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동향

        최수영 ( Suyoung Choi ),홍예주 ( Yeju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차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KCI 등재지 이상 2012년부터 2021년 7월 20일까지 발표된 연구물 총 12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연도별 동향에서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는 2020, 2016, 2013년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 2015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10편 이상씩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제학술지별 동향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 총 120편이 총 32개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한국무용과 학회지에 가장 많이 게제 되었고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무용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등에 관련 연구물들이 게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련 연구가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어 무용의 입지를 넓혀가면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에서는 여성노인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병이 있는 노인 대상의 연구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 필요성과 함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 유형별 동향에서는 한국무용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현대무용은 가장 적게 연구되었으나 댄스스포츠, 라인댄스, 생활무용 등 한국무용외 다양한 무용들이 성공적인 노화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현재 관련 연구에서 생활무용, 건강무용, 실용무용, 사회무용 등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무용들이 제시되고 있어 차후 무용 유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에서는 성공적 노화와 무용관련 연구가 자연과학분야와 인문사회 분야별로 균형감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어 수치화에 의한 결과 제시로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차후 개인차가 많은 노인을 이해하고 노화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 total of 120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July 20, 2021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study year, the papers on successful aging and dance were published the most in year 2020, 2016, and 2013. And more than 10 papers have been released every year consistently except in 2012 and 2015. Total 120 papers were published in 32 journa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has published the most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with 18 papers, and The Korean Journal of Danc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Dance and The Contents association Review also hav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raw changes while expanding the base of dance by publishing related studies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Secon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subject,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female was the highest with 54 papers, and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male was the lowest with 3 pap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24 papers on the elderly with the diseas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ale elderly subjects and a phenomenon of the changing times reflected in studies. In terms of trends by dance type, Korean danc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 papers and modern dance was studied the least with 2 papers. However, 16 papers about dance sports, 15 papers about line dance and 19 papers about life dance were studied, showing that various dances other than Korean dance were being studied actively in papers about successful aging. Recently, dances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life dance, health dance, practical dance and social dance are being suggested in recent related research,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dance of future. Thir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field, successful aging and dance related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between natural science field and humanities and social field, suggesting that 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a balanced way. In terms of trends by stud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conducted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indicating the tendenc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y presenting the results by quantification. It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elderly with many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analyze aging information in depth,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more continuousl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무용연구’의 연구경향 분석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지난 40년간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문적인 성취를 밝히기 위하여 분석적 시각에서 학술지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무용학회의 현황과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연구재단에서는 학회의 통합을 요구하고 있으나 무용전문학회는 소폭 증가되었다. 둘째, 과거 한국무용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은 여름무용학교와 같은 교육활동의 주제와 같은 맥락으로 개최되었다. 셋째, ‘한국무용연구’ 학술지에서는 ‘춤’보다 ‘무용’이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2010년 이전에는 가면극에 나타나는 무용의 놀이성 연구가, 2010년 이후에는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체 학술지의 연구주제는 무용교육 분야에서도 ‘공연 문화로서의 무용예술 교육’, ‘한국무용 교육의 특성’, ‘무용예술 교육의 구조와 발전(개선) 방안’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from the analytic viewpoi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for the last 40 years. To address the goal,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tatus of dance societies and the status of academic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and also applied text mining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alth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emands the integration of societies, societies specialized in dance have increased slightly. Second, the activities previously done by the Society of Dance Studies were held within the context like the top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r instance, the summer dance school. Third, journal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orean Dance’ tend to use the term, ‘dance’, more than ‘chum’ academically. Fourth, before 2010, research on the playfulness of dance found in the masque was often carried out whereas after 2010, research on dance targeting those majoring in dance was frequently done. Fifth, concerning the research topics of entire journals, in the area of dance education, too, they have been classified into ‘education on dance art as performing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education’, and ‘the structure and plans of development(enhancement) for dance art education’.

      • KCI등재

        껍데기와 알맹이: 교육내용으로서 한국무용정신의 구성요소 탐색

        최의창,박혜연,신주경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6 No.-

        최근 한국무용 교육의 본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무용을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이 기능적 차원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 많이 지적되었다. 무용교육이 진정한예술교육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술위주의 동작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예술교육으로서 한국무용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교육의 핵심적 교육내용으로서 무용정신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여 명성적 사례표본 추출방법으로 한국무용과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경험, 안목을 갖춘 주참여자 8인을 선정하였다. 주참여자들의 의견을 분석한결과, 한국무용 교수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가르쳐야할 내용으로서의 정신은 신체적 차원, 인지적차원, 감성적 차원, 영성적 차원으로 나뉜다. 첫째, 한국무용정신의 신체적 차원은 총체적 성질의 신체와 자연스러운 호흡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작의 원리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차원이다. 둘째, 한국무용정신의 인지적 차원은 한국무용을 둘러싼 철학, 역사, 예술 등의 문화적인 요소들에 대한 통찰의 차원을 뜻한다. 셋째, 한국무용정신의 감성적 차원은 무용 동작이나 음악에 내재된 한, 흥, 절제 등의 다양한 감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탐구하는 차원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무용정신의 영성적 차원은 무용을 통한 신명, 황홀경, 무아지경 등의 경지를 체험하고, 이를 제대로 하기 위한 예도 등의 마음가짐을 갖는 차원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용정신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학습되어지고 가르쳐지는지를 상세히 탐구하는 연구와 무용정신을 올바로 가르치는 교수방법과 통합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re is rising interest about the core of Korean Dance Education. Many people have point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re focused on the technical. We have to get out of movement education focusing the technical to be dance education as art education. It can be first step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for teaching Korean Dance as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dance spirit as core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We ch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reputational sampling selection, 9 people were chosen having knowledge, experiences, and sight about Korean Dance and education. Results are that Korean Dance Spirit as core educational content are composed of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Spiritual dimensions. First, ''hysical dimension''is related to the technique and the bodily, anatomical knowledge to movement contained. Second, ''Cognitive dimension''i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literature on Korean Dance. Third, ''Emotional dimension''is related to a dancer 'expression of their feelings and emotions interpreted through movement and music. Fourth, ''Spiritual dimension''is related to ''enlightenment''that a dancer could achieve. Finally, we suggest study detail about how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Spirit are taught and learned.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s teaching right Korean Dance Spirit, and integrative programmes.

      • KCI등재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기대, 한국무용태도 그리고 한국무용이 미지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탄소년단의 2018멜론뮤직 어워드 ‘아이돌(IDOL)’공연관람을 통하여

        이윤정,서희정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기대, 한국무용태도 그리고 한국무용이미지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으로 2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WIN Ver. 25.0을 이용하여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빈도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t-검증을 이용하여 자료처 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인식은 한국무용기대와 한국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국무용기대는 한국무용태도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무용태도는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한국무용태도는 한국무용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 섯째, 한국무용관람유무에 따라 한국무용인식, 한국무용기대, 한국무용태도, 한국무용관람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한국무용이미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ttitude and image of Korean dance on viewers’ intention through 「BTS’s performance "IDOL" at the 2018 Melon Music Awar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PSSWIN Ver. 25.0 was us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 verification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dance’s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expectation and attitude. Second, Korea dance’s expec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attitude and image. Third, Korean dance’s attitud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image. Fourth,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dance’s image and viewers’ intention.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ttitude, and viewers’ intention of Korean da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having watched Korean dan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dance’s image.

      • KCI등재

        한국 현대발레 안무가 육성을 위한 방안 연구 - 한・미 대학무용 커리큘럼 비교를 토대로 -

        김경영,김성민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대학 무용과 교육과정과 한국 발레의 교육과정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현대발레 안무가 의 육성 및 발전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무용(학)과 3개교, 미국의 유명대학 2개교를 선 정하여 무용교육과정 수업내용을 연구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 현대발레 발전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교육과 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 대학 무용과의 전공별 조율을 통해 독특한 창의력 향상 수업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신체의 제한이 없는 현대무용교육이 다양한 각도로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클래식 발레 교육과 비례하여 창작수업을 활성화하고 수업을 증대시켜야 한다. 넷째, 대학은 학생들의 창조적인 수업방 안을 위해 상응하는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추가되어 이루어진다면 한국만이 가진 독창적인 현대발레를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한국현대발레 안무가 육성 을 위한 방안 연구임과 동시에 한국 대학무용커리큘럼의 변화를 위한 초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to foster and develop contemporary ballet choreographer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the college dance curricula in the US and the curricula of ballet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dance departments of three colleges in South Korea and two famous colleges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classes in the dance curricula of those dance departments were studie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a conclusion that the following curricula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ballet in South Korea could be derived. First, teaching methods that would enhance unique creativity should be prepared through coordination by major in college dance departments in South Korea. Second, modern dance education without physical limitation should be tried from various angles. Third, creative classes should be activated and increased in proportion to classical ballet education. Fourth, for crea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colleges should actively support corresponding linked programs. Although simultaneously fostering choreography capability and creative ability in ballet, which is a field where even learning only one ability is difficult, is certainly a very difficult condition, if such a curriculum is add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made sufficiently and that Korean contemporary ballet choreography is the cornerstone for fostering.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안무적 특성에 따른 경향 분석

        최혜경,박미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창작무용의 시기별 유형의 특성과 안무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창작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술적 토대의 정립과 교육적 활용, 한국문화예술의 가치를 인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한 한국창작무용의 사적 흐름과 시기별 창작무용의 경향과 특성을 10년 주기의 4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창작무용의 초기는 전통무용의 원형을 지키는특성이 부각되어, 1기와 2기는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원형을 보존 및전승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3기를 기점으로 현대무용 및 세계화 추세의 영향으로4기는 현대적으로 수용, 변용된 한국창작무용이 주도하게 되었다. 안무적 특성으로, 1기는 한국무용의 특징인 곡선의 형태를 살린 춤 선이 많았으며, 2기와 3기는 한국창작무용의 새로운 시도로서 직선 형태의 춤 선, 4기는 전통한국창작무용의 특성이 뒤섞인 혼합된 춤 선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 1기에서 4기까지 한국창작무용의경향은 전통무용의 특징을 살리면서 창작 요소를 가미한 형태의 춤 선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전통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변용, 새로운 한국창작무용의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안무가는 보다 과감하게 시대적 변화를 수용, 접목하여자신의 개성에 맞게 심화, 발전시켜 가면서 그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

        김미경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2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n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search direction for the ‘Korean dance’ genre, by analyzing its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 of the ‘keyword’ presented in the published papers in the dance related journals since 1973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otal 2,483 Korean dance 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journals and the 4,569 key-word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for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and UCINET/NetDraw Program. The networks of the selected top 15 key-words with high frequencies from total key-word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frequency and proportion of co-occurrence, degree centrality index, and network map. The papers of Korean dance genre were most frequently presented the key-words related to research participants such as ‘female dance major college student, dancer and the elderly’. The type of dance was second frequently described key-word. The papers presented most frequently ‘traditional dance’, ‘folk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key-words in a row among the type of da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researches of Korean dance genre since 1973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Korean dance program’ on ‘participation, job satisfaction, self management, and devotion’ of the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dancers, and the elderly’. 이 연구는 1973년 이후 출판된 ‘한국무용’ 장르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무용’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발표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연관단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한국무용’ 관련 논문은 2,483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논문으로부터 얻은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최종 선정된 키워드 수는 4,569개이다. 학술논문의 네트워크는 동시출현(co-occurrence) 빈도와 비율, 연결중앙성(degree centrality) 지수, 연결망 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관단어 분석은 전체 키워드 중 연결중앙성이 높은 상위 15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논문자료는 Excel system에 자료를 입력한 후 NetMiner와 UCINET/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973년 이후 2019년 10월 현재까지 한국무용 관련 학술지 게제논문은 총 2,483편이 발표되었다. 둘째, ‘한국무용’ 장르 연구는 연구대상인 ‘전공 여자 대학생과 무용수, 그리고 일반 노인’ 관련 키워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전통무용’, ‘민속무용’, ‘창작무용’, ‘신무용’ 순으로 무용유형과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네트워크 기반 키워드는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전공자, 무용수, 노인, 참여 만족도, 직무 만족도, 자기관리,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 KCI등재

        한국창작무용의 정체성과 가능성 -한국무용제전 30년 성과를 중심으로-

        윤덕경 ( Duck Kyung You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1

        한국무용제전은 한국무용연구회가 주최하여 1985년 시작된 이레로 작년 2014년까지 거의 매년 한국창작무용이라는 핵심주제로 꾸준히 이어져 제29회에 이르렀으며 30년을 맞이하였다. 1980년대는 한국 춤이 신무용에서 창작 춤으로 이행해가는 시기였으며 전통에서 단절된 한국 춤의 본래의 모습을 찾는 일과 한국 춤이 공연이라는 형식미를 추구하는 본격적인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 시기였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무용제전의 시작에서부터 어떻게 이어 왔으며 전개되는 과정을 시대적 변화에 특징을 기술하고 그 성과를 확인함으로 앞으로의 전망과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한국무용제전은 한국창작무용이라는 장르를 개척하여 한국무용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했으며 한국무용의 창작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한국창작무용의 중흥의 중심에서 한국무용제전은 한국무용의 대중화, 신인안무가들의 등용문, 춤 문화의 지역으로의 확산, 공연작품의 레퍼토리화 등, 많은 성과를 가져왔다. 이 발표는 한국무용제전을 통하여 시대상으로 변모해온 경향을 정리·분석하여 한국창작무용에 대한 기대에 대한 부응과 성과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한국창작무용의 특징과 정체를 이시기에 다시 재확인함으로 한국창작무용의 약정적정의의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Since 1985, Korean Dance Festival had promoted by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had established a theme of Korean creative dance, and now, it had been 30 years. 1980s was a bridge era between Korean new dance and creative dance. Also this time, people had tried to find Korean dance``s own identity from a break with the past and attempted to develop Korean dance as performing art. This paper described beginning of Korean Dance Festival and its achievement and prospected its potential and possibility. Korean Dance Festival had developed genre of Korean Creative Dance. Also it established its identity. A the center of Korean Creative Dance``s restoration, Korean Dance Festival had achieved popularizing Korean dance, discovering new artists, expanding the culture to local areas, and categorizing it as a performing art. This statement examined the potential of Korean Creative Dance through arranging analysis of its chronological changes. Furthermore, it tried to secure appropriateness of stipulative definition by identifying Korean Creative Dance.

      • KCI등재

        자연과학분야 : 노인여성의 6개월간 생활무용 참가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

        이한준 ( Han Joon Lee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6개월간의 노인여성이 한국무용과 댄스 스포츠 참여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총 142명이 실험에 참가했고, 6개월간 국거리, 살풀이, 자진모리 등을 활용한 한국무용(68명)과 룸바와 차차차를 활용한 댄스스포츠(47명)를 수행하였다. 6개월간의 생활무용 참가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중 TC, HDL, LDL, TG에서 6개월간의 생활무용(한국무용, 댄스스포츠) 참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p<.01), 혈압에서는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효과적인 감소가 나타났다(p<.01). 둘째, Framingham risk score에서는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낮았고(p<.01), 심혈관질환의 위험율에서도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낮았다(p<.01).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6개월간의 한국무용과 댄스스포츠 등의 생활무용 참가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은 두 운동 모두 효과적인 감소를 가져왔고, Framingham risk score에서는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율에서도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HD risk factors & Framingham risk sco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sports for elderly women. 142 elderly women were recruited and tested. Subjects were assigned to Korean traditional dance group(n=68), dance sports group(n=47), and control group(n=27).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consist of ‘Gukguri’, Salpuri’, ‘Jajinmori’, and dance sports consist of ‘rumba’, ‘cha-cha-cha’. Dance was done for 6 months, 3 times per week, 60 minutes per day. After the dance participation of 6 month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sports of 6 months has given a positive effect in TC, HDL, LDL, TG(p<.01). Second, Framingham risk score was lower in the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p<.01), and CHD %risk was lower in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rol group(p<.01). In conclusi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sport in 6 month had a positive effect on CHD risk factors. And F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rol group. Also CHD %risk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rol group.

      •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