaker and listener. Students as speaker must know the analysis of audience, the self in communicato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essages, the method of argumentation and persuasion, message appeal, expressions and dliveries, communication`d ethics. Also students as listener must know the analysis of speaker, the self in communicaton, the analysis of messages and speaker`s expressions and dliveries, the method of critical listening. The method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should become the double combination`s formation of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omprehension Ⅰ is the stage for students to master the type ofpublic communication discourse. The main practice of this stage is to analyse public communication discourse. In the stage of expression, students try to actually communicate to simulated audience including the writing of public communication discourse. In the stage of comprehension Ⅱ, students must listen carefully peer students`s communication and understand objctively and critically it`s messages. These design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have advantages to teach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integra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과 교육 방법

        이도영 한국화법학회 2010 화법연구 Vol.0 No.16

        The education of public communication doesn’t become an object of atten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 of public communication is more interested in pursuit of general speech act purpose and psychological process of language use.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we need to derive the properties of public communication, and then to establish the aims, contents, method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The aim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is to develop the persuasion abilities of students. Also speaking as listener, students can objectively and critically listen speaker’s thoughts, viewpoints, opinions. The content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is also divided into speaker and listener. Students as speaker must know the analysis of audience, the self in communicato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essages, the method of argumentation and persuasion, message appeal, expressions and dliveries, communication’d ethics. Also students as listener must know the analysis of speaker, the self in communicaton, the analysis of messages and speaker's expressions and dliveries, the method of critical listening. The method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should become the double combination’s formation of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omprehension Ⅰ is the stage for students to master the type ofpublic communication discourse. The main practice of this stage is to analyse public communication discourse. In the stage of expression, students try to actually communicate to simulated audience including the writing of public communication discourse. In the stage of comprehension Ⅱ, students must listen carefully peer students's communication and understand objctively and critically it’s messages. These designs of public communication's education have advantages to teach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integratively. 현재의 대중 의사소통 교육은 화법 교육에서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대중 의사소통 교육은 보편적인 언행적 목적 추구에만 관심을 갖게 되고 일반적인 언어 사용의 심리적 과정에만 치중하고 있다. 대중 의사소통 교육 고유의 교육 내용과 방법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대중 의사소통이 다른 유형의 의사소통과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의사소통 구성 요소별로 비교, 검토하여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을 걸러내었다. 그런 다음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에 맞는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중 의사소통의 본질적 목표가 설득에 있다면, 대중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청중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데 있다. 하지만 이는 화자의 입장에서만 타당하므로 청자의 입장에서도 대중 의사소통 교육의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다. 청자의 경우에는 일단 화자의 생각, 견해, 의견, 주장, 근거 등을 객관적으로 들을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에 화자와 공유할 만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가려내고, 이를 청자의 생각과 융합하여 청자 자신의 생각이나 견해, 의견, 주장 등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판적 듣기가 필수적이다. 대중 의사소통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 역시 화자와 청자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화자 입장에서는 ‘청중 분석, 내적 의사소통, 메시지 선정과 조직, 논증 방법, 설득 방법, 메시지 소구 방법, 표현과 전달, 소통의 윤리성’ 등을 가르쳐야 한다. 청자 측면에서는 ‘화자 분석, 내적 의사소통, 메시지 분석, 화자의 표현과 전달 분석, 비판적 듣기’ 등이 필요한 교육 내용이 된다. 대중 의사소통의 교육 방법은 이해와 표현을 이중적으로 결합한 형태가 된다. 이해 Ⅰ은 대중 의사소통 담화의 유형을 익히는 단계이다. 학생들에게는 대중 의사소통이라는 담화 유형이 낯설기 때문에 이처럼 담화 유형을 이해하는 것부터 출발해야 한다. 주된 활동은 담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대중 의사소통 담화란 어떤 것인지를 이해하고, 이를 표현에 활용하는 것이다. 표현 단계에서는 메시지 선정, 조직, 표현, 전달 등 담화 생산과 관련된 제반 활동을 가상의 청중을 대상으로 실제로 해 보는 것이다. 이해Ⅰ에서 배운 것과 관련지으면서 활동을 하되, 원고를 써 보는 활동을 포함시킨다. 이해 Ⅱ에서는 동료 학생들의 대중 의사소통 관련 담화를 듣고 이를 객관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기초적인 듣기 방법은 이해Ⅰ에서 배우고, 이해Ⅱ 단계에서는 실제적인 듣기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도는 대중 의사소통을 통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을 통합해서 가르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미국, 영국, 중국 주요 대중음악 학과의 교육환경 비교분석 연구: 교원 전문성, 교육 수월성, 교과목 다양성을 중심으로

        리닝 ( Li Ning ),한경훈 ( Han Kyung-ho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20세기에 이르러 대중음악은 전 세계 음악 시장의 주요 흥행 요소가 되면서 음악 교육에 있어서도 대중음악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대학에서의 대중음악 교육은 팝음악의 상업화를 주도한 미국을 중심으로 번창하기 시작했으며, 팝음악 역사에 있어 중요한 부흥을 이끈 영국 또한 대중음악 교육의 선도국가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세계의 대중음악 시장은 급속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에 중국 또한 대중음악 교육의 개척과 발전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많은 선행연구가 존재하는 한국 대중음악 교육 연구에 비해 아직까지 조사된 사례가 없는 미국, 영국, 중국 주요 대학의 대중음악 교육환경을 교원 충원율, 교육시설, 개설 교과목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주요국의 대중음악 교육 동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로 각 국가의 교원 전문성, 교육 수월성, 교과목 다양성의 장단점 등 여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원 전문성의 경우, 미국과 영국은 중국의 대중음악 학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교원 충원율과 전임 교원 비율에도 불구하고 교원의 전문성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교육 수월성의 경우, 영국은 첨단기술 교육을, 미국은 공연 실무 교육을, 그리고 중국은 개인의 역량 강화 교육을 위한 수월성 제고에 교육환경을 집중하는 경향을 띠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교과목 다양성의 경우, 중국이 미국과 영국의 대중음악 학과보다 교과목 수가 현저히 부족하며 특히 음악경영 등 진로와 취업에 관련된 교과목이 취약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교육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After the 20th century, popular music is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the world music industry. In music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opular music education also become prominent gradually. The United States dominates the commercialization of popular music as a centre of collegiate popular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e United Kingdom, which has always been a trendsetter in popular music,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in popular music education. In recent years, the world's popular music market environment continues to change rapidly. China has also invested a lot of efforts and investment in popular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oward this vari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popular music in major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which have not been investigated yet compared to the Korean pop music education studies in which many previous studies exist, focusing on the rate of teacher recruitment,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urses offered. And by comparing these, the emphasis was placed on grasping the trends of popular music education in major countri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ajor country's popular music departments, in terms of teacher-student ratio, teaching facilities, curriculum setting, and many enlightenment points, are obtained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In the teacher-student ratio, the teacher-student ratio of full-time faculty in the popular music depart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is lower than in China. However, they are more outstanding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end to focus on high technology facilities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facilities construction differently, while China tends to invest in individual practice facilities. In the curriculum setting, compared with the popular music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China is insufficient in the number of curriculum and lacks music management-related cours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pular music education finally.

      • KCI등재

        현행 교육과정에 의한 초 중등 음악과 수업에서 대중음악 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조사 연구

        박정은(Park Jeong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빌보트 차트 10주간 1위를 기록한 BTS 등 우리나라 뮤지션들의 세계적 활약은 대중음악교육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처럼 K-Pop의 성장과 함께 학교 음악교육 내 대중음악의 비중은 교육과정 개정을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 학교 대중음악수업의 개선을 위한 교육구성원의 의견조사 연구 및 분석을 한다. 이를 위해 앞서 초ㆍ중등 대중음악 교육과정기준 개발을 위한 의견 조사에서확인한 학교교육에서 대중음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교육과정기준 개발의 필요성, 대중음악교육 확대 강화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체계적인 학교 대중음악 수행을 위한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음악교육을 강화하는 음악교육과정을 개정한다. 둘째, 학교음악 수업에서 대중음악교육 시수를 증가한다. 셋째, 전문 지도교사를 배치한다. 넷째, 보조교사를 배치한다. 다섯째, 방과 후 대중음악 클럽활동을 강화한다. 여섯째, 대중음악교육의 예산을 증액한다. 의견조사는 총 555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소속, 가장 친숙한 분야, 대중교육과의 관계, 성별에 의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선안들에 대한 유의미한 수치를 도출하였고, 사후분석으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선교육 후설계가 되고 있는 현 대중음악수업이 체계적인 개선이 될 수 있도록 교육 구성원들의 노력과 교육현장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The performance of global brilliance by Korean musicians, such as BTS, who have ranked number one on the Billboard Chart for 10 weeks, is further strengthening the popular music education. As such, alongside the growth of K-Pop, the weight of the popular music for the school education is growing as the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in School is amended. In this study, a study and analysis of the opinion poll of the educational membe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pular music classes in school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facing the next amendment of the curriculum. Towards this end,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popular music education for the school education, need to develop the curricular standards, and the strengthening and the expansion of the popular music education, which were confirmed during the opinion poll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pular music curriculum standards for the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The measures of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performance of the popular music in school are as follows. First, amend the music curriculum which strengthens the popular music education. Second, increase the number of the sessions held for the popular music education for the music classes in school. Third, assign professional teachers. Fourth, assign teaching assistants. Fifth, strengthen the popular music club activities after school. Sixth, increase the budget for the popular music education. A total of 555 people participated for the opinion poll, and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affiliation, most familiar field, relationship with public education, and gender. Through this study, significant figures for the measures of improvement were deriv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confirmed via the ex post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efforts of the educational members and the educational field will be reflected to ensure that the current popular music classes, which are undergoing design after education in advance, may be systematically improved.

      • KCI등재

        공예 교육을 통한 현대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영,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craft valu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by analyzing cases of foreign craft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crafts field and democratize crafts culture in a rapidly changing era. As a research method, I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craft culture, and public culture on the basis of literature data and examined trends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I was able to derive the object of craft education, the value of modern craft, and the means of craft culture for popularization.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craft education which affects from basic education to comprehensive creative activity should be widely carried out by all generations including children, craftsmen and designers, and the public. In addition, based on the modern values of crafts commonly held by the American Craft Council, the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and Crafts Council London, craft value is extracted as 7 traits – universality, discipline, action, heritage, accessibility, professionalism, and profoundness. Finally, we derive instrumental direction for popularizing craft culture through popular culture and mass media trend. The status of craft education in Korea is related to the training of uniformed professional manpower. So, I selected the cases of craft education in the “Purposeful Selection” among the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 where the craft education is active. The program of each country is summarized in terms of education method, subject, period, and contents, and also the comprehensive analysis is conducted in contrast with the value attribut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study. La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Ken Robinson’s classification system of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the craft education program in each country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education but, During the period, experts, artisans, students, and people directly particip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tep-by-step education was progressed with the circular structure of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modern craft education based on craft value – learning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competence, educating through systematic learning program for target and purpose, and training to understand and learn the changing technology – should be integrated. Besides, the popularization of craft culture through the flow of popular culture is broad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pen global network community, step-by-step public participation program, lifelong creative mind training, and individualized craft technology support. It seems that it is an unsatisfactory point that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limited to some cases of representative countries, and I hope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mocratization of craft culture by analyzing more domestic and foreign case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급변하는 시대 환경에서 공예 분야의 저변확대와 공예 문화 대중화를 위하여 공예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공예 가치의 현대적 속성을 살펴보고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를 토대로 공에 교육의 현황, 공예 문화와 대중문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시대 흐름을 반영한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이론 연구를 통해 공예 교육의 대상, 현대적 공예 가치, 대중화를 위한 공예 문화의 수단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먼저 국내외 공예 교육 현황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기초 교육부터 포괄적인 창조활동까지 영향을 미치는공예 교육은 어린이, 전공자, 일반 대중 등 전 세대를걸쳐 폭 넓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미국공예문화진흥원,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영국공예청에서 공통적으로 내포하는 공예의 현대적 가치를 토대로 공예 가치를 ‘보편성, 교육성, 행동성, 전통성, 접근성, 전문성, 심오성’으로 추출하여 7가지 속성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트렌드를 통해 공예 문화 대중화를 위한 수단적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공예 교육 현황은 획일화된 전문인력 양성에 미치고 있어 미국이나 유럽 등 공예 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국가 가운데 의도적 선택(Purposeful Selection)’ 방법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공예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각 국가별 프로그램은 교육 방법, 대상, 기간, 내용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가치 속성과 대조하여 종합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켄 로빈슨의 교육 분류 방식을 적용하여학습, 교육, 훈련으로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각 국가별 진행하는 공예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 특성과 교육 내용에 따라 방식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정한 기간동안 전문가와 장인, 학생 및 일반인이 직접 참여하여학습, 교육, 훈련의 순환적구조로 단계별 교육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현대 공예 교육의 방향성은 공예가치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역량을 습득하는 학습, 대상과 목적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변화하는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에 초점을 맞추는 훈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중문화의 흐름을 통해 살펴본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을 크게 4가지 관점인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 커뮤니티, 단계별 대중 참여 프로그램 확대, 생애 주기별창의 마인드 교육, 개인별 맞춤 공예 기술 지원을 토대로 지속적인 공예 교육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예 교육의 방향성이 대표적 국가의 일부 사례로 한정되어 진행된 점은 아쉬운점으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국내외사례를 분석하여 공예 문화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