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나타난 공동연구 네트워크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혁,권오진,강혜진,심위,노경란,Hahn, Hyuk,Kwon, Oh-Jin,Kang, Hye-Jin,Shim, We,Noh, Kyung-Ra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5

        전 세계적으로 공동연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공동연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를 통해서 나타나는 공동연구 네트워크가 어떤 구조를 보이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3년 2월까지 한국전자통신학회지에 게재된 공동연구 논문을 분석한다.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자들을 12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 서브 네트워크는 주로 지역성에 기반한 공동연구 네트워크임을 밝혀내었다. The rise of collaboration in science or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need to understand collaboration network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ollaboration research network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collected and analysed the data from co-authored papers published from 2006 to 2013 in this journal. It shows that there are 12 collaboration sub-networks based on the locality of authors in this journal.

      • KCI등재후보

        IEEE 802.11p 기반 통신시스템의 대용량 전송 성능 측정

        조웅,최현경,Cho, Woong,Choi, Hyun-Ky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12

        IEEE 802.11p는 차량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물리계층 및 매체접근제어계층 표준이다. IEEE 802.11p를 기반으로 한 통신시스템의 일대일 통신성능은 링크접속시간, 오류율, 전송용량 (throughput), 등의 다양한 형태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p기반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용량으로 신호 전송 시 성능을 측정한다. 일대일 통신을 포함하여 최대 32개의 통신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경우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다. 전송방식은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두 가지 경우에 대해 고려하며, 통신시스템의 성능은 수신율 및 전송용량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IEEE 802.11p is a representative PHY/MAC layer standard in vehicular communications. The performance of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has been measured in various criterions such as link setup time, error rate, and throughput for the case of one-to-one.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performance of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in large capacity transmission. The performance of large capacity transmission is measured by considering the maximum 32 simultaneous transmission including one-to-one transmission. We consider two transmission schemes, i.e., broadcasting and unicasting, and the performance is represented as the receiving rate and throughput.

      • KCI등재후보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나노 통신 시스템 연구

        권태수(Tae Soo Kwon),황경호(Gyung Ho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9

        나노 통신 시스템 기술은 통신기술과 나노기술의 융합 분야로서 밀리미터 수준의 통신 모듈 크기에 머물고 있는 현 기술수준을 뛰어넘어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이하 단위의 극소형 무선통신 시스템 구현을 가능케 하는 미래 핵심 기술 분야이다. 특히, 최근 제안된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기계적 속성을 활용한 신규 극소형 나노 무선 통신시스템 기술은 기존 송수신 구조를 단순히 소형화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 자체를 바꾸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활용한 극소형 나노 무선 송수신기 실현 관점에서의 연구현황을 살펴보고 나노 기술과 통신 기술의 융합을 위한 주요 핵심 연구이슈를 제시한다. Nano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are future core technologies that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in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sizes in the range of hundreds of nanometers to tens of micrometers, which cannot be implemented by curr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ies. In particular, novel nano communication system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resonance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tube(: CNT), does not simply miniaturize system modules, but suggests a new approach that changes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e, this paper surveys the state of the art on CNT-based nano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spects of system implementation, and proposes important research issues for convergence of nano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KCI등재

        컴팩트한 Spot형 UV 경화기 광학계를 구현하기 위한 TIR 렌즈 설계 및 응용에 관한 연구

        김유림(Yu-Rim Kim),허승예(Seung-Ye Heo),이상욱(Sang-Wook Lee),김완진(Wan-Chi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2

        종래의 spot형 UV경화기는 복수의 렌즈를 이용한 collimator 광학계를 구성하여 광속을 광케이블로 입사하도록 하고 있다. 전달 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3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된 collimator 광학계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광학계 정렬에 어려움이 있고, 시스템을 컴팩트하게 구현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3매 렌즈로 구성된 collimator 광학계와 동등한 수준의 스폿 직경 및 광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단일 TIR 렌즈 collimator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최소 조도 편차를 갖는 경화 위치에서의 광 효율이 33.2 % 수준으로 참조 collimator 광학계의 성능과 유사한 수준을 확보하였고, 경화면에서의 조도 편차는 18.8 % 수준으로 양호한 성능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미지 면에서의 조도 평탄화 기능을 갖는 fly-eye lens를 condensing 렌즈 앞단에 배치함으로써, TIR 렌즈만 적용한 경화 광학계와 비교할 때, 유효 경화영역 직경이 5.0 mm에서 3.0 mm 로 줄어 보다 높은 경화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었으며, 조도 편차는 14.4 % 수준으로 현격히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onventional spot-type UV curing machine configures a collimator optical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enses so that the light beam is incident through an optical cable.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light efficiency, a collimator optical system composed of three or more lenses is required,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optical system,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ystem compactly. In this study, a single TIR lens collimator that can realize the same level of spot diameter and light efficiency as the conventional collimator optical system composed of three lenses was designed. Through this, the light efficiency at the curing area with the minimum illuminance deviation was 33.2 %, which was similar to the performance of the reference collimator optical system, and the illuminance deviation on the curing area was 18.8 %, ensuring acceptable performance. In addition, by arranging a fly-eye lens with field flattening function at the front end of the condensing lens, the effective curing area diameter was reduced from 5.0 mm to 3.0 mm, enabling higher curing energy density to be realiz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lluminance devi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to a level of 14.4%.

      • KCI등재후보

        LTE 기반 철도통신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조한벽,오현서,최진규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4

        Since the KTX starts operation in 2004, Korean railway system has sustained the highest safety and accuracy. In order to support this achievement, the LTE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for mobile communications and signal transmission. railway, and its standardization is on the way. Railway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used as part of national safety net through interworking with safety network. This paper reviews the contents of standards and technologies in an LTE-based railway communication(LTE-R) system, and the items to be standardized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railway system by building a national railway radio communication system. 국내 철도시스템은 2004년 KTX가 도입된 이래 최고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철도 무선통신 시스템에 LTE를 도입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철도통신시스템은 재난안전통신망과 연계를 통하여 국가안전망의 일부로 활용될 것이며 이들 시스템간의 연동방안은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시스템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국내에서 추진중인 LTE 기반 철도통신시스템의 개발 현황을 살펴본다. 국내 철도무선통신 체계를 구축에 있어 철도시스템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향후 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할 내용을 검토한다.

      • KCI등재

        전력선통신기반 LED를 이용한 단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윤지훈(Yun, Ji-Hun),김용갑(Kim, Yong-Kab)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3 No.1

        본 연구는 전력선통신과 LED를 이용한 단거리 무선통신 시스템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LED와 광센서를 이용한 광 송 수신기를 제작하고 송 수신부에 표시 장치 및 통신을 하기위한 컨넥터 등을 구성하였다. 실험 방법은 효율이 높은 LED를 선택한 후 광 센서를 통하여 나온 수신 데이터를 오실로스코프를 통하여 신호 및 파형을 관찰한다. 또한 가시광통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활한 Data의 송 수신이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고 전력 손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evelop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D. I will create optical receiver and transmitter using LED and optical sensor and connectors for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in receiver and transmitter were created. Experiment method is to signal and waveform through oscilloscope date from optical sensor after chosen a highly efficient LED. In addition, reception and transmitter of smoothly data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program were checked. I will compliment problems through this experiment and constantly study, improve on power loss.

      • KCI등재

        스마트 그리드 배전 시스템을 위한 와이파이 통신에 기반한 디지털 FRTU간 통신 방법론 기초연구

        진우경(Woo-Kyung Jin),윤지현(Ji-Hyeon Youn),최민석(Min-Seok Choi),이재현(Jae-Hyun Lee),오간비렉(Birek Ohgan ),고윤석(Yun-Seok Ko)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6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 배전 시스템이 요구하는 디지털 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를 위한 통신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디지털 FRTU는 고장처리부와 통신부로 구성하는데, 고장처리부는 고장 시고장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하며, 통신부는 주변 디지털 FRTU간 양방향 통신을 통해서 고장구간을 자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성능 검증을 위해서 다양한 고장 시나리오들에 대한 고장모의가 가능하도록 3개의 디지털 FRTU를 기반으로 3개의 선로구간을 구성하는 하나의 성능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성능 검증 시스템 상에서 1선 지락고장, 선간 및 3상 단락고장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장 경우들을 실험적으로 모의하였으며, 각 경우에서 정확한 추론결과를 검증으로써 개발된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communication methodology for the digital 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required by the smart grid distribution system was studied. The digital FRTU consists of a fault handl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fault handling unit transmits faul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in case of a failure, 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designed to autonomously determine the fault section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surrounding digital FRTUs. For performance verification, a performance ver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3 line sections based on 3 digital FRTUs was constructed to enable fault simulation for various failure scenarios. Various fault cases including one phase ground fault, line-to-line short-circuit fault, and three-phase short-circuit fault were experimentally simulated on the established performance verification system, an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thodology was confirmed by proving the accurate fault section inference results for each fault simulation case.

      • KCI등재후보

        TPMS 양방향 통신을 위한 유효 데이터 판정기법

        김성민,황석승,Kim, Seong-Min,Hwang, Suk-Se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3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기기의 일종으로 운전자가 타이어의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위한 안전보조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TPMS는 무선통신을 사용하므로 데이터 송/수신 시 각종 잡음이나 간섭에 의한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타이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무선통신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 시 보다 정확한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수신부에서 수신신호의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을 측정하여 데이터 신뢰도를 판정하는 신뢰도 판정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수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데이터 신뢰성 판정 알고리즘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데이터 신뢰성 판정기법은 TPMS 뿐만 아니라 센서를 이용한 양방향통신 시스템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95%, 97%, 99%의 데이터 신뢰도를 만족하는 임계 SINR 값을 확인한다.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 is defined as the safety aid system to efficiently realize and manage the condition of tires in the vehic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PMS should suffers from various noise and interferences such as signals of each tire sensor or outside electrical equipments. In order to retain the data reliability of TPMS, we propose an assessment method of the data reliability based on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of the received signal.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widely applied to wireless duplex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various sensors. We verify critical SINR values to satisfy data reliabilities of 95%, 97%, and 99% through computer simulation.

      • KCI등재

        AR기반 캐릭터 트래킹 네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이석환(SeokHwan Lee),이정금(JungKeum Lee),심현(Hyun S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Nreal에서 개발한 AR글래스를 활용한 실시간 캐릭터 네비게이션을 개발한다. 실시간 캐릭터 네비게이션은 특정하지 않은 공간을 NPC 캐릭터가 이동하면서 안내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마커 기반 AR로는 불가능하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마커리스 AR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 마커리스 AR은 GPS, 비컨 등의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낮고 시스템에서 처리하는 시간이 길어져 실시간 AR 환경에서는 신뢰도가 낮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LAM 기법을 활용하여 공간을 3D 개체로 구성하고, 디지털 트윈 기반의 마커리스 AR을 구성함으로써 실시간 AR 환경에서 별도의 하드웨어 사용 없이 AR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간 AR 환경 구성은 순천만 정원, 순천 드라마촬영장 등 관광지에서 캐릭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In this study, real-time character navigation using AR lens developed by Nreal is developed. Real-time character navigation is not possible with general marker-based AR because NPC characters must guide while moving in an unspecified space. To replace this, a markerless AR system was developed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Existing markerless AR is operated based on hardware such as GPS, gyroscope, and magnetic sensor, so location accuracy is low and processing time in the system is long, which results low reliability in real-time AR 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sing the SLAM technique to construct a space into a 3D object and to construct a markerless AR based on point location, AR can be implemented without any hardware intervention in a real-time AR environment. This real-time AR environment configuration made it possible to implement a navigation system using characters in tourist attractions such as Suncheon Bay Garden and Suncheon Drama Filming Site.

      • KCI등재후보

        TPMS 양방향 통신을 위한 유효 데이터 판정기법

        김성민(Seong-Min Kim),황석승(Suk-Seung Hwa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3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기기의 일종으로 운전자가 타이어의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위한 안전보조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TPMS는 무선통신을 사용하므로 데이터 송/수신 시 각종 잡음이나 간섭에 의한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타이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무선통신으로 인한 데이터 전송 시 보다 정확한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수신부에서 수신신호의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을 측정하여 데이터 신뢰도를 판정하는 신뢰도 판정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수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데이터 신뢰성 판정 알고리즘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데이터 신뢰성 판정기법은 TPMS 뿐만 아니라 센서를 이용한 양방향통신 시스템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95%, 97%, 99%의 데이터 신뢰도를 만족하는 임계 SINR 값을 확인한다.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 is defined as the safety aid system to efficiently realize and manage the condition of tires in the vehic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TPMS should suffers from various noise and interferences such as signals of each tire sensor or outside electrical equipments. In order to retain the data reliability of TPMS, we propose an assessment method of the data reliability based on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of the received signal.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widely applied to wireless duplex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various sensors. We verify critical SINR values to satisfy data reliabilities of 95%, 97%, and 99% through computer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