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일제의 향토교육론과 향토교육 시책

        文知恩(Moon, Jieun) 역사교육연구회 2018 역사교육 Vol.146 No.-

        In the late 1920s, Japanese imperialism proposed the Hyangto education theory(鄕土敎育論) to support its modified policy. Since 1932, the Hyangto education theory had developed into the Hyangto education policy(鄕土敎育施策) in earnest. Education Association in each state had pushed forward Hyangtoji(鄕土誌) publication and held an association of teachers’ research and an association of teachers’ lecture. The Hyangto education by Japanese imperialism at this time could be defined as Geullojuui Hyangto education(勤勞主義 鄕土敎育) because it emphasized labor and job spirit and targeted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ural area. Since 1935, the Hyangto education was unfolded in a form of spirit education to cultivate affection for rural area and patriotism, and the Hyangtoji publication aimed at the affection for rural area and targeted to link it with patriotism. This type of the Hyangto education after 1935 could be called Gukgajuui Hyangto education(國家主義 鄕土敎育). In the late 1930s, a target of loyalty was substituted with the Japanese emperor through Gukgajuui Hyangto education as a part of ‘Hwangminhwa’ ducation(‘皇民化’ 敎育), and students were asked for recklessly constructing the imperial subjects Hyangto society.

      • KCI등재

        향토의식의 형성과 지역 전통문화의 발견

        김현정(Kim Hyeon-Jeong)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이 글은 일본의 지방 소도시인 이시오카를 사례로 하여 향토상, 향토의식이라고 하는 것이 어떻게 형성, 발전, 기능하는지, 그리고 그 함축적인 의미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일본의 향토 연구는 역사학, 인류학, 민속학 등에 의해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그 고찰대상, 관점 등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특히 '향토연구'로서 성립, 발전한 일본 민속학의 경우, 향토'에서' 민속학 조사를 실시하고 고찰하였던 것이며, 향토'를' 민속학적으로 조사, 고찰하는 일은 거의 전무에 가까웠다. 즉, 향토가 주로 '소여의 본질적 실체'로서 다루어져 왔다는 데 그 중요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글은 향토란 향토의식의 함양 등을 통해서 '의식적으로 구축될 수 있는 상상적 공간'이라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향토의식을 고양시키고 향토상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활동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수 있음을 제기한다. 상기의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이시오카 향토사가들의 모임인 '이시오카 사적보존회'(이하, '사적보존회')의 신념과 주장, 활동들에 주목하였다. 전국적인 레벨에서 향토의 발견과 향토의식의 고취가 본격화된 1930년대 전후에 발족한 사적보존회는 활동의 일시적인 중단은 있었으나 1976년까지 그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글에서는 모임의 일시중지를 기점으로 하여 활동시기를 전기와 후기, 두 시기로 구분하여 그 이념적 특징과 활동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검토 작업을 통하여 모임 초기에 이른바 '실지조사,' '답사회'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사-발견-보존' 활동이 지역의 다양한 생활문화나 역사적인 유적, 사적 등의 이른바 전통문화를 나열적으로 조사, 발견,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의식 하에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한정적으로 구분, 고정화하는 작업이었음이 드러난다. 즉, 역사적으로 고증하기조차 어려운 고대 국부의 설치를 통해서 정치, 문화의 중심지로서 번영하였을 고대 이시오카를 현재 이시오카로 상상,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비연속적이고 단편적인 역사인식은 현존하는 역사적 편린의 발견을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강조되었다. 현재 이시오카는 "고도(古都) 1300년의 역사와 향(鄕)의 문화와 만날 수 있는 고장"이라는 표어에 단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오랜 역사와 문화'의 고장으로서 표상되고 있다. 이러한 표상의 구축에 상기한 사적보존회의 이념, 활동 등이 크게 영향을 끼쳤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향토상과 향토의식의 배경으로 사적보존회가 결성된 1930년대를 전후로 하여 급격히 진행된 일본의 사회변동, 특히 도시와 지방의 현격한 이분화 현상 및 지방 사회의 위상 변화를 상정하였다. 그러나 역사학, 사회학 등과 같이 사회제도적 검토가 아닌, 그 시대를 산 사람들의 사회인식과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시오카의 경우, 에도 시대 이후의 상업도시, 경제적으로 윤택한 지역으로서의 위상이 1900년대 이후 점차 흔들리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당시 일본의 사회변동은 이시오카 사람들에게 "빈약한 자기 이미지"의 혼란을 경험하게 하였으며, 이것이 특히 사적보존회라고 하는 향토사가들에게 보다 적극적으로 향토상을 모색하게 한 동기로 작용하였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이들은 이미지화된 역사적 단편과 그를 뒷받침하는 사적, 전승문화의 발견, 보존 활동을 통해 '이시오카'라고 하는 구성된 향토에 대한 특별한 애착과 표상을 형성, 발전시켰으며, 이것은 현재까지도 매우 유효한 상징적 담론을 구성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a Ishioka Town Heritage Association(ITHA) in Ishioka city,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Ibaraki prefecture. Ishioka city represents itself to be 'a town where is able to experience a great history of 1300 years and culture of ancient township,' which can be seen on its homepage to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when and why this image of Ishioka which emphasizes its long history and old culture was established and who was inextricably involved in this process. ITHA which was founded by the local intellectuals in 1933 began to explore their hometown to find local traditional culture and heritage and to publish some magazines and books as the results of their activities. They discovered local heritage by passionate fieldwork, but some not all. The hometown Ishioka as an ideal and desirable entity had to be related to the center of ancient local government where was located in Ishioka region roughly 1300 years ago. Therefore ITHA members had to find some local heritage which could prove the authenticity of their image and arguments of hometown as a center. Why did they need to imagine and claim it? It is necessary to make sense of the context of the time in Japan to bring the answer into daylight. Ishioka town had been developed as a center of regional business and had prospered economically by a local brewing industry until the 1930s. However this status and reputation as a rich business town began to be questioned since the local industry including a brewing one had been failed to be reformed to get accustomed to massive social change, which might harm pride of the natives and get them to find an alternative reason for why their hometown was special and they chose to live there. ITHA was a key group in this process and appear to have been successful in providing an alternative hometown image and constructing a new local identity.

      • KCI등재

        향토문화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에 관한 연구

        김영순(Kim Young-soon),윤희진(Yun Hee-ji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향토문화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과정을 제안하는데 있다. 특히 인천시 서구 검단지역의 황곡마을의 향토문화자원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향토문화자원을 원천소스로 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향토문화자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스토리텔링 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향토문화자원은 한 향토와 그 지역에서 사람들이 창조한 전통성과 역사성을 지닌 일체이다. 아울러 향토문화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지역의 역사성ㆍ전통성ㆍ고유성을 기반으로 하며 향토민들의 정서적인 경험 혹은 실천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향토문화 자원의 스토리텔링은 문화인류학의 현지조사법과 참여관찰법을 비롯하여 민속학의 민담채집 방법 등 인문학적 연구기제들을 활용한 인문콘텐츠학에 바탕을 둔다. 이 연구를 통해 진행된 향토문화자원의 스토리텔링 과정은 자료조사, 자료가공, 스토리텔링 유형결정 단계, 실제 스토리텔링 단계들로 구성되며 이 연구에서는 검단의 황곡마을의 실제 스토리텔링 과정을 제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storytelling process to take advantage of the native culture resources. Especially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storytelling as the first step for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The Storytelling is the conveying of events in words, images, and sounds often by improvisation or embellishment. Stories or narratives have been shared in every culture as a means of entertainment, education, cultural preservation, and in order to instill moral values. Crucial elements of stories and storytelling include plot, characters, and narrative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Korean traditional Village has a lot of culture resources. Then the resources from village can change to culture contents. In basis of the storytelling, We have a proposal of the possibility that is method discovered cultural contents and applied cultural industry. Native culture resources are resources which ar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has created by native people. Storytelling process is composed this research, database and set type step. There are two types of setting storytelling: A-type has a creative character, and B-type has a character based the historical fact. We presented the real storytelling case for a Hwanggok village located in Incheon Seo-gu.

      • KCI등재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

        고안나(An Na Koh)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8 No.-

        Learning of local history has advantages to help children have senses of closeness and liveliness by learning history through the local people`s tangible·intangible historic products and make them feel a curiosity about history. However, examining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localized textbooks weaknesses are found out that they don`t contain contents of local history as its learning materials, and that in narrative styles and methods they don`t stir up children`s interest and historic imagin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imed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s of the Jeju myth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and propose a direction of teaching local history for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planning and applying methods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oncept and need of learning local history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examined what meanings the Jeju myth had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In addition, in applying the Jeju myth to learning local history teaching methods were provided being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workbooks were made by each type to apply them to practical classes. Based on the class conducted,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learning local history. The values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of the Jeju myth are as follows. First, the Jeju myth reflects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lives in the times and contains the general public`s stories which are not left in official historical records. Second, the Jeju myth is an interesting learning material to find local customs and manners, natural environments and values etc. Accordingly, in the current study classes were conducted providing the method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n three ways including reading differently , reading thickly and reading through little things .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survey obtained after conduction local history learning and class responses, the summary of the meanings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s as follows. First, awareness was generated that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s not boring but interesting and amusing. Second, as the Jeju myth is concerned with the existing shrine of the region and has contents handed down orally by shamans, it was a good material to make children feel living, changing and vivid history. Third, the Jeju myth contained stories of Jeju`s common people and stories to deny the narration of textbooks etc which are not addressed in centralized textbooks, a opportunity was given to inculcate critical consciousness of history. Third, the Jeju myth contained stories of Jeju`s common people and stories to deny the narration of textbooks etc which are not addressed in centralized textbooks, a opportunity was given to inculcate critical consciousness of history. However, if you conduct teaching local history using myths, you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nvolves how to select and present the myth. If you select the Jeju myth as a material of local history learning, you should select appropriate learning objectives and myth. In addition, when you present the myth, you should various methods such as a form of the play script, orally narrated children`s story, flash fairy tales, a form of historical dat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yth contains what was orally narrated by a shaman without any correction, improper local dialects, slangs and cruel expressions may be inserted. Thus, the work to reorganize the volume and contents must be followed. Third, the historical values of myths and religious issues should be considered. Since myths are cultural products to reflect popular beliefs, they may cause misunderstanding inevitably. Teacher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re aspects and apply them to local history learning limiting them to their elements of the story. 향토사 학습은 지역 사람들의 유·무형의 역사적 산물을 통해 역사를 학습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게 해주는 장점을 지니지만 현행 사회 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는 내용 및 서술방식에 있어 아동들의 흥미 및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토사 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고,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제주신화가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제주신화를 활용한 세 가지 학습 유형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실행한 수업을 바탕으로 향토사 학습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주신화의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신화에는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역사의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역사기록으로 남지 않은 일반 민중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둘째, 제주신화는 향토의 풍습, 자연환경, 가치관 등을 찾아볼 수 있는 흥미로운 학습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을 다르게 읽기 , 두껍게 읽기 , 작은 것을 통해 읽기 로 제시하여 수업을 실행하였다. 향토사 학습 실행 후 얻은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의 의의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은 지루하지 않고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둘째, 제주신화는 현존하는 지역의 당과 관련되며 심방에 의해 구전되는 내용이므로 아동들에게 살아있는 역사, 변화하는 역사, 생동감 있는 역사를 느끼게 해주는 좋은 소개였다. 셋째, 제주신화에는 중앙집권적인 교과서에서는 다루어지지 않는 제주 민중의 이야기, 교과서의 서술을 부정하는 이야기 등이 담겨있어서 비판적인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을 실행할 경우 다음의 세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신화 선정 및 제시 방식이다. 제주신화를 향토사 학습의 소재로 선정할 경우 학습목표 및 이에 적합한 신화를 골라야한다. 또한 신화를 제시할 때에도 연극 대본 형식, 구연동화, 플래시동화, 사료형태 등의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신화 번역 및 사료화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신화는 심방의 구연내용을 여과 없이 담고 있기 때문에 아동들이 접하기에는 부적절한 지역 방언, 비속어, 잔인한 표현들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분량 및 내용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셋째, 신화의 사료적 가치와 종교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신화는 민간신앙이 반영된 문화적 산물이기 때문에 교사는 이러한 점을 충분히 숙지하고 신화의 이야기적 요소에 한정짓고 향토사 학습에 활용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제주신화는 다루기에 따라 재미있는 향토사 자료가 될 수도 있고 난해하고 심오한 자료가 될 수도 있다. 이는 단점도 될 수 있겠지만 중학교, 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연속성에서 볼 때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드러낸 것이라 여겨진다. 이처럼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교재의 단계형 자료 개발은 추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향토음식의 개념과 조사연구과제

        이영진(Lee Young-Jin) 실천민속학회 2008 실천민속학연구 Vol.11 No.-

        이 연구는 향토음식 연구에 대한 원론적이면서 시론적 접근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음식과 민속음식의 정의와 비교하여 향토음식을 정의하였다. 전통음식은 ‘역사적으로 전승된 우리 민족의 음식’으로, 민속음식은 ‘백성들이 환경에 적응하기위하여 고안하거나 차용한 음식으로서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음식으로, 이에 비해 향토음식은 동질적인 환경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구에서 그 환경에 영향을 받아 고안된 음식‘으로 전통음식이나 민속음식에 포함될 수 있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다음에는 향토음식의 정의를 바탕으로 향토음식의 조사연구 관점을 논의하였다. 대표적인 관점으로 통시적 관점과 공시적 관점, 문화지리학적 관점, 문화생태학적 관점을 제안하였다. 향토음식의 정의와 조사연구 관점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향토음식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사회문화적으로는 일제강점기와 급속한 산업화에 의해 향토음식의 전승이 단절되었다. 우리사회의 산업화는 검증없이 향토음식을 상품화함으로서 진정성을 왜곡시키고 있는 현실이다. 다수의 문헌자료가 남아 있으며, 향토사회 성원들의 기억에 남아 있는 현장자료가 있음에도 체계적인 연구를 소홀히 한 관련 학계의 무관심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향토음식을 연구하고 발굴하기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조사연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조사연구는 문헌자료를 토대로 한 통시적 연구와 현장 중심의 공시적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사연구를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광범위하고 자료가 방대한 만큼 정부와 관련 연구기관의 행정적, 재정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디지털 데이터 베이스화(DB)하고, 나아가서 지도화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는 학술적으로는 전통문화의 원형보존에 기여하며, 작게는 전통음식 연구의 원천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사회적으로는 진정성 있는 향토음식의 발굴과 상품화, 나아가서 음식문화산업과 다양한 음식문화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The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native local foods at an introductory level.First of all, the foods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similar concepts : traditional foods and ethnic ones. Traditional foods have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ver time to represent Korean dishes. Ethnic foods have been newly devised or brought from overseas to adapt to the environment before their transmission among people. Native local foods, which belong to traditional and ethnic ones, are devised from and influenced by the homogeneous environmental qualities of a locality. Native local foods based on the definition are discussed at several perspectives : time, spatial, cultural-geographical, and cultural-ecological perspectiv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native local foods are described from their definition and individual perspectives. In the socio-cultural terms native local foods were once discontinu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during the period of rapid industrialization. The industrial society today has native local foodscommercialized without any appropriate verification and suffering considerable distortion from the original state. An academic circle is also responsible for little integral study of native local foods although documents and practices related are still available among local people. A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should, therefore, be done to restore native local foods to the original state. Surveys and researches may include a time approach based on documents accompanied by a spatial approach based on fieldwork. It need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to cover a wide span of areas and a large amount of document. Data collected are to be filed and then mapped at last. Research findings may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to the use as resources for the study of traditional foods. Native local foods, if restored to commercialization, may add to the development of food culture industry and a variety of food culture programs.

      • KCI등재

        향토학교와 문학교육의 정치성

        박형준(Park, Hyung-Ju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30 No.-

        이 논문은 5·16 군사정부의 초기 문교시책 중 하나인 ‘향토학교’를 중심으로 국가교육제도의 내적 논리와 모순을 분석한 글이다. 향토학교는 군사정부의 재건국민운동과 마찬가지로 지역 사회에 밀착된 교육정책의 하나였다. 그것은 표면적으로 문맹 해소, 생활 개선, 애향 정신 등을 지향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향토’(지역)를 기반으로 하여 균열이 없는 국민의 정체성을 생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잘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혁명 과업 완수를 위한 향토학교 교육과정 임시 운영 요강』?(문교부, 1961)이다. 지금까지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이 ‘교육과정 임시 운영 요강’을 통해서 향토학교가 군사정부가 요구하는 인간형의 생산을 강조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공통 감성을 창안하는 데 ‘국어 교과’ 역시 크게 기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국어 교과 문학 영역의 향토 관련 교육 내용은 문학작품을 감상하는 일보다 군사정부의 이념과 목적 의식을 구현하는 데 더 근접해 있었다. 5·16 직후 제1차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실시된 향토학교 프로그램은 소박한 의미의 향토 학습 내용을 제시하면서, 실질적으로는 5·16 군사정부의 쿠데타 당위성을 지역 각지에 전파하는 이데올로기 형식으로 작동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nal logic and contradictions of nation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community school’, one of the early educational policies by the 5·16 military government. It was, like nation rebuilding movement, one of educational policies intimatly in relation to local community. It, ostensibly, aimed to develope the state of illiteracy, life style, and local patriotism, but, in reality, put emphasis on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of unified national identity on the basis of local community. The reference, ensuring the above-mentioned, is ‘curriculum temporary operating outlines’(Education of Department, 1961) for the completing of revolutionary task. The fact that the comunity school puts an emphasis on producing a kind of man required for the military goverment, is identified on those outlines, and then, we know that Korean-language curriculum also broadly contributed to the invention of its common sense. In particular, the community-realated content in the region of the literature of the curriculum, is much more intimately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idea and purpose of the military government rather thatn to the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Briefly after the 5·16 coup, the programme of community school that is carried out in order to correct the flaws of the textbook of the first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local-learning content as simply signified, and, in practice, operated as an ideology to widely spread to the local communiti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5·16 coup.

      • KCI등재

        일반논문 : 근대 "향토가극"의 형성과 특질 연구 -안기영 작곡 가극 작품을 중심으로-

        유인경 ( In Gyeong Yoo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9

        이 논문은 `근대 뮤지컬의 형성` 혹은 `한국적 뮤지컬의 뿌리`라는 관점에서 일제 말에 발흥한 향토가극의 공연 현황을 재구하고 양식적 경향 및 특성을 분석한 다음, 이를 근거로 향토가극의 공연예술사적 위상을 고찰하였다. 향토가극은 클래식 음악에 근거한 서양 오페라와도 구별되고, 일본풍 대중가요에 기반한 신파조 악극이나 유흥적인 소녀가극 유형과도 달랐다. 특히 안기영이 작곡한 가극은 제재상 주로 전통설화와 고전을 바탕으로 하고, 형태상 민요풍의 창작곡이나 오페레타 수법을 운용하여 창작된 향토색(=민족색) 짙은 대중적 음악극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향토가극의 대상으로 안기영이 작곡하고 라미라가극단과 반도가극단에 의해 제작된 <콩쥐팥쥐>, <견우직녀>, <은하수>, <에밀레종>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설의식 작사, 서항석 극본, 안기영 작곡의 <콩쥐팥쥐>, <견우직녀>, <은하수>, <에밀레종>은 라미라가극단과 반도가극단에 의해 식민지 시기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에도 일반 대중에게 장기간 향유되었다. 특히 <콩쥐팥쥐>와 <견우직녀> 전·후편은 경성중앙방송국 라디오로 중계될 정도로 대중적으로 주목받는 작품이었다. 향토가극의 양식적 경향에 대해서 `우리나라 최초의 오페라`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향토가극은 노래와 대사가 절반씩 섞이고 춤도 곁들인 대중적인 음악극, 즉 뮤지컬의 형태에 가깝다. 다양한 음악재료들이 혼합된 음악성, 성악가와 대중가요 가수의 동반 출연으로 인한 창법의 이질성, 기본 형상수단으로서의 무용은 향토가극을 근대 오페라보다는 뮤지컬의 한 갈래로 분류하게 만든다. 향토가극운동이 일관되게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고, 일본통치에 대한 내면화된 저항의식을 견지했다는 평가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콩쥐팥쥐>와 <견우직녀>는 일제와 공유될 수 있는 설화 소재이기에 일본순회공연과 전조선방송이 가능했다. 해방공간에서 향토가극의 극작·연출가인 서항석은 악극과 오페라 연출자로 활동했고, 한국전쟁 이후 향토가극의 작곡가 안기영은 북한에서도 가극을 창조하여 향후 `민족가극`과 `혁명가극`의 탄생의 밑거름이 되었다. 향토가극 활동에 참여한 음악평론가 박용구는 1960년대에 예그린악단 단장으로서 창작 뮤지컬의 기획·제작을 진두지휘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향토가극은 남북한의 대중적 음악극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향토가극에 대한 연구는 근대 악극의 갈래 분화 양상과 사회문화적 의미, 한국 뮤지컬의 정체성 수립, 분단시대 남북한 음악극의 동질성 해명 내지 연극사를 복원하는 의의를 갖는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rise and the characteristic of `Hyangto Gakeuk(literally Song drama of the country or local music drama)` in the Early 1940s.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re were attempts to incorporate traditional Korean music elements with Western operatic form. This type of music drama with librettos based on traditional tales came to be known as `Hyangto Gakeuk`. Mostly `Hyangto Gakeuk` has led this effort under the director Seo Hang-Suk, the composer Ahn Ki-Young and the lyricist Seol Eui-sik. In the first chapter, the study aims at arranging the performance history of `Hyangto Gakeuk` composed by Ahn Ki-Young. Also, the study examined representative works after classifying `Hyangto Gakeuk` performed by Lamila Music Drama Troupe, and Bando Music Drama Troupe. There is significant meaning to evaluate `Hyangto Gakeuk` in the history of Korean music drama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performance history. In the second chapter, I will analyze with representative works composed by Ahn Ki-Young, a pioneer in the Korean art song. He tried to create the music that held the nationalism and tradition. His works which were called `Kageuk` laid down the foundation of Korean original operatic style. This study demonstrated characteristics of `Hyangto Gakeuk` as `the beginning` in modern musical drama history and its effects on Korean musical drama developments. Namely, `Hyangto Gakeuk` based on Korean traditions can be seen as examples of original modern musical in Korea. Practically, study on all the aspects of performance not only text generally studied, dramaturgy and criticism, but also performance concept and intention of creators in early period.

      • KCI등재

        정진우 향토영화의 공간이미지 연구

        조혜정 ( Hye Jung Cho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정진우 감독의 ‘향토영화’를 대상으로 그 영화들에 나타난 공간이미지를 살펴본 것이다. 대상작품은 <석화촌>, <심봤다>(1979),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1980), <백구야 훨훨 날지마라>(1982), <자녀목>(1984) 등 다섯 작품이다. 영화에서의 공간은 영화의 사건이나 행위 등스토리를 구현하고 주제의식을 시각적으로 형상화 하며 영화적 정서를 함축함은 물론 관객의 특정 기억과 영화의 이데올로기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어서도 의미 있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진우 영화의 공간이미지가 그의 영화적 주제의식과 세계를 형상화하는 데 있어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 선행작업으로 먼저 ‘향토영화’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향토영화는 산업화의 대척점에 서있거나 전통적 습속이 강하게 남아있는 지역이 주요한 공간이 되는 영화로서 도시보다는 농어촌이나 산골 등‘지역/지방’을 주요 배경으로 하며, ‘향토성’이라 칭하는 특성과 정서를 함유하고 있는 영화들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향토영화의 구성요소로서는 ① 지역, 그중에서도 농어촌이나 산촌 등 비도시나 전원을 공간적 배경으로 할 것 ② ‘향토’라는 지리적 차원에 그 지역민들의 삶의 방식과 정서, 흔적이 체화된 향토성이 내포되어 있을 것, 그리고 부가적으로 토속적 문화나 습속 등이 잔존해 있을 것 등으로 정리하였다. 이런 관점에서정진우 감독의 영화 <석화촌>, <심봤다>, <뻐꾸기도 밤에 우는가>, <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자녀목> 등은 향토영화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것이다. 정진우 향토영화의 주요 공간은 섬-바다, 배(<석화촌>), 섬-선창, 파시, 갯벌(<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숲과 동굴(<심봤다>), 숯막과 장터(<뻐꾸기도 밤에 우는가>), 계곡과 동굴, 자녀목 언덕(<자녀목>) 등이다. 이들공간/장소 이미지의 결은 균질하지 않다. <심봤다>, <뻐꾸기->에서는 행복과 안식의 공간이지만, <석화촌>과 <백구야 훨훨 날지 마라>, <자녀목>에서는 불행과 억압의 공간으로 작용한다. 공간의 이미지와 함께 정진우 영화에 나타나는 향토성/토속성은 감독이 가지고 있는 한국적 정체성과 맞닿아 있다. 무속, 전통습속이나 비방, 사당패나 심마니, 숯막, 파시 등 한국인의 전통 속에 새겨진 습속과문화, 생활양식은 인물의 고난을 보여주는 형태로 제시되지만 그의 영화의 톤은 이를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아쉬움, ‘향수’로서 환기하는 측면이 크다. 정진우 영화의 향토성은 로컬리티에 대한 의미 있는 접근이기 보다는 한국영화를 세계에 알리는 수단으로서 한국적 정체성을 활용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1970~80년대 한국적인 것이 곧 세계적인 것이라는 인식이 팽배한 가운데, 한국적인 것을 전통문화와 습속에서 찾으려는 경향들이 나타났고, 이를 반영하여 한국적인 소재를 취한시대극이나 향토물들이 등장했다. 정진우의 향토영화도 이러한 맥락 위에 서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spatial image the movie director Chung Jin woo has created on his does function to shape his thematic consciousness and world view in the movies. The definite concepts of “local colored movie” and “local color” were defined firstly for this purpose, and how such concepts were reflected with the spatial image in the movies were studied. One of typical spaces in local colored movies is the great nature or rural area in terms of place, and the non-urban area such farming village, fishing village, or mountain village in terms of area. Such a space is a physical. substance and, at the same time, an imaginary space that is summoned as the object of memory and homesickness. This is the reason why the meaning of lost hometown used to be colored with a retrogressive sentimentality. The space/place in his local colored movies was an island in the movie <Oyster Village(Seoghwachon)>, a mountain village in <Wild Ginseng> and <Does Cuckoo Cry at Night?>, a countryside in <The Ma-Nim>. The spaces were the isolated areas bounded by sea, mountain, or valley. Shamanism, mystery, primitive instinct and eroticism are also manifested at the spaces. The spaces were intended and expressed with his idea that a primitive instinct might by restored by keeping a distance from urban space and modern reason. Therefore, the local colored space is a paradise to him. Director Chung Jin Woo expressed the life in the deep mountains and the great nature with a healthy eroticism, and his spaces were displayed like a paradise by adding a primitive feeling of vitality. His characters look like Adam and Eve in the Garden of Eden. They are expelled of their will (‘greed’) or against their will(‘greed’, ‘lust’, ‘authority’, and ‘order’), and their expulsion from the paradise leads to a tragedy.

      • KCI등재

        민요 용어의 설정 재고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 중심으로-

        박관수 ( Gwan Su Bak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4 No.-

        민요의 용어에는 ‘향토민요’, ‘전통민요’, ‘토착민요’, ‘토속민요’, ‘토민민요’, ‘통속민요’, ‘흥민요’, ‘창민요’, ‘유행민요’, ‘근대민요’, ‘신민요’, ‘창작민요’ 등이 있다. 이들 용어들은 각각 사용되는 맥락이 다르겠지만, 이들을 거칠게 분류하면 ‘향토민요’, ‘통속민요’, ‘신민요’로 귀속된다. 이와 같이 분류를 하기 전에는 20세기 전반부 학자들은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민요로 생각했고, 이에 대한 대타적인 용어로 ‘신민요’를 사용했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고정옥, 임동권 등에게 이어졌다. 최근의 연구자들은 민요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하였다. 이는 양자가 기층민들에 의해 불린다는 사실만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향토민요’는 기층민들에의해 생산되고, ‘통속민요’는 전문예능인들에 의해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양자를민요의 하위 범주로 대등하게 다룰 수는 없음은 물론 ‘통속민요’를 민요의 하위 범주에포함시킬 수 없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민요는 기층민들이 생산하여 기층민들이 즐기는양식이라는 개념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에 ‘통속민요’는 민요의 하위 범주에 속할 수 없는 것이다. 나아가 ‘향토민요’에서 ‘향토’라는 수식어도 불필요하다. 여러 연구자들이 민요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함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들에서도 여러 문제점들이 노출된다. 연구자들은, 제보자들이 ‘통속민요’를 논농사를 할때 불렀다고 해서 이를 논농사요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는 ‘통속민요’가 ‘향토민요’가되는 결과를 낳는다. 논농사요는 ‘향토민요’이기 때문이다. 또한, 용어 개념에 견인되어 실상을 잘못 파악하기도 한다. <어러리>가 기층민들이 생산한 노래이기 때문에 노동요에만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기도 하고,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는 동일한 민요이기 때문에 그 음악적 특징이 별반 다르지 않다고도 한다. 그리고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 대부분의 사람들이 널리 부른다는 점에서만 논의를 하고, 그 생산자들의 성격이다름을 논의에 포함시키지 않기도 한다. 그 결과 여러 논의들은 현상의 특정한 면만을보든지 잘못된 결론에 이르기도 한다. Many terms exist to identify Korean folk songs. Local folk songs (향토민요),traditional folk songs (전통민요), aboriginal folk songs (토착민요), native folk songs (토속민요), indigenous folk songs (토민민요), popular folk songs (통속민요), merrymaking folk songs (흥민요), narrative folk songs (창민요), trendy folk songs (유행민요), modern folk songs (근대민요), new folk songs (신민요), and composed folk songs (창작민요) are only a few of the immensely diverse terminology of Korean folk songs. Although these terms, with their different connotations, are used in different contexts, the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ocal folk songs (향토민요), popular folk songs (통속민요), and new folk songs (신민요). Before Korean folk songs were divided into such categories, scholars of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did not differentiate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songs, but thought of the masoneset, contrasted by the group of “newfolksongs.” This type of categorization was continued by the scholars Ko Jeong-Ok and Lim Dong-Gwon. Recent scholars, on the other hand, have divided folk songs into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Thi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oth kinds of folk songs are sung by the common people. However, considering that local folk songs are generated naturally in the daily lives of commoners and popular folk songs are created by professional entertainers, these two groups cannot be dealt in a parallel manner. Neither can popular “folk songs” be truly considered folk songs, which all scholars agree to be songs created and enjoyed by the common people. Regarding these points, one can also see that the word “local” is unnecessary in the term “local folk songs,” as the very nature of folk songs guarantee that they are generated locally. Yet the problems do not end here. Much more inaccuracy can be found within particular researches, in which many scholars continue to erroneously divide folk songs into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For instance, researchers sometimes classify popular folk songs into rice farming songs (논농사요) after hearing from informants that popular folk songs were sung during rice farming. However, such a classification disguises popular folk songs as local folk songs,confusing people with inaccurate terminology and blur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folk songs. More examples can be found in abundance. Eoreori, a folk song created by commoners, is sometimes restricted as a type of a work song (노동요), although it can be classified in other ways as well. Local folk songs and traditional folk songs are sometimes seen to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ecause they both are folk songs, despite their dissimilar roots. Furthermore, local folk songs and popular folk songs are occasionally discussed only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widely sung by the people, and their different roots are left out from deliberation. Such ignorance and inaccuracy lead to a neglect of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r flawed conclusions about their nature.

      • 충북지역 향토문화산업 육성방안

        정삼철(Sam-Cheol Jeong) 한국동서경제학회 2007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향토문화자원의 잠재적 가치와 향토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올바로 이해하고 인식하여, 이를 산업화함으로써 지역경제 활력제고와 지역발전촉진전략으로 활용되도록 하고자 충북지역 향토문화산업 육성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향토문화는 일정한 지역사회에 사는 사람들이 정신적ㆍ물질적으로 이루어 놓은 일체의 성과물이라 할 수 있고, 향토자원은 일정한 지역사회 범주 내에 내재된 유ㆍ무형의 특성 있는 지역자원 또는 전통자원을 말한다. 그리고 향토문화산업은 일정한 지역사회에서 지역성과 전통성을 지닌 특성 있는 향토문화자원요소를 개발 또는 활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향토문화 산업은 자원의 투입단계별, 주도산업별, 자원활용별, 사업추진주체별로 유형화 할 수 있으며, 향토문화산업의 발전단계는 생성단계, 조직화단계, 클러스터화단계, 복합화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충북지역 향토문화산업의 육성을 위해 단계별 맞춤형 육성방안, 안정적 관리체계 구축방안, 성장기반 조성방안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단계별 맞춤형 육성방안에서 생성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자원발굴조사, 충북향토문화자원 산업화 가능성 진단평가를, 조직화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산업 네트워크 채널구축, 충북향토문화산업 브랜드 명품지정운영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클러스터화 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산업 기능명장 양성프로젝트 추진, 충북향토 문화비즈니스 컨설팅 지원사업전개, 향토문화산업 전문모델단지개발을, 복합화단계에서는 충북향토문화산업축제의 전략적 육성, 충북향토문화테마마을 개발 등의 사업을 제시하였다. 안정적 관리체계 구축방안으로는 충북향토문화산업 펀드조성과 충북향토문화자원 직접지불제도 도입, 충북향토문화명품 전시판매장 설치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성장기반 조성방안으로는 충북향토문화자원개발 육성계획 수립, 충북향토문화자원개발협의회 설치운영, 충북향토문화자원개발 및 산업육성에 관한 조례제정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olves suggesting developmental strategic of culture industry in Chungbuk by using potential values and consequence of rural culture resources. Rural culture is total output on physical or spiritual activities in local society. Rural resources are characteristic materiality and immateriality local or traditional resources in local society. Rural culture industry cab\n be defined what creates new values by using and developing regional and traditional rural culture resources. Rural culture industry concretes as classified by input level, leading industry, resource inflection, subject of business promotion. Developmental steps of rural culture industry classify by creating step, organization step, cluster step, complex step and so on. The study proposes concrete plan to 1) Promote Strategy on Stages and Customized, 2) Construction Plan on Stable Management System, 3) Composition Plan in Promotion Basis. In part of Promotion Strategy on Stages and Customized, creating step proposes improvement researching and apprising of industrialization potentialities. It proposes network construction and assigned brand luxury goods administration of rural culture industry in Chungbuk on organization step. And it proposes that promote education project for rural industry master of ability, support business about consulting of rural culture business, develop professional model zone of rural culture industry on organization step. It proposes that promotion strategic festival, develop theme park of rural culture industry. In part of construction plan on stable management system, it proposes that make fund of rural culture industry, introduce direct payment system of rural culture resource, manage luxury goods store. In part of composition plan in promotion basis, it proposes that promotion plan of Chungbuk rural culture resource development, administer Chungbuk rural culture resource development conference, establish law about industry promotion and Chungbuk rural culture resourc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