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 정책의 발전 방안 연구: 유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과 유사 제도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기본법의 한국어교원 관련 규정이 개선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 정책을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을 양성하여 임용하 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선 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한국어교원 정책을 1) 임용 전의 양성 정책, 2) 임용을 위한 자격 인증과 임용 인원 조절, 3) 임용 이후의 재교육 및 처우 정책으로 나누었다. 한국어 교육은 사회 여러 계층에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분포하고, 적용 대상이 외국 인이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민교육의 영역 과 겹치는 부분이 더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것은 그 정책의 대상이 넓고 여러 법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대학 부설 어학당의 경우 고등교육 법과 관련이 되고,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원은 초,중등교육법과 무관 하지 않다.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강사나,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방문지도사 등은 일정 부분 평생교육사와 유사한 성격도 지닌다. 이 점에 유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서 교원 정책의 세 범주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 는지 검토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사 제도의 교원 정책에 비하여 국어기본법에는 교원의 자격 인증 이후 임용 정책과 임용 이후의 후속 정책이 다소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자격을 갖춘 한국어교원의 임용과 이후의 처우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교원들은 미시적으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그 위 치가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가 적지 않다. 한국어교원은 그 소속 기관과 분야에 따라 다 문화사회로 돌입한 한국의 사회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하고,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성공 을 이끌 수 있는 집단이다.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 향상, 그로 인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은 한국의 이주민 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연구의 균형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최정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2

        This paper covers a few points to consider teaching methods to fit the conference topics and handle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diagno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upon the premis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part of ‘Education’, it should be focused to consider not only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 but ‘educational value’, ‘directing point’ Also Based upon the premise to be used Korean in various situations (daily life, occupation/work, cultural exchange, etc.) It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future of Korean education methodology should be a little more comprehensive, value-oriented direction of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aspects is also important. So It takes a look at some search and status for the subjects and suggest for solving the deriving problem. Firstly, the overall review is needed for Korean teacher's expertise to complement the curriculum, and for ensuring the coordination of the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or procedures for the issuance of ratings. Secondly, presents a side effect of Korean education due to examination-oriented curriculum and offers a complementary and normalization of classroom education. Thirdly, suggests the need for balanced, specialized and creative research, saying some of features for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trends. 본고는 학술대회 주제에 맞게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수법에 대한 몇 가지 생각해 볼 점과 한국어교육 전반의 진단 및 발전을 위한 제언을 다루었다. 한국어교육도 ‘교육’의 한 부분임을 전제로 ‘기능의 교수 및 학습’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교육이 가져야 할 가치, 지향점’ 등에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리고 아울러 한국어를 사용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일상 생활, 직업/직장, 문화교류 등)을 전제하면서 미래의 한국어교육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좀 더 포괄적이며 가치지향적인 방향으로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다른 한 편으로는 한국어교육의 양적인 발전을 바라보면서 질적인 측면에서의 발전 또한 중요하므로 이것을 위해 우리가 살펴봐야 할 몇 가지 대상들에 대해 현황을 살피고 진단을 하면서 도출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했다. 첫째는 한국어교원의 전문성을 확보를 위한 교육과정의 조정과 보완,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교원 자격증의 발급 조건이나 절차에서의 보완과 등급의 조정을 위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제언했고, 둘째로는 시험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한 한국어교육 현장의 부작용을 제시하고 보완 및 교실 교육의 정상화를 제안하였다. 셋째로는 한국어교육 연구 경향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보이면서 균형 있는 연구, 전문화된 연구, 창의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전망- 山東省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우영란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새국어교육 Vol.0 No.73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of Korean education in China 1992년 중한수교를 계기로 시작된 중국 내 한국어교육은 현재 산둥반도를 중심으로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 한국어 학과가 이처럼 빠른 속도로 성장, 확대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바로 한국과의 경제, 문화교류가 날로 활발해 지면서 한국어인재의 수요가 급증하고 이로 인해 한국어학과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 기타 전공 졸업생들이 보편적으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어학과는 일차적 취업률이 거의 100%에 달하고 있다. 초기 각 대학의 한국어학과 학생모집지역은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0년부터 전국 범위에서 학생을 모집하게 되었으며 주요하게 한국기업체의 진출이 활발하거나 한국관광객의 내왕이 빈번한 지역의 학생들이 한국어학과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어학과의 교과목은 대학마다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모두 한국의 언어, 정치, 경제, 문화에 관련되는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한국어학과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는 基礎韓國語, 高級韓國語를 제외한 기타 교과목은 현재 교재가 규범화되지 못한 상황이며 교재의 편찬문제가 급선무로 되고 있다. 중국 및 산동지역의 한국어교육은 이미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적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우선 맹목적인 학과 증설과 학생모집수의 증가가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한국어학과의 가장 큰 우세라고 인정되고 있는 취업문제도 졸업생들의 취업의 질과 취업만족도가 다른 학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일차적 취업이 100%라는 표면적인 상황에 도취되어 있을 상황이 아니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으로부터 보아 앞으로 몇 년간 한국어학과의 증설과 학생모집수의 증가는 지속될 것이다. 한국어학과는 자체의 경쟁력을 키워 교수 및 연구에서 다른 대학의 한국어학과 및 다른 외국어학과와의 경쟁에서 우세를 차지해야 하며 단순한 언어교육에서 벗어나 전문화한 인재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또한 중국의 한국어학과들은 점차 한국학교육과 연구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단순한 언어교육의 차원에서 벗어나 보다 높은 수준의 한국학 인재를 배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대학원교육이 보편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 양상-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이현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3

        목적: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한 언론보도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장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언론에서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해 무엇을 보도하고 어떤 정책을 문제 삼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어교육 정책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방법:분석은 뉴스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인 빅카인즈를 이용하였으며, 11개 중앙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시기별, 통합 분류별, 연관어별로 분석하고, 다음 한국어교육 정책 대상자별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 정책을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결과:그 결과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한 언론 보도는 2018년에 가장 많이 나왔고, 2014년에 가장 적게 보도 되었다. 한국어교육 정책 언론 보도는 주로 사회면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다문화를 키워드로 한 기사가 많았다. 한국어교육 대상자별 분석에서도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보도 건수가 가장 높았으며, 정책별 분석에서도 역시 다문화정책에 관한 보도를 빈번하게 볼 수 있었다. 결론:이러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도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한 언론 보도가 꾸준히 이어져야 할 것이며, 언론사에서는 한국어교육 정책을 보도하는 대상과 주제를 다양화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고, 향후 한국어교육 정책에 관해 보다 나은 내용이 보도되기를 기대하였다. Purpose:The media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to inform peop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the media is reporting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what policy issues it has. This study analyzed media report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rom 2012 to 2019. Methods:As the analysis, ‘BIG KINDS’, a 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was used, and 11 major newspapers were reviewed. First, it was analyzed by period, integrated classification, and related words, and then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argets. Finally, Korean education policy was analyzed by content. Results:As a result, the media covera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was the most frequent in 2018 and the lowest in 2014.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The media reports were mainly dealt with in social terms, and there were many articles with keywords a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he most frequently analyzed Korean education subjects. In the analysis by policy, there were also many reports on ‘multicultural policy’. Conclusion: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port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the media should diversify the subjects and subjects for report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t was expected that better content would be report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를 활용한 단기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최종숙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0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문화를 활용하여 단기 체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 체험을 중심으로 이에 필요한 한국어를 교육하는 단기 한국어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는 COVID 19 이후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의 수가 이전의 유학을 목적으로 하는 수요보다 단기로 한국을 즐기고 싶어하는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을 반영하여 이들에게 맞는 한국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단기 한국어교육 과정의 내용과 시간에 대한 의견과 학습 주제와 체험 활동에 대한 의견, 원하는 기대 효과, 그리고 방문하고 싶은 지역과 이유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동 지역의 전통과 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 체험 현장과 상황에 중점을 두고 활용 가능한 한국어 수업을 설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를 활용한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함으로써 지역 문화 체험 중심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teaches the Korean language necessary for short-term foreigner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using local culture. This is to design a Korean language program suitable for them, reflecting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visiting Korea after COVID-19 and the demand to enjoy Korea in the short term than the previous demand for studying abroa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ers residing abroad. The survey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time of the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opinions on the subject of learning and experience activities, desired expected effects, and the region and reason you want to visi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 short-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traditions and living culture of Andong was presented. This education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designed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can be used with an emphasis on the cultural experience field and situation,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local cultural experiences by designing a short-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using local culture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임형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3

        태국 내 현지 중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시작을 태국 전역에 확대 실시된 2011년부터로 본다면 불과 2년이라는 짧은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한국어교육의 성장과 한국어교육의 확산은 매우 빠르게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확산 뒤에는 태국정부 주도의 대단위 한국어교원 파견 요청과 이를 수용한 한국정부의 결단,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지원과 관리가 있었다. 2011년부터 실시된 태국 현지학교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은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일 뿐만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도 처음 시도되는 최초의 대단위 교원 파견 사업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어교원의 태국 현지학교 한국어교원 파견에 대한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2011년 태국 중고등학교에 파견되었던 한국어교원 54명에 대한 교육, 관리, 평가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사례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처음으로 시도된 관리 모델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태국 현지학교 파견교원과 관련된 관리 모델에 대한 분석은 이후 유사한 사례를 가진 다른 나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 될 것이고, 현지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의 확장과 안정적인 정착 그리고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ocal Thai secondary schools has been proceeding only for 3-4 years. When the cases of model schools are excluded, the education only has 2 years of short history since 2010. However, the rapid growth and prolif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expanded the scope of education. Behind such developments, there was a decision to dispatch large units of Korean teachers as well as a new form of support and management, all of which are led by the government. These factors have produc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dispatch program to Thailand,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1, was the first large-scale dispatch that was not only the greatest in size, but also ground breaking in form.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Korean teachers dispatch program to local Thai schools. Then, it will systematically analyze a case on the train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54 Korean teachers dispatched to Thai secondary schools in 2011. This is to account for the necessity of the Online assistance system which was first tried during that program. The analysis on the supporting system for dispatched teachers in Thailand will provide a model which will be applicable to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cases. It is also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suggests supporting measures for expansion,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t local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배도용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1 한국어문화교육 Vol.15 No.1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곧 어휘 내용 요소의 설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것은 한국어교육 어휘의 지식 영역을 이전의 언어학적 혹은 국어학적 연구 성과를 다소 그대로 옮겨온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과 한국어교육 어휘에서는 이전의 언어학 혹은 국어학 연구 성과를 수정 이나 해석하지 않은 채 한국어교육에 응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교육 어휘(pedagogical vocabulary)의 측면에서 접근이었다. 그런 측면을 반영 하여 한국어교육 어휘의 내용 요소는 형식(구어/문어/단어 구성), 의미(형태와 의미/개념과 지시대상/연상 관계), 사용(문법적 기능/연어 관계/ 사용제약)의 영역에서 설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discussion about what to teach in the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setting of vocabulary content elements. This was an approach in terms of pedagogical vocabulary in that it could not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out modification or interpretation of previous linguistic or linguistic research results in Korean language vocabulary. Reflecting that aspect, the content ele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as a foreign language could be established in the areas of Form (spoken/written/word parts), Meaning (form and meaning/concept and reference/associations), and Use (grammatical functions/collocations/constraints on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