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고전문학 연구 동향 : 『어문론집』 수록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김용기(Kim, Yong-ki)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은 『어문론집』에 수록된 고전문학 관련 논문들을 통해 21세기 고전문학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21세기는 20세기의 마지막 시기 연구 성과와 방향을 이으면서 각 분야별로 완전히 꽃을 피운 시기라 할 수 있다. 여성주의 시각이 고전문학 전반에 정착하게 되었고, 국문 대장편소설연구 또한 양적, 질적으로 저변을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비문학 연구가 활성화 되었으며, 문화콘텐츠 분야가 하나의 독립된 학문적 분과로 공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고전문학 연구의 방향에 견주어 볼 때, 『어문론집』에서는 여성문학 내지는 여성주의시각을 다룬 논문들이 부족하다는 점이 발견된다. 또 국문 대장편 소설과 한문 장편소설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진한 편이다. 고전시가 역시 시조와 한시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 고대가요나 향가, 고려가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가사문학도 생소한 가사 작품에 대한 새로운 소개가 있는 정도이고, 학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고 깊이 있는 해석이 가해진 글은 발견되지 않는다. 비교적 학계의 흐름에 보조를 맞추어 가고 있는 분야는 설화(구비문학)와 민속학, 문화콘텐츠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학계를 선도할 만한 이론이나 내용적 깊이까지 충분하게 담보하고 있지는 않다는 느낌이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어문론집』은 중앙 학회의 흐름에 맞는 연구주제, 또는 유행하는 주제에 민첩하게 반응하고 활동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문론집』의 장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문화콘텐츠 분야나 민속학, 설화 분야는 더욱 다양화하고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학회 차원에서 장기 플랜, 또는 아젠다를 설정할 필요도 있다. 이와 더하여 비교문학을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고, 또 최근 학계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지역학’에 대한 관심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21st century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trend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that are included in 〈Umoonrongip〉. The studies of 21st century have flourished connecting to the results of 20th century studies. The works dealing with female viewpoints have roots on classical literature generally and the stud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have become active and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has planed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with dir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t was found to lack of researches about female literature or female viewpoints. The stud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Chinese full-length novels are not satisfactory as well. Classical poetry leans too much towards on Sijo and Chinese poem. The researches of ancient Gayo, Hwangka, Goryeo Gayo are extremely rare. The researches of Gasa introduced only unfamiliar works but few works were interpreted variously and deeply by the flow of academia. The areas of keeping step with the flow of academia are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folklore and culture contents. However, they are not enough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ory or cover the deep content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Umoonrongip〉 to react quickly to the popular research theme or the flow in accord with the central learned society. It needs to diversify and intensify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folklore and culture contents that are the strength of 〈Umoonrongip〉. Additionally, it needs to establish the long-term plan and agenda by the academic society and to activate comparative literature. Also, we should increase the interest of ‘regional studies’, the recent academic flow.

      • KCI등재
      • KCI등재

        국가 수준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

        신호철(Shin, Ho-cheo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본고에서는 국가 수준의 평가(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모의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대상으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1. 국가 수준 평가에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은 20여 년 동안 수능, 모의수능,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총 3084개 문항에서 34개 문항만이 출제되었다. 수능에서 11개 문항, 모의수능에서 17개 문항,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6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이 34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에서 26개가 한글 맞춤법 관련 문항이고, 8개가 표준어 규정 관련 문항이다. 특기할 점은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관련 문항이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2. 한글 맞춤법에서는 고쳐 쓰기에 결합된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단독으로는 합성어나 접사 등을 포함하는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이 4.5개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다음으로 한글 맞춤법 총칙과 관련된 것이 3개 출제되었다. 표준어 규정에서는 8개 문항 중 5개가 표준 발음법과 관련된 문항이다. 3.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대한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4단계의 단계별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곧 ‘단계 1 어문 규범 ‘총론’에 대한 원리 중심의 연계 교수’, ‘단계 2 원리 학습기반의 탐구 중심 교수’, ‘단계 3 실제 언어 자료를 활용한 보기/자료/답지 등의 상호관련성 해석 중심의 교수’, ‘단계 4 혼동 어휘 중심의 교수’가 그것이다.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 탐구의 과정이 배제된 채 결과의 내용을 추론하는 형태의 문항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원리 학습을 기반으로 한 탐구적 사고 과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탐구 중심의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실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 자료들을 ‘<보기>’의 대상으로 제시하고 이 자료의 정확한 해석과 그와 관련되는 언어 자료를 적용시키는 학습이 유용하다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혼동하기 쉬운 어휘들을 중심으로 학습할 것을 주장하였다. For this paper, I extracted certain test questions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alyzed them, and discussed th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20 years of questions papers, I selected 33 questions out of 2919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Pretests,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ut of the 33 questions, 25 are Korean orthography-related questions and eight are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related questions. Questions combined with rewriting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Korean educational norms. Of the eight questions based o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three wer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and five were related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law i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fou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principle-centered education linked, inquiry-based education, analysis of correlation-based education, and confusion-centered learning vocabul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오류 실태 및 교육 방안 모색

        김경열(Kim, Gyeongyeol)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료를 분석하여 어문규범과 문법 및 기타 부분에서 어떤 오류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 이에 대해 어떤 방법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것이 좋은지 그 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오류의 유형을 어문규범의 오류, 문법적 오류, 기타 오류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그 각각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론 부분에서는 기존 연구 성과를 살펴 본고의 목적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외국인 학습자 52명의 글쓰기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오류 유형을 어문규범 오류, 문법적 오류, 기타 오류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문규범의 오류, 문법적 오류, 기타 순으로 오류가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 부분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교수 방법 개발과 같은 교수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학습자 스스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그 어느 것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쓰기 부분에서 오류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학습자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materials of foreign learners, to identify frequently occurring errors in grammar, and to investigate how to effectively educate students to learn these grammar norms. The error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rrors of language norms, grammatical errors, and other errors. In the introductory chap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research. In chapter 2, the writing samples of 52 foreign learners are set as analysis objects, which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errors: errors of language norms, grammatical errors, and other err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errors in language norms a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grammatical errors and other errors. In Chapter 3, I attempt to find an effective method of education to address the three types of errors,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 2. Besides the role of the professor in developing various teach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effort of the learner in trying to minimize errors is the most important. Thus, the best way to reduce Korean writing errors is for learners to try to resolve the errors for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해방기, ‘낭만'의 시적 지향 ― 동인지 <낭만파>를 중심으로

        최석화(Choi, Seokhwa)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연구는 해방 직후 발간된 지방 문학 동인지 <낭만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앙문단 중심으로 함의되거나 순수/리얼로 구분되는 문학 담론을 지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낭만’은 새로운 시 형태를 추구할 때 소환된다. 1920년대 <백조>나 <폐허>가 그랬고 1930년 등장한 <낭만>지와 임화의‘낭만’역시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1946년 태동한 <낭만파>도 현대 감각으로의 시를 추구하는 시기에‘낭만’을 거론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이때의‘낭만’은 이전과는 다른 개념으로 정의된다. 먼저 이들은 퇴폐적, 폐쇄적인 낭만이 되지 않기 위해‘지성’을 발판으로 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문학이 정치나 경제에 예속되는 당시의 리얼리즘을 비판하며 포에지를 지키면서도 인민이나 근로 대중을 포함하는 시를 꿈꿨다. 현대적인 감각을 위해서는 생활어를 사용한 산문화된 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낭만파>는 1집이 소실되었지만 이후 발견된 2집에서 그들이 추구하고자 한 시 형태의 단초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4집에서는 어느 정도 시적 성취를 이루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하지만 3집부터 확대된 외연은 오히려 <낭만파>의 특징을 모호하게 하였고 4집으로 종간되어 더 나아가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이후 개별적인 활동을 이어갔던 조향이나 김춘수, 김수돈의 시 형태가 <낭만파>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이들의 노력이 무효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중앙문단의 이분법에서 벗어난 지방 문단에서 시작된 <낭만파>의 시적 지향이 이후 하나의 갈래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teer clear of those literary discourses whose implications concern the literary community in the nation’s center or that are categorized into belles-lettres or realistic literature by parsing Nangmanpa, a literary magazine published right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of Korea. Romanticism was summoned in pursuit of a new poetic form, as seen in Baekjo (“White Tide”) and Pyeheo (“Ruins”) in the 1920s and illustrated by the magazine Nangman (“Romanticism”) by Im Hwa that appeared in the 1930s. Nangmanpa (“Romantics”), which was created in 1946, was similar in that it broached Romanticism in an era that looked to poetry in a modern sense. However, Romanticism in those days was defined as a notion that set itself apart from earlier instances. First, the magazine asserted that Romanticism should be based on intellect to avoid becoming decadent and exclusive. Moreover, as it was critical of the contemporary realism that subjected literature to politics or economy, it sought poetry that included people or the working class all the while sticking to poesy. In pursuit of the modern sense, the magazin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prosodic poetry that employed ordinary language. Volume 1 of Nangmanpa was lost in a fire, but the second volume, which was discovered later, provided a clue to the poetic form sought by the literary circle. The larger extension that came with Volume 3 added to the ambiguous characterization of Nangmanpa, and the project halted when the publication was discontinued with Volume 4, which, to some extent, confirmed their poetic achievement. Nevertheless, their efforts did not go unrewarded, as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 poetic forms of Jo Hyang, Kim Chunsu, and Kim Su-don, who carried on with their individual literary pursuits, originated from Nangmanpa.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further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the poetic orientations of Nangmanpa, which arose in the local literary circle unveiling the dichotomy of the literary community in the nation’s center, went on to form a separate categ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