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으로서 한국노인교육의 발전방향 - 노인교육담론을 중심으로

        신미식(Shin Mee-Shik)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이미 오래 전에 평생학습사회,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한국은 그 어느 때보다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노인교육은 복지위주의 노인교육, 인적자원개발 위주의 노인교육이 대부분으로, 노인을 배움의 주체, 삶의 주체, 즉 평생학습자로 키워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이론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학계 역시 평생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노인교육, 평생교육의 중요한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아직 확산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자는 더 늦기 전에 평생교육과의 연결 선상에서 노인교육을 다루는 논의나 연구가 활발하게 제기되어야한다고 보고, 이런 시도의 일환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노인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한국보다 노인교육에 대해 활발한 논의와 연구를 해온 나라들에서 발전된 노인교육담론을 살펴보고 그것으로부터 시사점을 얻으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지금까지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셋째, 다른 나라에서 전개된 노인교육의 담론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들 담론이 한국 노인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그것을 토대로 한국 노인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해보았다.   Korea already enters into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the aging society. Given that, elderl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orm of lifelong education. But in reality, that does not happen yet. In the field, elderly education is not conduct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Also, it does not contribute to educating the elderly as lifelong leaners. Most elderly education given in Korea at this moment is welfare 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iented. Also, in the academics, not many studies are done to find out where elderly education should be positioned in the big picture of lifelong education, what should be done to make the elderly lifelong learners, and where it should go in the future.<BR>  The author thinks that more serious research should be done to answer the questions and this study is a just start for that.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examine the present forms of elderly education in Korea and to analyze its problems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Further, the author looks into main discourses on elderly education,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The reason for it is that since western countries have more experiences on elderly education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they could provide Korean elderly education with some lessons. Lastly, the author attempts to figure out what lessons Korean elderly education learns from western experiences and in which direction Korean elderly education should go to position elderl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make the elderly lifelong learners.

      • KCI등재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

        곽삼근(Kwak Sam-geun),최윤정(Choi Yun-j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의 역사와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지난 50 년간 한국 평생교육학의 발전 과정을 연구물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둘째,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주요 학술지의 논문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동향의 주요 특성들을 고찰하고 학문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연구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 평생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세 개에서 총 395 편의 논문을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을 총 10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분석 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평생교육학 학문연구와 방법연구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은 급속한 성장기에 있으며, 평생교육법의 출현으로 평생교육 활동의 공급과 수요는 그 어느 때보다 양적으로 급증하였다. 그러나 현장에 초점을 두도록 급속하게 교육실천의 요구가 팽창해왔는데 비하여 연구 활동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는 평가가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평생교육학 영역에서 많은 연구물이 쏟아져 나왔지만, 아직 평생교육학의 제반영역을 체계화하는 작업은 미진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고 학문적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nd its future direction.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s, we categorized the research papers into the ten research areas. From the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in lifelong education, 395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is analysis, we could find tha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processes' was the most popular area, while 'lifelong education study and methodology' was the least concerned one.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y of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is still practice-oriented. But recently, the quality of papers is making progress from a level. of general surveys on the realities to an indepth research study. Second, the research topics and problems of the papers have become more specific and various. Third, the concerns on 'learning' and 'learners' I have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Fourth, even though it was not deeply examined in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the papers on research methodology were scarce in numbers. Fifth, academic journals are functioning as a place for debate and discourse. It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scholars by shar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lifelong education phenomena Sixth,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re few in numbers compared to any other areas. We could conclude that while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have been greatly expanded and more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emanded in Korean society, the academic supports to lead the practices were not sufficient. Therefore,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기관 이미지 측정모델 개발 및 평생교육기관간 이미지 비교

        권두승(Kwon Doo-Se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이 그 동안의 교육활동을 통하여 형성하여 왔던 이미지를 특정 용어들을 중심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를 통하여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이미지 특성을 비교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특성용어를 중심으로 996명으로부터 12개 평생교육 기관에 대한 이미지 평정자료를 수집하였다.<BR>  연구의 결과, 연구에 사용된 42개의 특성용어 중에서 평생교육기관의 이미지로 적절하다고 평정된 특성용어는 29개였다. 이를 중심으로 이들 특성용어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5개 요인(변화성, 서비스지향성, 전문성, 효과성, 영리추구성)을 탐색적으로 알아냈으며, 이들 요인은 전체 변량의 64.7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S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이들 5개 요인의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평생교육기관 이미지 측정을 위한 총 29개의 용어들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여 12개의 평생교육기관들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변화성, 전문성, 효과성은 대학평생교육원이, 서비스지향성은 사회복지관, 그리고 영리추구성은 직업전문학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개 평생교육기관의 척도점수를 5개 요인별로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의 사후비교분석을 한 결과, 평생교육기관들은 기관유형에 따라 5개의 요인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개의 이미지 요인에 대한 평생교육기관간의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군집으로 범주화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평생교육기관의 이미지 정립과 관련된 시사점과 앞으로의 추후 연구과제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the images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haped through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by specific words, and to compare those images by the properties of them. The subjects were 996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and learners, and they responded the images of 12 representativ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B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ve images(change, professionalism, service orientation, effectiveness, and profit orientation)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uppor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is results, the image measurement instrument including 29 words was developed. Second, the image of change, professionalism, and effectiveness highly showed in the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whereas service orientation highly did in the social service center, and profit orientation highly did in the vocational training center. Third, there were five cluster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BR>  Based on the this result, image making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s related implications, and the following research topic were discussed.

      • KCI등재

        평생교육재정 지원 확대를 위한 논의

        남수경,김현수,양병찬,최현정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평생교육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평생교육재정 투자 확대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재정 확보를 위한 기본 논리를 정립하고, 평생교육재정 부담 주체별 역할과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항목은 선행연구 결과 분석을 토대로 평생교육재정의 확대 논리와 비용 분담 구조, 평생교육재정 확보를 위한 아젠다와 적정규모 산출 기준, 평생교육재정 관련 지원 주체별 역할 및 향후 개선 방안,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를 위한 재정 지원 개선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와 지자체의 평생교육에 대한 재정 지원은 선택이 아닌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식한 가운데, 평생교육재정지원 확대를 위해 법적 기반, 예산, 인력, 원스톱(one-stop) 서비스 전달체계의 확립과 함께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역할 설정 및 연계 등 거버넌스의 개편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d strategies on how to secure lifelong education finance 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evels in terms of financial security, distribution, and operation in South Korea. It examines trends and statues in lifelong education finance using statistical financial data, and conducts two Delphi surveys with 20 experts in the field. The Delphi survey comprises of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securing lifelong education finance”, it contains the logic for expanding official financial supports, the division of adequate spending between social and private burdens by types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establishing an agenda for securing finances. Second, in relation to “budget allocation and support”, it contains strategies for stimulating i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expanding lifelong education vouchers, supporti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 allocation approach to project budgets. Third, in relation to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inance”, it contains supporting strategies by funding sources, and implementing strategies for governan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rom a way of ensuring citizens' basic rights, not as an alternativ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laws, budgets, human resources, and one-stop service delivery systems should be put in place to expand financial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governance reforms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평생교육학의 선구자 코메니우스(Comenius)의 "Pampaedia"(범교육학)에 나타난 평생교육이해와 시사점

        최진경(Choi, Jin K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서양교육사에서 현대교육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17세기 인물 요한 아모스 코메니우스(Johan Amos Comenius; 1592-1670)의 주요 교육저서 "Pampaedia"(범교육학)에 나타난 그의 평생교육 사상에 대한 연구이다. 코메니우스는 이 작품에서 모든 연령층을 위한 평생교육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 세상을 하나의 학교로 보고, 인간의 전 생애를 배움의 기간으로 보았으며, 지혜로워지기 위해 인간은 평생 동안 배워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평생교육의 목표를 '신(神)형상'(Imago Dei)에로 인간성을 회복하는데 두었다. 이 목표에 따라 그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인간의 전 생애를 연령별 특성에 근거하여 7단계로 나누어 교육 목표, 과제, 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간성 회복을 위해 그는 지성, 덕성, 신앙을 배움의 주요내용으로 규정하였는데, 지성은 사물세계와의 바른 관계를, 덕성은 사람들과의 바른 관계를, 신앙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형성하는데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의 학문적 초석을 놓은 코메니우스가 평생교육학의 선구자 됨을 그의 교육철학을 통해 밝히고 그의 교육철학을 통해 밝히고 그의 평생 교육론의 독특성을 살핀 뒤, 오늘날 평생교육학 연구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고자 한다. Johann Amos Comenius(1592-1670), who is known as the father of modern pedagogy in Western educational history, already presented lifelong education for all ages in the 17th century in his principal educational work, ?Pampaedia?. Comenius regarded the world as a school, whole life of human as a learning-time and thought that human should learn during his whole lifelong in oder to be wise. His educational aim was to restore Imago Dei in human nature. Following this aim he presented the task, contents and methods of his education, and he divided the whole life of human into seven stage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each age for effective education. In order to restore human nature he set up ‘erudition-virtue-religion’ as the contents of learning. Erudition. Erudition i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ings, virtue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religion for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this paper ‘to develop abilities for restoration of relationship'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ask which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today's lifelong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Comenius' lifelong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flect upon the direction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his lifelong educational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평생교육의 제도화 탐색

        정경순(Jung Kyung-S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제도주의 관점에서 평생교육의 세계적 제도화 현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학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평생교육 제도화의 개념을 확장한 후, 실체를 포착하기 힘든 평생교육의 제도화를 드러내기 위해 고등교육의 개방과 평생교육 담론 생성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세계 188개 국가의 1948년부터 2005년까지의 횡단적?시계열적 자료를 활용한 국가 간 비교연구(crossnational analysis)를 통하여 개방형 고등교육체제의 제도화 추세와 UNESCO를 통한 교육담론의 확산 추세를 비교하였다.<BR>  연구 결과, 고등교육의 개방화와 평생교육 담론의 생성은 대학확장운동이라는 동일한 모태에서 출발하여, 20세기 중반부터 전자는 개방형 고등교육체제로, 후자는 보편적 교육담론으로 발전하여 개별국가의 조건과는 무관하게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양자의 연대별 확산추세는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세계정치문화체제(world polity)에서 정당화된 교육 이데올로기, 특히 국제기구를 통한 평생교육 담론에 대한 개별국가의 제도적 응답이 개방형 고등 교육체제의 구축으로 드러난 것으로서, 이는 고등교육 단계까지 평등한 학습기회의 보장을 당연시하는 믿음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통해 평생교육이 제도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global institutiona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Open Higher Education System(OHES) from the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For this, a comparative study was carried out analysing crossnational historical data of 188 countries from 1948 until 2005.<BR>  The result shows that OHES has expanded and institutionalized at a global level largely independent of counrtyspecific conditions and its institutionalizing trend by era after 1960"s is similar to that of education rationales, especially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spreaded by UNESCO.<BR>  It suggests that OHES is the institutional product as a nation"s response to lifelong educational discourse and cultural ideologies legitimated in the world polity, and that lifelong education is institutionalized across the world by spreading of the belief to ensure the equal learning opportunity for everyone throughout his life, especially to the stage of higher education is takenforgranted human right.

      • KCI등재

        평생학습 - 삶을 위한 또 다른 기회인가, 교육불평등의 확대인가

        고병헌(Byung Hun Ko) 한국평생교육학회 2003 평생교육학연구 Vol.9 No.1

        평생학습은 패러다임의 변혁, 즉 학습자 개인의 삶의 변화뿐만 아니라, 그들이 익숙해 있는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기초한, 관계 방식의 변화와 사회구조의 변화를 함께 전제해야 한다. 왜냐하면 신자유주의 사회질서에서, 패러다임의 변혁, 그리고 이에 기초한 사회변혁과 관련되지 않은 '학습의욕고취'는 기껏해야 개인의 경쟁력이나, 이를 사용하는 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산성 향상 과정에서 기업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수혜자부담의 원칙'에 따라 평생학습 '수혜자'인 개인에게 전가된다. 실로, 패러다임 변혁을 전제하지 않는 평생학습담론은 신자유주의 담론과 보수적 평생교육 담론의 사회적 확산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결국 평생교육 이전 단계에서 진행되었던 교육불평등 재생산과정을 '평생학습시대 도래'라는 이름으로 사회적으로 확대 재생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이 보수적 평생교육론과 신자유주의 담론의 사회적 유통·확산 통로가 아닌, 우리 개인의 삶의 해방과 사회변혁의 진지(陳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안적인 '평생학습공동체'를 건설할 필요가 있는데, '지역교육통화체제(LESES: Local Educational Services Exchange System)'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육통화는 학습자와 지식의 '대안적 관계'를 구축하고, 경제력이 없는 사람도 교육서비스의 유통과정에 자유롭게 개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민주도 네트워크형 평생학습사회'를 건설하는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Without a fundamental shift in paradigm, the discourse of life-long learning will have no significance other than satisfying the immediate demands of corporations such as maximiz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 increase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course, is achieved by enhanced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from lifelong learning programs which are in turn paid for by the individual beneficiaries of the programs themselves. In this context,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contradictory to its stated purpose, increases existing inequalities in the compulsory educational stage by educating those who have already benefited from the educational system and not those who have missed out on previous opportunities. The correla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programs and increased educational inequality is particularly strong in the society which system is re-organized around Neo-liberalism In order to make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a living and working one, a transformation in paradigm--a transformation both in the way of thinking and in the way of living is required. LESES(Local Educational Services Exchange System) can be an alternative for accomplishing the intended goal of lifelong learning. LESES is an alternative system for lifelong learning where the have-nots can participate and make great contributions to the construction of a Lifelong Learning Society.

      • KCI등재

        장애인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과 요구 - 직업능력향상교육 분야 FGI를 기반으로

        이경준,김은하,강수정,김희수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2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for program development in the field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among the six categor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To this end, a non-face-to-face video conference platform was used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FGI) for disabled parties and experts in each area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four areas of disability (physical disability, brain lesion disability;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Severe and overlapping disability). The main topics ar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wareness of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the actual status of vocational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s, improvement and development plans, and plans to promote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and job-related realization. The collected data was drawn as a result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technique. Thus, by deriving sub-themes and describing their implications, the direction and specific requirement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each disability area to be investigated for vocational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장애인평생교육의 6가지 분류 중 직업능력향상교육 분야의 프로그램 개발 요구 분석과 향후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모색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개 장애영역(지체⸱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중도⸱중복장애)에서 장애인직업교육에 관련한 영역별 장애당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비대면 화상회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주요 주제는 장애인평생교육으로서 직업능력향상교육에 대한 인식, 직업능력향상교육 프로그램 실태와 개선 및 개발 방안, 직업능력향상교육과 직업 연계 실현 가능성 도모 방안 등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하위주제를 도출하고 그의 함의를 기술함으로써 직업능력향상교육을 위한 조사 대상 장애영역별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과 구체적 요구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위논문 동향분석

        이석진,기영화,김남숙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4

        2000년 평생교육법 제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평생교육학은 사회교육, 성인교육 등 다양한 용어로 평생교육과 관련한 학위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평생교육학의 연구변동을 파악하여 향후 전략적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평생교육의 학문적 요구와 평생교육 분야의 발전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11년 12월까지 국회도서관에 등록된 평생교육 관련 2,216편의 학위논문으로 하여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분석하였다. 평생교육분야의 학위논문의 동향과 흐름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의 평생교육학 연구는 짧은 기간에 독립된 학문분야로서의 위상을 굳히고 있는 단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000년 이후 학위논문은 1970년부터 1999년까지(35.9%) 30년 동안 연구된 논문보다 2000년-2009년(49.7%)까지 10년에 걸친 논문의 더 많은 것은 평생교육의 발전적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논문의 연구 주제로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와 ‘프로그램 만족도 및 활성화’ 분야에서 많은 연구논문은 우리나라의 평생교육이 이론적 연구만이 아니라, 현장에서의 실천에 관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보여주고 있다. 평생교육연구가 학문과 실천의 전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겠다. Since the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in 2000,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as called in various terms, such as community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lifelong learning and related theses were present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to identify future policy directions for research by analyzing studies of Lifelong Education trends and 2)to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academic needs of lifelong lear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2,216 lifelong Education relate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which were register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in December 2011. Research topics, target population,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purposes were analyzed. A result of current study shows that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research in Korea is in the process of solidifying its status as the independent discipline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Compare with the theses published from 1970 to 1999 (35.9%), more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49.7%). This can be considered that over the last 10 years, more academic progress has been made. A research topic has been expanded from mor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 ‘program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earch areas of Korea’s lifelong education are being broaden to the field of actual practice related researches from the field of theoretical ones. This can also be evaluated that the lifelong education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extensively across all areas of study and practice.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성과와 학교기반 교육학에 대한 문제제기(2000-2023)

        한숭희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4

        이 글은 한국교육학회 70주년을 계기로, 그 동안 평생교육학이 교육학 전체에 어떤 학문적이고 이론적 기여를 해왔는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생교육학이 어떻게 학교교육학의 이론적 지형을 변형해왔으며, 그 외곽에 어떠한 새로운 교육체계와 이론적 지향점을 구축해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동 학회가 지난 20여 년 동안 발간해 온 <평생교육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내용을 재분류하고 그 흐름 속에서 기존 교육학과 대비되는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기여도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생교육학 연구들은 끊임없이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차별적인 자기 정체성을 개발해 왔지만, 초기 사회교육의 정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교육의 개념, 대안적 가치, 학습이론, 활동 영역과 지향적 가치 등을 창출해 왔다. (2) 특히 평생학습에 관한 이론 연구는 학교학습과 대비하여 새로운 학습이론의 출발점이자 동시에 새로운 학습과학 영역의 창출이라는 성과를 도출했다. (3) 고등평생교육 영역과 성인교육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제도화 과정은 그 자체로 평생학습체제의 구축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 학교와 대학의 근대주의적 구조를 변형하고 대체할 수 있는 포스트 근대적 교육체계를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4) 평생교육학은 교육학의 담론의 중심을 교육에서 학습으로 전환하면서 그 안에서 학교사회 대 학습사회라는 대치 구도를 형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 and to reveal what kinds of academic and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s made to the overall educational sciences in general. In particular, what this study focuses on is exploring what the lifelong education theories have been constructed and how they gave impact on the dominant school-centered mainstream educational theories. Among many,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lifelong education as theory has transformed the theoretical landscape of school-centered ontologies in pedag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which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in Lifelong Education has published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tracted the theoretical contrasts that lifelong education created in comparison with existing school-based educational theories from that flow.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ursue of the foundational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es of lifelong education have continuously created alternative educational concepts, values, and learning theories that gave impacts on transforming or replac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Korea’s school education system. (2) In particular, researches and theories on lifelong learning resulted in the new starting point of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creation of a new field of learning sciences. (3) The continuous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in the areas of adult and higher lifelong education was a consequence of the efforts, and also it was an effective leverage of education system in post-schooling era that transforms and replaces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he schools and universities. (4) Lifelong education has shifted the focus of pedagogical discourse from education to learning, from which the dominant “schooled society” was gradually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towards “learn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