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도서(섬)학회의 지속가능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연구

        이웅규,이동신,김농오,김용완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to be performed as by a national society related to islands of Korea before deciding on future activities and project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his is the result of evaluating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scholars to the island communities but also the duty of chairman and edito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piece of research in that various theories and methodologies should be introduced in a wide range of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sociology, geography, physics, and ICT-related disciplines. It was, in addition, the basic rol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of specific areas called the islands. In particular, the basic role should be to find the roots of island area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societies in that they are the academic areas that are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sland resident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the identity of islands area and inspire local residents with pride and affection for their insular homes. Ultimately, the basic role is to be the driving force for island development. Today's island science is a comprehensive field of study that understands the historical processes that have created and transformed island areas and seeks to build a better future for island areas.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esented six soci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s. The contents roles, and duties for consider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role of island integrators or project managers; second, the role of the coordinator of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island science archives; third, it serves as an expeditor for island development; then, it is the role of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based on the attractiveness evaluation of island tourist spots; next, it serves as a visionary and leader of island development; and finally, it has a role as a collaborator with other indust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본 연구는 미래 한국도서(섬)학회의 지속가능한 시‧공간적인 활동과 사업내용을 정하기 전에 우리나라 도서(섬) 관련 전국 학회로서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문헌적으로 탐구하였다. 이것은 도서(섬) 지역사회에 대한 학자로서의 책임뿐만 아니라 한국도서(섬)학회의 회장 및 편집위원장으로서의 의무에 대한 평가로 나타난 결과이며, 적응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목적으로 했던 한국도서(섬)학회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은 종합 학문으로서 경제학, 사회학, 지리학, 물리학, 그리고 ICT 관련 학문분과 등 광범위한 학문분야에서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이 도입되어야 하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도서(섬)학회가 도서(섬) 지역이라는 특정 지역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서(섬) 지역주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학문영역이라는 점에서 특히, 다른 학회와 구별되는 도서(섬) 지역의 뿌리를 찾는 작업을 시작으로 해서 도서(섬) 지역의 정체성을 찾아 지역주민에게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시켜 궁극적으로 도서(섬)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그 기본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도서학(島嶼學)은 도서(섬) 지역을 만들고 변화시켜 온 역사적 과정을 이해하고, 그 기반 위에서 보다 나은 지역의 미래를 모색하는 종합적인 학문 영역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도서(섬)학회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도서(섬) 지역 통합가(Integrator) 혹은 사업관리자(Project Manager)로서의 역할, 둘째, 도서학(島嶼學) 아카이브의 수요와 공급체계 조정자(coordinator)로서의 역할, 셋째, 도서(섬) 지역 발전 촉진자(Expeditor)로서의 역할, 넷째, 도서(섬) 관광지의 매력성 평가에 따른 관광자원 개발방향 제시의 역할, 다섯째, 도서(섬) 지역 발전의 비전 제시 및 리더(Leader)로서의 역할, 여섯째, 타 산업 및 관계기관과의 연대자(Collaborator)로서의 역할이다.

      • KCI등재

        주요 개발도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 유럽 및 남미지역 12개국을 중심으로 -

        김정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related to Korea shown in the cataloging records of national libraries of the main 12 developing countries in Europe and South Americ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Korea-related records in most national libraries are very poor and under 0.01% of the library. Second, Korean materials usually write Korean in Roman characters except for National Library of Armenia, but there are not marked with the original Korean language and unfeasible Hangeul search. Third, on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istribution in sub criteria of Korea-related records, subject related to history, politics, and economy is largely shown in the highest rate. Fifth, among the Korea-related subject heading, Taekwondo is marked with distinction from Karate in most libraries except for National Library of Argentina. Dokdo is marked with the geographical name of 'Korea' in 8 national libraries and East Sea (Donghae) already is marked with ‘Sea of ​​Japan’ in 7 national libraries. Amnokgang, Dumangang, and Baekdusan-related records did not search at all in most national libraries. 이 연구는 유럽 및 남미지역 주요 12개 개발도상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표목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해당 국가도서관 자료의 0.01%도 되지 않는다. 둘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이 한국어 자료를 로마자로 번자하여 표기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한국어 자료에 대해 원어를 표기하지 않으며, 한국어 검색이 불가능 하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는 대개 사회과학과 역사‧지리 분야가 50∼7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는 ‘역사’, ‘정치’, ‘경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는 대부분이 가라데와 구분하고 있지만 아르헨티나의 경우 태권도를 가라데로 인식하고 있다. 독도는 8개 국가도서관이 한국이라는 지리 한정어와 함께 표기하고 있으며, 동해는 7개 국가도서관이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압록강, 두만강, 백두산 관련 레코드는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

      • KCI등재

        도서 대출데이터를 활용한 남녀 노령자의 독서 주제 분석

        조재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1

        This study understand the subject domain of book which has been read by men and woman elderly by analizying the PFNET using library big data and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adult at age 30-40. This study extract co-occurrence matrix of book lending on the popular book list from library big data, for 4 group, men/woman elderly, men/woman adult. With these matrix, this study performs FP network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calculated on the loan book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among the 4 clusters which has been created by PNNC algorithm. As a result, reading trend which has been focused on modern korean novel has been revealed in elderly regardless gender, among them, men elderly show extreme tendency concentrated on modern korean long series novel.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male elderly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dult male of r = -0.222,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all the other groups showed that the tendency of male elderly’s loan book was opposite. 본 연구는 도서의 대출정보를 활용해 가중네트워크(PFNET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수 계층으로서 남녀 노령자에 의해 자주 읽히는 도서의 주제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독서 양태가 일반 성인 남녀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노령자와 일반 성인 남녀로 구성된 4개 집단을 대상으로 도서관 빅데이터의 인기 대출도서를 기반으로 동시대출도서 행렬을 산출하고 이를 활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PNNC(Parallel Nearest Neighbor Clustering) 알고리즘으로 대출도서 군집을 형성한 후 대출도서에 계산된 중심성지수를 기반으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해 집단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자기계발, 재태크, 육아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대출하는 일반 성인 남녀에 비해 노령자 계층은 한국현대소설에 집중된 독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인기 저자의 저작에 집중된 도서 대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여성 노령자가 일본소설, 영미소설을 포함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분야를 대출하는 반면 남성 노령자는 극단적으로 한국대하소설에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관분석에서도 남성 노령자는 성인 남성과 r=-0.222의 약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집단과도 음의 방향성을 보여 대출 도서의 중심성이 반대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KCI등재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 대출 이용 현황 분석

        김희진,박은경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학의 위기 상황에서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 및 대출 이용 현황을 전국 대학도서관과 정량적으로 비교함으로 소규모 대학도서관을 위한 장서개발 지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통계치를 추출하여 4년제 대학도서관의 평균과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재학생 수, 장서 수, 도서대출 수, 전자자료 이용건수 현황을 연도별, 권역별로 증가율, 1인당 이용량, 장서회전율, 연평균증가율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학생 수는 전국 대학과 소규모 대학 모두 감소한 반면, 장서 수는 전국 대학도서관보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증가율이 30% 이상 높았다. 도서 대출 수는 두 그룹 모두 약 75% 감소하였고 전자자료 이용량은 230% 이상 대폭 증가하였다. 상관관계분석에서도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데, 대출이 감소하면 전자자료 이용이 증가하였고 소규모 대학도서관은 증가치가 더 높았다.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을 위해 전자자료 구입비 예산비율을 대폭 확대 조정이 필요하며 소규모 대학도서관간의 특성별 전자자료 공동이용을 위한 컨소시엄을 제안하였다. In a situation with reducing numbers of students and local universities in crisis,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lection and loan usage data in small-sized university libraries and present evidence for guiding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Rinfo from 2010 to 2022 regarding the numbers of enrolled students, collected books, book loans, and electronic resources and compared the average values of entire 4-year university libraries to those of small-sized ones by year and region. Results show that while the numbers of enrolled students and book loans have decreased in both of groups, the number of collected books has increased 30% more in small groups and the amount of electronic resource use has increased enormously as well. Correlation analysis presents that both of groups have the consistent result. It is suggested that small-size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highly increase their budget ratio to electronic resources for collection development and build a consortium by university’s speciality for mutual use of electronic resources.

      • KCI등재

        한국의 도서관 명칭 수용 및 쟁점 연구 - 일본홍도회 부산포지회 도서실을 중심으로 -

        윤희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1

        The history of modern libraries in Korea is less than 150 years. Nevertheless, there are various issues about when the word library appeared, how it was transformed, and the name and overall appearance of the library opened by the Busanpo branch of the Nihon Kodo-kai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nd argued many issu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word library appeared in poetry collections, tombstones, and diari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it was widely held that the library was first introduced by Yu Gil-jun’s 「Seoyugyeonmun, 1895」, it appeared in Lee Hun-young’s 「Iisajipryak」 and was also introduced in 「Hanseongsunbo, 1884」. And the first name given to the facility was Kodo library, which was opened by the Busanpo branch on October 10, 1901. Book club, reading club(library), Busan(Busan district) library, Kodo bookstore, Kodo-kai library, etc. which are described in many documents are all errors. The location of the library was a temporary house on a leased site in Seosanhajeong of Yongdusan mountain. And it is presumed that it has secured about one room and 1,000 Japanese and Western books, and provided fee-based services to Japanese residents. Although the Kodo library is not the first public library established by a Korean, it is undeniable that it was the first public library to exist in Korea. Therefore, when defining the character of the Kodo library, it is necessary to have a coolness and discernment beyond national emotions, historical conflicts, and ideological frames. 한국의 근현대 도서관 역사는 150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도서실(관)이란 말이 언제 등장하여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 그리고 개화기 일본홍도회 부산포지회가 개설한 도서관의 명칭 및 전모에 대해서는 쟁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쟁점을 분석하고 논증하였다. 그 결과, 도서실이란 말은 조선 초기부터 시문집, 묘비명, 일기에 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서관은 1895년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통해 최초로 소개하였다는 것이 중론이었으나 1881년 이헌영의 「일사집략」에 등장하며, 1884년 「한성순보」에도 소개되었다. 그리고 시설명에 부여한 최초의 명칭은 1901년 10월 10일 부산포지회가 개설한 홍도도서실이다. 많은 문헌에 기술된 도서구락부, 독서구락부(도서실), 부산(부산지부)도서실(관), 홍도도서관 등은 오류다. 홍도도서실 위치는 용두산 서산하정 임차지의 임시 가옥이었고, 규모는 방 1칸 정도와 화한서와 양서로 구성된 장서 1천권 내외였으며, 일본 거류민을 대상으로 유료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짐작된다. 비록 홍도도서실이 한국인에 의해 설립한 최초 공공도서관은 아니지만, 한국에 존재한 최초 공공도서관이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홍도도서실의 성격을 규정할 때는 민족적 정서, 역사적 갈등, 이념적 프레임을 초월하는 냉정함과 분별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이병기,Lee, Byeo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3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의 각 주(州) 정부의 학교도서관 정책은 물론 전 세계 학교도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미국교육학회(NEA) 주도로 1920년에 처음으로 제정된 이래 교육 및 기술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약 10여 차례 개정되어 왔으며, 가장 최근의 기준으로는 2009년에 AASL에서 발행한 "학습자 힘 기르기"가 있다. "학습자 힘 기르기"는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발행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학교도서관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에 제정한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과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계의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정책의 바로미터로 삼고자 한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비전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실천"은 학교도서관을 통해서 기준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in America affected school library policy in US as well as worlds. The America standards for school library established by NEA for the first time in 1920. After the first standard established, America standards revised about 10 times to accommodate educational and technological changes. The Americas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established by AASL in 2009. The guidelines are relevant to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The guidelines expected to affect US as well as school library policy of worlds.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and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The standard for 21st-century learner offer vis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o both guide and beckon our profession as education leaders. They will both shape the library program and serve as a tool for library media specialists to use to shape the learning of students in the school.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 action offer how are AASL's new learning standards, th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incorporated into the school library.

      • KCI등재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공공도서관 규명에 관한 연구 - 일본홍도회도서실을 중심으로 -

        김영석,이용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 No.

        우리나라와 일본의 많은 문헌정보학 연구자와 사서들은 일본홍도회도서실을 한국 공공도서관의 시초라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홍도회도서실의 건립과 운영을 정치·사회적인 관점에서 재검토 및 재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일본홍도회도서실을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시초로 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재논의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일본홍도회도서실은 우리나라에 건립되었지만 일본인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둘째, 도서실은 일본인들을 위해 건립되었고, 오랫동안 그렇게 운영되었다. 셋째, 장서의 대부문은 일서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부산에 도서실을 건립한 일본홍도회는 일제강점기 전과 그 기간 동안 일본의 군국주의를 지지하는 단체인 것으로 사료된다. Many researchers and libraria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a in Korea and Japan claim that Japanese Hongdohoe Library is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n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claim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Hongdohoe Library was established in Korea but was established by Japanese. Secondly, the library was established for Japanese in Busan and operated for a long time for the use of Japanese people in Busan. Thirdly, most of the collection of the library were revealed as Japanese materials. Fourthly, the Japanese Hongdohoe which established the library was the organization that supported Japanese militarism before an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 KCI등재

        역대 정부의 해양도서 정책분석에 따른 시사점 연구

        이웅규,김농오,박수옥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ocean island Policy and the basic axis of the marine tourism industry for the future growth industry.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maritime island policy of the previous government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decision making and enforcement of marine islan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as well as various documents and data related to the ocean island policy. In particular, it was explored by reference to related policy reports, statistical data, periodicals, monographs, and newspaper articl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this reason, we have reviewed the abstract elements of the ocean policy of thepast governments by classifying the common elements in the reviewed data through the iterative process. As a method of data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tensively explored through subject analysis on the ocean island policy of the past governmen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ocean policy of the past government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will contribute to provide the im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the basic direction of the future ocean island policy and the solution to inherent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o many marine island policies are not strategic because they are being distributed acrossseveral ministries. Second, the changes in the organization, budget, and system in relation to the ocean island policy were not prominent. Third, there are ocean island policies that pursue ideals that overlook the reality. Fourth, there is a lack of leadership to coordinate conflicting interests in relation to ocean island policy. Most governments are obsessed with ideology and principles and are pushing for maritime island policies, but there are quite afew policies that have been put on hold because of the resistance of interest groups. It has beenpointed out that they should approach things more strategicall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본 연구는 향후 중앙정부가 한국 해양도서 정책의 토대를 새롭게 만들고 미래 성장산업으로서 해양관광산업의 기본 축을 구성할 해양 도서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결정과 집행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역대 정부의 해양도서 정책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료수집 방법으로 기존 선행연구들이 분석한 실증 결과와 해양도서 정책 관련 각종 문서와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관련 정책보고서, 통계자료, 정기간행물, 단행본, 신문기사 등을 참고하여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자료 분석에 있어서는 자료수집과 분석을 동시에 행하였기 때문에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 검토된 자료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분류하여 역대 정부의 해양도서 정책에 관한 다소 추상적인 사항까지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역대 정부의 해양도서 정책에 관한 주제적 분석(thematic analysis)을 통해 본 연구의 과제를 집중적으로 탐색하였고,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역대 정부의 해양도서 정책 등을 분석하면서 해양도서 정책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유형화하여 서술하였다. 이는 미래 해양도서 정책의 기본적인 방향과 과제 해결에 기여할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역대정부의 해양도서 정책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너무 많은 해양도서 정책이 여러 부처와 분산적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전략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해양도서 정책과 관련하여 조직․예산․제도 등의 변화가 두드러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해양수산부만 바쁘게 움직였지 범정부적인 노력은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셋째, 현실을 도외시한 이상향(理想鄕) 추구의 해양도서 정책들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예를 들면, ‘섬 관광’ 활성화를 통한 내국인 관광수요를 창출하겠다는 근시안적이고 성과위주의 관광정책은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해야 할 해양도서 정책을 망가뜨리는 우(愚)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섬 관광 활성화 등은 단계적 시행 혹은 제도보완을 통해 준비가 된 상태에서 추진하는 현명함을 갖추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선(先) 보완(지정학적 조건보완, 접근성 및 경관성 보완) 후(後) 시행(내외국인 해양관광객 유치)’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해양도서 정책과 관련하여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조정할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대부분의 정부가 이념과 원칙에 집착해 무리하게 해양도서 정책을 추진 강행하다 이해집단의 저항에 부딪혀 답보상태에 놓인 정책이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장기적 관점과 다차원적인 시각에서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진행된 관광레저도시 건설의 경우 개발이익 환수문제 등 특혜시비가 불거지면서 시작도 하기 전에 정책추진에 발목이 잡혔던 것도 참고할만하다. 또한 섬 관광 활성화 정책도 외국자본의 투자유치문제를 놓고 1년 이상 갑론을박하다 공론화과정을 밟고 있는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곽철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joint-use libraries from other countries and provide some directions for the joint use library of Korea.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joint-use libraries broadly. One was school/public library, and the other was academic/public library. The advantages of joint-use libraries were the hiring of professional staff, collection increase, various library programs, and the efficient use of library space. The disadvantages of joint use libraries were the problems of the joint-use library located in school, busy space, limited library collection, and the limited function of school library. Success factors for joint use libraries were the population of community, process of formal planning, community involvement and support, written legal agreement. This study showed two types of joint-use libraries for Korea: school/public library for rural areas and academic/public library for small c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블록체인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 도서지역 문화를 중심으로 -

        김여진,최석만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4

        This study is going to propose a block chain system, which is useful for the culture of underdeveloped island areas, by stably handling the available data of the nationwide inhabited and the uninhabited island areas through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the key technology block chai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revitalization of culture in island areas. Based on this system, this study collects and analyzes by generalizing the trade data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infrastructure, marine fisheries’resources, and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of such island areas. Then by establishing the stable regional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revitalize underdeveloped island areas with the 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IAMS) fit for the 4th industrial era. The block chain technology is a distributed, public transaction ledger system that complements the security issues raised in the existing online system and that records and archives the same log for all those involved in the transactions, and the trend is that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as a new technology together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ther words, this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underdeveloped island area cultures by steadily processing many transaction data distributed in the island regions. In addition, the block chain is a stable system that can protect the privacy of individuals in the island community, and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lives and culture of the underdeveloped island areas with various contents transactions and services. In this study, the status of Korean island areas and overseas island areas in the 4th industrial era are arranged and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the underdeveloped island area culture is understood. lsland area management system (IAMS), a solution model for the problem, is suggested by applying the block chain technology, a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age. In order to optimize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system designed a model to manage smart localization of island areas by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are core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age. These factors will be considered to find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of aging and underdeveloped management issues of island areas by implementing the aforementioned 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Also, the IAMS (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which is proposed as a stabilized block chain technology, will become a solution model for the difficult problems in managing island areas of our country due to being a peninsula, that is surrounded by the seas on three sides. This could become a global model for countries with similar geographies. 본 연구는 도서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블록체인 활용 방안 연구를 통하여 전국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지역의 가용자료를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낙후된 도서지역 문화에 유익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이 시스템을 토대로 낙후되어진 도서지역의 일반 현황 등 도서지역의 산업구조, 도서지역의 기반 기술과 해양수산자원 그리고 그 지역 특성에 맞는 유·무형 문화 자원 등 거래 자료를 종합화하여 수집하고, 정리하여 분석한 다음 안정적인 지역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최적화 도서지역관리시스템(Island Area Management System, 이하‘IAMS’)을 바탕으로 낙후된 도서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하며,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기존 온라인 시스템에서 제기된 보안 문제 등 보완한 시스템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같은 장부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분산형, 공공거래 장부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기술인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 등과 함께 새로운 기술로써 여러 분야에 활용 방안 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 활용함으로 도서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많은 거래 자료를 안정적으로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낙후된 도서지역 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도서지역 주민의 개인 맞춤형 및 개인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다양한 콘텐츠 거래와 서비스로 낙후된 도서지역 생활문화 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할 것이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우리나라 도서지역현황과 국외 도서지역현황을 정리하고 분석한 다음 낙후된 도서지역문화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4차 산업시대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 기법을 적용하여 문제의 해결 방안 모델인 도서지역관리시스템(IAMS)을 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운영과 관리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4차 산업시대 핵심기술인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에 적용하여 도서지역을 스마트지역화 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자 모델을 고안 하였다. 이는 도서지역관리시스템으로 도서지역의 고령화와 낙후된 관리 문제의 시스템 대안을 찾으려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삼면으로 둘러 싸여 있는 우리나라의 반도적 지역관리의 어려운 문제를 안정화된 블록체인 기술 도입 활용으로 제안된 도서지역관리시스템(IAMS)이 세계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