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구연(陸九淵)의 강학활동(講學活動)에 대한 연구

        고재석 ( Jae Suk Go )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這篇文章的目的在於考察陸九淵的講學活動. 南宋時期的學者大多以`精舍`或`書院`爲主, 傳播聖人之道, 以鞏固自己的學術觀點, 形成自己的獨立學派. 呂祖謙的麗澤書院,張식的嶽麓書院,朱熹的白鹿洞書院,陸九淵的象山精舍都是其中的事例之一. 其中, 象山精舍是陸九淵晩年離開朝廷官職生涯, 回到貴溪的應天山興建的講堂. 在這裏他向弟子們傳授自己的哲學思想, 潛心硏究和鞏固自己的心學, 努力培養後輩弟子. 實際上, 陸九淵進行講學活動的時期, 除此之外還有兩次. 34歲時, 通過省試及第後, 最初在臨安進行了講學活動, 而後回到金溪在他44歲的開始官職生活之前, 在居所東邊的槐堂進行了10餘年的講學活動. 特別是, 在其槐堂講學期間具有中國哲學史上不可忽視的著名的`鵝湖之會`和`白鹿洞講義`, 同時在此期間培養了諸如楊簡,哀燮,舒璘,傅子雲等傑出弟子. 但是, 現在有些學者們根據陸九淵在淳熙元年(1174)到臨安任職靖安縣主簿, 竝於淳熙6年(1179)改任崇安縣主簿的《年譜》記載, 認爲在這個時期他經歷了官職生活. 但是, 根據《行狀》,《語類》以及朱熹的書信等資料分析, 在這時期陸九淵竝沒有完全赴任官職, 而只是接受官職後處於待命狀態, 竝且幾乎在槐堂熱衷於他的講學活動. 也就是, 他在淳熙9年(1183)開始任4年朝廷官員以及在荊門度過一年半的官場生活之外, 大部分時間都專注於講學活動. 他的講學活動大致具有如下特點. 第一, 陸九淵竝沒有拘泥於强制性學規或外在的法規制度, 强調學生自身的自律性. 他認爲, 任何人所具有的“本心”可以判斷自己行爲的正確與否, 同時本心可以提示適中的標準, 因此按照這種本心行事, 就不需要一成不變的限制制度或類似的强制性方式. 他主張, 不要過分專注于類似寫文章一樣的心外之物, 以本心爲主的核心思想引導和改變弟子. 第二, 不過分强調讀書. 在象山精舍講學時, 他的藏書竝不多, 竝且在槐堂主張與其解釋《禮記》中的文字, 不如更加重視“九容”, 在臨安强調“本心”的發現等都表明, 他相比對經典的解釋, 更加强調存在著其他優先應關注的東西. 盡管如此, 陸九淵竝沒有否定讀書. 在象山精舍, 他要求熟讀《孟子》的〈告子〉篇等表明, 他認爲書籍作爲解釋人們內心的注解, 作爲樹立和擴充本心的輔助方法有必要進行熟讀. 第三, 講學的目標是任何人都可以成爲聖人. 人自出生開始就會擁有先驗性的, 能구判斷對與錯的良知以及正確處事的良能, 因此, 任何只要樹立這樣正確的心境, 不斷付諸行 事的人都可以到達聖人境界. 在《宋元學案》中, 與〈象山學案〉一起特別提到〈槐堂諸儒學案〉, 這些都是他竝未一味追求安逸的生活, 而是懷췌聖人之道, 努力實踐聖學之道, 從事講學活動的結果.

      • KCI등재

        『육미당기』의 근대적 전변 양상 연구

        김유진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동서인문학 Vol.- No.66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aspects of classical novel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focusing on Yukmidanggi(六美堂記), with the theme of change in media and spread of distribution. Yukmidanggi created by Seo Yoo-young(徐有英, 1801~1874) was originally a reading material for literary men of the nobility who had a relationship with Seo Yu-yeong, but it was popularized after it was translated into Korean as Kimtaejajeon(金太子傳) and published serially in Maeilsinbo(每日申報) in 1914. Nokdong(綠東), who serialized Kimtaejajeon, translated the Chinese version of Yukmidanggi into Korean with Choi Yeon-taek and serialized it under the title ‘Kimtaejajeon’, with a total of 112 episodes. Choi Yeon-taek was a publisher and a person who compiled yadam magazines in the 1920s and 1930s. Readers' desire to own novels was reproduced in a way to keep newspaper serial novels in the form of transcription. Kyujanggak’s Kimtaejajeon and other manuscripts named ‘Kimtaejajeon’ are such examples. Publishers who snatched the desire of the reading public immediately printed Kimtaejajeon by letterpress printing. As a result, the old printed version Kimtaejajeon began to be commercialized as a mass print. Meanwhile, Lee Bo-sang(李輔相, 1882~1948) serializes Ildangyukmi(一堂六美), a novel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n the 1937 Maeilsinbo(每日申報) adapted from Seo Yoo-young’s Yukmidanggi into a novel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ldangyukmi shows a reverse transformation away from both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old novel by sticking to the Chinese character string syste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projection of snobbism desir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or rewriting Yukmidanggi, nationalistic narrative consciousness was removed. This observation not only underscores a significant aspect of the novel’s modern transformation but also suggests a broader trend in the adap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o contemporary settings. It highlight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dentity and literary evolution, offering a valuable perspective on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historical texts are reinterpreted for modern audiences.

      • KCI등재

        『東野彙輯』 소재 「六臣立節仗危忠」의 인물 형상화와 서사 구성 방식에 대하여-「六臣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강석 우리한문학회 2022 漢文學報 Vol.47 No.-

        「Yuksinjeon(六臣傳)」 which testified to Sayuksin(死六臣)'s fidelity, was treated as a disturbing secret story before Sayuksin was restored. The situation in which not only the text of 「Yuksinjeon」 itself but also the main character Sayuksin could not be free to mention caused the birth of 「Wonsaengmongyurok(元生夢遊錄)」. It also focused on portraying Sayuksin's indignation and fidelity. For this reason, Sayuksin's figure revealed in the 「Yuksinjeon」 has become a historical truth and still firmly imprinted. 「Yuksinipjeoljangweichung」 in 『Dongyahwijip』 is based on 「Yuksinjeon」, bu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t was the point that erased the indignation and highlighted the image of the fidelity. This is because Sayuksin's image removes resentment and features King Danjong(端宗), who did not appear in the 「Yuksinjeon」. This difference does not seem to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even though it is due to narrative changes that dismantle and reorganize the existing narrative and expand the width by adding new storie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tory and the original was that protesting against King Sejo's injustice was fidelity to King Danjong, which solved long imprinted dilemma of ‘Fidelity’, and at the same time clearly pointed to Sayuksin's fidelity. Although the method of portraying the same object as Sakyuksin was different, but this also putting Sayuksin in the same class as Bo-yi(伯夷) and Shu-qi(叔齊), Yán Guāng(嚴光). Nam Hyo-on's vow, which he declared by making an 「Yuksinjeon」, "It cannot destroy the name of the loyalist to avoid death,” was still being implemented in 「Yuksinipjeoljangweichung」. 사육신의 충절을 증언한 남효온의 「六臣傳」은, 사육신의 복권을 통해 그들의 충절이 사회적으로 공인되기 이전까지 불온의 비전으로 취급되었다. 「육신전」이라는 텍스트 자체는 물론, 그 주인공들에 대한 언급조차 자유로울 수 없었던 상황은 「元生夢遊錄」과 같은 텍스트의 탄생을 추동했다. 그 또한 마찬가지로 사육신의 비분함과 충절을 그려내는 데에 주력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육신전」이 그려낸 사육신의 형상은 역사적 진실로 자리매김하여 지금까지도 굳건히 각인되어 있다. 『東野彙輯』에 실린 「六臣立節仗危忠」은 「육신전」을 모본으로 하지만, 찬자의 편찬의식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동반하고 있다. 사육신의 형상에서 비분함을 지워내고, 「육신전」에 등장하지 않았던 단종을 등장시키고 있는 점이 그러하다. 이러한 차이는 기존의 서사를 해체하여 재조직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추가해 편폭을 확대하는 서사적 변화에 기인한 것임에도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가 갖는 모본과의 차이는, 세조의 불의에 대한 항거가 곧 단종에 대한 충절이라 오랫동안 각인되었던 ‘忠節’의 딜레마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육신의 충절이 향하는 방향을 명확히 가리키는 것으로 귀결된다. 사육신이라는 같은 대상을 그려내는 방식은 달랐지만, 이 역시도 사육신을 그 옛날 백이와 숙제, 엄광과 같은 반열에 올려 놓았던 것이다. 남효온이 「육신전」을 지으며 천명했던, ‘죽음을 아껴 大賢의 이름을 인멸시킬 수 없다’는 공언은 이렇듯 「육신입절장위충」에서도 여전히 구현되고 있었다.

      • KCI등재

        17세기 후반 지식인의 소옹(邵雍)·륙구연(陸九淵)·진량(陳亮) 수용 양상 연구-졸수재(拙修齋)와 삼연(三淵)을 중심으로-

        이승주 ( Lee Seang-su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陸九淵과 陳亮, 그리고 邵雍은 유학자이면서도 조선조 지식인들에게 소외되었던 인물이다. 그런데 연원과 지향이 다른 세 사람의 사상은 17세기 후반 들어 拙修齋 趙聖期(1637∼1689)와 三淵 金昌翕(1653∼1722)에 의해 긍정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다. 당시 상황을 고려할 때 세 사람의 사상은 각각 자연·인간·사회의 발견을 지향한다. 象數學은 자연의 과학적 질서를 발견하게 되는 내적 계기로 작용하였다. 象山學은 윤리와 이념에 의해 억압된 마음의 잠재된 능력과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事功學은 사회의 제반 모순의 발견에서 발생하였는데, 공리공론의 허위를 배격하고 제도의 개혁과 산업의 발전을 통해서 실제 삶의 질을 개선하려고 하였다. 세 학문은 표면상 두드러지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한 지점에서 모이기도 하고 흩어지기도 하면서 18세기 조선 사상사의 역동적인 흐름의 일맥을 형성한다. Lu Jiuyuan, Chen Liang, and Shao Yong were scholars of Confucianism who were marginalized by intellectuals during the Joseon Era. Nonetheless, the ideologies of these three people having different origins and orientations were perceived positively by the end of the 17th century by Cho SungKi(1637∼1689) and Kim Chang Heup(1653∼1722). Considering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e ideologies of Lu Jiuyuan, Chen Liang, and Shao Yong tended towards nature, human beings, and society, respectively. Xiang shu xue served as an internal turning point where the scientific order of nature is discovered. Xiang shan xue contributed greatly to the discovery of human beings latent potential and new aspects that are repressed by ethics and ideologies. Shi gong xue discovered the paradox in all aspects of the society, rejected false academic discussions, and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societal reform and industrial advancement. These three camps formed a dynamic streamline in the history of Joseon ideology during the 18th century, sometimes meeting at a certain point and dispersing although they were not noteworthy on the surface. This research paper is a close examination of the initial state of this flow.

      • KCI등재

        최근 발견된 주요 륙조묘(六朝墓)

        위정,김봉근(번역)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7

        當도의 "天子墳"은 의심의 여지없는 중요한 東吳墓이다. 그러나 東晉南朝墓의 발견은 유물, 부장품의 배치, 묘의 봉토축조와 보호방식, 제사시설 및 묘역의 구획 등 제도 방면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최근 중국 고고학은 출토유물을 중시하던 과거의 인식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六朝墓 중 과거 등한시되었던 부장품의 공간적 분포, 사회·정신적 문화를 반영한 특수유물, 제사시설, 고분군의 분포양상 등 여러 중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관련 학술회의를 개최하는 등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학술회의의 주제 역시 더 이상 부장품의 분기 설정 및 역사적 배경과의 관계 등 상대적으로 단순한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고고학 역시 역사학, 사회학, 민속학 등 여러 방면의 학문과 이전에 없던 밀접한 관계를 맺기 시작하였으며, 상호협력하고 있다. "Tianzifen" tomb found in Dangtu County is undoubtedly an important tomb of the Eastern Wu period. However, tombs of the Eastern Jin and the Southern Dynasties are of greater significance in aspects such as system. This is not only reflected in the unearthed objects, but also in the layout of burial objects, the way of tomb sealing and protection, as well as the sacrificial remains and cemetery planning. In recent years, Chinese archaeology has changed from the past valuing burial objects to attaching importance to relic scenes, while topics discussed are no longer limited in relatively simple questions like the staging of burial objects 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What``s more, the connection between archaeology and other disciplines like history, sociology, and folklore is becoming closer than ever before. We hope that recent important archaeological discoveries of the Six Dynasties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Baekje culture as well.

      • KCI등재

        <六美堂記> <附批評>의 비평적 관점

        민선홍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4 고전과 해석 Vol.43 No.-

        이 글은 徐有英(1801~1876?)의 한문장편소설 <六美堂記>에 부기된 비평 텍스트 <附批評>에 나타난 비평적 관점을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육미당기> <부비평>은 19세기 소설 비평 및 <육미당기> 연구에 있어 주요 자료 중 하나임에도 양과 질의 소략함으로 인해 그 내용을 깊이 음미하거나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미진했다. 사전작업으로 <부비평>의 선본을 검증하는 한편, 비평이 이루어진 시기 및 평자들과 저자의 관계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기존에 통용되던 가람본이 아닌 서강대학교 로욜라 도서관 소장본이 보다 높은 완성도를 보인다는 것, <부비평>이 쓰인 시기는 1864년부터 1867년까지 3년에 걸쳐있으며 평자들 중 駱山 詩社 멤버들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이후 본격적인 분석으로 들어가 <부비평>에 수록된 15건의 평을 흥미성, 재창작 기법, 지적 역량에 대한 것으로 유형화하였다. 먼저 소설이 주는 흥미성에 주목한 평이다. 평자들은 <육미당기>의 스토리와 서술 기법에 관심을 갖고, 그것이 제공하는 소설로서의 재미에 몰입했다. 이들은 스토리의 측면에서는 환상성이 가미된 남녀의 애정담, 서술 기법의 측면에서는 현실적이고 핍진한 형상화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육미당기>가 원텍스트인 한글소설들을 재창작한 기법에 주목한 평이다. 이 유형의 평은 다시 두 가지 세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원텍스트를 발전시켰다고 평한 경우이다. 평자들은 원텍스트가 가지고 있던 상투성, 진부함, 중언부언 등의 결함이 <육미당기>에서는 보이지 않고, 원텍스트에는 없던 새로운 말과 의미가 더해졌다고 보았다. 둘째, 원텍스트를 유기적으로 조직했다고 평한 경우이다. <육미당기>는 전대의 독립적인 원텍스트들을 취사선택하여 조직화한 소설인데, 평자들은 그 조직화의 방식이 개연성 있고 자연스럽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소설에 반영된 저자의 지적 역량에 주목한 평이다. 특히 주목을 요하는 평자는 尹堉이다. 윤육은 소설의 구조 및 창작 방법론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구축하였다. 또한 소설의 흥미성을 경시하면서 소설에 반영된 저자의 지적 역량에서 가치를 찾던 기존의 비평 경향에서 벗어나, 그러한 역량이 소설의 흥미성에 토대가 된다는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categorizes the critical perspective shown in the critical text of Yukmidangi, Seo Yoo-young(1801~1876?)'s novel, and examines its meaning. Although Yukmidangi Bubipyeong is one of the main data in the study of criticism of 19th centry and Yukmidangi, the work of deeply appreciating or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ontents was insufficient due to the simplicity of quantity and quality. As a preliminary work for analysis, I verified the best copy of Bubipyeong, and investigated timing of the critic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ewer and the autho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llection of Sogang University Loyola Library, not the previously used Garambon, showed a higher completion. Also, the period when Bubipyeong was written lasted three years from 1864 to 1867, and that members of Naksan writing group were included among the reviewers. After that, the 15 reviews in the Bubipyeong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 the novelistic interest, recreational techniques, and intellectual competence. First of all, the reviewers paid attention to the novelistic interest of Yukmidangi. In terms of story, they praised the love story of men and women with fantasy, and in terms of the description technique, they made a high reputation in realistic and a verisimilitude figure. Next, the reviewers paid attention to the technique of recreating Korean novels. Their reviews can be divided into two detailed types. First, They evaluated this novel successfully developed the original text. They thought that the defects of the original text, such as cliché, and midwords, were not visible in Yukmidangi. Also, they thought new words and meanings were added to the original text. Second, some reviewers evaluated this novel organically organized the original texts. Yukmidangi is a result of and selecting the independent original tex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Critics saw the method of organization as probable and natural. Finally, the reviewers focused on the author's intellectual competence shown in the novel. Particularly, Yunyuk established his own views on the novel's structure and creative methodology. In addition, he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critical point of view: finding value from the author's intellectual competence in the novel. Instead, he evaluated such competence can be the base of the novelistic interest.

      • KCI등재

        淸初 陸廷燦의 『續茶經』과 그 價値 ― 陸羽의 『茶經』과 관련하여

        강판권 ( Kang Pankwon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6 No.-

        본고는 청나라 초기 육정찬의 『속다경』의 가치를 당나라 육우의 『다경』과의 비교를 통해 검토했다. 본고에서 중국의 수많은 다서 중에서 『속다경』과 『다경』을 선택한 것은 두 다서가 중국의 차와 관련한 문헌을 집대성했기 때문이었다. 『다경』은 중국차의 시작부터 당나라 중기까지의 자료를 집대성했고, 『속다경』은 당나라 중기 이후부터 청나라 초까지의 자료를 집대성했다. 『속다경』은 『다경』의 체제를 그대로 모방한 작품이지만, 각 항목마다 다서(茶書: 차 관련 글), 문집(文集: 글을 모은 것), 지방지(地方志: 지방에 관한 기록), 기행문 등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수록했다. 『속다경』에서 언급한 자료는 중국의 차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고의 『속다경』에 대한 분석은 중국과 한국 및 일본의 차 연구의 기본이다. 따라서 본고는 다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한국의 차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 of Yuk Jeong-Chan’s(陸廷燦) “Second Book on Tea(續茶經)” in early Qing dynasty compared to Yukwoo’s(陸羽) “Book on Tea(茶譜). Both of books provide overall content of Chinese tea. Yukwoo’s “Book on Tea” has collected massive contents of tea from beginning of Chinese tea to Tang period. On the other hand, Yuk Jeong-chan’s “Second Book on Tea” has collected it from the middle of Tang period to early Qing period. The style of both books is quite similar to each other. Yuk Jeong-Chan’s book records various categories such as writing about tea, anthology, and chorography. The contents in this book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understand Chinese tea. Also this study provide a fundamental concept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tea. Up till now, Korean tea has not studied much yet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Korean tea study.

      • KCI등재

        <육미당기>의 서사 구조와 가부장의 성장

        민선홍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1

        Yukmidanggi[六美堂記] is a fiction made by combining several independent narratives. Many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original stories and narrative structure of this fiction. However,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which encompasses entire sub-narratives, has not been sufficiently identified. In this essay, I will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Yukmidanggi in the perspective of 'growth of the patriarch'. It is possible to find the principle of the growth of the patriarch in the sense of purpose and the composition of the sub-narratives. Yukmidanggi consists of two narrative axes; a narrative of departure-return and a narrative of romance. These two narrative axes show how the protagonist grows into a patriarch in different level. In the narrative of departure-return, the protagonist, Soseon[簫仙], grows into a heir of patriarchal right. Soseon, the prince of Silla[新羅] is defeated by his bastard brother and left his homeland, losing the right to inherit the throne. The task given to Soseon is to get back the status of a legitimate heir. For that, he must acquire stronger strength and legitimacy than his brother. The romance in China functions for it. As a result of this narrative, Soseon defeats his brother and becomes the king of Silla. In the narrative of romance, Soseon acquires power in relation to women. This narrative is a combination of three stories. Following each story, the status and leadership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are reversed step by step. While the status of Soseon rises from blind beggar to high-ranking official, the status of female characters decreases from a princess to an orphan in distress. In addition, Soseon’s position changes from following women's choice to influencing women's survival, while women character’s position fall from leading Soseon to relying on Soseon for survival. As a result, Soseon completes the patriarch's paradise Yukmidang. <육미당기>는 독립성 강한 몇 편의 서사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소설로, 소재원과 구조에 대해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왔다. 그러나 각기 다른 출처의 하위 서사를 포괄하는 소설 전체의 구성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못한 감이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육미당기>의 서사 구조를 읽는 하나의 시각으로 가부장의 성장을 제시한다. <육미당기>를 구성하는 하위 서사들의 목적의식과 배치 방식에는 가부장의 성장이라는 일정한 원리가 작동하고 있다. <육미당기>의 서사 축은 크게 소선의 출국-귀국 서사, 소선과 여섯 여성의 결연 서사로 구분된다. 두 서사 축은 각기 다른 각도에서 가부장의 성장을 보여준다. 출국-귀국 서사에서 소선은 부권의 계승자가 된다. 부왕의 적자인 소선은 서자인 형으로부터 패배하여 왕위 계승권을 빼앗기고, 고국을 떠나 표류한다. 소선에게 주어지는 소설적 과업은 형으로부터 정당한 부권 계승자의 지위를 돌려받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형보다 강한 힘과 정당성을 얻어야 하는데, 출국과 귀국 사이에 배치된 중국에서의 결연이 그 방법으로 기능한다. 해당 서사의 결과 소선은 형을 물리치고 신라 국왕으로 등극한다. 결연 서사에서 소선은 여성과의 관계에서 권력을 획득한다. 결연 서사는 크게 세 편의 결연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연이 진행될수록 남녀 인물의 지위와 주도권이 단계적으로 역전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소선의 지위는 눈먼 거지 소년에서 부마이자 고위 관료로 상승하는 반면, 여성 인물의 지위는 공주에서 천애고아로 하락한다. 또한 소선은 수동적으로 여성의 애정을 따르는 존재에서 여성의 생존을 좌지우지하는 존재로 성장하는 반면, 여성은 관계를 주도하는 위치에서 소선에게 생존을 의존하는 위치로 추락한다. 결연의 결과 소선은 남성 시각에서의 이상적 가정인 육미당(六美堂)을 완성한다.

      • KCI등재

        차고유금(借古喩今): 옛것을 빌어 현재를 바라본다 -중국고전산문으로 본 현재의 한중관계-

        김호 한국중국산문학회 2022 중국산문연구집간 Vol.13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China diplomacy, which has failed to recover the previous strategic partnership after the THAAD crisis,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through the prose of 「liuguolun(六國論)」 among classical Chinese prose.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Presid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Xi Jinping often cites Chinese classic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policies when he announces his national policies. First of all, this study aims to improve current Korea-China relation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aocuolun(晁錯論)” (蘇軾, 1037-1101), one of the numerous classics cited by Presid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Xi Jinping while explaining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national policies. I would like to present an essential but hidden problem that must be overcome for this purpose. Next, Sunyue(荀悅, 148-209) of the Eastern Han Dynasty's "liyiqimouliliuguolun(酈食其謀立六國論)" and Suche(蘇轍1039-1112)'s "liuguolun(六國論)”, “liuguolun(六國論)” by Hequfei(何去非, 1077-1145) and “liuguolun(六國論)” by Fanjun(范浚, 1102-1150)” and other classical Chinese prose that can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Korea-China relationship, I would like to suggest a framework of thought for the diplomatic position that the Chinese side should aim for in the current Korea-China relationship.

      • KCI등재

        혁거세 세력 등장 이전의 사로 육촌

        김병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Silla people(新羅人) remembered that six villages people is Foundational group of founding countries and southbounded refugees since the fall of Gojoseon. Therefore they set up the first Gapjjanyeon(甲子年) after the fall of Chosun as foundational year.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said Yukchonjang(六村長) is Cheongangja(天降者) and people who chose Hyeokkeose(赫居世). That means considered related Articles about six villages ,six villages is understood to have arrived at home before a Hyeokkeose group. According to archaeological circles Saroguk(斯盧國) founding is related to kyeongju inflow of the Hyeokkeose group experinced WimanJoseon's(衛滿朝鮮) Cultural competence. six villages that were entered before the Park group could be understand as Gojoseon refugees Who had Bipahyeongdonggeom(琵琶形銅劍) and Ihyeongdongi(異形銅器) after Yeon's eastern domination or who had Sehyeongdonggeom(細形銅劍) and Jujocheolbu(鑄造鐵斧) setteld on Gyeongju(慶州) when Junwang(準王) move south moment. six villages people of advanced culture at the time was settled in gyeonju and take the initiative through combination with jiseokmyo(支石墓) groups. The fact that the six villages headman had their son in the meeting reflects the social character of six villages. villages headman had the religious authority of the cheongangja's direct descendants and was in control of the villages generations. That means six villages is kindred who enshrined communal Ancestral god and unity of the church and state community. Furthermore when six villages people move south moment Gojoseon was ruled by a man of Priest King(司祭王)'s character. Naturally six village's headman had same character. Therefore they are the people who serve the ghost in Silla, respect memorial service(事鬼神 尙祭祀) and be respected by people in the country as a traditional jonjangja(尊長者) Jachoong(慈充). 신라인들은 건국의 기층집단인 육촌민들이 고조선 멸망 이후 남하한 유민임을 기억했다. 그래서 고조선 멸망 이후 최초의 갑자년인 BC 57년을 건국 기년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육촌장이 천강자이고 혁거세를 추대한 인물들로 소개되어 있다. 곧 육촌 관련 기사들을 고려하면 육촌은 혁거세집단보다 경주에 먼저 정착했던 조선 유민으로 이해된다. 고고학계에 따르면 사로국 건국은 위만조선의 문화역량을 경험한 혁거세 집단의 경주 유입과 연결시킨다. 박씨 집단보다 먼저 유입된 육촌은 연의 동방 경략 이후 비파형동검과 이형동기를 지닌 고조선 유민과 준왕의 남하시기에 경주에 정착한 세형동검과 주조철부를 지닌 고조선 유민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당시 선진문화를 지닌 육촌민은 경주에 정착하며 기존 지석묘집단과 결합하여 주도권을 장악하였던 것이다. 육촌장이 촌장회의에 자제들을 동석시켰음은 육촌의 사회성격을 반영한다. 촌장은 시조 천강자의 직계 후손이라는 종교적 권위를 지니고 대대로 촌락 지배권을 소유했다. 곧 육촌은 공동의 조상신을 모시는 혈연으로 연결된 씨족사회이자 제정일치적 성격이 강한 사회였다. 더욱이 육촌민의 남하시기 고조선은 사제왕의 성격을 가진 유력자가 다스리고 있었다. 당연히 육촌장도 이와 동일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러므로 신라에서 귀신을 섬기고 제사를 숭상하여 세상 사람으로부터 오랫동안 존경받은 전통적 존장자 자충이 바로 이들이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