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 작물 기능성 연구동향

        이영상,안형균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벼, 밀, 옥수수 등 식량작물은 인류의 생존을 위한 주요 에너지 공급원이었다. 국가 경제의 발전은 기아 문제의 해결과 소비자 소득 수준의 향상을 가져왔고, 작물의 사회적 수요를 ‘식량 공급원’으로부터 ‘맛있는 먹거리’, 나아가 ‘건강에 유익한 먹거리’로 바꾸어가고 있다. 작물학 분야의 연구 역시 수량의 증대, 재배기술 의 개발 등 전통적인 학술영역에 덧붙여 작물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고 효능을 입증하며 나아가 이러한 작물의 기능성을 증진하는 영역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작물 기능성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으로부터 2010년까지의 30년간 한국작물학회지, 한국육종학회지, 한국약용식물학회 지, 한국자원식물학회지, 한국콩연구회지 등 국내에서 발간되는 주요 작물학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초록 중 작물 기능성 관련 연구보고 약 400여 건을 수집하고 이들 기능성 연구가 수행된 작물, 대상 기능성물질의 종류, 연구 목적 등의 년차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 한국 야생콩,육성품종 및 중국 길림성 야생콩의SSR Marker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

        박수정,장성진,이윤호,박향민,박경호,정승근,조용구,김홍식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한국의 야생콩 40종, 육성품종 21품종 및 중국길림성 야생콩 36종의 97종에 대하여 다형성이 높은SSR 9개 마커를 사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97종에서 대립인자는 총291개로 확인되었고, 그 범위는 21~39개였으며 평균 32.3개였다. 또한 한국 야생콩의 대립인자 평균치는 15.2개, 한국 육성품종은 11.3개, 중국 길림성의 야생콩은 12.7개였다. 전체 97종의 유전적 다양성(PIC) 값의 범위는 0.960(satt185)~0.896(satt141)이었고, 평균 유전적 다양성(PIC) 값은 0.937이었다. 또한 유전적다양성은 한국 야생콩은 0.871, 한국 육성품종은 0.858, 중국 야생콩은 0.821으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유전적 거리에 의해 7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1그룹에는 한국 야생콩, 2그룹에는 중국 야생콩, 5그룹에 한국 육성품종만이 모두 속해 있었다. 3과 4그룹에는 중국 야생콩이 주로 속하였으나 한국 야생콩이 각 그룹에2종씩 속하였고, 6과 7그룹은 한국 야생콩이 주로 속하였으나 중국 야생콩이 각 그룹에1 종씩 속하였다. 한국 야생콩과 육성품종 및 중국 길림성 야생콩 간에는 유전적다양성이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유연관계는 각 집단 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일부 한국 야생콩과 중국길림성 야생콩의 몇 종이 유연관계가 가까웠다.

      • KCI우수등재SCOPUS

        의성지역(義城地域)의 약용작물(藥用作物) 생산현황(生産現況)

        김봉구,김종혜,김세종,박소득,최부술,여수갑 韓國藥用作物學會 1998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6 No.3

        의성지역의 약용작물 생산현황(生産現況) 및 경영분석(經營分析)을 위하여 약용작물 재배 농가 147호를 대상으로 재배실태와 작물별 소득(所得)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화계수(特化計數)가 1이상인 작물은 작약(21.59), 산수유(14.82), 시호(7.90), 지모(6.41), 지황(3.96), 두충(3.44), 목단(2.28), 백지(1.51)순으로 나타났다. 2. 조사농가의 평균 토지이용면적(土地利用面積)은 1.92ha이었는데, 그중 밭이 1.35ha. 논은 0.56ha이었다. 농지분포(農地分布)는 농가당 평균 3.1곳에 10.2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용작물부문에 년간 노동투하(勞動投下)는 31.1%를 차지하였다. 3. 조사대상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은 36개 작물로 농가당 평균 2.4작물이었다. 대표적인 작물은 작약이었는데, 조사농가 147호 가운데 85농가가 참여하여 30.72ha를 재배하고 있었다. 4. 약용작물 재배실태를 보면, 작약, 시호, 택사, 길경, 황기, 감국 등은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추세(趨勢)이고 홍화는 새로운 소득작물(所得作物)로 재배되고 있으며, 더덕, 지모, 지황, 원황정, 백출 등은 재배 면적이 늘어났다. 5. 36개 약용작물중 10a당 평균소득이 높은 작물은 홍화(2,775천원), 원황정 (2,706천원), 일천궁(2,573천원) 등의 순이었으나 재배농가에서는 농가여건에 부응하면서 위험부담이 적고 가격안정(價格安定)이 기대되는 작물을 선택하여 농가 수준에서 부가가치(附加漂値)를 최대한 증대(增大)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o analyse the management and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in Uisong region, cultural conditions and standard income of 147 farms were investigated. Location quotient of medicinal crops cultivated was high as following order ; Paeonia lactiflora > Cornus ofidnalis> Bupleurm falcatum > Anemarhena asphodeloides > Rehmannia glutinosa > Eucommia ulmoides > Paeonia suffruticosa > Angelica dahurica. The average cultivated area per farm was 1.92ha : 1.35ha of upland field, 0.56ha of paddy field.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land in each farm was average 10.2 fields in 3.1 locations. Ratio of labor input in the medicinal plant sector was 31.1 %. The number of medicinal crops cultivated was 36 species among 147 farms and 2.4 species per farm. Among the cultivated medicinal plant, peony (Paeonia lactiflora) was the most popular medicinal plant, which was cultivated in 30.72ha of 85 farms. Income from medicinal plants was high in order of Carthamus tinctorius, Polygonatum stenophyllum, Angelica genuilexa. Medicinal crop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farm condition, risk level and price settlement in order to maximize productivity and income.

      • 저투입 작물생산체계에서 콩과녹비작물의 근권축적 질소의 역할

        최봉수,김충국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20세기는 화석연료에 의존한 화학 자재의 이용과 품종개량으로 작물의 다수확 생산 기술이 개발되면서 작물 의 수량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그러나 집약적인 다수확 생산기술은 합성 비료와 농약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특히 속효성 화학 비료에 의존한 단일 작물의 연작은 농경지의 지력을 저하시키면서, 작물생 산을 위한 잠재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 개선책의 하나로 볏짚, 작물잔유물, 가축분뇨 등의 농축산 부산물의 이용과 녹비작물의 이용 등 유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재인식하게 되었다. 농경지에서 유기물 시용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나 생물학적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기물로 이용 가능한 자원은 대표적인 것이 녹비작물이며, 국내에서는 헤어리베치와 자운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녹비작물은 근류균과 공생하여 공중 질소를 고정하는 콩과작물이 잘 알려져 있으며, 후작물에 양분을 공급해 줌은 물론 토양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비옥도 증진, 수분 보유력 증진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녹비이용에 있어서 전후작물의 질소동태나 녹비환원 후에 일시적으 로 일어나는 생육억제 현상 등은 작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토양의 물리성 개선, 선충 밀도 저감, 피복에 의한 잡초 억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Crotalaria(네마황), Sesbania(전심초), 베치(Vicia) 등의 녹비작물은 특성이 충분히 평가되지 않은 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금까지 녹비작물의 지상부 수량에 중점적으로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근류를 형성하는 지하부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류의 질소고정능력의 경시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육기간에 환원한 콩과녹비작물 이 후작물의 질소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녹비작물의 환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생육억제효 과로서 상추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여름작물인 Crotalaria, Sesbania, 그리고 겨울작물인 헤어리베치 등 녹비작물의 이용에서 후작물의 질소흡 수가 녹비작물의 뿌리 및 근류(지하부)의 기능으로서 질소고정 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작물 모두에서 지하부로부터 환원한 질소량은 지상부 환원구와 비교하여 현저히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후작물에의 질소 공헌도(녹비에 의해 환원된 질소량에 대한 후작물에 의해 흡수된 질소량의 비율)는 지하부 환원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그 기작으로서 녹비환원시 지상부가 제거되는 것에 의해 급격하게 탄수화물(근류의 에너지 원)의 공급이 정지되어, 이 시기에 질소고정 능력이 높았던 근류로부터 무기태질소나 이분해성 질소 화합물이 방출되었고, 이러한 질소의 상당량이 후작물에 의한 흡수에 이용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이러한 결과는 질소고정 능력이 높은 줄기 근류를 형성하는 Sesbania의 지상부를 녹비환원 했을 경우에도 후작물의 생육 촉진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모든 작물에서 지상부 환원에 의한 후작물의 생육 억제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부숙되지 않은 유기물인 녹비의 분해초기에 일어나는 미생물과 후작물과의 질소 경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지하부 축적 질소가 이러한 경합을 완화시키는 가능성이 시사되어 녹비를 환원 할 때 근류의 활성 상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녹비환원에 의한 후작물의 초기생육 억제는 녹비작물의 종류, 생육 단계, 환원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저투입 작물생산을 위한 다양한 작부체계에서 녹비작물의 적절한 선택과 후작물을 위한 적절한 환원 시기의 구명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녹비작물과 후작물 간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속농업의 목적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물질의 과용으로부터 나타나는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자연자 원의 순환 및 보존, 생물다양성의 유지를 통해 농업생태계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농업환경을 오염시키 지 않아야 한다. 본 연구결과들은 콩과녹비작물의 지하부 축적 질소가 후작물의 질소 흡수를 촉진시켜 생육이 양호해졌으며, 이들 콩과녹비작물의 잠재력이 바이오매스 생산량 뿐 만아니라 생육기간동안 뿌리의 질적인 변화(질소고정능력)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들 녹비작물에 의해 생산된 질소량의 평가, allelochemicals의 동정을 통하여 후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생육억제효과와 고정된 공중질소를 후작물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 및 이산화탄소 흡수 등 공익적인 기능도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KISTI-ACOMS를 기반으로 한 한국작물학회 온라인논문투고관리시스템 개발 및 개선 방안

        박재원,강무영,윤화묵 韓國作物學會 2004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9 No.6

        KISTI는 학회업무 및 학술정보 관리를 학회가 어려움 없이 처리하도록 지원하고자, 학회 학술정보 유통체제 전 과정을 온라인 화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KITTI-ACOMS (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ISTI-학회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2001년부터 학회에 무상으로 보급하여 왔다. 최근 KISTI-ACOMS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회의 요청이 더욱 확대되고 있어, KISTI는 많은 학회의 특성들을 의견수렴 하여, KISTI-ACOMS의 표준화를 목표로 보완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KISTI-ACOMS 개요 설명. 2. KISTI-ACOMS를 기반으로 구축한 한국작물학회의 학회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의 모듈별 기능 및 사용자 접근 권한에 따른 논문투고 심사 단계별 처리 방법 기술. 3. 향후 시스템에 필요한 기능 및 명세를 기술함으로써 한국작물학회 뿐만 아니라 KISTI-ACOMS를 기반으로 한 개선 된 온라인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제시.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has developed the KITTI-ACOMS (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as part of the national project for automating the process of processing academic information by societies, in order to convert journals published by academic societies in Korea into an electronic form and make them accessible on the Internet. This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the year 2001 and has since been distributed to societies free of charge. The number of societies requesting the service has risen recently, which prompted us to take more recommendations of the societies that adopt this system into account in expanding and standardizing the area of service being provided by the system.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KISTI-ACOMS constructed for use in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and list the functions and requirements for the next system to enhance the on-line paper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중부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춘파용 두과 녹비작물 선발

        조현숙,전원태,성기영,김민태,이종기,김충국,정광호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4

        최근 친환경농업과 화학비료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녹비작물의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중부지역에서 동계 월동이 가능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알팔파로 그 종류가 적어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녹바작물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녹비작물을 선발하고자 봄에 두과녹비작물 8종을 밭토양에 파종하여 녹비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의 수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생체중으로 23.6 ton, 건물중으로 4.16 ton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루피너스, 자운영, 알팔파 순이었다. 또한 녹비수량은 모든 두과녹비작물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작물별 질소 함량은 헤어리베치에서 kg당 41.3 g으로 가장 높았고 자운영, 네마장황,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알팔파 순으로 32.2, 29.5, 29.2, 25.8 및 24.2 g이었다. 인산 함량은 알팔파(4.3 g kg1)와 크림손클로버 (4.2 g kg1)에서 높았고,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 루피너스 순이었다. 칼리함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35.9g kg1로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알팔파, 헤어리베치 순이었다. C/N율은 녹비작물 8종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C/N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5 미만이었다. 두과녹비작물별 질소생산량은 녹비작물 8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여 6월 19일에 가장 많았으며 작물별로는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71 kg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자운영 (51 kg), 레드클로버 (46 kg), 헤어리베치 (41 kg) 순이었다. 따라서 녹비작물의 건물수량과 C/N율, 질소 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수원지역에서 봄에 파종하여 녹비로 이용 가능한 두과녹비작물은 크림손클로버,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가 우수하였다. The use of green manure crop for sustainable agriculture can redu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 and herbicides, and the cultivation area of the green manure crop has gradually increase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information about appropriate use of spring-sown green manure crop in the central regions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gume crops on application of sown green manure in spring. Each of the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alfalfa, chinese milk vetch, crimson clover, crotalaria, hairy vetch, lupin, red clover and white clover was grown in upland soil of silt loam. The dry weight and C/N ratio of all crops increased throughout the growing period, while C/N ratio of all crops during growing period was lower than 25. The highest value of dry weight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was observed in crimson clover, followed by red clover, lupin, chinese milk vetch and alfalfa. Also, the highest value of contents of nitrogen, phosphous and potassium of green manure crops were observed in hairy vetch, alfalfa and crimson clover, respectively. And the values were 41.3, 4.3 and 35.9 g kg-1 , respectively. In terms of nitrogen yield, crimson clover that showed 71 kg N ha-1 was the highest yield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followed by chinese milk vetch of 51 kg ha-1 , red clover of 46 kg ha-1 , and hairy vetch of 41 kg ha-1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imson clover, chinese milk vetch, red clover, and hairy vetch could be a suitable green manure crop for spring sowing.

      • KCI등재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와 주요 동계사료작물 이모작 시 생산성

        안억근,정응기,박향미,정국현,현웅조,구자환 한국작물학회 2019 한국작물학회지 Vol.64 No.4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al double cropping system to obtain the maximum annual quantity, we investigatedthe annual productivity of whole-crop silage (WCS) rice, Jowoo (Jw), Yeongwoo (Yw), and Mogwoo (Mw), and winter feed crops(WFC), Italian ryegrass (IRG), Greenfarm (GF), rye Gogu (GU), and triticale Joseong (JS), in paddy fields of the central plains ofKorea. From 2016 to 2019, each crop was subjected to two standard cultivation methods: WCS rice and WFC optimal. Using theWCS optimal mode, the average dry matter yield (DMY) of WCS rice, early flowering Jw, was 15.8 tons/ha and 21.0 for themid-late heading Y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19.2 tons/ha late-flowering Mw (p<0.01). The WFC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F (3.2 tons/ha) and GU (4.5) sown on September 23rd, while JS was the highest at 12.6tons/ha (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JS (16.6 tons/ha) > GF (10.5) > GU (4.7)(p<0.001) sown onOctober 11th. For JS sown on October 31st, the DMY was 11.8 tons/ha,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wocrops (p<0.05). Except for rye GU, DMY was the highest when sown on October 11th. For WFC optimal mode, the average DMYof JS was the highest at 18.3 tons/ha,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GF (10.9) and GU (9.6) (p<0.001). The DMYof WCS rice transplanted on May 10th was the highest at 23.0 tons/ha in Mw,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Yw (21.4) bu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Jw (15.9) (p<0.05). On transplanting on May 25th, the DMY of Mw was thehighest at 24.2 tons/ha; th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Yw (20.7),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Jw (18.6) (p<0.05). When transplanted on June 11th, the DMY was 21.3 tons/ha in Yw,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DMY of other two cultivars, Jw and Mw (p<0.05). For the WCS rice-WFC double cropping, the total annual DMY was 33.6tons/ha with the combination of the WCS rice, Yw, and the triticale JS for WCS optimal mode. Meanwhile, the total annual DMYwas 39.6 tons/ha with the combination of the triticale JS and the WCS rice, Yw, for WFC optimal mode. In conclusion, thestrategies for obtaining the maximum yield of high-quality forage for WCS rice-WFC, WFC-WCS rice double cropping are asfollows: 1) cultivation centered on the optimal mode of WFC, and 2) sowing the WFC, triticale JS in mid-October, harvesting thecrops around the end of May and transplanting the WCS rice, Yw, in early June to obtain the maximum DMY of 39.6 tons/ha. 중부 평야지에서 사료용 벼-동계사료작물, 동계사료작물-사료용 벼 이모작 시 양질 조사료의 최대 수량성 작목 조합을 알아보기 위해 사료용 벼 최적재배 중심으로 재배하였을 때와 동계사료작물 최적 재배 중심으로 재배하였을 때로 나누어 4년 간 시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용 벼 보통기 재배양식 중심으로 재배하였을 때 사료용 벼의 건물수량은 조생종 ‘조우’가 평균 15.8톤/ha로 가장 적었고 중만생종 ‘영우’가 21.0톤/ha로 가장 많았으나19.2톤/ha인 ‘목우’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1). 동계사료작물은 9월 23일 파종 시 ‘그린팜’(3.2톤/ha)과‘곡우’(4.5톤/ha)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고 ‘조성’은 12.6톤/ha로 가장 높았으며(p<0.001) 10월 11일 파종 시에는 ‘조성’(16.6톤/ha)>‘그린팜’(10.5)>‘곡우’(4.7)순으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고(p<0.001) 10월 31일 파종한 경우 ‘조성’이 11.8톤/ha로 다른 두 초종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호밀 ‘곡우’를 제외하고는 10월11일 파종 시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다. 2. 동계사료작물 최적 파종시기 중심으로 재배하였을 때 동계사료작물의 평균 건물수량은 트리티케일 ‘조성’이 ‘그린팜’(10.9톤/ha)과 ‘곡우’(9.6)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18.3톤/ha로 가장 높았으며 사료용 벼는 5월10일 이앙 시 건물수량은 ‘목우’가 23.0톤/ha로 가장 높았으나 ‘영우’(21.4)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p<0.05)‘조우’(15.9)와는 차이가 있었다(p<0.05). 5월 25일 이앙시 ‘목우’가 24.2톤/ha로 가장 높았으나 ‘영우’(20.7)와는차이가 없었고(p<0.05) ‘조우(18.6)’와 유의적인 차이를보였다(p<0.05). 6월 11일 이앙 시 건물수량은 ‘영우’가21.3톤/ha로 다른 두 품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3. 중부평야지에서 사료용 벼-동계사료작물 이모작 시 최대조사료 생산 작목 조합은 사료용 벼 최적 이앙 및 수확시기에 맞추어 동계사료작물을 연속하여 재배하였을 때는 사료용 벼 ‘영우’와 트리티케일 ‘조성’ 조합으로 생산성은 33.6톤/ha이었으며 동계사료작물 최적 파종 및 수확 시기에 맞추어 연속하여 사료용 벼를 재배하였을 때는 동계사료작물인 트리티케일 ‘조성’과 사료용 벼 ‘영우’ 조합으로 생산성은 39.6 (톤/ha)이었다.

      • KCI등재

        植物根의 抽出物質이 種子發芽 및 幼植物의 生長에 미치는 影響

        朴贊浩 韓國作物學會 196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4

        작물근의 분비물질이나 함유물질이 그 작물 자체에 나 또는 다른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작무작촌방식 개선에 기여하고자 본연구를 하였다. 재료와 방법은 우리 나라에 적합한 사료작물중에서 레드클로우버, 옹처드그라스 및 브로움그라스의 생근즙액, 부패근즙액, 수경폐액을 채취하여 레드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콩,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르움그라스, 보리, 밀, 수수, 옥수수 및 기장 등의 종자발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식물근의 분비물질이나 함유물질중 기지현상과 관계가 깊은 것은 유기산일 것이라는 견해하에 이들 3개 재료작물의 근에서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근즙액의 영향 : 레드클로우버즙액 : 라디노클로우버와 매듭풀의 유식물 생장을 제제하였고, 화본과작물에 대하여는 수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작물에 생육제제작용을 하였다. 오오처드그라스즙액 : 레드클로우버와 콩의 유식물생장을 촉진하였으며, 오오처드그라스 자체에 대해서 발아와 생장을 제제하고, 보리와 기장의 생육을 제제하는 이외는 그 밖에 작물에 대한 영향을 인정할 수 없었다. 브로움그라스액즙 : 이탈리안라이그라스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고, 그 밖의 작물에 대해서는 모두 제제작용을 하였다. (2) 부패근즙액의 영향 : 레드클로우버즙액 : 레드클로우버의 유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였고, 수수를 제외한 그 밖의 작물에 대해서는 모두 제제작용을 하였다. 오오처드그라스즙액 : 레드클로우버와 리디노클로우버, 콩, 수수의 생장을 촉진하였고, 보리와 기장의 발아와 발근을 제제하였다. 브로움그라스즙액 : 레드클로우버, 콩, 수수에 대해서는 생장에 촉진적 영향을 미쳤고, 오오처드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기장에는 제제적 영향을 미쳤다. (3) 수경폐액의 영향 : 레드클로우버의 폐액은 화본과작물의 생장에 제제적 작용을 하였으며, 오오처드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폐액은 레드클로우버의 생장에 촉진적 영향을 미쳤다. (4) 유기산 분석 결과 : 레드클로우버근에는 비휘발성 유기산중, 수산, 구연산, 주석산, 마론산, 사과산, 호백산이 들어 있었고, 오오처드그라스와 브로움그라스에는 수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이 들어 있었다. 그리고, 모두 휘발성 유기산인 의산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실험의 뿌리의 분비물질이나 함유물질의 영향으로 다음 사항을 알 수 있었다. ~circled1 레드클로우버는 대체로 화본과작물에는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은 뿌리가 함유하는 유기산(수산, 구연산, 주석산, 마론산, 사과산, 오백산, 의산)의 종류와 함량이 많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circled2 오오처드그라스는 두과작물에 대체로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은 뿌리가 함유하는 유기산(수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의산)의 종류와 함량이 적고, 또 어떤 생장촉진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circled3 브로움그라스의 뿌리는 부패하지 않는 근 두과 화본과작물에 모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은 확인된 유기산(수산,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의산)이외에 미동정된 수종의 휘발성물질이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인정된다. (5) 근부함유물질의 기지현상에 대한 영향 : ~circled1 종래 알려진 레드클로우버의 기지현상의 원인은 뿌리의 유독성분에 의하는 것은 아니라고 인정된다. ~circled2 오오처드그라스 및 브로움그라스는 장기단작의 경우는 뿌리의 유독성분이 기지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인정된다. (6) 근부함유물질의 작부체계상 상대작물에 대한 영향 : ~circled1 생근즙액 및 수경폐액의 경우(간작, 혼작 상정) : 1) 유리한 조합 : 오오처드그라스->레드클로우버, 콩. 이탈리안라이그라스->레드클로우버. 2) 불리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밀, 옥수수, 기장. 오오처드그라스->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보리, 기장. 브로움그라스->레드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콩, 오오처드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밀, 수수, 옥수수, 기장. 3) 무해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레드클로우버, 콩, 수수. 오오처드그라스->라디노클로우버,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밀, 수수, 옥수수. 브로움그라스->이탈리안라이그라스. ~circled2 부패근즙액의 경우(후작 상) : 1) 불리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레드클로우버, 수수. 오오처드그라스->레드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콩, 수수, 옥수수. 브로움그라스-> 레드크로우버, 콩, 수수. 2) 불리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밀, 기장. 오오처드그라스->보리, 기장. 브로움그라스->오오처드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보리, 기장. 3) 무해한 조합 : 레드클로우버->라디노클로우버, 콩, 옥수수. 오오처드그라스->매듭풀, 오오처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브로움그라스, 밀. 브로움그라스->라디노클로우버, 매듭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밀. This study aimed a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cropping systems after finding out the effects of excrements and components of crop root influence on other crops as well as themselves. The following forage crops suitable for our country were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Aqueous extracts of fresh roots, aqueous extracts of rotting roots and aqueous solutions of excrements of red clover, orchard grass and brome grass were studied for the effects influencing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lings of red clover, ladino clover, lespedeza, soybean, orchard grass, Italian ryegrass, brome grass, barley, wheat, sorghum, corn and Hog-millet. In view of the possibility that the organic acid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excrements and components of crop root connected with soil sickness, the acid components of three species of roots were analysed by paper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Fresh Roots : Aqueous extracts of red clover: The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seedlings of the ladino clover and lespedeza and also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most crops except that of sorghum among the Graminaceae. Aqueous extracts of orchard grass: The extracts promoted the seedlings growth of red clover and soybean, while it inhibited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orchard grass. There were no noticeable effects influencing other crops while it inhibited the growth of barley and Hog-millet. Aqueous extracts of brome grass: There was no effect on Italian ryegrass but there was an inhibiting effect on the other crops. 2.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Rotting Roots : Aqueous extracts of red clover: The extracts promoted the seedling growth of red clover. But it reflected the inhibiting effects on other crops except sorghum. Aqueous extracts of orchard grass: The extracts promoted the growth of red clover, ladino clover, soybean and sorghun, while it inhibited the germination and rooting of barley and Hog-millet. Aqueous extracts of brome grass: The extracts gave the promotive effects to the growth of red clover, soybean and sorghum, but caused inhibiting effects on orchard grass, brome grass, barley and Hog-millet. 3. Effects of Aqueous Solutions of Excrements : The aqueous solution of excrements of red clover reflected the inhibition effects to the growth of Graminaceae, while the aqueous solutions of excrements of orchard grass and Italian ryegrass caused the promotive effects on the growth of red clover. 4. Results of Organic Acid Analysis : The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on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included in the roots of red clover as unvolatile organic acid, and in the orchard grass and brome grass there were included the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and malic acid. And formic acid was confirmed in the red clover, orchard grass and brome grass as volatile organic acid.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mentioned in above the effects of excrements and components of roots found in this studie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d clover generally gave a disadvantageous effect on the Graminaceae. Such trend was considered chiefly caused by the presence of many organic acids, namely oxalic, citric, tartaric, malonic, malic, succinic and formic acid. 2) The orchard grass generally gave an advantageous effect on the Leguminosae. This may be due to a few kinds of organic acid contained in the root, namely oxalic, citric, tartaric, malic and formic acid. Furthermore a certain of promotive materials for growth was noted. 3) As long as the root of brome grass are not rotten, it gave a disadvantageous effect on the Leguminosae and Graminaceae.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several unidentified volatile organic acid were also included besides the confirmed organic acid, namely oxalic, citric, tartaric, malic and formic acid. 5. Effects of Components in Roots to the Soil Sickness : 1) It was considered that the cause of alleged red clover's soil sickness did not result from the toxic components of the roots. 2) It was recognized that the toxic components of roots might be the cause of soil sickness in case the orchard grass and brome grass were put into the long-term single cropping. 6. Effects of Rooted Components to the Companion Crops in the Cropping System : a) In case of aqueous extracts of fresh roots and aqueous excrements (Inter cropping and mixed cropping) : 1) Advantageous combinations : Orchard grass->Red clover, Soybean, Italian ryegrass->Red clover, 2) Disadvantageous combinations : Red clover->Ladino clover, Lespedeza, Orchard grass, Italian ryegrass, Fescue Ky-31, Brome grass, Barley, Wheat, Corn and Hog.millet, Orchard grass->Lespedeza, Orchard grass, Barley and Hog-millet, Brome grass->Red clover, Ladino clover, Lespedeza, Soybean, Orchard grass, Brome grass, Barley, Wheat, Sorghum, Corn and Hog-millet, 3) Harmless combinations : Red clover->Red clover, Soybean and Sorghum, Orchard grass->Ladino clover, Italian ryegrass, Brome grass, Wheat, Sorghum and Corn, Brome grass->Italian ryegrass, b) In case of aquecus extracts of rotting roots(After cropping) : 1) Advantageous combinations : Red clover->Red clover and Sorghum, Orchard grass->Red clover, Ladino clover, Soybean, Sorghum, and Corn, Brome grass->Red clover, Soybean and Sorghum, 2) Disadvantageous combinations : Red clover->Lespedeza, Orchard grass, Italian ryegrass, Brome grass, Barley, Wheat, and Hog-millet Orchard grass->Barley and Hog-millet, Brome grass->Orchard grass, Brome grass, Barley and Hog-millet, 3) Harmless combinations : Red clover->Ladino clover, Soybean and Corn, Orchard grass->Lespedeza, Orchard grass, Italian ryegrass, Brome grass and Wheat Brome gass->Ladino clover, Lespedeza, Italian ryegrass and Wheat.

      • KCI등재

        답전윤환 작부체계에 따른 소득작물의 년차간 수량 및 수익성 비교

        權鍾洛,尹榮錫,李光錫,崔富述,李源植 韓國作物學會 199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8 No.4

        경지이용률 향상을 위하여 1985년부터 1992년(8년간)까지 2년 1기 작부양식으로 4기에 걸쳐 소득이 높은 작물을 공시하여 다양한 작부양식으로 작물별 년차간의 수량과 작부양식간에 수량, 조수익, 소득의 년차간 변리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년차간 수량의 변리가 큰 작물은 고추(33.5%), 마늘(26.0%), 가을배추(25.7%) 등이고 적은 작물은 오이 (9.9%), 단옥수수(10.9%), 봄감자(11.0%) 등이였으며 벼는 4.4~13.3%의 변리를 보였다. 2. 소득이 높은 작물은 가을배추(956± 132천원), 마늘(859± 220천원), 고추(696± 204천원) 등이였으며 낮은 작물은 보리(136± 33천원), 강남콩(177± 67천원), 완두(264± 57천원) 등이었다. 변리가 심한 작물은 참깨(40.9%), 단옥수수(38.1%) 등이고 적은 작물은 땅콩(13.2%), 가을배추(13.9) 등이 었다. 3. 작부양식별 소득은 때-보리조합(992± 228천원)에 비하여 토란-강남콩-벼조합(843± 102천원)을 제외한 전조합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오이-가을배추-완두-벼조합(1,887± 632천원)이 90% 증가되었고 다음은 참깨-마늘-벼조합(1,507± 357천원)이 52% 증가되었으며 년차간의 소득 변리는 12.1~33.5%의 범위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utility of paddy field in southern part of Korea. Six cropping patterns were tested 4 times with a cycle of two years from 1985 to 1992. The variation of yield, gross profit and income among years were evaluated. The variation of yield among years in red pepper, garlic and chinese cabbage was higher than that of cucumber, sweet corn and potato in tested crops. The income was higher in chinese cabbage, garlic and red pepper, and the variation of income among years was lower in peanut and chinese cabbage than that of other crops. The income in cucumber-chinese cabbage-green pea-rice pattern and sesamegarlic-rice pattern was higher than the other cropping patterns, but the variance of income among years in the cropping pattern of cucumber-chinese cabbage-green pea-rice was the highest among the tested cropping patt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