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림 일본학DB <아사히신문 외지판 (朝日新聞外地版)> 기사명DB -1936.7~1936.12

        서정완,이의연,이준희,정용준,김정미,신가영,박정화,최형섭,황세림,김지영,김지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翰林日本學 Vol.0 No.18

        〈아사히신문 외지판 기사명DB〉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일본학DB 사업의 하나로, 연구소장이 중심이 되어 기획, 추진하였다. 연구소 연구보조원들이 분류 및 입력 작업을 수행하였다. 1차 입력을 마친 후 두 차례에 걸쳐서 오타와 판독이 어려운 글자 등에 대한 자체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심재현 연구원이, 데이터 입력창의 개발과 관리는 최형섭 연구보조원이 담당하였다.

      • KCI등재후보

        식민통치와 지식/권력 - 日本型 식민대학의 비교사회학

        정준영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翰林日本學 Vol.0 No.18

        최근 한국학계에서는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식민지공간에 어떻게 작동하고 있었는지를 해명하는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경성제국대학 연구도 이런 문화권력에 관한 고찰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식민지배와 지식/권력의 상관관계를 보다 세계사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해 식민대학의 탄생에 관한 비교사회학적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식민대학의 개념을 추적하는 한편, 19세기 이후 아시아 식민지에 설립되었던 식민지대학 중 인도의 영국형 식민대학과 인도차이나의 프랑스형 식민대학의 특징을 분석했다. 이들 식민대학은 식민모국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된 ‘근대대학으로의 발전’을 반영하면서도, 식민지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근대대학을 활용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비서구국가 중에서도 유일하게 제국으로 성장했던 일본의 식민대학에서도 마찬가지로 확인된다. 그런데 이 일본형 식민대학은 몇 가지 점에서 서구열강의 식민대학과 차별화된다. 첫째, 서구열강의 식민대학이 명백히 식민모국의 대학에 비해 열등한 위상에 놓여 있는데 반해, 일본형 식민대학은 식민모국의 최고대학을 모델로 삼고 있으며, 위상과 특권에서도 동일했다. 둘째, 서구열강의 식민대학이 철저하게 현지엘리트 자제들의 고등교육에 집중했던 반면, 일본형 식민대학은 식민지에 대한 학술적 지식의 창출에도 주력했다. 이러한 차별성은 일본식민주의의 특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台湾史研究の一考察 -戴國煇と「知」の精神史の視点から-

        春山明哲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翰林日本學 Vol.0 No.29

        타이완 출신의 역사가 대국휘(1931-2001)는 1955년 일본으로 간 후, 1996년 귀국할 때까지 아시아경제연구소, 릿쿄대학에 있으면서 전후 일본에서의 타이완사 연구의 개척자로서 많은 족적을 남겼다. 대국휘의 연구 방법론의 특색은, 실증분석과 자기검증을 연결시키는 것에 있었다. 또한, 식민지 타이완 통치에 관한 근현대 일본의 「지(知)」 전체에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보고에서는 이 같은 대국휘의 모티브에 따른 「지(知)」의 정신사라는 시점에서, 일본에서의 타이완사 연구의 역사와 개성을 검토한다. 먼저 고토 신페이의 「타이완지」의 기원과 계보를 살펴보고, 오카마쓰 산타로·오다 요로즈(교토제국대학계), 니토베 이나조·야나이하라 다다오(도쿄제국대학계), 이노 가노리·야나기타 구니오(재야계)로 대표되는 3가지 흐름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이들 근대 일본의 「지(知)」에 대해 대국휘가 어떻게 접근했는지를 소개한다. 그 특징은 「일본인과의 대화」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에서의 타이완사 연구에 미친 대국휘의 영향과 그가 남긴 유산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이를 통해 식민지 타이완ㆍ조선의 학지 형성사에서 상호 참조할 수 있는 소재를 제공하자고 한다. Dai Guo hui is a Taiwanese historian(1931"|2001). In 1955 he came to Japan and in 1996 returned to native country. In Japan he worked in the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and as professor of Rikkyo(Saint Paul’s )University. He is one of pioneers of Taiwan studies and especially wrote many historical works. His distinction"@of methodology is to combine analytical demonstration of history with self examination. He intended to approach to all issues concerning colonial Taiwan and also Japanese intellectual problems. In this report I try to discuss characteristic of historical studies of Taiwa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an Dai Guo hui’s intellectual history. First I outlook the origin of Taiwan studies by Goto Shinpei’ government, then take up three knowledge streams. These are Kyoto Imperial University professors Okamatsu Santaro and Oda Yorozu, Tokyo Imperial University professors Nitobe Inazo and Yanaihara Tadao, and non university great scholar Inou Kanori and Yanagita Kunio. I introduce Dai Guo hui’s approach to these Japanese modern intellectuals. His unique method is a dialogue with Japanese. At last I consider his influence on historical studies of Taiwan. According to this report I hope to present some cross-references in making of intellectual history in Taiwan and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植民地台湾における社会的公共圏の可能性 -三面記事に潜んだ〈輿論〉の機能

        Li, Cheng-Chi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한림일본학 Vol.0 No.19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implic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Taiwan society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 till 1945. Place for <public opinion> is said to be public sphere according to the discussion related with “Struc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of Habermas Movement of public sphere as ideal type (Idealtypus, German) is to provide public place like arena that viewpoint and opinion mutually competes. Social system of modern society that the movement is most starkly revealed can be said to be mass media that gets to electronic media today from newspaper and magazine. The paper intended to examine how place of public opinion of the 3rd page news was recognized, and through what concept social ethos was formed by tracing social ethos and moral sense that was shown on 3rd page news of newspaper published during colonial period of Taiwan. Epistemology was intended to be pursued about social control for suicide case and widow through the news about adultery and murder as bill. <Public opinion> hidden at 3rd page news shows occurrence of negative behavior to all members of society everyday, and has function to make them check social ethos by this daily. It shows that social, moral issue or fact which was not the issue that was not politically controlled existed in the political 136 한림일본학situation of colonial rule of Taiwan by Japa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study to show social mechanism of colony better in the future as well as existing colony studies concentrated on history of rule and being ruled, and struggle between both sides.

      • KCI등재

        志賀潔と植民地朝鮮

        松田利彦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Kiyoshi Shiga (1871-1957) was an eminent Japanese bacteriologist who built his career as a scholar before 1945. However, it is a very little-known fact that he spent ten years of his later life in Japanese-ruled Joseon. Shiga came to Joseon in 1920 as a clinical manager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also Principal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Although he did not complete his plan, he tried to connect American Christian medicine with clinical medicine when Gyeongseong Medical College opened in 1926. His career in Joseon ranged over 10 years; through the medical director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to its president in 1929; he retired as president in 1931. This study examines his achievements as a person representing issues about academic research and colonialism. Shiga thought his principle was value neutrality, but the direc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Institute (later the Kitasato Institute) he belonged to was very practical; he came to have a point of contact with society through research into national diseases like tuberculosis and beriberi, and preventive campaigns against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al nature that his thought implied came to the surface within the bounds of colonized Joseon in an unexpected way, though he himself believed that there was no contradiction between his academic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state. While Shiga regarded as important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edicine in Joseon and made every effort to foster Korean medical scientists, he considered oriental medicine (physicians of the traditional school) as a mere object of reformation. Furthermore, when the Kubo case happened in 1921 during his term of office, he could nev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professor’s discriminating remarks toward Koreans. Shiga focused on Hansen’s disease during his period at GyeongseongImperial University . When some hegemonic competition occurred between Western missionari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ver the treatment of Hansen’s disease, his comments o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showed a sudden change from the hospital treatment principle of the late 1920s to the forced segregation principle in the early 1930s. His involv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management over Hansen’s disease was quite substantial.

      • KCI등재

        内地-外地を結ぶ書物のネットワークと朝鮮半島の小売書店 :日配時代を中心に

        HIBI Yoshitaka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한림일본학 Vol.0 No.27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book distribution network to connect the in and outside of Japan before the World War II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istribution network to connect Japan with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foundation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The study also mentioned the forms of retail bookstor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ose days. The activities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are recorded in History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which depicts its detailed history sorted out by the persons concerned later. As its title indicates, it records the overall affairs and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Corporation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makes it difficult to grasp the outlines of certain themes and areas due to the scattered information about them throughout the material. Consulting its records, the present study crossed it with publications issued by it including Communication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Publishing and Distribution, Promotion of New Books, Promotion of Publication, and others, looked into the actual state of book distribu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retail bookstores in Joseon. Those investigative efforts helped to understand an aspect of distribution process for books written in Japanes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Japanese Empire. The findings about the progress of book sales were also expected to reveal the contacts, symbiosis, and clash pattern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During the war, the Japanese imperialists tried to control every aspect of society. The publisher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had to transform their businesses to follow the national power. The organizations of publishers had themselves in line with the national 50 한림일본학 27집policies and deteriorated into the tools of power, which was forced and, at the same time, voluntary as members of organization. It is a piece of history and the past that is accompanied by criticism and reflection, offering a lesson for modern Koreans. It cannot help being limited, however, to look into only the power and control aspects. The movements of culture moving inside a social device are diverse, and a social system itself can exist and function separate from ideology. The central book distribution system realized by the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for instance, developed into a relay system in Japan after the war. 本論文では、第二次世界大戦以前における日本内地と外地を結んだ書物流通ネットワークの考察を行った。とりわけ、重点的に検討したのが日本出版配給株式会社(日配)成立以降における内地と朝鮮半島とを結んだ流通網である。また関連して、この時期の朝鮮半島における小売書店のあり方についても言及した。日配の活動については、関係者が後年まとめた詳細な歴史『日配時代史』が存在する。ただしこの資料は名前の示す通り、日配全体の業務や組織の変遷を、おおむね編年体で追いかけるものであり、特定のテーマや地域については情報が分散していて輪郭が掴みにくい。今回は、『日配時代史』の記述を参考にしながら、そこに日配が刊行していた冊子『日配通信』『出版普及』『新刊弘報』『出版弘報』他を交差させ、朝鮮半島を舞台とした書物流通の実態に迫り、また日配関連資料である『日配通信』や『出版普及』『新刊弘報』なども取り扱った。また、朝鮮半島の小売書店の実態についても、報告を行い、これらの作業により、日本帝国主義時代末期の朝鮮半島における日本語書物の流通過程の一端が明らかになるとともに、書物の売買を通した日本人、朝鮮人の接触と共棲、衝突のありさまが浮かび上がっていくものと考えている。 戦時国家は、社会を隅から隅まで統制しようとした。出版人たちは、組織に所属していればいるほど、国家権力に沿うかたちに自からと、自からの所属する組織を変え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かくして、出版業の諸団体は国策と一体化し、権力の手先と化した。彼らはそれを強制されて行ったが、しかし同時に組織人としてそれを自主的にも行った。それは批判されるべき歴史であり、反省を引き継ぐべき過去である。そして、現代においてなお顧みるべき教訓でもある。だが、そうした権力と統制の側だけみるのは、時代の一部分でしかあるまい。社会装置の上で駆動する文化の動態は、より多様であり、社会装置そのものはイデオロギーとは別に存続し機能しうる。たとえば、日配が実現した書物の一元配給システムは、戦後日本の高度な取次システムへと引き継がれた。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심묘(心畝) 김창환(金彰桓)의 예술 연원과 작품 분석

        조정래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3 한림일본학 Vol.- No.43

        Amongst the chronological change with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the formation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Changwhan Kim endeavored to receive modern education for professions in order to adapt to a new form of society. Though research on Changwhan Kim’s art pieces being a significant source to analyze the trend and change of Korean traditional art due to the influx of foreign styles of painting in terms of Korean modern art history, there have not been detailed analyses on his work itself but personal background, literatures, and media activities.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limitations on discovering his art pieces other than <Pine Tree and Cranes> at Kansong Art Museum, created in 1917 before his study in Japan, and <Phoenix and Cranes>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However, <Ode to the Sound of Autumn> and <Seeking Plum Blossoms>, owned by Hallym University Library, not on display, demonstrated his constant painting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being the new clue on his artwork, not limited to media activities and work on literary coterie magazines. Accordingly, it was shown that Changwhan Kim’s pieces pursued an advanced aesthetic preference for Joseon-styled paintings with Japanese polychrome painting techniques, combining decorative features from the Maruyama School and Rinpa School. Moreover, it was the procedure where Changwhan Kim developed his artistic identity by converging traditional and foreign painting techniques. ■ keyword the Imperial Age, Changwhan Kim, Simmyo, Ode to the Sound of Autumn, Seeking Plum Blossoms, Figure Painting of Old Stories, Seohwa Misulhoe 조선의 멸망과 대한제국의 성립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격변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김창환의 새로운 사회로의 적응을 위한 삶의 도전 중 하나는 근대교육의 이수를 통해 예술과 언론계 등과 같은 전문직으로 진출이었다. 김창환의 예술작품 연구는 이러한 한국 근대미술사에 있어 외국화풍의 유입으로 인한 전통예술의 경향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그의 행적이나 문학 혹은 언론 활동에 관한 연구뿐, 작품에 대한 구체적 분석은 없었다. 이는 1917년 김창환의 일본 유학 이전 창작된 간송미술관 <송월학명>(松月鶴鳴)과 국립고궁박물관 <봉학도>(鳳鶴圖) 이외 남아있는 작품을 찾기 어려운 상황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 <추성부도>(秋聲賦圖)와 <탐매도>(探梅圖) 두 점은 김창환 예술연구의 새로운 실마리로1920년대 언론과 동인지 활동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그의 화가로서의 꾸준한 창작활동과 예술풍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의 <고사인물도>계열 작품은 일본식 채색화 양식을 넘어 새로운 조선화의 미적 취향과 조형미를 추구한 한 흔적이 역력했다는 점에 가치가 있으며, 이는 전통회화 기법의 계승과 새로운 외래양식의 융합을 통해 화가 본인의 예술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시가 기요시(志賀潔)와 식민지 조선

        마쓰다도시히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 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 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 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 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 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 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 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 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 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 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 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 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