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와 『청소년과 효문화』 지의 역사 및 게재 논문 유형

        장재천 ( Chang Jae-cheo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20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6 No.-

        본고는 그 역사가 2020년이 되면서 어느 덧 20여년이 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와 그 학회가 창간호부터 시작하여 34집까지 발간한 『청소년과 효문화』지를 분석해 학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학회지에 게재되는 학술논문들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착수하였다. 이는 20여년의 세월 동안 장족의 발전을 하였으나 아직도 등재후보지가 못되었기에 중간 점검 차원에서라도 한 번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일이었고, 또한 학회나 학술지가 4차 산업혁명시대라 할지라도 변함없이 계속 되어야 되기 때문에 매우 어렵더라도 누군가는 이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일이었다.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회장이 한국사상문화학회의 회장을 겸하고 있으므로 형제관계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사상문화학회의 학술지로서 100집(2019년 말)을 낸 『한국사상과 문화』와 한국청소년문화학회의 학술지인 『청소년과 효문화』도 결국 같은 형제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본래 처음에는 국제청소년문화학회로 출발하여 한국청소년문화학회로, 그리고 다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로 바뀌어왔으며, 학술지도 『한국의 청소년문화』로 출발해 『청소년과 효문화』로 바뀌어왔다. 한편 본고는 2001년 창간호부터 2019년 34집까지 게재된 총 296편의 논문을 분석해 그 경향과 연구자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효의 전통이나 사상을 다룬 논문이 80편, 효의 현대화 작업에 치중한 것이 34편, 효의 전통을 말하면서 현대화 문제를 말한 것이 34편, 그리고 주로 인성교육 문제를 다룬 것이 132편이었다. 게재자의 빈도수는 김익수와 장재천이 모두 30편씩으로 가장 많았다. 이제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는 가까운 시일 내에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가 되지 못한다면 그 명맥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범위를 넓혀 『청소년과 인성교육』으로 리모델링해 인성교육 논문들이 많이 게재될 수 있도록 변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Youth Hyo Culture Association originally started as an International Youth Culture Association, changed to the Korea Youth Culture Association, and then again to the Korea Youth Culture Association. Has been turned into.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zed a total of 296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2001 to 34 books in 2019, and analyzed the trends and the frequency of researchers. As a result, 80 papers dealing with the traditions and ideas of filial piety focused on modernizing filial piety. 34 were talking about the tradition of filial piety, 34 were talking about modernization, and 132 were mainly dealing with the issue of humanity education. The number of publishers was the most frequently (30 episodes) by Kim Ik Soo and Jang Jae Cheon. The Korean Youth Hyo Culture Society is not easy to maintain its consensus unless it becomes a candidate for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contributors are not allowed to increase synergy by integrating with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and Culture, or to focus on academic guidance. Is gradually decreasing, so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scope and change it to 『Youth and Humanity Education』 so that many personality education articles can be published.

      • KCI등재

        청소년·청년 뉴딜정책

        박선영 ( Park¸ Sun Young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배경: 한국의 뉴딜정책이 추구하는 주요 핵심 영역중의 하나인 청소년교육 불평등 완화와 청년 일자리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관심사이다. 코로나 19가 초래한 경제 불평등과 양극화는 모든 세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특히 미래세대인 청소년과 청년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과 청년이 팬데믹 이후 건강한 성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아쉽게도 한국의 뉴딜 정책에는 청소년 지원을 위한 내용이 교육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의 뉴딜 정책 실현을 위한 영국의 청소년과 청년 대상의 뉴딜정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적: 첫째, 청소년 대상의 뉴딜 정책을 기획하고 실시한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이를 통한 한국 뉴딜 정책에 필요한 시사점과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서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영국은 청소년 대상 뉴딜 정책을 통해 대상을 세분하고 실질적인 교육과 직업관련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학교로 복귀하거나 고용시장에서의 취업으로 연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팬데믹 상황에서 다시 청소년은 물론 청년의 고용과 일자리 확보, 이를 위한 구체적 훈련지원과 예산지원을 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뉴딜정책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 청소년 대상 교육 불평등 해소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진로지도와 훈련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며, 청년 대상 정책 중에서도 20대 후반 이후의 청년들 대상의 일자리와 경제적 지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하향 확대하여 청소년을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정책과 사업제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New Deal 2.0 to reform the society, in particular, relive the inequality issues in education for young people and increase of youth employment became a very important agenda n0ow a days. This kind of social reform is common across the co0untries during the pandemic. Covid 19 has bought the inequality issues into many areas, and influenced younger generation more heavily and negatively. Young people need more support than any time in order to have safe transition to the adult life. However, this research realised that Korean New Deal 2.0 does not include enough support for young people’s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government only provide employment and economic fund, however younger generation should hav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potentiality and competence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a good example of support young people to prepare their employment in the UK. Purpose: First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New Deal Policy in the UK, and then suggest what can be included in the Korean New Deal 2.0 for the younger generation. Methodology: This study ch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document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New Deal in the UK has the different program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young people. Second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New Deal Policy impact young people’s life and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New Deal programmes, Further, during the pandemic new version of New Deal programme called ‘Build Back Better’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t means young people are key player for the n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s: Therefore, if Korean government want to support young people, they should have different levels of programme in order to meet their all different needs.

      • 한국 개화기의 청소년 애국정신교육 연구

        임광명 한국청소년보호지도학회 2014 청소년보호지도연구 Vol.20 No.-

        구미문화가 한국에 소개되던 1880년대 중반부터 국권을 상실한 1910년 이전까지 약 35년간의 대격동기에 한국은 한편으로 국권을 지키고, 다른 편으로는 서구문화를 흡수하 여 새로운 민주공화국을 세우려고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나라를 무력으로 지키자는 위 정척사파가 있었지만 서서히 힘을 잃어갔고, 백성을 개화시켜 실력을 배양하는 것이 우 선이라고 생각하는 개화파의 주장이 주도하게 되었다. 개화파의 구체적인 계획은 무엇 보다도 젊은 청소년을 교육시켜 나라를 구하는 바탕으로 삼으려하였다. 개화기 초에는 근대화를 위한 민주적이고 체제발전적인 교육을 실시했지만 점차 국권을 수호하기 위한 교육으로, 대외적으로는 저항적이고 대내적으로는 민족의 자부심과 주인정신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으로 국사와 국어, 지리 등을 강조하여 가르쳤다. 즉, 갑오개혁 이전까지는 주 로 개화교육이 주가 되었다가 1905년 ‘보호조약’ 까지는 개화교육과 국권수호를 위한 민 족주체성 교육을, 1910년 까지는 상실된 국권을 회복하는 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근대화가 시작되는 개화기의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그 활동을 밝혀 한국 청소년에 대한 학문의 뿌리를 튼튼히 하고, 개화기에 실시하였던 청 소년 애국정신교육을 통해 한국의 미래를 짊어진 청소년들의 애국정신을 굳건히 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인식 연구

        송원일,유진이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0 청소년시설환경 Vol.18 No.2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Korean identity among Naturalized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 By doing so, it also attempts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better embracing these youths to Korean society. Study subjects are young men and women aged between 19 and 24 who have naturalized during their school attending age or currently are preparing to do so.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From interviews, the youths expressed their impressions that Korean people are generally kind. According to the naturalized youths, being Korean means being born in Korea, have a Korean ancestor, being able to speak Korean, nationality should be Korea, being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respecting Korean political system and laws, being able to feel themselves Korean, and being proud of themselves as Korean. They also said that the identity as a Korean has undergone a change from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after acquiring their nationality. For the naturalized youths to minimize friction in becoming full-fledged Koreans, mainstream Koreans must change their idea of being Korean. Above all, people who are frequent contact with the naturalized youths, such as local government officials, bank tellers, nurses, as well as job placement office workers and factory workmen, must change their perception towards people with different backgrounds. To this end, the government needs to offer training and public campaigns to reduce discrimination and encourage cultural understanding. For the youths to establish their identity without being confused, local community leaders must be able to offer them training programs so that they can become strong members of Korean society while retaining their naturalization, multicultural, and bilingual experiences. Finally, the initial acclimatization programs offered by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psychological,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language training. 본 연구는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 관련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들의 인식개선 방향과 이주배경 귀화청소년들을 위한 차별화된 정책 및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학령기에 중도입국해서 귀화, 또는 귀화를 하기 위해 준비 중인 19세 이상 24세 이하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눈덩이 굴리기 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귀화청소년들은 한국인에 대해 ‘친절함’ 이미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인식한 한국인 정체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태어나야 하고, 한국인 조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한국어를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한국문화에 익숙해야 하고, 국적이 한국이어야 하고, 한국의 정치제도와 법을 존중하고, 한국인임을 스스로 느끼며, 한국인이라는 것을 자랑스러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한국인 정체성은 국적 취득을 기준으로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의 변화과정을 갖는다고 보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적응 스트레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회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류 한국인의 정체성 인식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특히 이주배경 귀화청소년들을 다양하게 차별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을 비롯해 공공기관 및 외국인 취업관련 종사자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차별과 편견, 상호문화존중 등의 다문화인식개선교육 및 캠페인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현장 지도자들은 이주배경 귀화청소년의 정체성이 통합되어 한국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시민교육을 제공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초기적응 프로그램들이 한국어교육 뿐만 아니라 심리정서 영역도 포함되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독일의 청소년운동에 관한 비교사적 연구 - 청소년운동을 통한 21세기 한국사회 변혁의 가능성 탐색 -

        이민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korean youth for new youth movement. For this purpose is on youth movements of Korea and Germany with historical-hermeneutical method comparatively studied, that is to say not only on the origin, background and historicity of ‘Jugendbewegung’ at the end of 19 century and student movement in the 1960‘s in Germany but also on those of ’Hwarang(youth chivalry)‘ of Shilla age and student movement after 1960’s in Korea. Finally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youth as creative and dynamic subject have to revive the youth movement in order to change and reform the stagnated korean society at the global age. By reason of korean society at an critical moment is especially on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new social movement through the youth movement emphasized.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운동과 유사한 독일의 청소년운동 사례를 비교사적으로 고찰함으로서 정체된 한국의 청소년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물신주의(mammonism)와 학벌지향적 교육으로 병들어 있는 현금의 21세기 한국사회 속에서 새로운 범국민적 청소년운동을 통해 한국사회의 변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먼저 19세기말에 시작되어 독일 사회변혁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던 ‘청소년운동(Jugendbewegung)’과 독일의 1960년대 학생운동을 그의 기원, 배경, 전개과정과 역사성의 구성으로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여 한국의 신라시대 화랑도와 1960년대 이후 학생운동이 같은 구성으로 고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독일과 한국의 청소년운동의 비교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 청소년들이 창조적, 역동적 주체로서 새로운 범국민적 청소년운동을 다시 한 번 부흥시켜 글로벌시대를 맞는 한국사회의 변화와 개혁을 새롭게 변증법적으로 열어가야만 하는 필요성과 가능성이 서술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역사적-해석학적(historical-hermeneutical) 방법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2000년 이후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 비교 분석

        박선영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4

        This research has aimed to compare the youth policies betwee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in order to gain the lessons in developing youth policies in South Korea. For the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has chosen the two policy papers from European Commission such as White Paper(2001)and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2009). Also from the 3rd National Youth Policy paper to the 5th National Youth Policy paper has analaysed. This study compared the social contexts and changes for the youth policies and analysed the vision, aims and the policy contents. There were common social context which influence on the implementing the youth policies both in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Such as citizenship and youth participation, developing the career competence were the key themes for the youth policies but the approaches were different. As a result this research suggest how to adapt and apply the analysis from the comparison in the developing of youth policy in South Korean context. 본 연구는 유럽연합과 한국의 청소년정책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청소년정책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 이후 유럽연합의 청소년정책인 European Commission White Paper(2001)와, An EU Youth Strategy for Youth(2009), 한국은 제3차에서 제5차에 이르는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이 비교 분석되었다. 유럽연합과 한국 청소년정책이 수립된 공통적 배경과 상황, 그리고 정책의 주요 비전과 내용이 비교되었으며, 각 정책이 가지는 성과와 한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유럽연합과 한국 모두 청소년정책이 필요하고 중요한 공통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청소년시민성과 청소년참여, 청소년 취업역량강화 등의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접근방법과 이해가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연합의 경우 청소년정책이 학교교육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교육의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청소년정책은 수립과 실시에 있어 다양한 범정부적 추진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정책의 발전을 위한 발전과제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 간 부모권위유형 인식 및 기독교 신앙 상태에 따른 가족 강인성

        전요섭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at family hardiness is promoted by parental authority style and the Christian faith of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materials for parents' counseling of their adolescence childr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344 Korean adolescence in high school, 317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308 Canadian adolescence(grade 10-12). Total participants are 969 people. The questionnaires for this survey contain 50 questions in two kinds of questionnaires. The tools of investigation were (1) the parental authority style(30 questions), and (2) the family hardiness(20 questions). Also, questionnaires of the parental authority style and the family hardiness were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by this research. ANOVA, t-test and the Scheffe' test were conducted by utilizing SPSS WIN1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in parental authority variances and Christian faith styles,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in family hardiness and Christian faith styles. Also, la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adolescence, Korean adolescence in Canada, and Canadian adolescence in family hardiness and parental authority variances. 본 연구는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이민·유학)하는 한인 청소년 그리고 한국 청소년 간에 부모권위유형 인식 및 기독교신앙상태(유무)에 따른 가족강인성에 대한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민·유학 가정의 청소년 자녀상담 및 부모의 양육태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캐나다 청소년(10-12학년) 308명, 캐나다 한인 청소년 317명, 그리고 한국 청소년(고등학교 1-3학년) 344명으로 총 96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권위유형에 대한 인식은 지위상태와 기독교신앙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결과는 매우 복합적이었다. 허용적 태도에 대한 인식에서 아버지의 경우는 지위상태에 따른 차이만 검증되었으나, 어머니의 경우는 신앙상태와 지위상태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재적 권위유형과 신뢰적 권위유형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모 모두 신앙상태와 지위상태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가족강인성은 지위상태와 신앙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캐나다 청소년과 캐나다 한인 청소년의 경우는 기독교신앙을 갖지 않은 경우에 가족강인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만 한국 청소년의 경우는 신앙을 가진 경우가 가족강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캐나다 청소년,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 청소년 및 한국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권위유형에 대한 인식수준에 따라 가족강인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는데 허용적, 신뢰적 양육태도는 가족강인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