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김근호 ( Keun Ho Kim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이 연구는 자기 소개서 쓰기가 서사 표현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자기소개서 쓰기의 서사적 원리와 교육적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자기 소개서 쓰기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 글쓰기라는 식으로 접근해온 기존의 논의를 반성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자기 소개서 쓰기는 삶에 대한 글쓰기로서 자기 인식과 자기 형성의 소중한 경험이 된다. 비록 현실에서는 자기 소개서 쓰기가 설득을 위한 글쓰기라 할지라도, 교육의 장에서는 그 목적이 교육적 가치에 의해 조정되고 보완되어야 한다. 자기 소개서는 ‘자기(自己, self)’라는 말과 ‘소개(紹介, introduction)’ 그리고 ‘서(書, writing)’이라는 세 말이 합쳐진 말이다. 자기를 소개하기 위해서는 이미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는 성찰의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그 과정에서 유의미한 삶의 경험을 발굴하고 그 낱낱의 경험 사건을 조직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그런 점에서 자기 소개서 쓰기는 자기 자신의 삶을 소재로 하여 가치 있는 삶의 형상을 부여하는 언어활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삶에 대한 글쓰기(life writing)’라고 할 수 있을터, ‘삶의 의미화(making meaning of life)’ 과정이 바로 자기 소개서 쓰기인 것이다. 이 같은 쓰기 활동은 역시 쓰기 일반의 원리를 공유하는바, 독자를 전제로 한 글쓰기로 수행된다. 독자의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한 목적 지향적인 글쓰기가 바로 자기 소개서 쓰기이다. 이때 서술자로서의 자기의 역할은 특별해지는데, 이에 따라 자기 소개서 쓰기는 자기 읽기와 자기 쓰기의 통합적 활동으로 구체화된다. 자기 소개서 쓰기 교육은 어디까지나 교육의 근원적 가치를 바탕으로 해야 하는 바, 인간의 자기 인식과 자기 형성의 경험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런 점에서 설득을 위한 글쓰기라는 단일 목적에만 사로잡혀 자기 소개서에서 자기라는 말이 갖는 인간론적 가치를 망각해서는 안 된다. 결국 국어교육의 장에서 자기 소개서 쓰기는 덕(德)의 글쓰기를 지향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searching the narrativity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flection of the preceding arguments paid attention to practical writing to solve the actual problem. As a life writing,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is the experience to conscious and construct self. Though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is regarded as one of a persuasive writing, it`s purpose and practice should be educationally mediated in educational field.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has three words, that is ``self``, ‘introduction`` and ``writing``. To introduce self needs automatically the process of reflecting self, and it should eb happened to explore the meaningful experience and to organize the experiences in that process. In that meaning,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is the linguistic activity to make a form of life through explore one`s own life.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is life writing, so it contains the process making meaning of life. This writing activity shares the general principle of writing, it means that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should be practiced to draw reader`s understanding and sympathy. In this self as narrator has a important role,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aims for the integration of self reading and self writing. Because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should be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 it`s practice should be self consciousness and self formation. We should not neglect the humane value of writing self in being caught a single object of persuasive writing. Finally, writing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should aim for virtuous wri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MMSS-ON을 활용한 초등 고학년 자기서사 진단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이승민 ( Lee Seung-m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신동흔이 개발한 온라인 자기서사 진단 도구인 MMSS-ON을 활용하여,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기서사 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연구다. MMSS-ON이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하고 나아가 MMSS-ON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초등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MMSS-ON을 활용하여 8회기에 해당하는 초등 고학년 아동 대상 자기서사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울 시내 2개 초등학교에서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자발적 참여를 원칙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한다, 자기서사 진단 회기와 자기서사 탐색 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이야기 탐색 과정이 자기서사의 성장 과정이 되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집단 상담과 별도로 개인상담을 진행한다 등의 원칙을 세웠다. 자기서사 진단 회기는 6회기로 한 회기에 2~3개 이야기를 구연하고, 생각 나누기를 하고 진단지를 작성하는 순으로 구성하였다. 자기서사 탐색 회기는 2회기로 이야기 만들기와 책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이야기 탐색 과정이 자기서사의 성장 과정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열린 질문을 통해 생각 나누기를 하였다. 자기서사 진단 회기에 나타난 초등 고학년의 자기서사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현실적이고, 공격적이며, 욕심 많은 캐릭터에 대한 호감이다. 두 번째 특징은 주먹이처럼 집을 떠나는 캐릭터에 대한 부정 반응이다. 세 번째 특징은 참여자들의 성향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참여자들의 그래프를 보면 외향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자의 경우 좌우로 긴 모양의 그래프가 나타났고, 내향적이고 소극적인 참여자의 경우는 중앙에 밀집된 모양의 그래프가 나타났다. 자기서사 탐색 회기는 문학치료적 글쓰기 방법의 하나인 다시쓰기 과정이다. MMSS-ON 진단 결과 나온 자신의 캐릭터나 주변 인물을 주인공으로 이야기를 만든 참여자들은 이야기를 끝까지 완성할 수 있었다. 이는 그 캐릭터의 서사가 참여자의 내면에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마음에 드는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하여 이야기를 만든 참여자들은 이야기를 결말까지 완성하지 못했다. 이는 그 캐릭터의 서사가 참여자의 내면에 없거나 제대로 자리 잡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MMSS-ON이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기서사 진단에 유용한 도구임과 더불어 이를 활용한 초등 고학년 자기서사 진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 과정, 진단 결과 집단의 특성을 다루었을 뿐 참여자 개인의 자기서사를 심도 있게 다루지는 못하였다. 이는 후속 논문을 통해 이어가고자 한다. 본 연구가 초등 고학년 대상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sing MMSS-ON, an online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tool developed by Shin Dong-Hun,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program for the diagnosis of story-in-depth of self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MMSS-ON is a useful tool for diagnosing story-in-depth of self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use of literary therapy programs using MMSS-ON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developed a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program for 8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MMSS-ON and implemented it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downtown Seoul.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group counseling is conducted in principle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the program is organized into a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session and a story-in-depth of self search session, the story search process becomes the growth process of sstory-in-depth of self, and if necessary, personal counseling is conducted separately from group counseling. The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session was organized in the order of composing two to three stories in one session, sharing thoughts, and preparing a diagnosis sheet. The story-in-depth of self search session was held in the second session, with story making and book making. In order to make the story search process a growth process of story-in-depth of self, thoughts were shared through open ques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tory-in-depth of self in the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session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a liking for realistic, aggressive, and greedy character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a negative reaction to a character who leaves home like a Jumukyi.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the shape of the graph changes according to the tendencies of the participants. When looking at the graphs of the participants, in the case of extroverted and active participants, a long graph appeared in the left and right, and in the case of introverted and passive participants, a dense graph appeared in the center. The story-in-depth of self search session is a rewriting process, one of the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methods. Participants who made the story based on their own characters or surrounding characters as the main characters from the MMSS-ON diagnosis were able to complete the story by the end.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s narrative is inside the participant. Conversely, the participants who made the story with their favorite characters as the main characters did not complete the story until the end.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s narrative is not within the participant or is not properly positioned. It was found that MMSS-ON is a useful tool for diagnosing story-in-depth of self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a story-in-depth of self diagnosis program using MMSS-ON. This stud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development, progress, and diagnosis result group, but did not deal with the individual participants' story-in-depth of self in depth. This will be continued through subsequent pap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in the development of literary therapy programs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우울증 상담에서의 자기서사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4 No.-

        우울증 상담에서 자기서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먼저 우울증 상담에서 자기서사를 활용할 때의 유의사항을 정리했다. 자기서사는 말하게 하기보다 쓰게 하는 것이 좋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기 경험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추게 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편하게 자기서사를 쓰고 그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야 한다. 내담자가 반론할 기회를 보장해주면서 상담자도 적극적인 의견을 개진해야 할 것이다.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대해 상담자가 특별히 착목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자기서사가 지리멸렬한 것은 내담자의 서툰 글쓰기 혹은 기억망실 현상과 긴밀한 관련이 있다. 나열의 구조는 내담자가 자기 삶의 특별한 부분을 알지 못한 데서 비롯하기도 한다. 또 자기 상처부분을 의도적으로 숨기려거나 아니면 상처부분을 자각하지 못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반복은 상황이나 사고 등에서 비슷한 대목들이 거듭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내담자의 실제 상황이 그러한 데서 비롯하기에 `부정적 상황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들이 `자동화된 부정적 사고`를 하기 때문에 자기서사에 특정 서술 구조가 되풀이되기도 한다. 삶의 구조가 아니라 삶에 대한 관점과 해석이 반복되는 것이다. 대조는 내담자의 자기 부정으로 귀결된다. 우울증 자기서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철되는 것은 `시간적 대조`이다. 초점화 부분은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내담자가 자기 삶에서 중요하게 생각한 부분이고 또 그것을 드러내고자 한 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상담자가 그 중심이나 정점의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의 과정은 자기서사의 수정 보완 과정이기도 하다. 상담 중 회상이나 자기 최면, 자기 진술의 절차를 통하여 내담자는 먼저 쓴 자기서사의 내용과 시각을 조정하면서 새로운 자기서사를 써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초 자기서사가 문제적인 것이라면, 그 문제성을 밝히고 극복함으로써 마침내 `대안적 자기서사`를 창출할 수 있다. 대안적 자기서사는 자기의 위대성을 발견하고 인정하는 쪽으로 귀결되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미래의 밝은 자기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며, 이미 그 속에 미래가 배태되어있다고 하겠다. 이상과 같은 자기서사의 다시쓰기 과정은 우울증 극복의 과정이기도 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ethods of applying self-narrative to depression therapy and foreground some problems in utilizing self-narrative. Writing is a better method for self-narrative than narrating. The counselor should provide some methods to help patients form a positive perspective on their own experiences. Counselors should also encourage patients to write self-narrative and talk about it in relaxing environment. While guaranteeing patients a right to object, counselors should actively express their own opinions. The paper suggests several points for counselor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Incoherence of self-narrative is closely related to either patients` lack of ability to write or their amnesia. Parallel structure of self-narrative is due to patients unawareness of their own lives` special events. It is also related to patients` intentional cover-up of the painful experiences or their inability to take notes of them. Repetition of similar circumstances and incidents in a self-narrative reflects patients` own lives, resulting in `a repetition of negative circumstances`. Since the patients of depression tend to have `automated negative thinking`, certain types of narrative structure repeat themselves. What`s exposed is not the structure of their lives but the repetition of their perspectives of and interpretations on their lives. Contradictions in self-narrative are led to their self-denial.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aspect in depression patient`s self-narrative is “time contradiction.” Foregrounded are moments patients consider significan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ose moments. The process of therapy is complementing and amending of the problematic self-narrative. It is desirable for patients to write a new self-narrative, while negotiating with their previous perspectives and contents through the process of retrospect, self-hypnosis, and self-narration. Exposing and overcoming of problems in self-narrative would help create `an alternative self-narrative`. This alternative self-narrative should lead patients to discovery and recognition of their greatness. It will be the source of creating a brighter self for future. Such process of rewriting self-narrative is also that of overcoming depression.

      • KCI등재

        설화 <여우구슬>을 활용한 문학치료적 글쓰기의 자기성찰 양상과 글쓰기 교육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자기성찰을 위한 글쓰기 방법으로 문학치료적 방법을 제안하고 그것의 실제 사례를 통해 자기성찰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서울 시내 모 대학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교양수업의 결과물이다. 설화 <여우구슬>을 활용한 이유는 설화가 보편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점과 청년기에 접어든 대학생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성과 사랑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성찰을 위한 글쓰기의 문학치료적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의 만남’이다. 이 단계는 다시 ①읽기와 듣기, ②감각적 활동으로 나뉜다. 여기서는 읽기와 듣기로 작품서사를 접하고 감각적 활동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작품서사를 경험하도록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자기서사의 노출과 의식화’이다. 이 단계는 다시 ①문학적 글쓰기, ②분석적 글쓰기로 나뉜다. 여기서는 문학작품의 ‘이어쓰기’를 통해 자기서사가 은연중에 노출되도록 하고 ‘분석적 글쓰기’에서 그것을 해석하여 의식화하도록 한다. 세 번째 단계는 ‘자기서사의 수정과 보완’이다. 이 단계에서는 분석적 글쓰기를 통해 드러난 자기서사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 그 결과가 이어쓰기의 수정과 보완으로 이어지도록 한다. 여기서는 학습자간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여우구슬>을 통한 이어쓰기의 내용적 특성과 자기성찰 양상을 살펴보면 다음의 네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첫번째는 아이와 선생님의 관계를 중심으로 행복한 결말의 이어쓰기를 하는 경우로 이성문제를 부모와 같은 어른에게 의존함으로써 해결하려는 특성과 관련된다. 두 번째는 아이와 선생님의 관계를 중심으로 불행한 결말의 이어 쓰기를 하는 경우로 이성에 대한 두려움이 커서 자신의 삶을 파괴할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가지는 것과 관련된다. 세 번째는 아이와 처녀의 관계를 중심으로 행복한 결말의 이어쓰기를 하는 경우로 이성에 대한 신뢰감과 관계 형성에 대한 낙관적 사고를 보여준다. 네 번째는 아이와 처녀의 관계를 중심으로 불행한 결말의 이어쓰기를 하는 경우로 이성에 대한 호감은 있으나 부모와 같은 어른의 개입으로 관계 형성이 자꾸만 좌절된다고 여기는 것과 관련된다. This paper is aimed to propose a literary therapeutic method as a writing technique for self reflection and examine the self-reflection pattern through an actual case. The actual case is the result of a literary arts class in ___University in Seoul. ‘The Bead of Fox’ has been chosen because it covers the universality of folk tale and college students’ sex and love. The literary therapy for self reflection is performed in order as follows. The first phase is ‘Meeting between Epic of Literary Work and Epic of Self.’ In this phase, ‘writing and listening to literary work’ and ‘sensual activities’ are performed. The second phase is ‘Exposure and Awareness of Epic of Self.’ In this phase, ‘subsequent writing’ and ‘analytical writing’ are done. The third phase is ‘Correction and Adjustment of Epic of Self.’ In this phase, ‘analytical writing through feedback’ and ‘correction and adjustment of subsequent writing’ are conducte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subsequent writing and selfreflection pattern through ‘the Bead of Fox’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First, happy ending is written for childrenteacher relationship. It is related with a tendency to take care of the maters associated with the opposite sex through an adult such as parents. Second, sad ending is written for children-teach relationship. This case is related with a big concern about a future life because of a fear on the opposite sex. Third, happy ending is written for children-virgin relationship. This case reveals a positive thinking on trust and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Fourth, sad ending is written for children-virgin relationship. This case is related with the destruction of relationship by frequent intervention by adults such as parents even though there is a positive feeling for the opposite sex.

      • KCI등재

        「黃陵夢還記」의 리텔링(Retelling) 方式을 活用한 自己敍事 글쓰기 敎育方法의 考察

        강우규(Kang, Woo-kyu)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황릉몽환기」는 조선시대의 리텔링 방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황릉몽환기」는 역사, 설화, 고전소설 등 다양한 서사양식의 내용들을 수용하고 리텔링하여 사대부가 여성들의 자기위안과 자기경계를 담은 자기서사인 것이다. 「황릉몽환기」의 리텔링 방식은 ‘二妃․太姒의 이야기’와 ‘정씨 이야기’를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먼저 ‘二妃․太姒의 이야기’는 기존의 역사, 설화의 내용을 재해석하고 인간적 비애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는 리텔링 방식을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공감과 자기위안을 얻도록 한다. 다음으로 ‘정씨 이야기’는 기존의 소설 속 내용을 재해석하여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열녀담론을 수용한 새로운 결말을 구성함으로써 독자들 스스로 사대부 여성으로서의 경각심을 일깨우도록 하는 것이다. 원텍스트로서 二妃․太姒․정씨에 관한 역사, 설화, 고전소설의 이야기를 ‘실제의 자기서사’로 이해한다면, 「황릉몽환기」가 리텔링한 이야기는 ‘가상의 자기서사’로 파악할 수 있다. 즉 「황릉몽환기」는 ‘실제의 자기서사’를 ‘가상의 자기서사’로 리텔링하는 자기성찰의 글쓰기인 것이다. 이러한 「황릉몽환기」의 리텔링 방식은 곧 현대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주목하고 있는 고전의 리텔링을 보여준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황릉몽환기」의 리텔링 방식은 대학생들을 위한 치유의 자기서사 교육방법을 제시해줄 수 있다. “Hwangreungmonghwangi” (黃陵夢還記) depicts a retelling method from the Chosun Dynasty era. Hwangreungmonghwangi is a self-narrative that includes content from history, tales, and classic novels. It discusses the self-comfort and self-boundaries of women. Hwangreungmonghwangi also looks at ways of retelling the stories of Chungssi, and Evie (二妃) and Taesa (太姒). The story of Evie and Taesa reinterprets history and traditional stories, and leads the reader through the story, adding information on human grief, gaining empathy and attaining self-comfort. The story of Chungssi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content of the novel, and allows the readers to construct a new ending, by accommodating the yeolnyeo (烈女) discourse. If you understand the history, legends, stories in the classic novel Evie·taesa·Chungssi as “actual self-narrative,” Hwangreungmonghwangi is a way of retelling stories that can be identified as a “virtual self-narrative.” In other words, Hwangreungmonghwangi is the writing of self-reflection to retell the “real self-narrative” as a “virtual self-narrative.” The method of Hwangreungmonghwangi is a retelling of a classic as depicted in modern liberal education. Therefore, the retelling method of Hwangreungmonghwangi provides a unique method of providing healing narratives for the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자서전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자서전 쓰기 교육의 새로운 방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3

        The first topic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utobiography and the theory of autobiography in Korean society. The second topic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s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new direction and potential of them. After reviewing the area and function of autobiography from the 8․15 Liberation of Korea to the 2000s, we found three types of autobiography. The first type is a classic autobiography. It identify the value of an individual's life with historical and universal value. In the process of trying to realize the ideal, it records the person's life growing into a great human being. The second type is an autobiographical notes. A new group emerged as a ‘writing entity’ who was the class most affected by social contradictions, but they were excluded from expressing their own unique experiences. As they became to record their daily experiences, they understood the nature of life and the contradictions of society at once. The third type is the combination of autobiography and psychology. It turns out that writing an autobiography has the effect of reflections and healing, self-knowledge and self-identity. This type has spread rapidly through autobiography writing public lectures in the 2000s. Currently, the concept and educational effects of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 at universities are concentrated in psychological areas. To settle this bias, it is necessary to open up various areas and effects of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 It is a way that classical autobiography and autobiographical notes can be reinterpreted that suits the young generation. For example, the classic autobiography can help young people that it integrates fragmented experiences and organizes prospects and insights in the life. It is another problem about autobiography and self-narrative writing at universities that it finds the way to expand the writer’s territory for other and world without being locked up in a closed place. We must create a new way of writing and form for autobiography. As it materializes, self-reflection and expression are always progressive to every individual what Diltai said about autobiography. 이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자서전의 역사적 전개양상과 자서전 원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뒤, 현재 대학에서 자서전과 자기서사 교육이 진행되는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자서전과 자기서사 교육의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자서전 양식의 역사적 고찰에서는, 8․15 해방 후 고전적 양식의 자서전 『백범일지』에서 출발하여, 1970년대 자서전 집필이 일반인에게 확산되면서 새로운 ‘쓰기 주체’로 노동자가 등장하게 된 과정, 노동자의 자전적 글쓰기가 개인의 삶과 사회의 모순을 통찰하고 자기해방에 이르는 양상, 그리고 2000년대 글쓰기 대중강좌에서 자서전과 심리학이 결합하면서 내면치유와 성찰, 자아정체성의 효과가 강조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딜타이의 이론에 근거하여 고전적 양식의 자서전 원리를 정리하고, 산업화 이후 자서전이 대중화되는 현상에 맞는 이론으로 이청준의 소설 「자서전들 쓰십시다」와 필립 르죈의 자서전 이론을 분석하였다. 2000년대 들어와서 글쓰기가 대중교양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되었으며, 글쓰기 대중강좌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자서전 쓰기 강좌는 1990년대부터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었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도 2010년을 전후하여 자기표현 글쓰기가 주목받기 시작했고, 자기서사 쓰기의 비중이 높아졌다. 또한, 2000년 이후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서사 쓰기가 심리적 효과에 기울어지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서전과 자기서사 쓰기의 방법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전적 양식의 자서전을 현대 청년세대들에게 맞게 재해석하여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개인이 삶을 기록하는 방법’과, 일상의 글쓰기에서 통찰과 자기해방을 획득하는 자전적 글쓰기를 적용하여 ‘개성적인 스타일로 자기 삶을 기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연대기적 자서전 쓰기의 한계를 벗어나고, 자서전의 내용보다 형식, 즉 ‘어떻게 쓸 것인가’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자서전 쓰기가 개인의 체험을 완결되거나 규정된 형태로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새로운 삶의 형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열린 글쓰기를 지향하였다.

      • KCI등재

        <구렁덩덩신선비>의 각편 유형과 자기서사의 관련 양상

        조은상 ( Eun Sang Cho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이 논문은 <구렁덩덩신선비>의 각편 유형이 어떻게 자기서사와 관련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설화 각편의 변이 원인 가운데 하나로 자기서사의 차이를 상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설화의 각편이 문학치료 현장에서 설화에 대한 참여자들의 반응을 예상하고 해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렁덩덩신선비>는 구연자료가 풍부하며 각편의 변이 양상도 뚜렷하여 이를 살피는데 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이 설화를 활용한 것이 처음이 아니며 연구자에 의해 <엎질러진 물>, <효 불효 다리>, <콩쥐팥쥐> 등을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바 있다. <구렁덩덩신선비>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서사의 전개에 따라서 4개의 하위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은 신선비의 출생부터, 장자집 막내딸과의 혼인, 금제 위반, 신부의 탐색 여행, 새로 얻은 부인과의 시합과 승리, 신선비와의 재결합 등의 서사가 모두 구연된 ``완결편``이다. 두 번째 유형은 완결편에서 막내딸이 새로 얻은 부인과의 시합을하고 승리하는 이야기가 빠진 것, 세 번째 유형은 완결편에서 신부의 탐색 여행과, 새로 얻은 부인과의 시합과 승리, 신선비와의 재결합이 빠진 것이다. 그리고 네 번째 유형은 금제 위반, 신부의 탐색 여행, 새로 얻은 부인과의 시합과 승리, 신선비와의 재결합이 모두 빠지고 신선비가 출생해서 막내딸과 만나 혼인하여 허물을 벗고 잘 산다는 것까지만 구연된것이었다. 4명의 참여자들이 다시 쓴 <구렁덩덩신선비>는 이렇게 네 가지 각편 유형 중 네 번째 유형을 제외 한 나머지 세 가지 각편 유형과 연관 지어볼 수 있었다. 각편 가운데 완결편이라 할 수 있는 첫 번째 유형에 해당하는 반응을 보였던 선옥씨는 막내딸의 입장이 되어 배우자와의 인연을 자각하고 그 인연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이야기에 공감하며 그러한 이야기를 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선옥씨가 부부간의 깨어진 신뢰를 회복해 나가는 이야기, 즉 ``배우자되찾기서사``를 드러낸 것이다. 두 번째 유형에 해당하는 반응을 보였던 희진씨는 ``배우자되찾기서사`` 에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남편의 재혼 사실을 감당하며 두 번째 아내를 마주하고 시합을 벌이는 것을 이야기에서 빼버림으로써 ``배우자되찾기서사``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이것은 곧 남편의 재혼 이나 여자문제 등과 관련해서는 희진씨의 ``배우자되찾기서사``가 발현되기 어려움을 의미하며 희진씨에게는 이러한 문제를 감당할만한 서사가 마련 되지 않음을 드러낸 것이다. 세 번째 유형에 해당하는 반응을 보였던 진영씨와 지은씨는 막내딸의 탐색 여행을 ``군더더기``라고 까지 표현하며 막내딸의 고난의 과정에 전혀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로 인해 막내딸의 잘못을 되돌릴 수 있다고 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영씨와 지은씨는``배우자밀치기서사``를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참여자들의 ``다시 쓰기``에서 네 번째 유형이 나타나지 않은 것은 네 가지 유형 가운데 이 유형이 다른 유형과 비교해 볼 때 유난히 적은 편수를 보였던 것을 감안했을 때 사례수가 적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구렁덩덩신선비>의 각편 유형은 문학치료 현장에서 참여자들이 <구렁덩덩신선비>를 읽고 다시 쓰기를 통해 반응한 결과물과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이 그러한 반응을하는 데에는 그들의 자기서사가 반영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each alternative version of Gureongdeongdeong Sinseonbi can be related with the epic of self and examine if the difference in epic of self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causes of change in alternative versions. In addition, it has been tried to figure out if the alternative versions c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to predict and analyze participants`responses on folk tales in literature therapy. According to a review on Gureongdeongdeong Sinseonbi, it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epending on narrations. The Gureongdeongdeong Sinseonbi which has been rewritten by the participants of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could be associated with three alterative versions except for the fourth type. In case of Seon-ok who has responded to the first vers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complete version among the alternative versions, a process of recovering trust between a married couple, so-called ``husband and wife recovering epic`` was observed. In case of Hui-jin who has responded to the second version, it is not easy to find ``husband and wife recovering epic`` regarding husband`s remarriage and cheating. In cases of Jin-yeong and Ji-eun who were included in the third version, ``husband and wife pushing epic`` in which a spouse`s betrayal would never be forgiven was detected.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fourth version was not observed in ``rewriting`` because of a lack of case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자기표현 글쓰기의 위상과 교육방법 연구

        심선옥 ( Shim Seon-ok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3

        2000년대 들어와 디지털기술이 발전하고 지식정보화시대가 도래하면서 교양교육에서 주체의 위상이 중시되었고, 그에 따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도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가 주목받고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 교육의 체계를 잡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조화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에 따라 혼용되는 개념들을 통일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00~2014년 사이에 발간된 대학의 글쓰기 교재들을 조사하여 성찰적 글쓰기, 치유적 글쓰기, 자기표현 글쓰기로 분류하고, 글쓰기의 목적과 이론적 근거, 글쓰기 방법 등을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근거로, 자기표현 글쓰기를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자기표현 글쓰기는 자신의 경험·생각·느낌 등을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존재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글쓰기의 주제와 제재가 ``자기 자신``일 경우 여타의 글쓰기 형식이나 관습의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글쓰기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 프로그램 중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자기서사 쓰기는 시간적 지속성과 인과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시간 중심의 글쓰기에 해당한다. 하지만, 갓 성인기에 진입한 대학생의 상황을 고려하고, 디지털시대에 맞는 탈문맥적이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융합·재생산되는 주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공간 중심의 글쓰기로의 전환이 요청된다. 자기표현 글쓰기에서 교수자의 적절한 지도는 글쓰기의 목적을 실현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를 위해 교수자는 쓰기 주체의 인지적 가능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질문자``의 역할을 맡아야 한다. 평가 기준의 경우, 논리적 글쓰기와 별개로 자기표현 글쓰기에 적합한 독립된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The status of Subject in the General Education is important by growth of the digital technology and coming of Knowledge-Information Era in the 2000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writing of ``Self`` come to the fore. In order to set up the system of education in ``Self`` writing, We should unify various concepts about ``Self`` writing and make educational program. This thesis researched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published for 2000-2014. It was extracted Self-reflection writing, Scripto-therapy, Self-expressive writing as key concepts. After explained the purpose of writing, theoretical basis, and writing method of three concepts, I determined that Self-expressive writing is a representative concept in ``Self`` writing. Self-expressive writing is liberal on writing form and content except that the writing subject is one`s own self. The self-narrative writing is used the most ``Self`` writing program. It is ``the significance of time`` writing by continuance of time and cause relationship. But ``the significance of space`` writing is suitable for university student in the digital technology era. The guide of professor is important factor for realization of purpose and advance of effectiveness in Self-expressive writing. It is necessary to make the assessment standard for special Self-expressive writing divided off logical writing and academic writing.

      • KCI등재후보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원진숙 ( Won Jin-sook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1

        이제까지 우리 작문 교육은 필자 자신의 긍정적 정서를 강화해 주고 바람직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자기 표현적 쓰기의 치료 분야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해 오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13개국 출신의 결혼 이주 여성들 70명을 대상으로 10주동안 자신의 삶을 주제로 한 한국어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실제 교수 학습 현장에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글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인가?”였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안된 한국어 쓰기 워크숍 프로그램은 '도입(warm-up)→이야기하기(small-talk)→미니레슨(mini-lesson)→초고쓰기(drafting)→공유하기(sharing)→마무리(follow-up)'의 절차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을 바탕으로 쓰기 기능을 신장시키고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우선적인 가치를 두는 것이었다. 본 프로그램을 투입한 결과, 이주 여성들의 한국어 쓰기 능력의 신장은 물론이고 자신의 삶의 이야기 나눔을 통한 소통과 치유, 더 나아가 서로 다른 문화적 차이로 인한 혼란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자기 표현적 글쓰기 경험이 매우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 far, Korea's writing education field has not been fully made research in self- expressive writing therapy for establishing writer's positive emotion and identity. So, this study tried to design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for the 70 foreign migrant women- suffering from language problem and cultural gap- and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 Research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will build up foreign migrant women's Korean writing competence. (2)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will establish foreign migrant women's positive identity. The Korean self-expressive writing workshop program to verify these hypothesis is composed of procedures such as warm-up, small talk, mini-lesson, drafting, sharing, and follow-up. This program aims at boosting writing competence and establishing foreign migrant women's positive identity.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a positive trend in boosting Korean writing competence and establishing identity of migrant women through communication and healing. These results might be attributed to the writing therapeutic effect of self-expressive writing.

      • KCI등재

        `자기 탄생설화 쓰기`의 문학치료적 가능성 탐색

        장만식 ( Jang Man-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0 No.-

        `자기 탄생설화 쓰기`는 자신의 탄생설화를 쓰는 과정이다. `자기 탄생설화 쓰기`는 `자기 삶의 서사`를 찾거나 형성하는 과정이고, 정립해 나가거나 통찰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최소한 `자기 삶의 서사`를 찾고, 이해하고, 발달시키는 데에 일정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과정이다. `자기 탄생설화 쓰기` 프로그램은 총 4회기에 걸쳐 수행되었다. 반구조화된 글쓰기와 더불어 자유로운 토론과 발표가 이뤄지도록 설계하였다. 반구조화된 글쓰기는 주로 설화의 이해와 감상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이다. 설화의 내용을 파악하고 기초적인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하여 원활한 토론의 토대를 형성하고자 함이었다. 그런 후, `자기 탄생설화`를 작성하여 발표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설문과 통계 그리고 사례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 탄생설화 쓰기`가 문학치료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어느 정도 확신할 수 있었다. `Writing of self birth-tale` is the process of writing their own birth-tales. `Writing of self birth-tale` is the process of finding or forming `self narrative of life`.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r insight. At least, the proces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at find, understand, development `self narrative of life`. `Writing of self birth-tale` program was carried out over a total of four sessions. Writing semi-structured, with free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as designed to ensure proper. Writing semi-structured is the basic data for mainly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dentifying the content of the narrative, and to organize basic their thoughts and feelings. so was smoothly to form the basis of discussion. Then, to write a self birth-tale, and it was announced Thus, Surveys, statistics, cas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be sure that `Writing of self birth-tale` could be very useful in literary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