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도경,박선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practi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through the mediation of professional ethics. For data collection, survey questions were answered by 346 childcare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which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verification.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teaching ethics,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Ethical awareness regarding young children (a sub-factor of professional ethics) had the greatest effect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showed that teaching ethic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an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practice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어린이집 보육교사 34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 Bootstrapping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직윤리의식의 하위요인 중 영유아에 대한 윤리의식 요인이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교직윤리의식은 사회적 지지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반면, 정서지능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을 증진하고,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유아 환경지표 개발: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박태순,김승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4

        The study aims to develop environmental indicator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in a community. The researchers developed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young children including 5 areas and 69 questions. The process involved six steps, which included a survey on the importance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young children. A total of 500 carers with young childr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young children reflect the current level and reality of community caring environments. This stud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ed by experts with a focus on consumers, a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nvironmental indicator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ource of basic data for policy targeting young children as it considers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you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a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영유아에 적합한 환경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양육자 500명을 대상으로 증요도와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는 등 6 단계 절차에 따라 5개 영역, 69개 문항으로 구성된 영유아 환경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현재지역사회 양육환경의 수준과 실태가 영유아 환경지표에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수요자 중심으로 영유아 환경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본 연구는 전문가 중심으로 개발된 아동 관련환경지표의 한계를 극복한다. 또한, 아동 관련 환경지표 대부분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개발되어 영유아기 발달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영유아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 요인을 진단하는 영유아 환경지표를 개발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유아 정책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있다.

      • KCI등재후보

        영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준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 모색 -­영유아교사의 덕목에 관한 현직교사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이병래,강정원,김진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1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plore, suggest and to lay out a frame for the standard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 in pre-service institutes. The following points a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virtues do present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 How are the virtues accomplished by pre-service education of the present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system of curriculia is run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how will the standard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 organized?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an efficient and substantial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curriculum must encourage and nurture the character, beliefs, and dispos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pre-service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children. Fourth, the curriculum must be incorporated with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the n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 예비교사교육과정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들은 어떤 것을 영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직교사들은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그러한 덕목들이 어느 정도 다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영유아양성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교사양성을 기본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첫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육과정을 보다 충실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사로서의 인간적 자질과 교직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소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충실하게 모색해야 한다. 셋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육대상영유아의 연령별 특성에 충실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넷째, 영유아교사양성 기본교육과정을 국가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모색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조경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romising research insights related to young children’s lives during COVID-19 as well as to infection diseases preven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To this end, a total of 129 journal papers and thes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published between March 2020 and February 2022 were collected and investigated via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 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VID-19’ was the most frequent keyword in this field of research, and ‘distance learning’,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frequently represented in the journal papers and thes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the three terms, ‘COVID-19’, ‘distance learning’,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cluded among the top keyword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go network focused on ‘COVID-19’, ‘distance learning’,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VID-19’ showed high-level weight connections between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stance learning’. ‘Distance learning’ showed high-level weight connections between ‘COVID-19’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inally,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level weight connections between ‘COVID-19’ and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related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aspects as well as to their parents,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uring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될 코로나19와 영유아의 삶에 대한 연구주제와 추후 감염병 발생 시 효과적인 관리 대처방안을 위한 연구주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발간된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총 129편을 살펴보고, UCINET 6를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키워드의 빈도는 ‘코로나19’가 가장 높았으며, ‘원격수업’, ‘현직영유아교사’, ‘예비유아교사’ 등도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을 살펴본 결과 주요 키워드는 ‘코로나19’, ‘원격수업’, ‘현직영유아교사’였다. 셋째, 대표 키워드 ‘코로나19’, ‘원격수업’, ‘현직영유아교사’ 를 중심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코로나19’는 ‘현직영유아교사’와 ‘원격수업’ 간의 연결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원격수업’은 ‘코로나19’, ‘예비유아교사’ 간의 연결강도가높게 나타났고, ‘현직영유아교사’는 ‘코로나19’와 ‘원격수업’ 간의 연결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의 교육 및 보육과 코로나19 관련 연구의 범위를 확대 및 심화하여영유아의 발달 및 심리적 측면과 부모, 교사, 교육기관 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는바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영유아 교원양성대학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홍혜경,지성애,김영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curricula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expectations for high­quality professional preparation from teacher educators and practitioner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 courses offered by six 2­year­colleges, six 3­year­colleges, and seven 4­year univers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One hundred and twenty principals and 13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Kwangju were surveyed and two teacher educators from 2­year­colleges, three from 3­year­colleges, and two from 4­year­universities were interviewed to determine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prepa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icula of 2­year­college programs offered more practical course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and fewer courses for general knowledge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rt etc. than a 4­year­university. The teacher educators and practitioners thought that more courses and well­supervised field experiences for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should be includ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The following alternatives are suggested; 2­and 3­year­colleges need to offer more courses for general knowledge in art, humanities, social studies and for theoretical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year­universities need to offer more field experiences in practical knowledge; all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more courses in theoretical knowledge and field experiences for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는 영유아 교원양성 대학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보육시설과 유치원의 원장 및 교사, 양성대학 교수들의 요구를 시사하고, 이를 기초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2, 3년제 대학의 교양 및 일반선택 교과의 비중이 낮았으며,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방법이 영역에 더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의 요구로는 영유아교사 모두 유아교육과 출신을 선호하였으며, 현장 경험과 실습교과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특히 영아교사인 경우 영아 대상 어린이집의 실습이 적절하다는 지적이었다. 이들 요구를 수렴한 대안의 제시가 추후 영유아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유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관점 비교

        임유경,채영란,임성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tratified sampling was performed for the childcare center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by the types of center, and then a total of 1,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parents using the selected childcare centers and 1,031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the whol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ables is 5.08 to 6.13. The parent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is very important, recognized parental duties and rated play value high.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od of stay in whol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제반변인에 따른 영유아 발달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S시와 G시의 보육시설 54개소, 그리고 C도의 농어촌 지역의 보육시설 45개소의 1,03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어머니의 제변인에 따른 영유아 발달 관점은 7 평정 중 5.08에서 6.13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이 영유아 발달을 중요하게 여기며 영유아 발달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인정하고 놀이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제반변인에 따라 영유아 발달에 대한 관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발달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김호현,장희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is study adopted mixed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ambiguous' in survey asking if suggested items were related with rights viol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quantitative phase, 278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o derive 7 types of rights violation. During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uld not determine some items as violating rights or not. 10 items that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s ’ambiguous’ with highest frequency were selected for interview topics to figure out why. In the qualitative phase, 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responded the survey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iscussed the ambiguity of the selected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roup features' the most ambiguous, and 'heteronomous features' and 'negligent features' the next. Second, the reasons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ambiguous on the survey items selected are thematized as 'considering both sides', 'conflict between regulation and exception', 'assumption of situations', 'no way out', and 'misunderstanding the items.' The results imply that rights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include standards for rights selection, democracy education, dilemma discussion based on practical situations, and ways for teacher to judge situations. 영유아들의 권리 보장을 위해 교사들의 윤리적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권리침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따라서 영유아 교사들의 권리인식을 살펴보는 일뿐만 아니라 판단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 권리침해 정도를 양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교사들이 특정상황에 대해 권리침해 여부가 모호하다고 평정한 이유를 질적 면담을 통해 밝힌 혼합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양적 연구단계에서 278명의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권리침해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뒤 7개의 권리침해 범주유형 80개 문항별로 모호하게 인식한 빈도와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 중 가장 모호하게 인식하는 문항을 선별하여 질적 연구 단계에서설문에 참여한 영유아 교사 7인과의 포커스그룹 면담(FGI)을 통해 그 이유를 밝혔다. 연구결과 첫째, 양적 연구 결과 영유아 교사는 '집단성' 범주유형의 영유아 권리침해를 가장 모호하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타율성’ 및 ‘방임성’ 범주유형을 모호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 영유아 교사가 영유아 권리침해 여부를 모호하다고 인식한 근거는 ‘양단의 입장 고려’, ‘규칙과 예외 사이의 갈등’, ‘상황의 가정’, ‘사면초가’, ‘문항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연구는 영유아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권리침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판단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권리 실제는 딜레마적 측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교사권리교육에함의를 줄 수 있다.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이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정진(Park, Jeong-Jin),장유진(Jang, Yu-Ji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5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격 5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과 경기, 서울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링크를 전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 중 친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신경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 5요인 중 신경증을 제외한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놀이교수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 각각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사의 성격 5요인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부분매개 혹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성격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 친화성과 성실성이 높은 교사의 선발,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play-teaching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in addition to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 survey withof 308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Big Five traits of preschool teachers, agreeablenes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openness, and neuroticism. Second,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excluding neuroticism, represented an overall static correlation with play-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each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f preschool teache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teaching efficacy was shown to partially or fully mediat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to understand their personality traits, to select preschool teachers with high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the importance of play-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관한 인식 연구

        황보영란(Young Ran Hwangbo)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원이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인식이 교원의 경력, 학력, 근무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아 유치원 교원의 신분보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소재의 유치원 교원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대한 인식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의무위반이 징계사유가 된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구체적인 징계의 종류나 요건 및 절차, 그리고 징계시효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징계처분에 대한 구제 절차에 대한 인식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징계 및 법적 구제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은 4~6년의 경력을 가진 교원의 인식이 낮았고, 1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원의 인식이 높았다. 셋째, 징계 및 법적 구제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은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마지막으로 징계 및 법적 구제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은 국·공립유치원 교원이 사립유치원 교원보다 높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well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e teacher`s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for disciplinary action. It further characterizes their recogni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recognition based on their work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s, and establishment type of kindergarten. Through the study, it aims to provide ways to guarantee kindergarten teachers` status in their institution. The study was based on 240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the Busan and Kyung Nam area. The study found the three following point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eacher`s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for disciplinary action is actually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Kindergarten teachers are highly aware that breach of duty can be a cause for disciplinary action. However, they do not fully recognize specific disciplinary type, disciplinary requirement, disciplinary procedure, and disciplinary prescription. Also,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disciplinary procedure is relatively low as well.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with four to six years of work experience do not recognize the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of the disciplinary action as well as others. Meanwhile ones with eleven or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recognize the most among all.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of the disciplinary action is relatively high for teachers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s. Lastly, teachers who work at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are more aware of the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of the disciplinary action than teachers who work at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후보

        영유아 교원의 지위현황과 과제

        조형숙,박찬옥,김정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i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in our society and explore solutions for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in society is determined by their position in laws, wage, and work environment such as maternal leave, in-service training, working hours. In order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and economic status in society, laws and regulations that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ized. The profi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ge and work environment was explored by analyzing two main research literature.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providers' professional status are not clearly stated and applied in laws and in reality. Their work environment are much poorer than elementary teachers. Therefore, teachers turnover is very high and it is very harmful for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hat public fund should be provided for reform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Further research that investigate social and economical effect of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본 연구는 영유아교원의 지위현황을 법적,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법적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신분, 근무조건, 복지 등에 관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는 관련법 조항을 분석하였으며, 지위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이루어진 영유아교원의 근무실태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원의 법적 지위는 교원으로서의 신분과 권리가 다른 교사들에 비해 명확하게 보장되어 있지 않았으며, 근무실태에 비추어볼때,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유아교원관련 특별법 제정등의 법률적 대안제시와 영유아교육관련 정책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