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 한국학교 초등 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이미숙,이수정,신항수,장근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재외 한국학교에서 보다 내실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국외에서도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한국학교 학생 수가 점증하고 있는 오늘날 매우 중요 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의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초등 과정에 초점을 두어 총 22개교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을 분석하고 교원 전수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326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 였다. 첫째, 재외 한국학교의 모든 학년군의 수업 시수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준 시수를 큰 폭으로 순증하여 편성되었고 학교 교육의 방향으로 세계 무대에 서기 위한 언어 구사 교육을 표 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을 주목할 때, 교과 수업 시수 증배의 상한선을 정부 지침으로 제한 하기보다는 학교 자율로 결정할 수 있도록 자율화의 수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도덕과 같은 특정 교과 교육에 정체성 교육을 직결시키 려는 접근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교과 교육 및 교과 외 교육 등으로 그 실천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셋째, 재외 한국학교 교원들이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해 교원 연수에 대한 정책 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주목하고 한국학교 교원으로 선발되는 교원들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한 집중적 연수를 받고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Quality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students through the substantiality of operating school curriculum has very important meaning regarding today’s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overseas Korean schools.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level, analyzed the stat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responses from the total 326 teachers by a survey of teachers in all overseas Korea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offers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regarding that the instructional hours of all levels of overseas Korean elementary schools were highly increased beyond the standard instructional hours provid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trend of overseas Korean schools is to focu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the global world, it is recommended that schools have autonomy to decide the extent of increasing the instructional hours rather than the government sets an upper limit on the increase; second, identity education as Korean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ions of overseas Korean schools’ education, should be actualized by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education of related subjects and activities rather than limited to education of particular subject such as morals; and thir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to in-service teachers working for overseas Korean schools through changing the program into the suitable type for the overseas Korean schools’ situations and also to future teachers appointed to those schools.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overseas Korean schools' curriculum focu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foreign country is required in follow-up study. Also,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overseas Korean schools should be focused on the learning by meaningful involvement of students regarding the work load of students.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김유정,장원형,홍훈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in wordcloud and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in igraph package for 475 key words derived from total 134 sentence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presented in 2015 science curriculum by utilizing Text Network Analysis(TNA) method, and reviewed for the connection with process-centere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all the key words, the evaluation in science curriculum centered on ‘process’, focusing on evaluating ‘reports, observation, result, attitude, and writing’ under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experiment, activity, survey, observation, exploration, data, discussion’, but no mention about essay-type evaluation.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by school level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observation’, ‘experiment’ activity each, while high school focuses on the achievement level, and reports are main at higher school level.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key words reveals that the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is centered on ‘observation’, ‘process’, and emphasizes on the way of observation evaluation and report evaluation during student activities such as experiment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students have mastered learning or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communication competency represents the highest centrality in science curriculum, whereas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re relatively marginalized. As a result of a re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cience curriculum evaluation, some characteristic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are relatively well described in science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teaching and learning-evaluation linkag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tudent’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ata collection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but the rest are poor or not at all.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o introduce a diagnostic and prescribing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observational evaluation rubric that is a key to process-centered evaluation, a suggestion to present specific and diverse evalu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evaluation elements, a suggestion to adopt essay-type evaluation and to adopt problem-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ke SSI and PBL for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in a balanced manner, a suggestion of a well-thought-out process and systematic skills for the new concepts introduced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 suggestion to revise curriculum with a focus on the link betwee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particular one in order to establish a t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Text Network Analysis, TNA)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총 134문장의 핵심어 475개에 대하여 wordcloud의 핵심어 빈도 분석, igraph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실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하였다. 전체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과정’을 가장 중시하고, ‘실험, 활동, 조사, 관찰, 탐구, 자료, 토의’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보고서, 관찰, 결과물, 태도, 서술’ 평가를 강조하지만 논술형 평가는 언급하지 않았다. 학교 급 별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초·중등은 각각 ‘관찰’과 실험’ 활동의 평가에, 고등학교는 성취수준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고,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보고서 평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관찰’과 ‘과정’을 중심으로, 실험 등의 학생 활동 중에 관찰평가와 보고서 평가를 실시하고 학생의 학습도달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었다. 과학과 핵심역량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은 중심성을 가지는 반면,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 학생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평가,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 자료수집의 다원화에 관한 부분은 비교적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나 나머지는 내용이 빈약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인 관찰평가의 질 향상을 위해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관찰평가 루브릭 진단 및 처방 프로그램 도입을,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방법을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제시할 것을, 균형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 반영을 위하여 논술형 평가, SSI, PBL 등의 문제 중심 교수·학습법을 제시할 것을, 교육과정 개정에 도입되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충분한 숙고의 과정과 체계적 기술이 필요함을, 마지막으로 총론과 각론 사이의 유기적 관계 구축을 위하여 총론-각론 간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 CBAM을 중심으로

        서문효진,김석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the teachers' confusions from repeated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Moreover, this study aspires toward setting up the guidelines for a properly oper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will help to seeking a way to support the stabl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gh school teacher's Stage of Concern(SoC) of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high school teachers' overall SoC about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high school teachers' SoC about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by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the survey, revised SoC(Stage of Concerns) developed by Hall & Hord(2011) was used. Targets were high school teachers who teach English studies in Busan, Korea. Finally, 102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19.0 for windows program. For analysis, profile analysis, MANOVA, and ANOVA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high school teachers' overall SoC, the stages were indicated high in the order named; Stage 0-1-3-2-6-5-4. Generally, the profile of the teachers' SoC is that of the nonuser, the individual who has not begun using an innov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tendency that shows teachers' Stage 6 is higher than Stage 5, it is more similar with negative nonuser pattern. Also, the high school teachers had lots of concerns about 'How they operate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Because, their 3 Stage of Concerns were relative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Q2,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high school teachers' SoC about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or not, some differences were indicated by age, teaching career, and position. In regarding to 'age', young teachers(less than 20) had higher management concerns(Stage 3) than old teachers(more than 50). And in case of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s had higher management concerns(Stage 3) and collaboration concerns(Stage 5) than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hereas, as for 'position', executive teachers' had higher consequence concerns(4 Stage) than regular teachers.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관심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전반적인 관심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관심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 고등학교 영어과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 변인 별 관심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교직 경력, 연수 참여 횟수, 직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연령과 교직 경력을 가진 교사일수록 교육과정에 대해 높은 운영적 관심을 보였으며 부장교사의 직책을 가진 교사일수록 높은 결과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사들의 관심을 더욱 발전적인 단계로 이끌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하여 향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이경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For this purpose, first, it discusses about what kinds of issues have been raised about gifted education in arts. Second, it critically review evaluation models of gifted curriculum and research suitable model for developing curriculum evaluation model of gifted in arts. Third, it suggests the appropriate perspective and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Recent studies about gifted education in arts consider thre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 behaviour: above average ability, creativity, and task commitment. Giftedness in arts is influenced by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social and culture factors. Therefore, the gifted curriculum in arts should focus on making not only the product of education but also the process, and should consider the need of giftedness in arts in social and culture context. Based of these inquiries, existing evaluation models of gifted curriculum have a limit of suitability as an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It suggests decision-making approach is the appropriate perspective among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Also, it supports the CIPP model,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decision-making approach, as a basis of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arts. 본 연구는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예술영재교육의 지향점을 살펴보고 기존의 영재교육과정 평가모형이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으로 적합한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일반 교육과정 평가관점 중에서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에 적합한 관점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분야별(음악, 전통공연예술, 무용, 미술)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 내용을 수렴하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 내용을 정리하였다. 예술영재성은 평균 이상의 능력과 창의성과 과제집착력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예술영재성은 개인적 요인과 사회ㆍ문화적 요인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술영재 교육과정은 교육의 결과뿐 아니라 과정에도 초점을 두어야 하며, 사회ㆍ문화적 맥락에서 어떤 예술영재를 길러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의 영재교육과정 평가모형을 검토한 결과, 기존 모형들은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으로서 한계가 있었다. 예술영재교육의 특징을 기준으로 볼 때, 일반 교육과정 평가관점 중 의사결정 지향 접근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의 기반으로 의사결정 지향 접근법의 대표적인 모형이며 예술영재교육이 이루어지는 상황도 평가할 수 있는 CIPP 모형을 기반으로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과 평가 내용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방향 탐색: 교사와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기반으로

        정영근,민용성,이병천,권점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본고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정 체제 변화를 위한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이를 바탕으로 교사와 교육전문직 대상의 설문조사, 교사와 교육전문직을 포함한 교육 관계자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기관 수준과 의사결정 참여 구조, 교육과정 요소로 구성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3차원적 구도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와 교육전문직은 국가교육과정이 관료 및 전문가 독점의 거버넌스로 이루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내용을 포함한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자율성과 시·도교육청의 권한 확대 필요성에 대한 동의 정도가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변화 방향은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참여 협력적 거버넌스와 국가-교육청-학교 간의 관계에서는 분산적 거버넌스 구축에 둘 필요가 있다. 다만 지역 간 교육과정 수준과 범위의 격차 및 단위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에 대한 교육청의 관리·통제 강화 가능성에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산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위해 교육내용(성취기준 등)을 포함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권을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 이동시킬 것인가의 정책적 검토와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 모색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추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한 시·도교육청의 지역교육과정 개발의 기반 조성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Korean school curriculum govern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participants on curriculum governance were analyzed through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curriculum governanc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urriculum governance composed of institutional level, participation structure of decision-making, and curriculum elements was derived. The result of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recogniz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was governed exclusively by bureaucrats and expe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nsent to the need to expand the initiatives of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school in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was very high.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curriculum governance in Korea needs to be plac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establishing de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남진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is implemented from 2014 at high school, is applied to the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his study analyzed anticipated influenc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n the CSAT mathematics. First, the content, terms and symbols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 the content area of the items in the 2009-2013 CSAT mathematic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considerable changes are inevitable in the 2017 CSAT mathematic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하 ‘2009 교육과정’)은 초 · 중학교에서는 2013년부터, 고등학교에서는 2014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된다. 이에 따라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2009 교육과정이 적용된다. 2009 교육과정에서는 기존 교육과정에서 다루던 내용의 구성이 바뀌고, 일부 내용과 용어, 기호가 삭제된다. 본 논문에서는 2009 교육과정이 수능 수학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의 변화를 분석하고, 2009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기존 수능 문항이 속하는 과목 및 출제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수능 수학 시험의 예상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 분석

        이주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역량이 도입된 이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교사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제로 개발‧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지원 방안과 차후 연구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6개 시‧도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의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경험한 주요 어려움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1)역량 개념의 모호성, (2)역량의 과다 및 역량들 간의 관계 혼란, (3)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자료 및 정보의 부족, (4)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 및 경험 부족, (5)역량 함양 활동으로 인한 기초 학습의 소홀에 대한 우려, (6)역량 함양 정도에 대한 평가의 어려움, 총 6가지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운영에 대해 논의하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및 후속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When the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been rising these days since competencies was adop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that teachers encounter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it was aimed a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rteen teachers were selected to be interviewed from ‘Research School'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six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After interviewing participants, major difficulti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blems experienced are as follows in the course tha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1) Ambiguity in the meaning of the competency, (2) Overabundance of the competencies and the confusion of relation between competencies, (3) Deficiency in practical inform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4) Lack of teachers’ comprehension and experienc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5) Concerns about neglect of basic academic area due to emphasis on competency, (6) Difficulty in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lan to suppor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교사와 교육과정에 대한 담론 고찰

        유성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scourses about teachers and the curriculum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To this end, in this study, discourses related to teachers and the curriculum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case of the West, where the discussion was made a little earlier than ours. As a result, the discourse on teachers and the curriculum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as the fiel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expanded from outside the school into the school. In this process, various teacher concepts that share the metaphor as a curriculum maker have emerged, revealing more closely and vividly what teachers do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than before. Next, the discussions with teachers in Korea regarding the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a policy-level discussion represented by the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decisions and a practical-level discussion triggered by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phenomen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ole, professionalism, and concept of teachers related to the curriculum are being diversified in Korea as the curriculum ecosystem has changed from central to local. Finally,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given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iscourses related to teachers and the curriculum are presented by classifying the teachers' curriculum behaviors, professionalism, and role dimensions. 이 연구는 교사와 교육과정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보다 조금 앞서 이와 관련한 논의가 이루어진 서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사와 교육과정 관련 담론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교사와 교육과정에 대한 담론은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장이 학교 밖에서 학교 안으로 확장되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연구자들의 관심은 자연히 교사가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발휘하는 전문성으로 향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사가 하는 일들이 이전보다 좀 더 면밀하고 생생하게 드러나며 사용-개발자, 연구자, 의사결정자, 개발자 등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메타포를 공유하는 다양한 교사 개념이 출현 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와 교육과정 관련 논의를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로 대표되는 정책적 차원의 논의와 교육과정 재구성 현상으로 촉발된 실천적 차원의 논의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역시 교육과정 생태계가 기존의 중앙 중심에서 로컬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교육과정과 관련한 교사의 역할, 전문성, 개념 등이 다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교사와 교육과정 관련 담론 형성 및 발전에 줄 수 있는 함의를 교사의 교육과정 행위, 전문성, 역할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김종윤,옥현진,조재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which is later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curricular of the national languages. The CCM framework consists of a “competency code” that presents OECD competencies and a “content code” that contain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degree of the competenci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curricular in terms of the OECD perspective. The result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foundational literacies of Korean were similar to the international national language curricular. Second, in the competencies of skills, attitudes and values, “problem-solving” and “learning about learning” were highe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n the OECD average, “critic thinking” was similar to, and “persistence” wa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Third, in terms of key concepts, both “student agency” and “co-agency” were highe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urth, “creating values” and “solving dilemmas” in terms of the degree of reflection of CCM framework competency related to transformational competencies, the Korean Languag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member countries in terms of “creating new values” and “resolving tensions and dilemmas” were higher but “taking responsibilities” were lower than the OECD countries. Fifth, the competencies in the compound literacies were also compared. These comparison results provide as reference materials that describes the suit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ntributes to future revis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2030s. Key 본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OECD가 새롭게 제안한 Education 2030 역량틀을 비교하는 교육과정 매핑(curriculum mapping)을 통해 우리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고,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로부터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교육과정 내용 매핑(CCM) 프레임워크에 반영된 국어과와 OECD 참여국의 자국어 교과의 역량 반영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소양은 국어과와 OECD 2030 역량 반영 정도가 유사하였다. 둘째, 기능, 태도, 가치 중 국어과는 ‘문제해결력’과 ‘학습에 대한 학습’에서는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으나, ‘비판적 사고’는 유사하게, ‘끈기/회복력’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개념 측면에서 국어과는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에서 모두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았다. 넷째, 변혁적 역량에서 국어과는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와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에서는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으나 ‘책임감 가지기’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합 소양 반영 정도에서 국어과는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팅 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에서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기업가 정신, 금융 소양, 글로벌 역량,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양’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낮았다. 이러한 비교는 추후 국어과 적용(활용)의 적합성과 정합성을 검토할 근거 자료, 현장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타당성 근거, 타 교과와의 융합 교육을 실시할 때의 근거,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추구하는 인재상, 핵심역량, 목표와 내용(성취기준) 등을 구체화하여 문서화하는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행 양상 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중심으로

        이주연,임유나,정영근,이경언,이민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innovativ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ts implementation for innovative school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a total of 1,992 responses from teachers working at innovative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nnovative schools followed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school curriculum well; furthermore, the opinions of members were reflect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a culture in which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ommunicate and negotiate. In addition, in the innovative school,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projects with integrated subjects, classes with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nd learning- and growth-oriented evaluation we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aspects of sharing,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were better realized at the lower school levels. Final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five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in the curriculum of innovative schools. 본 연구는 초‧중‧고 혁신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파악하고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향을제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 혁신의 핵심영역인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방점을둔 전국단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혁신학교 교사 1,992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학교에서는 전반적으로 자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을 잘 공유하고 있었고, 교사, 학부모, 학생이상호 소통하고 협의하는 문화 속에서 구성원들의 의견을 학교 교육과정에 원활하게 반영하는 양상을보였다. 또한, 혁신학교에서는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이루어졌고, 주제 중심 교과통합 프로젝트, 학생 참여와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수업, 배움과 성장 중심의 과정 평가가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공유, 참여, 소통, 협력의 양상과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행은학교급이 낮을수록 더 잘 구현되고 있었다.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원 측면에 있어서 교사들은담당 수업 시수 감축, 교과 학습 양과 수준의 적정화, 경쟁 중심의 입시제도 개선, 행・재정적 지원 강화,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자율성 확대 등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질적 성장을 위한 공공성의 가치 제고,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델의 다양화, 혁신학교 교육과정에 학교 인근 지역 및 마을의 지역성 반영, 교육활동 중심의 업무 체제 재구조화 및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 확대, 학교급에 따른 차별화된 혁신학교 지원 방안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