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업화 관점에서 본 한국 조경 태동의 특징과 정체성

        ( Se Hwan Cho ),( Yo Seob Kim ),( Joon Teack R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0 No.-

        본 연구는 한국에 조경이라는 전문용어가 처음 나타난 1970년부터 조경 태동의 산파 역할을 했던 청와대 조경담당 비서관이 존속했던 1980년까지 한국 조경의 태동기를 미국 조경 태동의 경우와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한국 조경 태동의 정체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산업문명은 그 시대에 유사 이래 인류 역사에서 가장 진보된 문명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조경의 태동은 산업화와 산업문명의 켤레로서 출현한 근대화의 새로운 전문분야였다. 둘째, 한국 조경의 태동기의 정체성 파악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업화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 조경 태동의 중심에는 산업화를 이루고 각별한 자연애호 사상을 가진 박정희 전 대통령(이하 박대통령)과 한국 최초의 조경가이자 대통령 조경·건설담당비서관이었던 오휘영의 역할이 있었다. 넷째, 한국 조경의 태동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박대통령의 개발 독재’-``박정희 조경관’-``개발 환부에 대한 눈속임’-``화장술 조경’-``친일 행적 가리기용’ 등이 오늘날 한국 조경 문제의 근원이라는 부정적 시각은 ‘산업문명’-‘자연 개발’-‘국토 인프라 구축’-‘박대통령의 자연관’-‘국토 훼손 치유’-경제 원리-결과론적 후속 민주화-라는 새로운 관점의 긍정적 축으로 논의될 수 있었다. 다섯째, 미국 조경의 태동이 농업문명에서 산업문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정원 또는 조원, 정원건축, 조경 간의 치열한 경쟁을 거쳐 조경으로 진화한 것처럼 한국 조경의 태동 국면에서도 농업화 사회에서 일제 강점기, 해방기를 거치며 산업화 사회로 전환되는 시대적 변화 과정에서 미약하지만 그 이전에 있어 왔던 조원과 경쟁을 거치며 정착되는 과정을 거쳤다. 여섯째, 한국 조경은 한국의 근세 역사에서 산업화를 통해 세계 문명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태동되고 전개되어온 전문 분야인바, 오늘날 한국 조경의 문제는 동시대 지식창조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etal movement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the year of 1970 that the word, Landscape Architecture, is emergent till the year of 1980 that the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that had lasted in government since year of 1972 by the comparison with the beginning of Americ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industrial civil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volved civilization at climax in the those days and the fetal move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a new professional was the subjected to the industrial civilization. In America. The second, it also was analysed that identifying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ould be discussed in the view of industrialization as like America. The third, there were two peoples, the one was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Jung-Hee, Park(PresidentPark) who launched the radical industrialization, decided the decision of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and had deeply nature-loving world view, the other was Whee-Young, Oh, the former presidential secretary of Landscape Architecture who was the first Korean landscape architect educated in America. The forth, the negative point of views as like President Park`s the view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deceive the citizens` eyes on the destructions of national nature`, ``the pursuing of decoration-oriented Landscape Architecture``, ``the introducing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screen the past Japanese-friendly behavior of President Park, ``the peremptory introd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government that have been the roots of the all modern Korean problems`` etc. in a former research on the fetal movement in Korea in a series of negative image conceiving President Park the dictator could be retransfer to the positive points of view of ``introduction of industrialization civilization for nation wealth``, ``anavoidable nature development to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land infrastructure, ``the world view of nature-loving of President Park, ``the trying to restore and conserve the nature and national land``, ``the national economic success leading to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there after. The fifth,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has been also settled down in self-organization process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gardening based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s of Korea as like America did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agricultural society to industrialization society in the varies professional names of Gardening, Landscape Gardening, Garden Architecture. The sixth, as the fetal movement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was introduced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to be the advanced world civilization country in modern history of Korea,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Landscape Archi tecture is confronting now-a-days would be searched in a new way of trying to adapt to the new paradigm of the knowledge-creative society of 21st century.

      • 일본조원학회의 근대조경유산 보전 활동에 관한 연구

        ( Park Jin-w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6 No.-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조경유산 보전의 체계적인 활동을 위하여 일본 조원학회의 근대 조경유산 보전에 관한 활동을 문헌과 인터뷰 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다. 그 결과, 일본 조원학회의 근대조경유산 유산 보전활등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1989년부터 1997년까지에 학회에 조경유산 보전위원회(ランドスケ一プ遺産保全委員會)가 설치되는 등 학회 차원에서의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 ‘시작단계’, 1998년부터 2009년까지 학회에 조경유산 연구 위원회(ランドスケ一プ遺産究委員會)를 설치하고 5회에 걸친 분과회를 실시하는 등 근대조경유산을 보전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다양한 학술활동을 한 ‘준비단계’, 마지막으로 2010년부터 지금까지 학회 90주년 기념사업으로 조경유산 인벤토리 작성 위원회(ランドスケ一プ遺産インベントリ一作成委員會)를 설치하고 각 지부가 중심이 되어 일본 전국의 조경유산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조경유산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활동단계’이다. 준비단계에 해당하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는 학회 분과회 활동을 통해서 근대조경유산을 조경학이라는 학문적 관점, 법과 제도적 측면, 시대적 변화와 조경학의 변천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사례를 중심으로 심도 있게 다루었다. 그 결과 ‘근대 조경유산보전’이라는 관점에서 ‘조경유산’이라는 관점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분과회 등의 학술활동을 통하여 근대에 태동한 조경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근본적 고찰과 시대적 변화 속에서의 조경학의 사회적 역할 등을 다양한 시점에서 포괄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며, 이를 기록하여 학회지에 남김으로서 후속세대에게 학문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학문의 연속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준다. 더욱이, 이러한 학회차원의 활동이 외부 연구지원이 아닌 학회의 학술활동으로 이루어졌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draw an implication from landscape heritage conservation activities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JILA) via literature survey and interviews. In consequence, the modern landscape conservation activities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First of all, the beginning phase was between 1989 and 1997. In the phase,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established the Landscape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showing its first academic-society-level actions. Secondly, the preparatory phase was between 1998 and 2009. A variety of academic activities were conducted during the phase, and the activities included establishment of the Landscape Heritage Research Committee and five subcommittees. Lastly, the activity phase was initiated in 2010. The Landscape Heritage Inventory Composi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the year and has been active since then, conducting researches on landscape heritage in Japan and publishing the results. The local branches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seized the initiative when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and it systematically performed the activities. Between 2001 and 2006, the preparatory phase, a variety of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deal with modern landscape heritage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academic,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Consequently, the concept of modern landscape heritage conservation was expanded to the concept of landscape heritage in terms of conservation activities. This shed new light on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society and led to a deeper consideration on the fundamentals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fact that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delivered academic messages and secured the sustainability through documentation and pub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without external financial support has a critical implication for us.

      • KCI등재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한,일간 비교 연구

        윤주철 ( Ju Cheul Yun ),이관희 ( Kwan Hee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개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의 식재 공종의 내용의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표준품셈과 표준보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의 경우는 2010년 ``국토해양부``에서 제정한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종내의 조경공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일본의 경우도 2010년 ``국토교통성`` 제정 토목공사 표준보괘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 공종 중에서 식재 공종에 초점을 두고 품셈의 범위, 세부 공종, 품셈의 구성, 수목 적용 규격, 품셈의 내용 등의 비교를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과 일본의 공원식재공사 표준보괘의 식재 공종의 내용을 비교하여본 결과,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은 독립적인 품셈과 품셈의 적용에 있어 융통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주목에 대한 독립적인 품셈과 운반에 관한 품셈 규정 그리고 조경토와 관련된 품셈 등의 검토를 통하여 한국의 조경공사 표준품셈이 더욱 발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t has also been done to offer a practical and reasonable information to Korea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Korea and Japan`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are part of civil construction. Second, Korea`s detailed type of construction is centered on plant`s type and size while Japan`s centered on architectural construction. Third, Korea`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are composed of workforce construction, mechanical construction and addition of soil. On the other hand, Japan`s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are composed of workforce construction, time of transportation, date of transportation. Fourth, the planting specification of Korea seems to be more in detail than that of Japan, Japan`s showing a wider implication. Fifth, when comparing the information regarding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between Japan and Korea, transportation, independent stalking for plant, soil for landscape architecture 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base of this research results, Korea`s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planning construction should be more elastic in its implication and independent standard of estimated unit power and material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Also, examination of transportation, independent skating for plant and soil for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be done in order for better improvements.

      • KCI등재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

        소현수 ( Hyun Su So ),임의제 ( Eui Je L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축적된 국가기술자격검정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조경사 과목의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한 출제기준은 조경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최근 ‘서양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낮아진 반면에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한국의 조’에 대한 문항에서 약 30여 종의 전통수종과 11가지 유형의 전통조경 시설물이 포함되는 전통조경요소가 다루어졌다. 또한 역사서, 지리서, 실학서, 원예서, 문집 및 기타, 정원도 및 회화자료로 분류되는 전통조경 관련 기록물 25개가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원의 조영 시기와 관련된 왕, 별서의 조영자나 소유자, 기록물의 저자, 중국 문인으로 구성되는 인물들이 문항에 등장하였다. 셋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 중에서 선사시대와 발해시대에 해당하는 문제는 없었으며 조선시대에 집중 분포되었다. 이에 조선시대로 한정하여 고찰한 전통공간 사례지는 별서가 가장 많았고, 도성·궁궐, 주택, 누·정·대, 서원 순서였으며, 읍성과 사찰의 사례지는 낙안읍성과 용주사뿐이었다. 넷째, 조선시대 전통공간과 관련하여 사례지의 조성 시기, 조영자, 입지 특성, 건축 구조, 평면 형태, 정원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적 내용 파악이 요구되었다. 또한 한국조경사 교재 9권으로부터 문항에서 추출한 전통공간 사례지의 출현 여부를 검토한 결과 동춘당, 풍암정사, 십청정, 곡수대, 유상대, 심곡서원은 등장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보편성이 결여된 지엽적 사실에 대한 정보를 묻는 문제, 조경사 교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와 대상지가 포함된 문제 등과 같은 한국조경사 기출문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templates the tendency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for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study targets the ques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y’ which has been set in the written test for National Qualification Test of a landscape engineer for recent 10 years from 2005 to 2014 and derives analyzable items based on the guidelines of question-setting presen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rawn as follows. First, among 5 areas composing Landscape History, the proportion of Korean Landscape questions is getting increased while that of Western ones is decreasing. Second, about 30 traditional trees and 11 types of traditional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were shown in Korean Landscape questions. Besides, history, geographic, practical science, horticulture, anthology books and the 25 tradition landscape-related historic documents categorized as the garden painting data were found. And the kings from ancient era to Choseon Dynasty who were associated with the time of palace garden building, the builders or owners of the villas, the authors of the document and Chinese scholars also appeared. Third, there were no the questions of prehistoric times and Balhae Kingdom, whereas those of Choseon Dynasty were dominantly focused. Among the traditional sites of Choseon Dynasty, Byeolseo(villas) were set most, followed by Dosung or Gung-gweol(castle towns or palaces), houses, Nu·Jeong·Dea(pavilions) and Seowon(local schools) in order. Nak-an eupseong and Yong-ju sa were the only cases for a castle town and a temple each. Fourth, being associated with tradition spaces, the questions asked for understanding the detailed contents of time of sites` construction, builders, location features, building structures, ground plan types and the components s of garden.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raditional landscape sites were shown in the set questions in 9 Korean Landscape textbooks, Dongchundang, Pungamjeonsa, Simgogseowon did not appear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endency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for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questions which ask minor facts without generality and which include difficult information and site uncomprehended in the textbook should be reconsidered.

      • KCI우수등재

        조경기사 시험의 학명 문제와 조경식재공사에적용되고 있는 수종의 비교 연구

        정용조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many species of trees presented with scientific names are on the written test for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as their usage has increased in the landscape industry in recent year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ecies of tre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and the scientific name questions presented in the previous 6 years by year on the written test for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amination question frequency by year in the landscape planting subject showed a gradually declining trend from 2014 after peaking at 56.6% in 2013. Second, 163 species of trees using scientific names were presented in questions on the written test for engineer landscape architecture over the previous 6 years and these included Betula platyphylla, Sophora japonica, Cercis chinensis, Taxus cuspidata. The number of species of trees used in landscape construction during the same period was 169 including Pinus densiflora, Chionanthus retusus, Cornus officinalis, Syringa dilatata. The result of interviews with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officials showed that when choosing the species of trees, they emphasi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atio of trees to shrubs, flowers and autumn leaf characteristics, and also consid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landscape characteristics, economic feasibility, and th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70 (42.9%) out of 163 species of trees presented with scientific names on the examination were not used in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and 76 (44.9%) out of 169 species were not used as material for questions. As for the scientific name questions, deciduous trees and evergreen shrubs accounted for the more questions, Evergreen and deciduous tree and shrubs were most common in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as well.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학명으로 출제되고 있는 수종들이 최근 조경산업 현장에서 얼마나 이용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해 보기 위해 연구하게 되었다. 최근 6년 동안 축적된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학명의 연도별 출제빈도와 최근 6년 동안 출제된 학명문제 수종과 조경식재공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수종들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식재과목에서 학명문제의 연도별 출제 빈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2013년도에 56.6%로 정점을 찍은 후 2014년부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최근 6년간 조경기사 필기시험의 문항 및 보기에 출제된 학명문제 수종은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화화나무(Sophora japonica),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주목(Taxus cuspidata) 등 163개 수종이었으며, 같은 기간 조경식재공사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산수유(Cornus officinalis), 수수꽃다리(Syringa dilatata) 등 169개 수종이었다. 조경식재공사 관계자 인터뷰 결과, 수종 선정시 교목과 관목의 비율, 꽃과 단풍 등의 생태적 특징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형태적 특징, 경관적 특징, 경제성, 수급상황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명문제에 출제된 163개 수종 중 조경식재공사에 사용되지 않은 수종은 70개로 42.9%, 조경공사 식재에 사용된 169개 수종 중 학명문제에 출제되지 않은 수종은 76개, 44.9%로 나타났으며, 학명문제에서는 낙엽교목, 상록관목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조경식재공사에서는 상록교목, 낙엽관목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건설사업에서 조경 감리의 품질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김정철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system by examining the adequacy of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facilities in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ites.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of landscaping supervision and to provide the evidence for legislative activities and revision of the laws currently being pushed forward for the mandatory deployment of apartment hous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was deployed to apartment complexes with less than 1,500 households and that the landscaping comprised 19% to 46% of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The civil engineering firm performed the landscaping supervision, which made it impracticable to fully focus on the construction quality in the field of landscaping. The quality control in terms of landscape plants revealed differences in quality control, depending on the competence and experience of the civil engineer supervising the personnel, where th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was not deployed. The apartment houses landscaping supervision activity index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pervision activity index for apartment house A was 72.0, B was 70.4, and apartment houses C to G ranged from 38.7 to 46.9, which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quality control, process control, and technical support affected the construction quality and occurrence of defects.The improvement of landscaping process quality control and process management will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and the rate of defects will be drastically reduced if the landscaping supervision personnel placement threshold is lowered from 1,500 households to 300 households in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omoting and re-establishing the landscaping industr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quality in the field of landscaping in connec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 houses. 본 연구는 공동주택 조경현장에서 조경식재 및 시설물의 품질개선, 하자저감을 위한 조경 감리활동의 적정성과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동주택 조경 감리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현재 추진 중인 공동주택 조경 감리원 배치의무화 법령 개정을 위한 입법 활동의 근거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10년대 준공된 공동주택의 최종 감리보고서에서 조경시공분야 시공관리 및 품질관리 내역을 추출하고, 공동주택 조경분야 감리/감독 지침에 의거한 시공 및 품질관리 활동이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계량화하였다. 분석결과, 1,500세대 미만의 공동주택 단지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았고, 조경 공정은 전체 공정의 19~46%를 차지하였으나, 토목 감리원이 조경 감리를 병행 수행하여, 조경분야 시공품질 관리를 위해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조경식재 분야 시공품질 관리업무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단지에서는 토목 감리원의 역량과 경험에 따라 품질관리에 차이가 있었고, 조경시설물의 공통자재 시공분야는 토목감리 업무와 연계하여 시공품질관리 업무가 충분히 진행되었으나, 단위시설물 설치분야는 조경 감리원이 배치되지 않은 공동주택에서는 놀이시설안전관리법 등 법령에서 정한 시설품질기준 및 설치안전기준 부합 여부에 대한 현장검측을 생략하거나 서면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조경 감리활동 지수 분석 결과, 공동주택 A가 72.0, 공동주택 B는 70.4이었고, 공동주택 C~G는 38.7~46.9 수준으로, 조경 감리원의 배치 유무에 따라 품질관리, 공정관리, 기술지원의 차이가 시공품질, 하자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경감리원 배치 기준을 기존의 1,500세대 이상에서 300세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조경분야 기술인력의 확대 배치를 통한 조경공정의 품질관리 증진, 건설 현장의 원가관리, 공정관리가 원활하게 되며, 하자 발생율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 건설에서 조경분야의 시공품질의 질적 개선과 조경 기술인력의 활동영역 확대, 조경분야 감리 인력의 배치 활성화, 조경업역의 제자리 찾기를 통한 조경산업의 진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 KCI우수등재

        조경전문잡지를 통해 본 조경시설물의 변화 및 요인 연구

        유주은,Yu, Joo-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5

        본 연구는 조경전문잡지인 '환경과 조경'의 광고 내용 분석을 통해 조경산업의 전반적인 구조를 알아보고 조경시설물의 변화 및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조경시설물 행보의 방향제시 및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과 조경' 창간호부터 30년 간 게재된 광고를 분석한 결과 옥외시설물이 1,853회의 빈도수를 보이고 있으며 이중 휴게시설이 1,475회, 편익시설이 378회로 나타났다. 옥외시설물의 광고 빈도수가 다른 조경시설물에 비해 월등히 광고 빈도가 높은 이유에는 주택건설 관련 정부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공공디자인으로의 업역 확장과 더불어 휴게시설물 시장의 확대에 연유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휴게시설물의 주요 재료에는 퍼걸러와 벤치 모두 목재와 철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퍼걸러의 경우 지붕재의 종류로 경제적 측면과 내구성 측면을 고려한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조경분야의 대표 잡지에 실린 광고를 대상으로 조경시설물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시대별 동향, 시설물 유형별 디테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was considered through analysis of advertisements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magazine,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transition process and factors of landscape fac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landscape facilities and basic data were suggested. When analyzing the advertisement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for 30 years, outdoor facilities were depicted at a frequency of 1,853 times and among them, rest faciliti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depicted 1,457 times and 378 times, respectively. The reason why outdoor facilities have a far higher advertisement frequency than other landscape facilities is they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 house construction-related government policy, which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the rest facility industry along with regional expansion to public design. Moreover, it was found that wood and steel were mainly used to make pergolas and benches, which are rest facilities, and polycarbonate, with high economic efficiency and durability, was used the most as a roofing material for pergola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tendency of landscape facilities and the changes in the detail of their types by analyzing the stream of landscape facilities diachronically, based on the advertisements published in a representative magazine of landscape architecture.

      • KCI우수등재

        조경의 환경윤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도덕적 위치 - 유진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중심으로 -

        오창송,Oh, Chang-So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2

        조경은 스스로 환경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환경윤리를 이론으로 흡수하였다. 그러나 환경윤리는 자연 보전에 집중한 나머지 조경을 인공물로 취급하며 도덕 대상에서 배척하였다. 그 과정에서 조경은 인간과 자연의 중도적 입장을 주장하나 도덕적 정체성을 의심하게 한다. 오히려 조경은 '자연의 대리인'으로 자처하며 '인간을 위한' 조경의 전통적 도덕관을 밀어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윤리의 비판적 해석을 통해 인간중심으로서 조경의 도덕적 위치의 재정립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환경윤리의 여러 분파 중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는 조경처럼 자연미학을 윤리적 덕목으로 삼는다. 그러나 상이한 자연관 때문에 환경윤리는 조경을 비판적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한 이유로 필자는 하그로브의 조경 비판 내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반론을 도덕적, 미학적, 조경적 입장에서 살펴본다.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연은 존재 자체로서 미적이고 도덕적인 반면 조경은 모조품으로서 자연에 대한 완화된 태도를 취한다. (2) 자연은 자기창조적이기에 완전한 미적 실체인 반면 조경은 상상을 통해 인간적 결함을 감추는 설계된 자연이다. (3) 자연에 기술을 부여하는 환경관리는 무의미하기에 도덕적 허무주의를 발생한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환경윤리는 '도덕적 자율성'을 배제하고 '도덕적 선'을 단순화함으로써 조경이 내포하고 있는 자연을 넘어선 도덕적 실천 능력, 창조와 상상의 폭 넓은 도덕적 의미, '돌봄'으로서 환경관리의 도덕적인 면을 간과하고 있다. 그 결과, 현실에서 자연의 문제는 인간의 삶과 분리할 수 없기에 더 이상 보전만이 미덕이 될 수 없다. 또한 조경은 '선한 삶'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도적 위치보다는 인간중심적 도덕적 위치가 타당하다. The the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pplies environmental ethics in order to secure an ecological status. However, environmental ethics that focus on nature conservation excludes landscape architecture as artifacts. In the process, it is hard to identify what landscape architecture insists on as the middle posi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Rather, landscape architecture pretends to be an 'agent of nature' and pushes the traditional moral values 'for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stablish the anthropocentrism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through critical analysis. Hargrove's weak anthropocentrism' of several environmental ethics branches accepts natural aesthetics(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as an ethical virtue. But environmental ethics makes landscape architecture a critical target. For that reason, this study looked into critical contents and objects that in a position to moral, aesthetic and landscape architecture. Critical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nature is an absolute as an aesthetic and moral value, but landscape architecture is an imitation and takes a relaxed attitude about nature. Second, nature is full of aesthetic substance because it is self-creative, but landscape architecture is designed nature covered human flaws through imagination. Third, environmental management granting techniques in nature generate a moral nihilism. As an argument, environmental ethics overlooked the moral practices of landscape architecture beyond nature another moral aspect of creation and the imagination-and moral aspec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s 'care' because they rule out 'moral autonomy' and simplify what is considered 'good.' As a result, conservation cannot be the only virtue why the problem of nature in reality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The moral pos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based on a 'good life' is more appropriate under anthropocentrism than as a middle position.

      • 외국인이 바라본 한국정원: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 Sang Jun Yoon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1 No.-

        한국이 서양세계에 처음 알려진 것은 16세기 후반이나, 한국과 한국정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네덜란드인 하멜에 의해서 이다. 1876년 개항 이후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저서가 외국어로출간되었다. 당시 출간되었던 많은 책 중에서 한국의 정원과 식물상을 자세히 기술한 책들이 있다. 이 책들은 한국에 대한 선입견과 그들의 지식기준으로 기술된 부분도 있지만, 서양인들이 직접 관찰 기록한 것으로 당대의 한국정원과 경관을 알 수 있다는 면에서는 유용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17세기 하멜에서부터 19세기까지 서양인들이 직접 경험하고 관찰하여 이해한 한국정원을 조사하고, 한국정원에 대한 서양인들의 시각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영국 쉐필드 대학의 한국서고를 중심으로 영국 18세기 컬렉션 웹사이트에서 조사한 서양인의 여행기와 일지를 취합한 서적 그리고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경험을 기술한 책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하였다. 몇몇의 서양인들은 한국의 미는 그들의 주변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소박함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자연미학을 인공적이거나 관습적인 것이 아닌 자연적인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서양인은 그들이 직접 경험하지 못하고 그림이나 글을 통하여 느낀 한국 경관의 특징적인 부분은 실존한다고 믿지 못하였다. 직접 한국을 경험한 서양인들은 한국정원에 대한 특징으로 작은 정원을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를 "코티지 화훼정원"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마을에서 커뮤니티 시설로서 그늘을 제공하는 정자나무가 있는 휴식공간을 마을 아고라(Village agora)라고 표현하였다. 한국정원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연못과 괴석을 언급하였다. 특히 정원 시설물로 전통재료와 방법으로 만든 온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으며, 현대적 개념의 원예산업과 재배원이 도입되고, 잔디밭 등 외국인의 기호가 한국정원에 혼합되기 시작하였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되지 않은 시기로서 궁궐과 왕실정원이 버려지고, 관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그들의 시각이 정확했던 오류가 있었던 것을 떠나, 그당시의 한국과 한국정원이 외국인에게 비쳐졌던 면모로서 우리가 숙지해야 하는 우리 역사의 일부분이다. Although Korea was introduced to the West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Hendrik Hamel`s account was the earliest record, depicting a Korean garden in the 17th century. After signing Treaty of Kanghwa with Japan in 1876 Korea opened to the outside world, and a number of books were published in Western languages to satisfy the growing interest in the former Korea. These records mentioned gardens and the variety of flora they contained -some were well elaborated and some were brief but above all they were valuable as they accoun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gardens and landscape at that time, based on first-hand observation, even though some cases were disparage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or a supposed sense of superiority to the Korea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esterners` viewpoint of Korean gardens based on their first-hand observation in the seven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and evaluates their perspectives on Korean gardens. Henc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literature studies, published books which were compiled from travel notes, diaries and residential experiences from Westerners, found in the Korean Collection at the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as well as Eighteenth Century Collections Online.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the literature was made to draw the corresponding conclusions. Some westerners understood that Korean esthetics of nature, by means of art, with a focus on natural rather than artificial and conventional as well as the strong simplicity dominated Korean art inspired from surrounding nature but usually they refused to believe that the salient points of landscape features in paintings or texts were in reality without seeing with their own eyes. Particular characteristics of Korean gardens that were noted were expressed as the following: gardens were expressed simply as "cottage flower-garden" no matter their position or location; an old big tree - called village agora - serving as a shady resting area, took on the role as a community facility and was placed in many villages; the lotus pond and the rock wer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n gardens; there were garden facilities such as the greenhouse which was constructed with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the modern concept of horticultural business and nursery was introduced; the fusion garden blended with Western tastes and brought with i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lements such as the lawn; due to the unstabl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palace grounds and royal gardens began to be abandoned. Whether Korean approved it or not, or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the way Koreans are presented to the outside world is an integral part of them.

      • KCI우수등재

        조경공사에서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조경기술자들의 인식 -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를 대상으로 -

        오창송,심지수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4

        현재 우리나라 건설안전 정책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를 유도하고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인지와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었지만, 조경분야는 현황 파악조차 못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우리나라 조경공사 건설사고 현황을 살펴보았고, 둘째 조경시공자와 조경설계자의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에 대한 인식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1)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접수된 조경공사의 사고는 시설종류와 관련하여 민간이 발주한 공동주택공사에서, 조경공정과 관련하여 식재공에서 절반 이상 발생하였다. (2) 조경설계자가 조경시공자보다 조경공종 안전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그중 안전태도, 작업위험, 작업참여, 작업압박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확보하지 못하였지만, 조경설계자들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나 구체적인 행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 마지막으로, 조경시공자들은 설계단계에서 안전성 검토에 대한 중요성을 타 항목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