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조유진,이기쁨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5 유아교육학논집 Vol.29 No.3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2024년8월 30일~9월 13일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는 모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공감능력이 직무만족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특히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공감이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였고, 직무만족도 요인 중에서는 사회적 인정과 원장․동료 관계가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공감능력과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직무만족도가 추가되어도 공감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계속 미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공감능력 강화하고, 직무환경 개선을 통한 중재 전략이 필요함을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athy abili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4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in Gyeonggi-do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3, 2024.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empathy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empathy ability showe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than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ability, cognitive empathy showe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and among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ocial recognition and the director-pe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mpathy abi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indicates that even when job satisfaction is included, empathy continues to have a direct impa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an intervention strategy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improve the job environment.
영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준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 모색 -영유아교사의 덕목에 관한 현직교사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이병래,강정원,김진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1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explore, suggest and to lay out a frame for the standard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 in pre-service institutes. The following points ar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virtues do present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 How are the virtues accomplished by pre-service education of the present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system of curriculia is run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how will the standard curriculu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 organized?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an efficient and substantial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facilitate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curriculum must encourage and nurture the character, beliefs, and disposi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pre-service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 curriculum must be design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the children. Fourth, the curriculum must be incorporated with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the nation.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 예비교사교육과정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들은 어떤 것을 영유아교사의 바람직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직교사들은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그러한 덕목들이 어느 정도 다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영유아양성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교사양성을 기본교육과정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첫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육과정을 보다 충실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사로서의 인간적 자질과 교직에 대한 신념 및 태도 소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충실하게 모색해야 한다. 셋째, 영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에서는 교육대상영유아의 연령별 특성에 충실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넷째, 영유아교사양성 기본교육과정을 국가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모색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박태순,김승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4
The study aims to develop environmental indicators suitable for young children in a community. The researchers developed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young children including 5 areas and 69 questions. The process involved six steps, which included a survey on the importance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young children. A total of 500 carers with young childr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young children reflect the current level and reality of community caring environments. This stud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nvironmental indicators developed by experts with a focus on consumers, a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nvironmental indicator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ource of basic data for policy targeting young children as it considers divers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young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in a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영유아에 적합한 환경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양육자 500명을 대상으로 증요도와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는 등 6 단계 절차에 따라 5개 영역, 69개 문항으로 구성된 영유아 환경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는 현재지역사회 양육환경의 수준과 실태가 영유아 환경지표에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수요자 중심으로 영유아 환경지표를 개발함으로써 본 연구는 전문가 중심으로 개발된 아동 관련환경지표의 한계를 극복한다. 또한, 아동 관련 환경지표 대부분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개발되어 영유아기 발달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영유아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 요인을 진단하는 영유아 환경지표를 개발함으로써 효과적인 영유아 정책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있다.
장지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5 유아교육학논집 Vol.29 No.2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실습한 예비영유아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지원 요구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S시의 S대학교에 재학 중인 8명의 예비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2023년 12월 21일에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은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영유아교사는 통합학급에서 실습을 시작하기 전 기대와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 둘째, 예비영유아교사는 통합학급 실습 중 긍정적 경험, 실습생으로서 어려웠던 경험, 통합상황에 대해 아쉬웠던 상황을 경험하였다. 셋째, 예비영유아교사는 통합학급에서 실습하면서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영유아교사는 향후통합학급을 이끌기 위해 여러 역량이 필요함을 인식하였고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변화를 요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영유아교사의 통합학급 실습을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교육과정 개선, 유아교육과와 유아특수교육과의 협력 체제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통합학급을 운영하게 될 미래 영유아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d in inclusive classrooms, and to identify the needs for support.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December 21, 2023, with eigh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at S University in S City. The interview conten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both anticipations and fears before starting practicum in the inclusive classroom. Seco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experiences, difficult experiences as trainees, and disappointing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inclusive setting during their practicum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ir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while practicing in the inclusive classroom. Finall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various competencies were required to lead an inclusive classroom in the future and demanded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system to strength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s in inclusive classrooms,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foster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to support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ill operate inclusive classrooms.
조형숙,박찬옥,김정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fi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in our society and explore solutions for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in society is determined by their position in laws, wage, and work environment such as maternal leave, in-service training, working hours. In order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and economic status in society, laws and regulations that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ized. The profi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ge and work environment was explored by analyzing two main research literature.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providers' professional status are not clearly stated and applied in laws and in reality. Their work environment are much poorer than elementary teachers. Therefore, teachers turnover is very high and it is very harmful for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hat public fund should be provided for reform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Further research that investigate social and economical effect of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본 연구는 영유아교원의 지위현황을 법적,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법적 지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신분, 근무조건, 복지 등에 관한 규정을 제시하고 있는 관련법 조항을 분석하였으며, 지위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이루어진 영유아교원의 근무실태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원의 법적 지위는 교원으로서의 신분과 권리가 다른 교사들에 비해 명확하게 보장되어 있지 않았으며, 근무실태에 비추어볼때,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유아교원관련 특별법 제정등의 법률적 대안제시와 영유아교육관련 정책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이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정진(Park, Jeong-Jin),장유진(Jang, Yu-Ji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5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격 5요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과 경기, 서울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링크를 전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 중 친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신경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 5요인 중 신경증을 제외한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놀이교수효능감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성격 5요인 각각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으며, 놀이교수효능감은 교사의 성격 5요인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부분매개 혹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성격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필요성, 친화성과 성실성이 높은 교사의 선발, 놀이교수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play-teaching efficacy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in addition to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 survey withof 308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Big Five traits of preschool teachers, agreeablenes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openness, and neuroticism. Second,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excluding neuroticism, represented an overall static correlation with play-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each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of preschool teache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lay-teaching efficacy was shown to partially or fully mediat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to understand their personality traits, to select preschool teachers with high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the importance of play-teaching efficacy.
영유아교사의 영유아 권리침해 인식의 모호성과 그 근거에 관한 혼합연구
김호현,장희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is study adopted mixed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ambiguous' in survey asking if suggested items were related with rights viol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quantitative phase, 278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survey to derive 7 types of rights violation. During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uld not determine some items as violating rights or not. 10 items that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s ’ambiguous’ with highest frequency were selected for interview topics to figure out why. In the qualitative phase, 7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responded the survey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and discussed the ambiguity of the selected it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roup features' the most ambiguous, and 'heteronomous features' and 'negligent features' the next. Second, the reasons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ambiguous on the survey items selected are thematized as 'considering both sides', 'conflict between regulation and exception', 'assumption of situations', 'no way out', and 'misunderstanding the items.' The results imply that rights education for teachers should include standards for rights selection, democracy education, dilemma discussion based on practical situations, and ways for teacher to judge situations. 영유아들의 권리 보장을 위해 교사들의 윤리적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권리침해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따라서 영유아 교사들의 권리인식을 살펴보는 일뿐만 아니라 판단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 권리침해 정도를 양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교사들이 특정상황에 대해 권리침해 여부가 모호하다고 평정한 이유를 질적 면담을 통해 밝힌 혼합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양적 연구단계에서 278명의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권리침해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뒤 7개의 권리침해 범주유형 80개 문항별로 모호하게 인식한 빈도와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 중 가장 모호하게 인식하는 문항을 선별하여 질적 연구 단계에서설문에 참여한 영유아 교사 7인과의 포커스그룹 면담(FGI)을 통해 그 이유를 밝혔다. 연구결과 첫째, 양적 연구 결과 영유아 교사는 '집단성' 범주유형의 영유아 권리침해를 가장 모호하게 인식하였고, 다음으로 ‘타율성’ 및 ‘방임성’ 범주유형을 모호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 영유아 교사가 영유아 권리침해 여부를 모호하다고 인식한 근거는 ‘양단의 입장 고려’, ‘규칙과 예외 사이의 갈등’, ‘상황의 가정’, ‘사면초가’, ‘문항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연구는 영유아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권리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권리침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판단이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권리 실제는 딜레마적 측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교사권리교육에함의를 줄 수 있다.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 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경험과 변화 탐색
마은희(Ma, Eun-Hee),허계형(Heo, Kay-Hy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 병행 자기 점검 체크리스트의 활용 경험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력 1년 미만의 초임 영유아교사 5명이며, 총 9주 동안 18회기에 걸쳐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자기점검과 3차에 걸친 동료장학을 병행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동료장학에서의 초임 영유아교사의 발언, 장학 종료 후 초점집단면담, 초임 영유아교사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이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영유아교사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 경험은 ‘일단 해보기’, ‘실제 활용하기’, ‘내 것으로 만들기’의 단계적 변화가 있었으며, 동료장학 병행이 이런 변화에 중요한 기여하였다. 둘째, 초임 영유아교사의 동료장학 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활용을 통해 영유아-교사 관계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하여 긍정적 대처와 예방을 위한 노력이라는 변화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임 영유아교사의 영유아-교사 관계 증진을 위한 동료장학병행 자기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장학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on the experience and the change of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by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on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Participants were five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of a Children’s Hous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tudy was consisted in 18 sessions of using the self-monitoring checklist and 3 times of peer coaching sessions for 9 weeks period. Self-monitoring checklists results, focus group interview materials, and peer coaching discussion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stage of ‘encountering’, ‘familiarization’, and ‘generalization’ was revealed among the participants. In particular, peer coaching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e change.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encouraged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kills of dealing with challenging behaviors. Practical strategies using self monitoring checklist with peer coaching were suggested for promoti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beginning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itionally discussed.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도경,박선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practi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through the mediation of professional ethics. For data collection, survey questions were answered by 346 childcare teachers at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which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verification.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teaching ethics,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Ethical awareness regarding young children (a sub-factor of professional ethics) had the greatest effect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showed that teaching ethic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practice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and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practice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관계를 분석하고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어린이집 보육교사 34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 Bootstrapping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직윤리의식의 하위요인 중 영유아에 대한 윤리의식 요인이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교직윤리의식은 사회적 지지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반면, 정서지능이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 교직윤리의식을 증진하고,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임유경,채영란,임성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tratified sampling was performed for the childcare center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by the types of center, and then a total of 1,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parents using the selected childcare centers and 1,031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the whol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ables is 5.08 to 6.13. The parent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is very important, recognized parental duties and rated play value high.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od of stay in whol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제반변인에 따른 영유아 발달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S시와 G시의 보육시설 54개소, 그리고 C도의 농어촌 지역의 보육시설 45개소의 1,03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어머니의 제변인에 따른 영유아 발달 관점은 7 평정 중 5.08에서 6.13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이 영유아 발달을 중요하게 여기며 영유아 발달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인정하고 놀이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제반변인에 따라 영유아 발달에 대한 관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발달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