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가정 중․고교 이주청소년의 학업생활과 지원에 관한 사례 연구

        오덕열,배은주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가정 중・고교 청소년들의 학업생활 모습을 확인하여 이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필요한 교육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가정 중・고교 청소년들의 학업생활과 교육지원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 후 반복적 비교 분석을 하였고, 영역 분석 및 분류분석 이후 성분 분석을 통해 범주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들은 한국어 수준에 따라 교과 학습과 교우관계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방과후에는 관심분야 및 진로에 관한 학습을 다양하게 하였으나, 관련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다. 고등학생들은 대학 진학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인 특별전형을 위한 토픽(TOPIK) 공부에 주력하고 있었다. 방과후 활동과 다양한 경험들도 역시 대학 진학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담이나 장학금 수혜, 진학정보 입수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이주청소년에게는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불리하지 않도록’ 지원과 배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수준별・맞춤형 한국어학습 기회, 러시아어 전공 대학생 멘토링, 이중언어 역량 강화, 전문적인 심리상담 및 진로진학 상담, 사회적 포용기반 강화와 자치 및 교류 활동 지원 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from Russian and Central Asian foreign families attending general schools in Incheon City grow into healthy members of the community. To this end, they check their school life, identify various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and seek necessary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Therefore,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category was confirmed through component analysis after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big difference in subject learning and companionship according to their Korean level. After school,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field of interest and career path, but it was not easy to obtain related information.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ly focusing on TOPIK study for special admission for foreigners. After-school activities were also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in counseling, scholarship benefits,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migrant youth need support and consideration so as not to be disadvantageous regardless of their status of stay. Therefore, customized Korean language learning, mentoring of Russian college students, strengthening bilingual capabilities, professional psychological and career counseling,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support for autonomy and exchange activities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한국말의 힘과 생산성

        최봉영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이 글에서는, 사람이 말에서 힘을 얻어 재주와 슬기를 기르고 씀으로써 문화를 일구며 살아가기 때문에, 말이 달라지면 생각을 풀어내는 방식이 달라지며 말로써 재주와 슬기를 기르고 쓰는 것 또한 달라진다는 사실을 논의하였다. 한국말이 씨말에 다양한 토를 붙여 매우 다양한 마디말, 이름말, 풀이말을 만들어내고, 한국말로써 앎과 느낌뿐만 아니라 현상을 매우 촘촘하게 분석할 수 있으나, 유감스럽게도 학술말과 일상말 그리고 외국말의 어울림은 우리말이 중심이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 점에서, 오늘날 우리나라의 인문학과 이에 기반을 둔 사회과학과 교육과학이 한국인과 한국사회에 실용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한국 사람이 한국말을 잘 가꾸고 쓰면 재주와 슬기를 크게 기를 수 있는 반면, 그렇지 않으면 재주와 슬기를 기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이 한국말로써 생각을 하면, 일상 생활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학문적으로 묻고 따지고 밝히는 일에서도 뛰어난 힘을 낼 수 있다. 특히 인문학 영역에서 큰 발전을 거두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인의 말, 삶, 발달, 가르침과 배움, 학문과 사회 발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p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Korean Language because human beings live with cultivating culture through fostering their ability and wisdom by the use of language. Language is the foundation of the lives and academic activities into which thoughts run and out of which they grow. People's thoughts and perspectives can be dictated by language. Every language forces human beings to perceive different worlds. In this viewpoint, the Korean Languag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cluding English. As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its morphemes combine with its stem to represent detailed feelings and phenomena. Korean people have different ways in which phenomena are perceived and expressed that they think, act, and live. Korean is the key to create new development of our knowledge and culture. We Koreans, however, do not have paid proper attention to the capability and productivity of Korean. Especially current Korean scholars have ignored uniqu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t has reduced the productivity of Korean people. In this paper, therefore, it was explored to build a new paradigm for explaining Korean life & development, their teaching & education, their study & research, their social advancement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중종대 원점법(圓點法) 연구

        여영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1

        This study has delved into archival materials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during the Joseon Dynasty, aiming to dissect the essence and constraints of the Wonjeombeop reinforcement policy.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expanded the application of Wonjeom(圓點) from Sabuhakdang(四部學堂) and Hyanggyo(鄕校)'s Yuhag(幼學) to encompass the examination qualification criteria of Singnyeon(式年) Hyanghanseongsi(鄕漢城試), persisting until the abolition of Seodowonjeombeop(書徒圓點法) in the 32nd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1537). The application of Wonjeom(圓點) to Hyanggyo students for Singnyeon Hyanghanseongsi's qualification was unprecedented and has not recurred thereafter. At that time,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was enforced to restrict the qualifications of all levels of Gwanhak's students, effectively limiting almost all Gwageo(科擧) and Gwasi(課試)‘s qualifications. The reinforcement of the Wonjeombeop during King Jungjong's reign originated from policy considerations aimed at addressing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students. However, criticism arose for the excessive enforcement of the Wonjeombeop, which contradicted the educational ideals and beliefs of Yuhag. As local educational autonomy expanded and the availability of competent educators became feasible, both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and Seodowonjeombeop(書徒圓點法) were abolished. The introduction and subsequent abolition of the Wonjeombeop during the Joseon Dynasty underscor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the autonomy and coercion facets of academic governance amid the backdrop of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students. 본 연구는 중종대 시행되었던 유학원점법(幼學圓點法) 관련 사료들을 분석하여 원점법 강화정책의 성격과 한계를 논한 것이다. 유학원점법은 중종 11년(1516년) 원점법 적용대상을 사부학당과 향교의 유학(幼學)까지 그 대상을 확대하여 식년 향한성시 응시자격기준을 정한 규정으로서, 이를 필두로 하여 거의 중요한 모든 과거와 과시의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강화되어갔으며, 중종 32년(1537년) 서도원점법(書徒圓點法)이 폐지될 때까지 시행되었다. 유학원점법은 지방 향교 교생까지 식년 향한성시의 응시자격기준으로 원점을 적용한 것은 전례를 찾아볼 수 없으며 이후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중종대 원점법 강화정책은 중종대 학생수의 양적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원점법의 지나친 강화는 유학의 교육적 이념과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지방의 자치적 교육능력이 제고되고 우수한 교관의 자치적 수급이 가능해지면서 유학원점법과 서도원점법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유학원점법을 혼란만을 초래했던 제도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유학원점법은 중종대 재적 학생수의 증가 속에 새로운 학사관리의 필요성이라는 당시 교육문제의 현안 속에서 강구되었던 제도 중 하나이며, 지방 향교의 자치적 운영능력이 성숙해져서 그 교육현안이 해소되면 그 결을 따라 함께 사라지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제도의 진화였기 때문이다. 중종대 원점법 강화 정책의 도입과 폐지는 학생의 양적 증가와 질적 제고라는 배경 속에서 학사관리의 자율와 강제라는 두 측면의 길항관계를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시대 한국종교문화와 한국인의 가치관 연구

        최주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olerance and harmony in the traditional Korean religions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virtues of character that global citizens should build in the world of a multi-cultural community in the global era. As religion is a cultural phenomenon that people have made, religion and culture are inseparable. Within the Korean religious culture, a variety of high religions are in tune with Shamanism, which has become a folk belief, establishing a unique religious culture, and having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orean values. One feature of Korea's religious culture is a sort of religious pluralism based on which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coexist, and the other value-oriented feature embraces tolerance, passionate sentimentalism, temporal utilitarianism, harmonic syncretism and shaman faith in blessing. Tolerance is deeply related to the effect of geographical environment in Korea, and harmonic syncretism is derived from the idea of harmony in the myth of Dangun, which values communal culture. Tolerance and harmony as a unique Korean religious culture coming from Korea's specific environment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foreign countries' in that essential sentiment where the human heart brings people together. Tolerance and harmony as Korean values of religious culture have been the center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a virtue of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which is a requirement in school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community, tolerance and harmony are meaningful as ideas of world citizens' education as they embody the core principles of character building. Overcom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in a multicutural society in the global era, they are also meaningful as a family virtue with blood ties in the global village in which each member builds unity and harmony.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시대 다문화사회의 지구촌공동체에서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의 덕목으로 관용과 조화에 대해 한국전통 종교인 무교, 불교, 유교 문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 온 문화의 한 현상으로 종교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으며, 문화 창조에 영향을 미쳐온 인간의 가치관은 당대의 종교적 의식에서 깊은 영향을 받아왔다. 한국의 종교문화는 다양한 고등종교가 민간신앙화 된 무교와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며 독특한 종교 문화를 형성하였고 한국인의 가치관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한국 종교문화의 일반적 특성으로 무교, 불교, 유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조화를 이루는 종교 다원주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가치 지향적 특성으로는 포용적 관용주의, 열정적 감성주의, 현세적 공리주의, 조화적 혼합주의, 무교적 기복주의를 들 수 있다. 특히 열정적 감성주의는 한국인이 타 종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관용은 한국의 지리적 환경의 영향과 깊은 관계가 있고, 조화는 단군신화의 조화사상에서부터 드러나고 있으며 공동체문화를 중시하였다. 한국 자연환경의 영향 속에 한국종교문화의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관용과 조화는, 인간 내면의 본질적 정서가 나와 타자가 함께 융합될 수 있는 일체감이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양 및 기타의 관용과 조화의 개념과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종교문화의 가치관으로서 관용과 조화는 무교문화, 불교문화, 유교문화에서 중심 가치로 자리하고 있으며 다문화시대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차이에 따른 갈등과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덕목이 되었다. 한국의 관용과 조화는 다문화사회의 학교교육에서 요구되어지는 상호 이해와 존중을 위한 가치 덕목으로 다문화 인격교육의 핵심 원리를 구현하는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이념으로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글로벌시대 다문화공동체에서 구성원들 간 상호 화합과 조화를 이루는 지구촌 한가족 혈연공동체의 덕목으로서의 의의도 있다.

      • KCI등재후보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인격교육적 재검토: 현상학적 인간관과 그 연구방향을 중심으로

        조정호,김진한,박호근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mental in terms of Saramdaum Education (人格敎育) with being focused on phenomenological human-view and the approach direc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existing main human-views like as Behaviorism, Cognitivism,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have looked upon the human perception of physical facto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lthough some differences are apparent. However Saramdaum including moral character is able to be developed in enduring and forbearing the perceived physical factors. Accordingly, in this paper, considering that contemporary social science is based upon de-industrialization and/or post-modernism human-views, it was explained that Saramdaum Education can be advanced by phenomenological human-view, and also was suggested the tips and comments for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Saramdaum and its education. 이 글은 광복 이후 우리나라 학교의 인격교육이 일정부분 실패해온 주된 원인이 인간관의 편향에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몸과 마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 교육계의 인간관을 검토하는 것을 통하여, 인격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인간관과 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먼저, 광복 이후 우리 학계에서 몸과 마음의 관계를 설명해온 주요 이론인 행동주의, 인지주의, 정신분석학, 분석심리학 등의 한계를 인격교육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어서, 이들 인간관을 보완하는 접근으로서 현상학적 인간관을 몸과 마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행동주의, 인지주의, 정신분석학, 분석심리학은 몸의 지각을 독립변수로 간주해온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 관점에서는 인격의 형성과 발달이 몸으로 지각되는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는 관점을 견지하여 왔다. 그렇지만 인격은 지각되는 욕망을 절제하고 승화시키는 것으로부터 보다 높게 발달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의 지각을 독립변수로 보는 인간관의 한계를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사람과 마음을 독립변수로 보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인격교육의 발전과 연구방향을 정립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상학의 관점에서 인격교육의 이론이 발전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현대 사회과학이 탈산업주의 인간관 내지 포스트모더니즘 인간관을 중시하는 점을 반영하여 몸과 마음의 관계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해내는 인간관에 근거한 인격교육과 그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COVID-19 이후 달라진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

        한송이,조성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what students have experienced since COVID-19 was discovered. This study focuses on the voices of students to investigate how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completely different college life through COVID-19 are aware of the chang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students in third year and fourth year of S University in Seoul. These students have fully experienced college life before COVID-19 emerged and can provide copious information on their changed experiences. The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college life in terms of 1) learning, 2)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lifestyle, and 4) perception of university. Due to COVID-19, students were prevented from having an enriched college experience, and they re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campuses that were places where they could experience a variety of learning encount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mmunity suppor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effects of COVID-19 on students.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 따라 달라진 대학생활 과정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COVID-19를 통해 이전과 전혀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한 학생들이 변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학생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S 대학의 3-4학년 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COVID-19 이전의 대학생활을 충분히 경험한 학생들로, 변화된 경험에 대해 심층적 정보 전달이 가능한 학생들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학습, 인간관계, 생활태도, 학교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대학생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COVID-19는 이전에 할 수 있었던 것을 하지 못하게 된 결핍의 시기였으며, 대학과 캠퍼스라는 공간은 학습 그 이상의 다양한 경험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공동체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아실현 함양을 위한 융복합 교육 실천 사례: 성찰저널 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박숙희 한국인격교육학회 2014 인격교육 Vol.8 No.3

        On the great premise that human life is a convergent product of theses dealt in every academic discipline and ultimate aim of their life lies in self-actualization, guding undergraduates to the meaning and method of a self-actualized life is an important duty of higher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introducing practical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guiding undergraduates' self-actualization by a domestic college and exploring educational effects of instruction & learning methods called reflective journal writing. So, this research presented a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self-actualiz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and analyzed educational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applied as an instruction & learning method for guiding self-actualization. In conclusi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may be an adequate method for guiding undergraduates to self-actualization. Finally,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a direction of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인간의 삶은 존재하는 모든 학문 영역에서 다루는 논제들의 융복합적 산물이며,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 자아실현에 있다는 대 전제 하에서 대학생에게 자아실현적 삶의 의미와 방법을 안내하는 것은 고등교육의 중요한 책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실현 함양을 위해 국내의 한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융복합 교육의 실천 사례를 소개하고 성찰저널 쓰기라는 주요 교수학습 방법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아실현과 융복합 교육에 대해 개념화를 바탕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제시하였고, 자아실현 함양을 위한 하나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한 ‘성찰저널 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찰저널 쓰기는 대학생의 자아실현 함양의 길을 안내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성향과 그릿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또래 요인의 조절 역할

        임효진,김명섭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study examines how creative disposition relates to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perseverance of effort), and how parents, teachers, and peer-related variables moderate this relationship using data from the 4th year (2021)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 total of 2,265 high school freshmen and their parents/guardian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 analyze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various modera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rolling for parents'/guardians' creative disposition and grit, students’ creative disposition significantly predicted consistency of interest negatively. Second, parenting attitude, 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severance of effort while teacher relation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sistency of interest. Third,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had a moderat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disposition and perseverance of effort. As a result of simple slope analysis, when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was higher than Mean+1SD, the higher the creative disposition, the higher the perseverance of effort. However, when the peer relationship was lower than Mean-1SD, the higher the creative disposition, the higher the perseverance of effor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dispos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varies depending on the sub-factor of grit.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fic conditions of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are required for creative disposition to lead to grit.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중1패널 4차년도(2021년) 자료를 분석하여 창의적 성향이 그릿(흥미유지, 노력지속)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부모, 교사, 또래 관련 변인들이 이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총 2,265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과 이들의 보호자가 응답한 자료를 다중조절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성향은 그릿의 하위요인 중 흥미유지를 부적으로 예측했다. 둘째, 흥미유지는 교사관계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고, 노력지속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관계, 또래관계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셋째, 창의적 성향과 노력지속은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 의해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단순 기울기 분석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평균보다 1표준편차 높을 때에, 또래관계가 평균보다 1표준편차 낮을 때에 창의적 성향이 높을수록 노력지속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그릿의 하위요인에 따라 창의적 성향과 환경 요인 간의 관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창의적 성향이 그릿으로 이어지기 위해 필요한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조건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습 장학의 개념 탐색

        정수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new paradigm of supervision suitable for the era in which the initiative of learners is emphasized by suggesting the meaning, necessity, and procedures of learning supervision in contrast with existing supervision as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First, focusing on the fact that supervision is guidance and advice fo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upervision by distinguishing learning-centered supervision from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and comparing learning supervision with learning consulting. Subsequently, the necessity of learning supervision is presented in terms of restoring the nature of supervision,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according to changing conditions, and relieving the excessive responsibility of teachers. The types and principles of learning supervision are exemplified and the example of the process of learning supervision present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settlement of learning supervision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장학이 교수 중심 장학이라고 보고 그와 대비되는 학습 장학의 의미와 필요성, 절차 등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적합한 장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우선, 장학이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지도․조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교수 중심 장학과 학습 장학을 구분하고 학습 장학과 학습 컨설팅을 비교하여 학습 장학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어서 학습 장학의 필요성을 장학의 본질 회복, 여건 변화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교사의 과도한 책임 완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학습 장학의 유형과 원리, 절차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장학의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활 쏘는 조선시대 문신: 문신삭시사(文臣朔試射) 제도 연구

        이연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archery test policy for literati offici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its distinctive featur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policy's implementation, regulatory framework, and historical documentation, this study seeks to unravel the policy's distinctive feature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literati officials. The policy mandated a monthly evaluation of officials' archery skills, with rewards like promotions or horses for top performers, while non-participation could lead to penalties, including the potential loss of one's official position. This prompts questions about the rationale behind this practice and the role of archery in literati education. The art of archery, one of the "six arts" (六藝), was a foundational component of self-cultivation in ancient China. The Joseon Dynasty adopted archery as a means to shape literati officials' character. Cultivation and introspection were prized qualities for competent leaders, and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is policy to translate such ideals into practical action. Notably, the monarch's personal involvement in overseeing the tests, a practice known as "Chinlim" (親臨), underscored its significance. The policy aimed at realizing Neo-Confucian ideals where self-cultivation was crucial for governance. Despite its central role in the Joseon Dynasty's education system, the policy's distinct traits and educational importance remain underexplored. This study fills this gap by shedding light on the less-discussed aspects of the bureaucratic re-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 archery test's role in shaping literati officials' development within the Joseon Dynasty's bureaucracy. The investigation of this historical policy can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at influenced the literati officials’ education and the bureaucratic structure of the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현직 문신을 대상으로 한 삭시사(朔試射) 제도 규정과 시행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제도의 규정집 및 법전과 실제 운영사항이 기재된 조선왕조실록 , 승정원일기 , 일성록 등의 관찬사료를 중심으로 세부운영 양상을 살펴보았다. 삭시사 제도는 관료를 대상으로 매 삭(朔)마다 활쏘기를 평가하여 그 누적된 점수에 따라 포상이나 처벌을 시행하는 제도이다. 활쏘기는 본래 무과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기 종목으로서 무신의 주요 무예능력 중 하나로 중시되었다. 무신으로 선발된 이후에도 재교육적 차원에서 계속적으로 활쏘기 능력을 평가받아야 했다. 그런데, 삭시사 제도의 대상은 무신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었다. 현직 정3품 미만의 문신 또한 삭시사 제도에 참여해야 했다. 또한, 국왕이 삭시사 제도에 직접 참석하는 친림(親臨)의 방식으로 문신들의 활쏘기 능력을 평가하기도 했다. 문신에게 활쏘기 능력을 주기적으로 평가한 이유는 무엇이며, 그 의미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문신삭시사 제도는 문신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활쏘기 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측면에서 조선시대 문신재교육을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가 될 수 있다. 그 중요성에 비해, 문신삭시사 제도에 대해 논의된 바는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질문을 중심으로 우선 해당 제도의 대상, 운영방식, 결과처리 방식 등 운영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문신재교육의 내용과 방식을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문신삭시사 제도의 대상은 전경문신(專經文臣), 제술문신(製述文臣) 등의 경전 이해 및 제술과 관련된 문신재교육 제도의 대상자를 포함하였으며 정조대에는 초계문신(抄啟文臣)도 포함되었다. 해당 당하관 문신은 매달 국왕이 주재하는 시사(試射)에 참석하여야 했고 결과에 따라 포상 및 처벌이 주어졌다. 포상으로는 누적성적에 따라 승진 등의 혜택을, 불참자에게는 그 사유를 묻고 벌이 내려지는 추고(推考)나 파직(罷職)과 같은 처벌이 내려졌다. 규정상으로는 여타의 문신재교육 제도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문신삭시사 제도의 교육적 의미는 육예(六藝)의 하나로써 활쏘기의 수신(修身)적 의미와 조선시대 관료재교육 방식과 관련하여 논의해 볼 수 있다. 활쏘기는 몸과 마음을 단련하기 위해 중국 고대부터 육예 중의 하나로 가르쳐졌다. 조선은 이러한 수신의 의미를 가지는 활쏘기를 문신들에게 정기적으로 시험하였고, 이를 제도화하였다. 이는 유가의 수기(修己)-치인(治人)의 이상을 제도화한 조선시대 관료재교육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