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신 한국주거학회 199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서울시 저소득 가구의 주거이동 요인에 관한 분석

        주희선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1

        Since housing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place for family living, the government has promoted various housing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ho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housing problems of urban low-income households by observing the movements of low-income households and the factors that force them to move. In the empirical analysis, a move probability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determinants of lowand medium-high-income households for moving to find the factors they consider when they decide to relocate.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personal attributes, household attributes, and regional attribute—affecting the housing movement of low- and medium-high-income households were then analyzed.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relocation in low-income households is affected largely by their jobs. It was also apparent that the ample supply of rental housing contributes to housing stability, and redevelopment has an impact on their moving decisions. Additionally, despite their low tendency to move, low-income households opt to move to other areas if housing prices rise due to redevelopment or other real estate poli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innovative housing policies are needed for low-income households. 지금까지는 도심의 낙후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방식으로 재개발·재건축사업이 주로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지난 30년간 도심 내 노후불량 주거지는 공동주택 위주로 새롭게 정비됨으로써 도심의 주거환경 개선과 단기간 주택 공급량 확대라는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저소득층은 재개발과 같은 사회적 변화로 인해 비자발적 이주를 감당해야하는 등 주거불안 문제를 부추겼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 저소득층의 주거이동이 중고소득의 주거이동과 다른점을 탐색적으로 발견하고, 저소득층의 주거이동이 일반가구의 주거이동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고소득 가구는 저소득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주거이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소고득의 경우 가족의 분가 등의 이유로 가구구성이 바뀌면 주거이동을 시행하지만, 저소득 가구의 경우는 주거이동에 드는 비용이나 주변환경 변화를 꺼려하기 때문에 주거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하지만 저소득 가구는 주택재개발과 같은 주택정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아 재개발 사업시 새로운 이주대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MZ세대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 20~30대를 대상으로 -

        박정아,정주영,윤효진 한국주거학회 202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의 주택선택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조성에 필요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특성과 주거가치에 따라 주택선택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차별화된 주택 공급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MZ세대는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주거의 안전 및 휴식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선호와 주거가치의 중요성은 연령, 성별,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은 개인적 요인(교통비, 미래투자가치)보다 공통요인(주택구입가격, 관리비 등)이 더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입지적 요인은 대중교통, 관리적 요인은 각종 설비 및 안전, 환경적 요인은 일조권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다. 주거가치와 주택선택요인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항목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주거거치를 독립변수로, 주거선택요인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거가치의 모든 요소가 여가기능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necessary for creating a s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housing selection factors of the MZ genera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housing selection factors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value and to develop differentiated housing supply 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Z generation had a strong preference for medium to large-sized apartments and considered safety and relaxation functions of housing to be important. The importance of housing preference and housing value differed depending on age, gender,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analyzing housing selection factors, common factors (house purchase price, management costs, etc.)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factors (transportation costs, future investment value). Location factors were important, such as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ousing value and housing selection factors, all item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ce on housing selection fac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as found in the following order: leisure function, relaxation function, work function, importance of ownership, and importance of housing.

      • KCI등재

        지속가능한 한국형 나무아파트 계획 - 콘크리트 열린 지지구조와 목조 개별 주거의 혼합을 중심으로 -

        김정인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build a new housing model in which the current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s are re-imagined as sustainable, future-oriented, and wood-based vertical living spaces. In this process, we argue that wood is the proper material for future housing. By employing wood's regenerative potential, the study suggests that a wood-based infill housing combined with the existing skeletons of reinforced concrete is the proper answer to future housing demands as well as the impending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crisis. Critiquing the current culture of Korean apartments that have exacerbated our contemporary environmental problems, the Wood Infill Unit and Concrete Open Structure provides a paradigm shift from the unsustainable practice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its subsequent resource depletion. Along with the sustainable agenda, the new vertical residence design proposes the novel method of placing individual wood houses on “vertical land” made of reinforced concrete or steel frames. The result is that the Wood Infill Unit and Concrete Open Structure re-establish the material base of contemporary high-rise residences: from concrete and steel to wood. This hybrid apartment shows how introducing the material of wood into existing construction bases can open a new organization of building industries, while addressing critical issue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by imagining the future potential of wood.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특히 서울과 같은 글로벌 메가 도시에 대규모로 공급된 수직 공동주거, 즉 아파트 주거문화를 바탕으로 환경오염과 자원고갈 문제를 어떻게 지속가능한 미래 지향적 방향으로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인가에 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수직대지 위 목조 주거로서 나무 아파트라는 목재 중심의 수직 공동주거 제안을 통해 지금의 콘크리트 아파트 주거문화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려 한다. “한국형 나무 아파트”라고 명명된 목재혼합 고층 공동주거는 단순한 재료의 변화뿐만 아니라 이를 새롭게 조직하고 조합하는(Assemble) 방식과 도시 공유(urban commons)로서 조직된 수직 공동주거를 지속가능한 차원에서 현재의 주거문화에 새롭게 대입, 제안함을 목표로 한다. 즉, 증가하는 지구환경 위기와 사회적 변화 (Anthropocene, Urban Common 등)를 안고 있는 21세기초 한국 건축 환경에서 고층 공동주거(아파트)의 근본적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단순히 목재로 개별 유닛부터 전체 구조까지 구성하고자 하는 현재의 흐름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철골과 철근콘크리트의 장점을 열린 지지구조로 부분 수용하고 여기에 목재가 혼합되어 주거를 이루는 상호 보완적 방식을 연구할 것이다. 즉 급속히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목재 산업과 연결해, 변하는 것(개별주거의 목재 구성)과 변하지 않는 것(수직대지 기반으로서 철근콘크리트와 철골구조)을 혼합하는 복합적 방식의 수직 주거 대안을 미래 건설 산업에 제안함에 있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및 차이 분석

        박선호(Park, Sunho),김남정(Kim, Namjung),박환용(Park, Hwanyo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민간임대주택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공공임대주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이며,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의 주거 만족도 자료는 정부가 가장 최근에 실시한 2019년 ‘주거실태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에 있어서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안전·위생상태’요인, ‘방수·난방상태’요인, ‘소음상태’요인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는 ‘방수·난방’요인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4.549배 증가하고, ‘안전·위생상태’요인은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 수준을 높일 확률이 3.697배, ‘소음상태’요인은 2.191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민간임대주택은 ‘방수·난방상태’요인의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3.871배 증가하고, ‘안전·위생상태’요인은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를 높일 확률이 3.587배, ‘소음상태’요인은 1.94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의 경우는 비아파트에서 아파트로 주택유형이 변화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 수준이 불만족에서 만족 수준으로 개선될 확률이 1.328배 증가하고, 월소득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만족도 수준도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환기의 상태 수준이 ‘불량’에서 ‘양호’로 개선되면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2.094배가 증가하고, 채광의 경우는 1.460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에서 공통적으로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 ‘거주 환경성’요인, ‘주차·보행환경’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요인 구성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공원·녹지 접근성, 교육시설 이용성, 방범, 이웃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는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높아질 확률이 6.3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 환경성’요인은 2.747배, ‘주차·보행환경’요인은 2.007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의 경우는 Exp(B)의 값이 0.998배로서 만족도 수준 변화에 미치는 확률은 매우 적지만 월소득이 높아질수록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며, 반대로 소득이 낮아질수록 만족도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1의 경우는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 거주할 경우에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1.684배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민간임대주택은 ‘외부시설 접근환경’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1단계) 증가(상승)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3.49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 환경성’요인의 만족도 수준이 1단위 증가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2.020배 증가하고, ‘주차·보행환경’요인은 1.90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1에 있어서 도에서 광역시·특별시로 거주지가 이전되면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 수준이 개선될 확률이 1.229배 증가하고, 주택 노후도의 경우는 1.48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놓고 볼 때,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함에 있어서 방수, 균열, 난방·단열 등 ‘방수·난방상태’와 관련된 건축물의 물리적 환경의 질적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의 상태가 개선될 때 전반적인 주택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의 건설·공급 입지와 단지내 위치에 대한 계획적 배려가 요구된다. 의료시설·상업시설·공공기관·문화시설·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될 때 전반적인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질 확률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수요가 많은 도심 내에서 공공참여형 또는 공공주도형 정비사업 등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을 확보하고 기존 공공임대주택의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을 통해 양질의 임대주택 수요에 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is growing demand for more emphasis to be placed on the quality of public rental housing rather than only expanding its supply.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extend eligibility for public rental housing for middle income households. Quality of public housing is more likely to be enhanced when we accurately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residents’ level of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s’ satisfaction with public rental housing compared with private rental housing. We analyzed the micro data obtained from the 2019 Korean Hous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verall housing facility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are commonly affected by “water-proofing and heating” followed by, in order of importance, “security and sanitation” and “noise.” Apart from this, satisfaction with private rental housing is influenced by “income,” “types of building,” “ventilation,” and “sun lighting.” In additi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levels with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are commonly affected by “accessibility of neighborhood facilities,” “environmental aspects for residents,” and “car-park and pedestrian-friendliness,” in order of importance. Other common variables explaining resid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parks, green areas, and educational facilities. Although these factors are comm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for both types of housing, in terms of how strongly each factor influences satisfac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

      • KCI등재

        주거비부담요인이 월세거주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가구주·배우자의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 만족도 분석 중심으로 -

        임승학,장희순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In the age of full-scale monthly 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ifferences of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overall satisfaction among own house, Chonsei, monthly rent group focusing on householder and spouse and to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the housing cost burden o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overall satisfaction of low income households. In this study, the data of Subjective mental health(fairly depressed) and Overall satisfaction of life, which me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extracted and set as dependent variables. First, examined the differences through ANOVA analysis for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overall satisfaction of the group of own house, Chonsei, monthly rent groupⅠ, monthly rent groupⅡ. Next, disposable income, the amount of housing related liabilities, the monthly rent amount, monthly housing cost, debt interest rate of householder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mpact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factor of the housing cost burden were analyzed between the dependent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nthly rent groupⅡ showed more depression and lower overall satisfaction in the subjective mental health compared to the own house, Chonsei, monthly rent groupⅠ. Second, disposable income (0.289)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housing cost burden affecting subjective mental health, followed by housing related debt (-0.198). Third, disposable income (0.299)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ich affects the overall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amount of housing related debt (-0.263) is in ord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he housing cost burden of the low income households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health affecting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increase in the housing cost burden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necessity of government support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rented households with relatively high housing costs and the basis of the government policy proposals that can be provided practically and universally. 본 연구는 본격적인 월세시대를 맞이하여 가구주 및 배우자를 중심으로 자가, 전세, 월세집단 간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고, 저소득층 월세 가구의 주거비부담 요인과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별 상관성 및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16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의 가구용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주관적 정신건강(상당히 우울함), 생활전반만족도의 자료만을 추출하여 먼저, 가구주 및 배우자를 중심으로 자가, 전세, 월세집단Ⅰ, 월세집단Ⅱ의 집단 간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 차이를 ANOVA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월세집단Ⅱ(저소득층 월세 가구)의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전반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거주자의 가처분소득, 주택관련 부채금액, 월세금액, 월주거비금액, 부채이자감당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각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한 영향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구주 및 배우자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주관적 정신건강 부분에서 자가집단 ,전세집단, 월세집단Ⅰ에 비해 월세집단Ⅱ가 보다 더 우울함을 나타내고 생활전반만족도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주관적 정신건강(상당히 우울함)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비부담 요인으로 가처분소득(0.289)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다음으로 주택관련부채금액(-0.198)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전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비부담 요인으로 또한 가처분소득(0.299)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주택관련부채금액(-0.263) 순서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월세 거주자의 환경조건을 심층적으로 반영한 저소득층 월세 가구의 주거비부담 요소에 대하여 각 요인별 상관관계 및 영향력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통한 주관적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주거비부담의 증가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상대적으로 주거비가 높은 월세가구의 부담완화를 위한 정부지원의 필요성과 실질적이고 보편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부정책 제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부모 가족의 주거이력에 관한 연구 -한부모 형성과정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이한나,김승희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3

        Single-parent families face many challenges in the formation process, such as a sharp decrease in income, burden of child rearing, household burdens, and social and institutional prejudice. It is difficult for a woma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ve a stable career in the labor market due to family life-long events such as marriage or childbirth (Kim Ga-yul, 2007). In addition, if you have young children, you will need a suitable and secure residence to raise your chil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ingle-parent family housing movement is generated and the demand for housing suitable for the new situation (Kirsten Gram-Hanssen, 2005), a situation that requires a housing welfare policy suitable for the situation. The study tracked the housing history of single-parent families to determine the realities of the situation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housing movement by type of single-parent family. The study method was typed into a single-parent group by characteristic cluster using a two-stage cluster analysis of SPSS, using the chi-square test of pearson residential history by type, that is, residential mobile areas, occupancy forms, housing type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is, we will use this as the basis for a demonstration of the difference separating single-parent families from moving to housing, and to find housing assistanc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자발적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거특성에 따라 한부모 가족의 유형을 분류하고 주거이력을 고찰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부모 가족의 주거문제는 그 형성과정에서 인구·사회적 특성, 자녀연령, 경제적 수준, 주거경험 등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부모 가족의 유형 분류를 위해 혼인상태, 월평균소득, 고용형태, 총가구원수, 주거이동 횟수를 변수로 사용하여 3개의 군집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1유형인 이혼 한부모, 2유형인 사별 한부모, 3유형인 미혼 한부모로 도출되었다. 1유형은 이혼로 인해 주거환경이 급격히 하락하고, 이 열악한 주거환경이 지속되는 집단이다. 주거이력 상태를 추적한 결과 주거이동 경험이 증가하여도 자력으로 상향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유형은 사별에 의해 한부모가 형성되었고, 그 후 주거이동이 발생한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주거수준이 안정되어 있있으며, 자력으로 주거의 상향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나타났다. 3유형은 미혼 한부모로 임신·출산에 의해 미혼 한부모 형성이 된 후 자녀양육을 위한 주거이동을 한 집단으로 타 군집 보다 기타형태의 주거이동이 다수 이루어졌고, 무상으로 친척친구집이다 일시적 거소 등에 머물다가 자녀의 성장에 따라 주거이동을 하며, 때로는 주변의 도움으로 주거상향이동까지 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유형은 주거상태의 하향이동을 막기 위해 한곳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마련 할 필요가 있으며, 3유형의 경우 형성직후 집중적인 주거지원을 통해 미취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생계곤란, 자녀양육 곤란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자력으로 주거이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즉, 이혼, 사별, 미혼모 발생 등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촉발되는 주거이동의 경우 공적주택 등 주거지원이 적절한 시기에 제공될 수 있어야 하며, 주거지원 정책은 한부모 가족의 세분화된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도시 1인 가구의 연령층별 주거 및 거주환경 평가 비교

        이현정,왕예원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1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urban China, to identify their distinctions by five age groups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their satisfactions with hous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his cross-sectional study utilized 501 response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respondents were salaried workers aged 40s with a college degree, and homeowners living in old apartments with 2 to 3 bedrooms. The participants with lower income spent more housing expenses which decreased their housing satisfaction. Also, it’s found that the age groups of 30s and over 60s had higher housing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while the age range of 20s had lower satisfaction. The group aged over 60s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and 50s was dissatisfied with it.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ssess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was largely affected by housing satisfaction. Besides, educational attainment, employment status and position, and income of the households were interrelated and had positive impacts on living conditions which in turn influenced satisfactions with both housing qua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Thus, the findings imply that it’s significant to develop housing programs that socially and economically support solo households. 개혁개방이후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인구고령화와 저출산을 경험하고 있는 중국은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급증하며 인구구조를 변형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도시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수준을 파악하고 거주환경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둥성 린이시 거주 1인 가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501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1인 가구들 대부분은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로 사무직에 종사하는 40대 비혼 가구였고 8년 안팎으로 홀로 지내왔으며, 미혼이 많은 20대-30대와 달리 40대는 이혼, 50대는 사별과 이혼, 60대 이상은 사별로 혼자 거주하였다. 교육수준, 경제활동 참가, 직업, 소득은 연령층과 연관성을 보여 20대-40대는 고학력 사무직 근로자가 많은 반면 50대 이상은 교육수준이 다소 낮은 자영자가 많은 편이었다. 또한 30대-50대는 적극적인 경제활동으로 소득수준이 비교적 높았으나 경제활동 참여율이 다소 낮은 60대 이상과 20대는 소득이 적었다. 둘째, 1인 가구 상당수는 방 2-3실이 딸린 110-126㎡ 규모의 10여년 된 아파트에 10년 미만 거주해 온 자가 소유주로 소득의 2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였다. 경제활동 참가와 소득은 주거 소비 수준에 영향을 미쳐 연령층별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경제활동 참가율이 다소 낮고 소득이 적은 편인 60대 이상과 20대는 공동주택에 차가로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30대와 40대는 10년 된 아파트의 자가 소유주가 많았다. 셋째, 주거 및 전체적인 거주환경 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거만족도 회귀식은 40대와 20대의 회귀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40대 주거만족도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택의 안전요소와 주거환경의 안전성에 만족할수록, 접근성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향상되었고, 20대 주거만족도는 소득이 낮을수록, 주택의 실내환경 요소에 만족할수록 높아졌다. 전체적인 거주환경 만족도의 회귀모형은 모든 연령층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고, 그 설명력은 40대와 60대 이상에서 상당히 높은 반면 50대와 20대에서 다소 낮았다. 주요 설명변수는 가구주 연령(40대), 가구주년수(50대와 60대 이상), 건축년수(30대), 주거비(30대와 60대 이상), 주택의 안전요소(20대, 40대, 60대 이상), 주거환경의 생활편의시설(40대와 50대)와 도시기반시설(60대 이상), 주거만족도(20대, 30대, 60대 이상)로 나타났다

      • KCI등재

        ‘뉴 프랑크푸르트’ 프로젝트에서 실현된 주거블록 해체의 두 사례 비교 연구

        전남일 한국주거학회 201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new housing model immediately after the emerging the modern architecture and to discuss its influence on the later spread of internationalism and functionalism in housing architecture. For this purpose the Römerstadt and Westhausen housing estates, which were built by Ernst May’s ‘The New Frankfurt (Das Neue Frankfurt)’ projec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irst, the historical changes of urban structure were explored and the typology of ‘Reihe’ and ‘Zeile’ types were defined. Next, the urban tissue, spatial allocation of public and private areas, layout of open space and floor plan typology of this two cases were comparative analyzed. The Römerstadt estate with the feature of Reihe revealed the symmetrical distribution of building and open space, which showed the clear division of public and private territories. The Westhausen estate with the feature of Zeile showed homogeneous urban structure and uniformity in its orthogonal grid pattern street system and regular plot allocation. The Westhausen residential complex represents the principle of international style and can be seen as a sign of the proliferation of flat-type multi-story apartment complexes full filled with rigid straight buil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근대 시기, 주거 환경의 개선 및 대량 보급의 건설 패러다임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이것이 후일의 국제주의 건축으로 파급되어 미친 영향들을 논의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근대 주거건축의 태동기에 에른스트 마이의 주도로 건설된 ‘뉴 프랑크푸르트’ 프로젝트의 뢰머슈타트 주거단지와 베스트하우젠 주거단지를 고찰하였다. 전통적 속성을 유지하는 과도기적 특성을 보이는 사례, 그리고 혁신적 단지계획의 사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를 통해 ‘블록의 해체’로부터 시작된 새로운 도시주거 형식으로서의 집합주택의 속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도시조직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보고 개방적 형식을 취하는 연속주택과 연립주택의 유형을 정의하고, 이들의 배치 및 영역 구성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다음, 두 사례의 도시조직, 공, 사적 영역의 배분과 구성, 그리고 평면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속주택의 속성을 갖는 뢰머슈타트 주거단지는 대칭적으로 영역이 배분되어 장소성 및 공적, 사적 영역의 구분이 뚜렷했고, 접지성이 유지되어 세장형 단독주택의 속성, 즉 전통적 주거지 형식이 남아있었다. 이와 달리, 연립주택의 형식을 보이는 베스트하우젠 주거단지는 격자형의 균질한 도시조직 및 획일성을 보이며, 외부공간의 사적 성격이 많이 약화되었다. 또한 접지성이 약화되고 적층형 공동주택의 과도기적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베스트하우젠 주거단지는 국제주의 주거건축의 원리를 대변하고 있었으며, 본격적인 단지형 일자형 아파트의 확산을 예고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주택가격 수준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베트남 하노이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

        김정선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4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y housing price level in apartment residents, Hanoi, Vietnam as there was a need to conduct a study oversea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divided the housing price level into high priced level and low priced one, selected the cases representing this best, and conducted a survey for about 2 months. As a result, first, it appeared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high priced housing than in low priced on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domestic and overseas preceding studies. It is because in the high priced housing, they mostly consist of the residents who have an excellent payment capacity compared to the low priced one, and if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gets lower, they can move as much as they w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 on residential satisfaction by housing price level, it was found that each housing price level showed a difference.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 specifically, it appeared that in case of high priced housing level,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 case of low priced one,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o look at the type of occupation, it appeared that in both housing price level,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one’s own house than in rental house. With respect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iable as well, the high priced housing zone wa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and access factors and the low priced housing w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factor by housing price level, it appeared that each housing price level showed a differ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indirectly reasoning the Vietnamese residential culture and further understanding the Vietnamese society. 본 연구는 주거만족도에 대한 국외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베트남 하노이시의 아파트 거주민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의 영향여부와 정도를 주택지대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주택지대를 고가주택지와 저가주택지로 구분하여 이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사례를 선정하고 약 2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가주택지가 저가주택지보다 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고가주택지는 저가주택지에 비해 지불능력이 우수한 거주민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거만족도가 낮아진 경우 거주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주택지대에 따라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택지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거주자특성별로는 고가주택지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은수록, 저가주택지에서는 낮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유유형은 모든 주택지에서 자가인 경우가 임대인 경우보다 주거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거환경변수에서도 고가주택지는 환경적요인 및 접근요인에 영향을 받는 반면, 저가주택지에서는 환경적요인 및 사회적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지대에 따라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주택지대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베트남의 주거문화를 간접적으로 추론하고, 나아가 베트남 사회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