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림 일본학DB <아사히신문 외지판 (朝日新聞外地版)> 기사명DB -1936.7~1936.12

        서정완,이의연,이준희,정용준,김정미,신가영,박정화,최형섭,황세림,김지영,김지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翰林日本學 Vol.0 No.18

        〈아사히신문 외지판 기사명DB〉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일본학DB 사업의 하나로, 연구소장이 중심이 되어 기획, 추진하였다. 연구소 연구보조원들이 분류 및 입력 작업을 수행하였다. 1차 입력을 마친 후 두 차례에 걸쳐서 오타와 판독이 어려운 글자 등에 대한 자체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심재현 연구원이, 데이터 입력창의 개발과 관리는 최형섭 연구보조원이 담당하였다.

      • KCI등재

        内地-外地を結ぶ書物のネットワークと朝鮮半島の小売書店 :日配時代を中心に

        日比嘉高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이 논문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일본 내지와 외지를 연결한 서적 유통네트워크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중점적으로 검토한 것은 일본출판배급주식회사(일배) 성립 이후의 내지와 한반도를 연결하는 유통망이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 이 시기 한반도의 소매서점의 존재형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일본출판배급주식회사’의 활동에 대해서는 관계자들이 후년 정리한 상세한 역사인 『日配時代史』가 있다. 단, 이 자료는 제목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배 전체의 업무나 조직의 변천을 대체로 편년체로 서술한 것이며, 특정한 테마나 지역에 대해서는 정보가 분산되어 있어 윤곽을 파악하기 곤란하다. 여기서는 『日配時代史』의 기술을 참고로 하면서, 거기에 일본출판배급주식회사가 간행하고 있던 책자 『日配通信』,『出版普及』,『新刊弘報』,『出版弘報』, 기타를 교차시켜 한반도를 무대로 한 서적유통의 실태를 파악하고, 조선반도 소매서점의 실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이러한 조사고찰에 의해 일본 제국주의시대 말기 한반도에 있어 일본어서적의 유통과정의 한 단면을 밝힐 수 있었으며, 아울러 서적 판매에 대한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일본인과 조선인의 접촉과 공생, 충돌 양상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전시국가는 사회전반을 통제하려고 했다. 출판인들은 조직에 소속되어 있을수록 국가 권력에 따르는 형태로 조직을 바꿔 나가야했다. 이리하여 출판산업의 단체들은 국책과 일체화하여 권력의 하수인으로 전락했다. 그것은 강제적이었지만 동시에 조직인으로서 자주적이기도 했다. 그것은 비판과 반성을 동반하는 역사이자 과거이다. 그리고 현대에도 돌아봐야 할 교훈이기도 하다. 하지만 권력과 통제의 측면만을 보는 것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사회장치에서 움직이는 문화의 동태는 보다 다양하며, 사회 시스템 자체는 이데올로기와는 별도로 존속, 기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배(日配)를 실현한 서적의 중앙배급 시스템은 전후일본의 중개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book distribution network to connect the in and outside of Japan before the World War II with a special focus on the distribution network to connect Japan with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foundation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The study also mentioned the forms of retail bookstor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ose days. The activities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are recorded in History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which depicts its detailed history sorted out by the persons concerned later. As its title indicates, it records the overall affairs and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Corporation in a chronological order and makes it difficult to grasp the outlines of certain themes and areas due to the scattered information about them throughout the material. Consulting its records, the present study crossed it with publications issued by it including Communication of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Publishing and Distribution, Promotion of New Books, Promotion of Publication, and others, looked into the actual state of book distribu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examined the actual state of retail bookstores in Joseon. Those investigative efforts helped to understand an aspect of distribution process for books written in Japanes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Japanese Empire. The findings about the progress of book sales were also expected to reveal the contacts, symbiosis, and clash pattern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During the war, the Japanese imperialists tried to control every aspect of society. The publisher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had to transform their businesses to follow the national power. The organizations of publishers had themselves in line with the national 50 한림일본학 27집policies and deteriorated into the tools of power, which was forced and, at the same time, voluntary as members of organization. It is a piece of history and the past that is accompanied by criticism and reflection, offering a lesson for modern Koreans. It cannot help being limited, however, to look into only the power and control aspects. The movements of culture moving inside a social device are diverse, and a social system itself can exist and function separate from ideology. The central book distribution system realized by the Japanese Publishing and Distribution Corporation, for instance, developed into a relay system in Japan after the war.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植民地台湾における社会的公共圏の可能性 -三面記事に潜んだ〈輿論〉の機能

        Li, Cheng-Chi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翰林日本學 Vol.0 No.19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implic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Taiwan society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 till 1945. Place for <public opinion> is said to be public sphere according to the discussion related with “Struc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of Habermas Movement of public sphere as ideal type (Idealtypus, German) is to provide public place like arena that viewpoint and opinion mutually competes. Social system of modern society that the movement is most starkly revealed can be said to be mass media that gets to electronic media today from newspaper and magazine. The paper intended to examine how place of public opinion of the 3rd page news was recognized, and through what concept social ethos was formed by tracing social ethos and moral sense that was shown on 3rd page news of newspaper published during colonial period of Taiwan. Epistemology was intended to be pursued about social control for suicide case and widow through the news about adultery and murder as bill. <Public opinion> hidden at 3rd page news shows occurrence of negative behavior to all members of society everyday, and has function to make them check social ethos by this daily. It shows that social, moral issue or fact which was not the issue that was not politically controlled existed in the political 136 한림일본학situation of colonial rule of Taiwan by Japa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study to show social mechanism of colony better in the future as well as existing colony studies concentrated on history of rule and being ruled, and struggle between both side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성제국대학 일본어잡지 『청량(淸凉)』 발간과 초기 작품 연구: 1920년대 재조일본인 학생의 글에 나타난 < 조선 >상을 중심으로

        김욱 ( Wook K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7

        본 논문은 1924년에 개교한 경성제국대학 예과에서 1925년에 발간된 최초의 공식 일본어잡지인 『청량』에 대해 살펴보는 글이다. 개교 1주년을 기념하여 1925년 5월 18일에 제1호를낸 『청량』은 30호(1941)까지 발행되어 16년간 경성제국대학의 주요 잡지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량』은 문예잡지의 성격을 뛰어넘는 종합잡지의 성격을 지녔으며 문예란 이외에도 여러 학교 소식을 전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은 식민지에 세우는 최초의 제국대학이라는 점 때문에, 설립 당시부터 잡음이 많았다. 조선인에 의한 민립대학 설립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일제가 기존에 논의되던 식민지 제국대학 설립의 논의를 3.1운동 이후에 ‘문화통치’ 정책의 연장선상으로서 조선제국대학 창립위원회를 설립하고 ‘제국’의 대학으로 설립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배경은 『청량』이공식 잡지이자 필진과 편집위원이 조선인.일본인이 공동으로 참여한 ‘내선’학우회 잡지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조선인 학생의 참여비중이 줄어드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이밖에도 『청량』이 불완전한 ‘내선’학우회잡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로, 편집후기에도 확인할 수 있듯이 조선인과 일본인이 생각하는 잡지의 지향점에 ‘균열’이 있었던 것. 더불어 경성제국대학이 위치한 조선이라는 장소를 표상하는 방법에 드러나는 두 민족 학생들의 시선에도 또한 균열이 있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은, 조선인과 재조선일본인이라는 구성원을 가진 경성제국대학의 학생들이, ‘내지(內地)’일본에 있는 학생들과 교류하고 싶다는 공통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작 같은 잡지에서조차 ‘조선’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에 의해 결국 『청량』이라는 잡지에서 동상이몽의 모습을 보여주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같은 교수의 밑에서 일본어라는 공용어로 공부를 하고, 또한 조선인과 일본인의 엘리트 학생 집단이라는 공통점으로 뭉친 구성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융화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지만, 한국어 잡지의 창간과 『청량』후기(後期)의 조선인 집필진 수의 감소는 한계성 또한 여실히 보여주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piece of writing which examines 『Cheong-ryang』, the official Japanese-language magazine which was first published by Keijo Imperial University i1925. Keijo Imperial University was first opened in 1924. 『Cheong- ryang』which published the first issue on May 18th, 1925 to celebrate of the 1st anniversary of its founding got to play the role as the major magazine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for 16 years until the 30th issues were published in the checked data. 『Cheong-ryang』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magazine which surpassed the features of the literary magazine and broke the several school news with the literature part. There were a lot of noise in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since it was founded because of the point that it is the first imperial university established in colony. There was a sign of establishment of a private university by a Korean. However, Japan established the organizing committee of Joseon Imperial University through discussion of establishment of the Colonial Imperial University which had been done before in a continuation of the < cultural rule > policy since the March Fist Independence Movement and got to do the university of < the Empire >. This background became one of the causes that Korean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magazine gradually reduced despite 『Cheong-ryang』 was the student union magazine that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jointly participate in the official magazine as the writing staffs and editors. Except this, 『Cheong-ryang』could not helping being the incomplete student union magazine because there were cracks in the aims that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hought of and the different viewpoints which showed in the methods to express the place of Joseon that Keijo ImperialUniversity was located in as shown in the editors’ comments. These different viewpoints resulted in showing the different purposes in the magazine, 『Cheong-ryang』du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to look at ‘Joseon’ even in the same magazine with the common desire that the students in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which consists of the Korean students and the Japanese students who lives in Korea wanted to make an exchange with the students in Japan. The aspect about the possibility of harmony was shown in the magazine in that they studied under the same professors with an official language called Japanese and the Korean and Japanese elite student groups were composed as the common ground. However, foundation of Korean magazines and reduction of the number of Korean writing staffs in the late 『Cheong-ryang』clearly show the limit.

      • KCI등재

        志賀潔と植民地朝鮮

        마쓰다도시히코 ( Toshihiko Matsuda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志賀潔(1871∼1957年)は、赤痢菌の註見で著名な戰前日本の細菌學者である。しかし、志賀潔 が、硏究者としての後半生10數年間を植民地朝鮮で送ったことはほとんど知られていない。志賀は、1920 年に朝鮮綜督府醫院長兼京城醫學專門學校校長として朝鮮に渡った。1926年、京城帝國大學の創設 においては、實現はしなかったもののアメリカ式の基礎醫學と臨床醫學の連繼を構想した。そして、京城帝 國大學が開學すると同醫學部長、ついで1929年に京城帝國大學總長に就任した。1931年京城帝國大 學總長を辭職するまで朝鮮での活動期間は10余年にわたる。 本稿では、學術硏究と植民地主義という問題を體現する人物として志賀を取りあげ考察した。志賀潔 は、主關的には價値中立主義的な學問的態度を信條とした。しかし、志賀の屬した傳染病硏究所(後に 北里硏究所)は實學志向を襁く持ち、志賀も結核や脚麒の調査や予防キャンペ-ンを通じて社會との接 点をもつことになった。志賀本人としては、純隧な學問硏究と國家への貢憲は矛盾なく結びついていたと思 われるが、植民地朝鮮という磁場ではそうした思想の政治性がはしなくも表面化した。 志賀は朝鮮において西洋醫學の普及を重視し朝鮮人醫學者の育成に力を入れた反面、傳統的な漢 方醫(醫生)は一方的な敎化對象と見なした。また、京城醫學轉門學校校長時代に起こった久保事件 (1921年)においては、日本人敎授の差別發言に對する朝鮮人學生の抗議を理解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 た。京城帝國大學時代はハンセン病硏究に注力したが、その硏究は嘔米人宣敎師と朝鮮總督府の醫療 をめぐるヘゲモニ-競爭という文脈の中に置かれていた。志賀のハンセン病對策をめぐる言設が、1920年 代後半における治癒退院主義から30年代初期の襁制隔離主義へと大きく專換したことも、朝鮮總督府の ハンセン病政策と關連していた可能性がある。 Kiyoshi Shiga (1871-1957) was an eminent Japanese bacteriologist who built his career as a scholar before 1945. However, it is a very little-known fact that he spent ten years of his later life in Japanese-ruled Joseon. Shiga came to Joseon in 1920 as a clinical manager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also Principal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Although he did not complete his plan, he tried to connect American Christian medicine with clinical medicine when Gyeongseong Medical College opened in 1926. His career in Joseon ranged over 10 years; through the medical director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to its president in 1929; he retired as president in 1931. This study examines his achievements as a person representing issues about academic research and colonialism. Shiga thought his principle was value neutrality, but the direc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Institute (later the Kitasato Institute) he belonged to was very practical; he came to have a point of contact with society through research into national diseases like tuberculosis and beriberi, and preventive campaigns against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al nature that his thought implied came to the surface within the bounds of colonized Joseon in an unexpected way, though he himself believed that there was no contradiction between his academic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state. While Shiga regarded as important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edicine in Joseon and made every effort to foster Korean medical scientists, he considered oriental medicine (physicians of the traditional school) as a mere object of reformation. Furthermore, when the Kubo case happened in 1921 during his term of office, he could nev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professor’s discriminating remarks toward Koreans. Shiga focused on Hansen’s disease during his period 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When some hegemonic competition occurred between Western missionaries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ver the treatment of Hansen’s disease, his comments o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showed a sudden change from the hospital treatment principle of the late 1920s to the forced segregation principle in the early 1930s. His involv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management over Hansen’s disease was quite substantial.

      • KCI등재

        <일반논문> : 시가 기요시(志賀潔)와 식민지 조선

        마쓰다도시히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 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 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 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 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 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 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 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 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 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 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 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 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 KCI등재

        志賀潔と植民地朝鮮

        松田利彦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Kiyoshi Shiga (1871-1957) was an eminent Japanese bacteriologist who built his career as a scholar before 1945. However, it is a very little-known fact that he spent ten years of his later life in Japanese-ruled Joseon. Shiga came to Joseon in 1920 as a clinical manager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also Principal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Although he did not complete his plan, he tried to connect American Christian medicine with clinical medicine when Gyeongseong Medical College opened in 1926. His career in Joseon ranged over 10 years; through the medical director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to its president in 1929; he retired as president in 1931. This study examines his achievements as a person representing issues about academic research and colonialism. Shiga thought his principle was value neutrality, but the direc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Institute (later the Kitasato Institute) he belonged to was very practical; he came to have a point of contact with society through research into national diseases like tuberculosis and beriberi, and preventive campaigns against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al nature that his thought implied came to the surface within the bounds of colonized Joseon in an unexpected way, though he himself believed that there was no contradiction between his academic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state. While Shiga regarded as important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edicine in Joseon and made every effort to foster Korean medical scientists, he considered oriental medicine (physicians of the traditional school) as a mere object of reformation. Furthermore, when the Kubo case happened in 1921 during his term of office, he could nev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professor’s discriminating remarks toward Koreans. Shiga focused on Hansen’s disease during his period at GyeongseongImperial University . When some hegemonic competition occurred between Western missionari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ver the treatment of Hansen’s disease, his comments o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showed a sudden change from the hospital treatment principle of the late 1920s to the forced segregation principle in the early 1930s. His involv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management over Hansen’s disease was quite substa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