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학(小學)>의 유포 양상-한국과 중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천위안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7 No.-

        The Chinese scholars have not sorted out the different versions of XIAOXUE. This paper compiled more than 70 versions of XIAOXUE from the So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In South Korea, there are some researches about the versions of XIAOXUE in the Joseon Dynasty. On this basis, the third chapter of this paper further investigated the versions of XIAOXUE during this period and discovered another 10 versions. Through reviewing the dissemination of XIAOXUE in China and Korea, it is found that XIAOXUE was only spread in ZHU clan early stage, and then spread over China in Yuan Dynasty and Ming Dynasty. Meanwhile, XIAOXUE was also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of Korea in this period. In conclusion of the dissemination, the teaching material of primary school in East Asia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XIAOXUE to some exten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heory of XIAOXUE was continually disseminated. In China, while criticized the XIAOXUE of Zhuzi, the scholars of Philosophy of heart also raised different theory of xiaoxue, even compiled new teaching material for primary school. In addition, the Confucianism of Korea translated XIAOXUE and sorted out correlative annotation materials rather than simply introducing to Korea. As a result, new version that accurately elaborated the meanings of XIAOXUE and ideology of Zhuzi came out. Therefore, neo-confucianism of Korea was positive and open. 『소학』에 대한 연구의 경우, 중국에서는 『소학』 판본에 대한 연구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주자 『소학』이 편찬된 이후 청말까지 중국에서 유행했던 『소학』과 주석서(註釋書)의 판본을 조사하여 70여 종을 정리했다. 또한 한국에서 기존 연구를 기초로 10 종의 『소학』 판본을 새로 발견하여 『소학』 판본 연구를 보완하였다. 중국과 한국에서의 『소학』 판본과 그 유포 양상을 종합해서 보면, 『소학』은 처음에 주자의 문인 사이에 유행하였다가, 중국 전역으로 유포되고, 나중에 또 조선으로 퍼져, 19세기 말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곧 『소학』의 유포로 볼 때, 주자 이후 동아시아 소학서는 주자의 『소학』에 일정한 기반을 두고 전개되었으며, 그 점에서 주자 이후 동아시아 소학사는 주자학적 소학론이 계속 확산되어간 역사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주자 이후 『소학』에 대한 보완에서 볼 때 중국과 한국의 소학사는 상이한 점이 발견된다. 명대의 담약수와 유종주 등 심학계열 학자들은 주자의 『소학』이 고소학이 아니라고 비판하는 취지에서 자신들의 소학론을 주자의 『소학』과 구별하고 대비하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대체로 주자 『소학』을 적극적으로 계승하고 발양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정약용과 같은 실학자조차도 주자 『소학』의 경문을 비판하고, 보완하였지만, 여전히 주자의 『소학』을 텍스트로 삼아 활용하고 보완하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 KCI등재

        三韓 ‘蘇塗’ 인식의 전개와 계승

        문창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논총 Vol.39 No.-

        『三國志』 東夷傳에서 蘇塗를 세운 것이 浮屠와 비슷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당시 중국의 불교 전래 상황과 연관된다. 곧 西域의 佛敎로 이해했던 중국의 蘇塗 인식은 『晉書』 東夷列傳이 편찬되었던 7세기에도 지속되었다. 崔致遠의 소도 인식은 당시 중국에 유포된 ‘金人佛像說’ 및 三韓 認識과 무관하지 않다. 신라의 佛敎史를 정리했던 「智證大師碑」에서 蘇塗의 儀式은 불교의 제사에 견주어 표현했을 가능성이 크며, ‘百濟蘇塗之儀’에서의 ‘백제’는 馬韓과의 역사적 연계사실보다는 당시 통일신라에 편입된 옛 백제지역 정도로 인식했을 법하다. 최치원의 소도 인식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는데, 蘇塗를 東方 佛敎의 기원으로 삼고 이미 西晉시대에 불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물론 삼한의 소도는 鬼神에 제사하던 중국 주변 종족의 고유 신앙의식 가운데 하나로 보았거나, 소도에서 大木을 세워 제사하는 의식이 滿洲의 立杆祭祀와 연관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이는 최치원 이래 전승되던 전통적인 소도인식에서 일견 벗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근대 이후 民俗學 방면에서 소도는 立木 또는 祭壇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東夷傳에 전하는 소도는 別邑과 결부되어 天君이 제사를 주관하는 신성공간으로 이해되었으며, 점차 神竿을 세운 聖域에서의 신앙의례 내지 종교의식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삼한 蘇塗信仰의 성격과 그 의의를 삼국의 祭儀 및 종교문화 속에서 접근하여, 소도 이후 그것을 계승한 흔적을 찾았다. 삼한시대의 신성지역으로서 소도는 불교 전래이후 寺刹이 대신하였으며, 소도의 불교적 변용은 불교와 기존 토착신앙과의 타협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종래 소도와 천군을 연결시켜 別邑의 신앙의례를 天君이 주관했던 것으로 보았다. 점차 천군과 별읍을 구별하여 천군은 國邑에서 상위의 天神제사를 주관하였고, 別邑에서는 巫적인 존재가 하위의 鬼神에 제사했던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蘇塗信仰은 본래 삼한 邑落 단위의 部落祭에서 발전하여, 小國의 성장으로 대두한 大國 단계에서 기존 읍락 별로 행해지던 信仰儀禮를 天神을 중심으로 하나로 묶은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소도인식의 계승작업은 소도의 역사적 의미를 그것이 포함되는 정치체계 속에서 이해하거나 사회발전 단계에 따른 제의의 변화과정 속에서 추구되어, 소도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소 그림의 테마별 유형에 관한 연구

        김성운(Kim, Sung W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소는 형이상학적 견지에서 볼 때 인간에게 매우 철학적인 동물이다. 동서고금의 화가들은 소 그림을 통해 인간사와 자연의 연결, 자신의 정체성 표출, 소신과 의지의 웅변, 해학적 카타르시스를 창출하였다. 연구자는 지난 15년 동안 소 그림을 연구해 온 경험을 토대로 현대의 작가들에게 또 다른 상상력과 창조력을 불어 넣기 위해 강한 영감과 개성있는 소 그림들을 선별하여 테마별로 분석 고찰하였다. 테마의 주요 유형은 고향의 향수·동심·모성애·우정·사랑·놀이 등의 서정 유희 테마, 농사를 배경으로 한 농경과 휴식 테마, 민족혼 저항 분노 고통의 메타포와 소싸움에 나타난 이념 투쟁 테마, 그리고 화가의 정신적 세계를 아우르는 사유 해학 테마이다. 그 중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테마는 농촌과 자연을 토대로 발현되는 서정·유희 테마이고 이어서 사유 해학 테마 부문으로 나타난다. 농경·휴식 테마 부문의 경우, 농우는 기계문명 때문에 소의 고유 역할이 소멸되어 점차 사라지고 주로 동양화, 한국화의 범주에만 일부 나타나고 있다. 이념·투우 테마 부문은 소의 공격성을 통한 투쟁심, 민족혼의 고취, 저항, 열정, 광기 등으로 나타난다. 사유·해학 테마 부문은 소 그림을 통한 작가의 자아와 예술혼의 실현, 유머·익살 등 자유분방한 동화적 힐링으로 치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ow is a very philosophical animal to people from a metaphysical standpoint. Painters of all ages and countries portrayed the following through cow paintings: linkage between human affairs and nature; self-identity; beliefs and intentions; humorous catharsis. As an artist that has explored cow paintings for 15 years, the researcher has analyzed and explored the cow paintings exuding strong inspiration and individuality by theme to improve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other artists. The main themes of the paintings are as follows: lyrical or amusing themes of hometown nostalgia, innocence of childhood, maternal love, friendship, love, or play; themes related to farming or relaxing; metaphor of ethnic spirit, resistance, rage or pain; themes related to ideology or combat depicted through bullfighting; the mentality of artists or humor. The most frequent themes of cow paintings are lyrical or amusing themes based on rural setting and nature, followed by mentality of artists or humor. In terms of themes related to farming or relaxing, the roles of farming cows have gradually disappeared due to machine civilization; they only appear in Oriental and Korean paintings occasionally. As for ideology or bullfighting-related themes, the following are expressed through the aggression of cows: fighting spirit; ethnic spirit; resistance; passion; madness. In terms of themes related to the mentality of artists or humor; the following are expressed through cow paintings: realization of self-identity and artistic spirit of the artists; free-spirited, fairy tale-like healing with humor and wit.

      • 조선전기 『소학(小學)』 이해와 그 학습서

        정호훈 ( Jeong Ho-hun ) 한국계보연구회 2016 한국계보연구 Vol.6 No.-

        조선 사회에서 15~6세기는 『소학』이 그 입지를 마련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 『소학』이 자리 잡아 가는 과정에서 필요했던 일 가운데 하나는 『소학』을 제대로 익힐 수 있는 학습서를 갖추는 것이었다. 이 작업은 크게 보아 『소학』 주석서의 구비, 원문에 口訣 붙이기, 번역서 마련 등 세 형태로 진행되었다. 『소학』 주석서는 15세기에 『소학집성』, 『소학집설』 두 종류가 구비되는데, 두 주석서는 책의 구성이나 주석의 내용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성종대 도입된 『소학집설』은 김종직계 사림들에게 크게 주목을 받았다. 口訣을 다는 작업은 세종, 세조대에 시도되었으며, 당시 구결 작업의 흔적은 『內訓』에서 일부 유추할 수 있다. 16세기 초에는 『소학집설』의 원문과 주석에 모두 구결을 붙인 책이 印刊되어 경상도 지방에서 유통되었다. 16세기 초반의 『飜譯小學』은 당시의 『소학』 이해와 관련된 모든 경험과 지식을 총괄하며 만들어진 최고의 학습서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사람들이 일상의 생활 공간에서 『소학』적 규범을 사유하고 행동할 때 이 책은 이를 돕는 적절한 책이 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 전반의 『소학』 학습서는 이후 주자학이 확산되어 나갈 때 주요한 바탕이 되었다. 이 책들을 기반으로 조선 정부, 조선의 지식인들은 『소학』 학습을 추진했고 나아가 이 책들의 경험에 기초하여 새로운 번역서와 주석서를 편찬했다. 16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小學諺解』의 간행, 李珥의 『소학집주』 편찬은 이전 시기 『소학』 학습서의 성과 에 기초한 것이었다. Elementary Learning was a foundational book that drove the social prolifera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on Dynasty. In terms of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this book greatly appealed to Choson scholars as a text designed for children to learn the principles of society management based on adult norms. Therefore, in seeking an easy way for people to study the book, a variety of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have been disseminat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State. In a early Choson Dynasty, the influential commentaries are Sohak Jibseong(小學集成) and Sohak Jibseol(小學集說). From the latter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these book became the foundational textbook for the study of Elementary Learning. the beginning of the sixteenth century, Choson scholars published Bunyeok Sohak(飜譯小學), translations of Elementary Learning.

      • KCI등재

        영남학파의 『소학』 중시가 가진 철학적 특징과 교육적 함의

        이상호(李相虎)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이 논문은 주자학과의 차별적 특징으로서 영남학파가 가진 철학적 특수성을 『소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희의 주자학 체계 내에서 『소학』은 ‘도문학 공부’의 필요성에 대한 것으로, 주로 ‘이치를 궁구’하는 단계인 『대학』의 이전 공부 단계 정도로 한정된다. 더불어 공부의 대상 역시 ‘어린아이’에 한정되며, 그 내용은 ‘개별 상황에서의 행위 양식을 직접 몸으로 익혀 습관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중심을 이룬다. 특히 여기에서는 왜 그러한 행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치’공부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학』은 철저하게 『대학』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과정으로서의 공부에 불과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정몽주와 길재를 잇는 사림파들에 의해 특히 『소학』이 강조되었고, 이들이 이후 조선의 학계와 정계를 지배하면서 『소학』은 그들의 정신세계와 가치를 강조하는 책이 되었다. 특히 이황과 그의 학맥을 잇는 영남학인들에게 있어서 『소학』은 사서四書의 반열에 오른 책이되었다. 『소학』을 통해서 충분하게 성인됨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독자적인 경전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주자학에 입문하면서 반드시 가장 먼저 공부해야 하는 ‘중요한 경전’이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황은 『소학』을 단순한 ‘도문학 공부’의 영역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경’을 완성시켜가는 ‘마음 공부의 요체’로 설명함으로써 주자학과는 뚜렷한 이론적 차별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주자학의 교육에 있어서도 기초와 기본을 강조하며, 공부의 궁극을 ‘실천’에 두는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학문적 특징은 퇴계학을 모토로 하는 영남학파의 중요한 성격으로 자리잡는다. 특히 영남학파는 ‘마음’을 강조하는 철학적 특징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에 기반한 강한 실천력을 자랑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소학 교육’의 특징과 일맥상통하는 영남학파만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that Yeongnam School different from Zhuxi’s Philosophy involves, focused on the perception for Sohak. Sohak in the system of Zhuxi’s Philosophy is mainly defined in the study stage degree before Daehak which is stage ‘investigating thoroughly principle’, as for the necessity of ‘Knowledge of Learning(Domoonhak)’. Moreover, object of study is limited in ‘children’, a core of the content is ‘to get well enough to behave like habit, becoming proficient directly by the body patterns of behavior in the separate situation’. Specially, There isn’t involved ‘principle’ study, why should do such a behavior. Thus, Sohak was merely study as the course which should be made a transition to Daehak.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specially Sohak was emphasized by Sarim faction that succeeds Jeong Mong-ju and Giljae, followers of Sarim faction control the academia and the political world of Joseon dynasty, so that Sohak became book which emphasizes their the world of spirit and value. Sohak, for Yeongnam scholars that suc ceed Yi-Hwang and his scholastic vein, became book which rises to the grade of The Four Books. By believing thought enough to become saint through Sohak, it was accepted as independent scripture, through it, Sohak become the first ‘an important scripture’ which has to study when enters Zhuxi’s Philosophy. Yi Hwang doesn’t limits simply Sohak only in the domain of ‘Knowledge of Learning’, but shows theoretical distinction from Zhuxi’s Philosophy by interpreting Sohak as ‘main point of study of mind’ which completes ‘Gyeong敬’. For education of Zhuxi’s Philosophy, these characteristics emphasize basics, and come out look which puts finality of study on ‘practice’. These scientific characteristics entrench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Yeongnam School which makes Toegye’s Philosophy their motto. Specially, Yeongnam School prides on strong action that bases on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it, starting from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which emphasizes ‘mind’, these is only characteristic of Yeongnam School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characteristic of ‘Sohak education’.

      • KCI등재

        『소학(小學)』을 통해 읽는 유교문명의 완성과 해체 - 『소학집주(小學集註)』,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 그리고 『소학독본(小學讀本)』을 중심으로 -

        정출헌 ( Chung Chulhe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문명전환은 고전의 번역과 궤를 같이 한다. 어떤 문명의 정수(精髓)를 담아내고 있다고 평가되는 고전은 그 전이와 번역의 과정을 거쳐, 한 문명을 다른 문명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조선시대의 문명전환도 이런 고전의 번역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유교를 국시(國是)로 내건 조선의 문명전환은 사서오경(四書五經)과 같은 유가(儒家) 경전(經典)의 정전화(正典化)를 통해 완성되고, 유교문명의 붕괴 또한 서구문명과의 접촉 과정에서 일어난 유가 경전의 해체와 함께 일어났다. 조선시대 문명의 완성과 붕괴는 유가경전의 정전화 또는 해체화와 궤를 같이 했던 것이다. 그런 문명전환의 과정에서 유교문명의 입문서라 할 수 있는 『소학』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다. 정전(正典)과 비정전(非正典) 또는 경전(經典)과 비경전(非經典)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들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소학』은 처음에는 입신수단으로 읽혔지만 성종대 `소학계(小學契)`의 사례에서 보듯, 점차 실천윤리의 전범으로 받아들여졌다. 뿐만 아니라 정치이념을 제공하기도 하고 학문적 권위를 제공하기도 했는데, 그런 면모를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편찬한 『소학집주(小學集註)』와 그걸 토대로 번역한 『소학언해(小學諺解)』에서 확인하게 된다. 이이는 『소학』을 사서와 함께 오서오경(五書五經)이라는 경전의 반열에까지 끌어 올렸던 것이다. 유교문명 절정의 순간이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소학』의 권위는 조금씩 흔들리는 조짐을 보였다. 이른바 해동속소학류(海東續小學類)의 편찬이 그것이다. 유직기(兪直基)의 『대동가언선행(大東嘉言善行)』, 황덕길(黃德吉)의 『동현학칙(東賢學則)』에 이어 1894년 편찬된 박재형(朴在馨)의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은 그런 조짐의 한 극단을 보여준다. 주자가 편찬한 『소학』의 체제를 따르고는 있지만, 그 내용을 조선의 선현(先賢)으로 완전히 대체하고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갑오개혁 이후 1895년 학부편집국에서 편찬한 『소학독본(小學讀本)』은 그 체제는 물론 내용까지 『소학』과는 완벽하게 달라진다. 주자의 『소학』은 이름만 유지했을 뿐 근대 수신서로서 탈바꿈한 것이다. 유교문명 해체의 순간이다. 이처럼 『소학』의 정전화와 해체화 과정은 유교문명의 완성과 붕괴를 가늠하는 잣대이기도 했던 것이다. The conversion of a civilization goes with the translation of classics. A classic is converted from one civilization to another through spread and acceptance. The conversion of civil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also can be explained by the translation of classics. Joseon`s Confucianism civilization was completed by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Saseosamgyeong(四書三經), and the collapse of Confucianism civilization was also caused by the dissolu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Meanwhile, Sohak(小學),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responded sensitively. In the beginning, Sohak was read as a means to pass the Gwageo, but soon it was read as a practical text. Furthermore, it had an academic authority. Yulgok(栗谷) Yi I(李珥)`s Sohakjipju(小學集註) is a proper example. Sohak was promoted to scripture by Yulgok. It was the best moment of Confucianism civilization. However, since the 18th century, Sohak`s authority has been threatened by publication of Haedongsoksohak(海東屬小學) books such as Yu Jikgi`s Daedonggaeonseonhaeng(大東嘉言善行), Hwang Deokgil`s Donghyeonhakchik(東賢學則), and Bak Jaehyeong`s Hadongsoksohak(海東屬小學, 1894). Besides, Sohakdokbon(小學讀本, 1895), published by Hakbupyeonjipguk, was totally differentiated from Sohak. Sohak became a modern self-improvement book. This is the moment of the dissolution of Confucianism civilization. In summary, Sohak(小學)`s promotion and demotion meant the completion and collapse of Confucian civilization.

      • 금한동 동제의 소도천제(蘇塗天祭) 성격

        김용기(Kim, Yong-gi)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6 No.-

        고문(古文)과 구전(□傳)에 천제(天祭)를 지냈다고 전하고 있으나, 그 옛날에 천제를 어떻게 지냈는지 자세히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동양에서는 천(天), 지(地), 인(人)을 우주의 구성요소로 본다. 그러므로 모든 신(神)을 구체적으로 구별하여 다른 말로 천신(天神), 지신(地神), 인신(人神=산신(山神)과 조상신(祖上神))으로 나누어서 소도천제(蘇塗天祭)에서 제사(祭司)를 지내 온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천신(天神)은 최고의 신이므로 특별히 제일 먼저 언급했으며, 자연히 천신에게 먼저 제사를 올리므로 천군(天君)이 제사를 주관하게 된다. 소도천제는 삼한시대에 소도에서 제사장 천군이 하늘에 제사 지내는 현상을 비교적 자세하게 알려 주는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각목(角木)이 어떻게 생긴 나무인지, 산상(山像)이 어떤 모양인지 또 어떤 일이 어떤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행사(行事)인지는 알 수는 없다. 한편, 금한동 동제는 산에서 가장 큰 나무를 택하여 신체(神體)로 모시는 제사다. 정초에 생기복덕(生氣福德)에 맞는 사람을 뽑아 집사와 헌관을 정해 놓고, 정월 대보름 전에 손 없는 길일을 택하여 천제 제사 지내는 날 자를 정한다. 집사와 헌관이 정해지면 ‘금한동천제(琴閑洞天祭)’를 지낸다. 금한동천제는 몇 가지 문화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제사터를 가진 국내 유일한 소도천제라는 점이다. 둘째, 소도천제와 금한동천제는 단군신화를 시각적으로 연출하여 “천손사상(天孫思想)을 극대화하여 드러내는 제천의식”이다. 셋째, 웅상을 신주로 모시고 천신, 인신, 지신의 삼신(三神)에게 차례로 올리는 천제임이 증명되었다. 넷째, ‘오가지옥(五架之屋)’을 짓는 경험과 구전되어온 진설 방법 등을 통해 전승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ld literature and oral tradition, it is said that a celestial rite was held. However, it is not known in detail how he conducted the celestial festival. It seems that the ancestral rites were held at Sodocheonje[蘇塗天祭], divided into heavenly gods, earthly gods, human gods, mountain gods, and ancestral gods. In particular, the heavenly god is the supreme god. SodoCheonje[蘇塗天祭] tells in relatively detail how the priests held ancestral rites to the sky in Sodo[蘇塗] during the Samhan period[三韓時代] However, it is not known what lumber[角木] looked like. We do not know what the mountain statue[山像] looks like. Also, it is not known what kind of even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what procedure. On the other hand, ‘Geumhandong[금한동]’ Cheonje[天祭] is an ancestral rite in which the biggest tree in the mountain is selected and worshiped in the form of a god.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people who perform ancestral rites are selected and ‘Geumhandongcheonje[琴閑洞天祭]’ is held. ‘Geumhandongcheonje[琴閑洞天祭] has several cultural historical meanings. First, it is the only Sodocheonje[蘇塗天祭] in Korea that has a ancestral rite site. Second, ‘Geumhandongcheonje[琴閑洞天祭]’ is a rite of ancestral rites that maximizes and reveals the idea of a heavenly son[天孫思想]. Third, it is a heavenly rite in which the heavenly gods, human gods, and earthly gods are raised in order.

      • KCI등재

        소 사육업자의 인수공통감염병 관련 요인

        유석주 ( Seok-ju Yoo ),임현술 ( Hyun-sul Lim ),이관 ( Kwan Lee ) 대한보건협회 2016 대한보건연구 Vol.42 No.3

        연구목적 : 이번 연구는 국내 소 사육업자들의 인수공통감염병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인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맞춤형 인수공통감염병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 2월부터 7월까지 각종 단체 행사에 참여한 전국의 소 사육업자 중 무작위로 추출하여 선정한 후, 연구참여에 대하여 자발적 동의를 한 4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소 사육업자들의 단체 행사 일정을 미리 파악한 후, 설문요원이 직접 행사장을 방문하여 일 대 일 면접조사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 사육업자들의 인수공통감염병과 관련된요인들을 작업과 관련된 것과 작업 이외의 식습관 혹은 인지도와 관련된 것으로 분류하여 이를 각각 소 사육업자들의 인적특성에 따라서 단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인수공통감염병 관련 요인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인적특성 변수들은 서로 보정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인수공통감염병 관련 요인 노출 유무에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선정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제시하였다. p 값은 0.05 미만인 경우를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 소 사육 작업 관련하여 농장이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인증을 받은 경우는 소 사육두수가 50두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50-99두, 100두 이상 사육하는 대상자에서 각각 2.0배(95% CI, 1.1-3.8), 5.4배(95% CI, 3.0-9.5) 유의하게 많았다. 최근 1년간 소 인공수정 작업에 참여한 경우는 사육 두수가 50두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50-99두, 100두 이상인 경우가 각각 1.8배(95% CI, 1.0-3.3)와 2.4배(95% CI, 1.4-4.2) 유의하게 많았다. 작업 중 소 분비물을 맨 손으로 접촉한 경우는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5.2배(95% CI, 1.7-15.7) 유의하게 많았으며, 소 사육 두수가 50두 미만인 경우보다50-99두, 100두 이상인 경우가 각각 2.6배(95% CI, 1.5-4.7)와 4.2배(95% CI, 2.4-7.4) 유의하게 많았다. 작업 이외 인수공통감염병과 관련된 요인 중에서 최근 1년 이내 소 생고기를 섭취한 경우가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2.4배(95% CI, 1.1-5.0) 유의하게 많았고, 소 사육 두수가 50두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100두 이상 사육하는 대상자에서 2.0배(95% CI, 1.0-3.8) 유의하게많았다. 최근 1년 이내 소 부산물을 생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4.0배(95% CI, 1.8-9.0) 유의하게 많았다. 소의 질병이 사람에게도 감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는 교육 수준이 중학교 졸업에 비하여 고등학교 졸업에서2.5배(95% CI, 1.4-4.6) 유의하게 많았으며, 소 사육 두수가 50두 미만인 경우보다 50-99두, 100두 이상인 경우에서 각각3.3배(95% CI, 1.8-6.0)와 5.4배(95% CI, 2.8-10.4)로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 소 사육 두수가 적은 소규모 농장의 사육업자들에게는 인수공통감염병 인지율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HACCP 인증장려를, 소 사육 두수가 많은 사육업자들과 남성들은 보호구 착용 강화 및 식습관 개선에 중점을 두는 특성에 따른 맞춤형예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Objective: We surveyed zoonoses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ttle farmers to establish customized policy to prevent zoonoses. Methods: We visited several group events of cattle farmer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duration and the number of breeding cattle, and the zoonoses related factors linked to the breeding of cattle, eating habits and awareness among 407 cattle farmers. We selected the significant variables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d the zoonoses related factors. Results: Among cattle farmers, the subjects who raise more cattle tended to obtain more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certification, participate in the work on artificial insemination of cattle more often, have more experiences of bare-hand contact with secretions of cattle during work, have more experiences of eating raw meat, and have high awareness rate about zoonoses. Male had more experiences of eating raw meat or residual product of cattle than female. Also, male had more experiences of bare-hand contact with secretions of cattle during work than female. Conclusion: For cattle farmers who raise cattle on a small scale, more education about zoonoses and encouragement of HACCP certification are necessary. For cattle farmers who raise cattle on a large scale and male farmer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rotective equipment wearing and improvement of eating habit to prevent zoonoses.

      • KCI등재

        조선시대 문과 응시자격에서 소과 입격의 문제 검토

        이상무 ( Lee Sangmoo )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과의 응시자격 중에 소과와 문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동안 문과 응시자격에서 소과와 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었으며, 이 중에서 소과에 합격해야 문과에 응시할 수 있다는 주장이 가장 널리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각종 규정, 사례를 확인한 결과 소과에 합격하지 않아도 문과에 응시할 수 있는 사례가 조선 초기부터 등장하였으며, 『경국대전』을 비롯한 각종 규정을 확인해보아도 소과에 합격해야 문과에 응시할 수 있다는 규정은 없었다. 이를 통해 소과에 합격해야 문과에 응시할 수 있었다는 주장의 근거들은 매우 빈약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문과 응시자격에서 소과와 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반드시 재검토 되어야 하며, 소과의 합격여부와 상관없이 문과에 응시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 가장 설득력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gwa(소과) and Mungwa(문과) in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of Mungwa(문과).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various claims about the relationship Sogwa(소과) and Mungwa(문과), and the main argument was that an applicant must pass Sogwa(소과) to get a qualification of Mungwa(문과). However,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regulations and cases, there have been cases that get a qualification of Mungwa(문과) without passing Sogwa(소과)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even if I check the various regulations including Kyunggukdaejeon(경국대전) , there was no provision that an applicant should pass Sogwa(소과) to get a qualification of Mungwa(문과).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sis of the argument that the applicant had to pass Sogwa(소과) was very po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gwa(소과) and Mungw(문과) in the qualification of Mungwa(문과). It was the most persuasive argument that an applicant was able to take Mungwa(문과)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Sogwa(소과) passed.

      • KCI등재

        『小學』의 편찬과정과 후대에서의 인식

        陳媛,劉暢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연구 Vol.39 No.-

        주자의 『소학』에 대한 연구는 보통『소학』의 편찬 과정을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본 논문에 서는 『소학』의 편찬 과정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1185년 2월 이전에 간행된 악주본 『小學』은 최초의 판본으로 현 판본과 크게 다르다. 1187년 3월에 나온 『小學』의 최종 판본 형주본 『小學』은 주자와 유청지가 공동으로 편집하고, 蔡季通 등 주자의 다른 여러 제자가 일부 수 정 작업에 참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소학』의 편찬이 완성되면서 書名이 곧바로 정 착되고 책의 성격이 곧바로 정착되었던 것이 결코 아니다. 주자 이후 『小學』을 가리킬 때 ‘小學之書’, ‘小學書’, ‘小學’이라는 세 가지 명칭이 나타나 오랫동안 병행하여 쓰였다. 송대와 원 대에 ‘소학지서’와 ‘소학서’가 더 많이 사용되었지만 명대에 들어와서 명칭은 점차 ‘소학’으로 정착되었다. 目錄書에서 『小學』은 송대와 원대에 주로 동몽의 텍스트로 다른 동몽서와 훈고 음운학 저서들과 함께 분류되다가 명대, 특히 청대중후기에 이르러 儒家類에 분류되어 정착 되었다. 이것은 『小學』의 명칭이 ‘소학’으로 정해진 의미와 마찬가지로 어린이가 배우는 동몽 텍스트에서 더 나아가 유학 공부에서 빠질 수 없는 성리학 경전으로 그 위상이 바뀐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런 특징은 주자『小學』에 대한 역대 학자들의 평가에서도 나타난다. 송대와 원대에 『小學』의 위상은 많은 사대부들에게 있어서 동몽의 텍스트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지 만, 명대 학자들에 의해 『小學』은 궁리공부와 떨어질 수 없는 함양공부로 바뀌었다. 『小學』의 함양공부라는 위상은 결국은 명대에 이르러서야 명확해졌다. Study on the achievement of Xiaoxue was generally around its compilation when it was finished in 1187. However, the compilation of Xiaoxue does not mean the final completion in the Academic history. Zhuzi wrote the preface to it which marked the birth of Xiaoxue. Nevertheless, the neo-Confucianism of this book did not accepted by academia while acting as a primer for children for a long period. This is reflected in two aspects: first, Xiaoxue as a title of book was not determined for a long period. Book of Xiaoxue, Xiaoxue book and Xiaoxue has been combined in Song and Yuan dynasty, in which the first two were mainly given. Finally, it unified as Xiaoxue until Ming dynasty. Second, all bibliographers of the past were always indeterminate to the classification of Xiaoxue for long-term in the directory of books. Especially during the Song and Yuan dynasties, Xiaoxue was classified as children copybook, namely "Xiaoxue clas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Xiaoxue was finally classified into "Confucianism class" with other books of sexually neo-Confucianism. It also marked Xiaoxue as cultivation of nature of the Confucianism meaning, which was widely recognized. The title of Xiaoxue was established and finally classified as the "Confucianism class", which marked the achievement of Xiaoxue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addition, the research on the completion process of Xiaoxue by academia was not careful and complete. Zhuzi and his pupils Liu Qingzhi began to compile Xiaoxue from 1183 and finished it until 1187, which lasted four years. In this period, there were two versions: Ezhou and HengZhou versions. In this paper, we did compare these two versions in detail, and have don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xisting popular version to explore how Xiaoxue to compose a book step by step. Also need to point out is the editor problem. The view of academia was not rigorous on this problem.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Xiaoxue and gave the conclusion again on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