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시가 기요시(志賀潔)와 식민지 조선

        마쓰다도시히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 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 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 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 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 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 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 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 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 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 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 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 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 KCI등재

        志賀潔と植民地朝鮮

        松田利彦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시가 기요시(1871-1957)는 일본의 저명한 세균학자로 주로 1945년 이전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시가가 연구자로서의 인생 후반의 10여 년 간을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시가는 1920년에 조선총독부의원장(醫院長) 겸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서 조선에 건너왔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개교와 관련해서는 비록 실현은 하지 못하였으나 미국식 기독의학과 임상의학을 연계하려고 구상하기도 하였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장을 거쳐 1929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31년 총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조선에서 활동한 기간은 10여년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연구와 식민지주의라는 문제를 체현하는 인물로서 시가 기요시의 업적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가 기요시는 주관적으로는 가치중립주의적인 학문 태도를 신조로 삼는 학자였으나, 그가 속한 전염병 연구소(후에 기타사토연구소)는 실학적 지향이 강하며, 시가도 결핵과 각기병과 같은 국민병의 조사와 예방 캠페인을 통해서 사회와 접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가 본인 스스로는 순수한 학문연구와 국가공헌 이라는 양자 사이에 모순되는 바 없이 한결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식민지조선으로 공간을 옮기면 그러한 그의 생각이 지니는 정치성이 뜻밖의 곳에서 표면화된다. 시가는 조선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을 중시하며 조선인 의학자 육성에 힘을 쏟은 한편, 전통적인 한방의학 (의생)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교화의 대상으로 여겼다. 뿐 만 아니라,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일어난 구보사건(1921년)과 관련하여서도 일본인 교수의 차별발언에 조선인학생들의 항의에 대해서도 그는 끝내 조선학생을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시대는 한센병 연구에 주력하였으나, 한센병 치료를 둘러싸고 구미인 선교사와 조선총독부 간에 헤게모니 경쟁이 일어나자, 시가의 한센병 대책을 둘러싼 언설 또한 1920년대 후반 치료퇴원주의로에서 30년대 초 강제격리주의로 급전환하게 된다. 조선총독부의 한센병 대책과의 관련이 농후하다. Kiyoshi Shiga (1871-1957) was an eminent Japanese bacteriologist who built his career as a scholar before 1945. However, it is a very little-known fact that he spent ten years of his later life in Japanese-ruled Joseon. Shiga came to Joseon in 1920 as a clinical manager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also Principal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Although he did not complete his plan, he tried to connect American Christian medicine with clinical medicine when Gyeongseong Medical College opened in 1926. His career in Joseon ranged over 10 years; through the medical director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to its president in 1929; he retired as president in 1931. This study examines his achievements as a person representing issues about academic research and colonialism. Shiga thought his principle was value neutrality, but the direc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Institute (later the Kitasato Institute) he belonged to was very practical; he came to have a point of contact with society through research into national diseases like tuberculosis and beriberi, and preventive campaigns against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al nature that his thought implied came to the surface within the bounds of colonized Joseon in an unexpected way, though he himself believed that there was no contradiction between his academic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state. While Shiga regarded as important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edicine in Joseon and made every effort to foster Korean medical scientists, he considered oriental medicine (physicians of the traditional school) as a mere object of reformation. Furthermore, when the Kubo case happened in 1921 during his term of office, he could never understand Korean students’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professor’s discriminating remarks toward Koreans. Shiga focused on Hansen’s disease during his period at GyeongseongImperial University . When some hegemonic competition occurred between Western missionari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ver the treatment of Hansen’s disease, his comments on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showed a sudden change from the hospital treatment principle of the late 1920s to the forced segregation principle in the early 1930s. His involvement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s management over Hansen’s disease was quite substantial.

      • KCI등재후보

        한림 일본학DB <아사히신문 외지판 (朝日新聞外地版)> 기사명DB -1936.7~1936.12

        서정완,이의연,이준희,정용준,김정미,신가영,박정화,최형섭,황세림,김지영,김지혜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翰林日本學 Vol.0 No.18

        〈아사히신문 외지판 기사명DB〉는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일본학DB 사업의 하나로, 연구소장이 중심이 되어 기획, 추진하였다. 연구소 연구보조원들이 분류 및 입력 작업을 수행하였다. 1차 입력을 마친 후 두 차례에 걸쳐서 오타와 판독이 어려운 글자 등에 대한 자체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심재현 연구원이, 데이터 입력창의 개발과 관리는 최형섭 연구보조원이 담당하였다.

      • KCI등재

        ‘재특회’(在特會)의 역사수정주의와 우경화

        이규수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학 Vol.43 No.-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에 따라 일본에서 급격하게 부상하는‘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 모임’(在日特権を許せない市民の会, 이하 ‘재특회’)로 상징되는 배외주의 운동은 과연 어떠한 사회적 조건 하에서 확대되는 것일까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여기서는 ‘재특회’가 설립된 배경으로서의 90년대이후의 일본 사회의 우경화 현상에 주목한다. ‘재특회’ 현상은 일본 네오내셔널리즘이 보수 우파 정치인 집단 사이에서만이 아니라, 일반 민간인 차원에서도 확대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그들이 유포하는 혐한⋅배외주의는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여 정치적으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재특회’의 언설은 기존의 네오내셔널리즘이 주장하던 역사수정주의가 인터넷을 초월해 가두에서 ‘행동하는 보수’로 변용된 것으로, ‘재특회’라는 존재를 만들어낸일본의 ‘토양’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그것이 어떻게 ‘행동하는 보수’의 형태로 표출되는지 그 연속성을 중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재특회’는 재일의 형성과정에 대한 몰역사적인 인식에 기초해서 재일은 역사적인 피해자가 아니라 ‘일본에 체재하는 범죄자’ 주제에 특권만 누리는 위험한 존재로 간주한다. 재일의 특권문제가 발생하게 된 배경이 일본에서 전후 60년에 걸쳐 만연된 ‘자학사관’에 물든 극좌사상 때문이라 주장하며, 일본을 절대적인 악으로 간주하는 ‘가해자 사관’이라는 병적 망상을 극복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들은광기의 극좌사상을 배제하고 냉정하게 역사를 바라봄으로써 일본 국민의 불필요한 죄악감을 불식시키고, 이를 통해 조선 문제와 재일 특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변한다. 일본의 역사수정주의는 지식인 계층이 주도하는 시민운동이다. 넷우익은 이들의 영향을 받아 인터넷을 중심으로 배외주의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90 년대 이후 보수주의 이데올로기의 변화양상을 반영한다. 혐한⋅배외주의운동의언설은 90년대에 발생한 역사수정주의의 연장이다. 요컨대 역사수정주의는 자국의 역사 교과서를 개악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그 정통성을 둘러싸고 주변 국가와의 대립을 불러일으켰다. 주변 국가에 대한 적의를 발동시켜 일본에 거주하는70 일본학 제43집(2016.11) 외국인에 대한 혐오감으로 전화된 것이 그들이 주장하는 재일 특권의 프레임일것이다. 왜곡과 편견으로 점철된 ‘재특회’의 이데올로기, 그것에 영향을 받은 넷우익의감정적인 동의는 결국 일본의 보수화나 군사적 재구축화 논의를 수월하게 만들것이다. 일본 사회의 위기상황에 대처하여 자국사를 재조명하고 일본인으로서의‘긍지’를 되찾겠다는 명분에서 출발한 역사수정주의의 움직임은 일본의 ‘화려한부활’을 꿈꾸는 우파세력과 결부되어 있음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 ‘재특회’ 의 언설을 통해 표출되는 혐한⋅배외주의는 이러한 일본의 보수화를 상징한다. 왜곡된 역사인식을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받아들이게 될 넷우익=‘보통 일본인’의출현은 동아시아인 모두에게 특히 일본인 스스로에게 가장 커다란 비극의 단초가될 것이다. In this thesis, we consider the cross section of the Net right wing's anxiety and extravasation by systematically grasping the background and recent activities of the appearance of “Citizens' Association that can not tolerate privileges of Zainich(在日)”. In particular, here we focus on the right-turning phenomenon of Japanese society since the 1990s, a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Assembly”. The “Special Meeting” phenomenon is an example showing that Japan's neo-nationalism is being expanded and strengthened not only by conservative right-wing politicians but also at the general citizen level, and the anxiety ‡ emergencyism they are disseminating is ,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socially and to be utilized politically. In a nutshell, the discourse of “special society” is that the historical revisionism claimed by existing neo-nationalistism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onservative action” on the street beyond the Internet and is called “speci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ntinuity of how deep understanding of Japan's “soil” that created the existence and how it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ction to maintain action”. The historical revisionism in Japan is a citizen movement led by the intellectuals, and the net right wing has been influenced by these influences, since it developed the exclusionism movement around the Internet, since the 1990s It reflects aspects. Discipline of the exhalation movement is an extension of the historical revisionism that occurred in the 1990s. In short, the historical revisionism surrounded the legitimacy of not only worsening the history textbook of its own country but also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t is a frame of privilege in Japan that they assert that they turned into hostility towards neighboring countries and turned into an aversion to foreigners living in Japan. The slogans such as “opposition to free education of Korean schools”, “opposition to foreign ginseng administration”, “opposing the payment of welfare assistance for 72 일본학 제43집(2016.11) foreign residents”, “recapture of territory”, as claimed by the “Special Assembly” are so-called Although it is a common assertion of the right wing, “the special society” is called “acting maintenance” in place of saying the right wing by oneself. Actually, most of the members have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ight-wing and nationalist activities, mainly “Internet right wing slandering to Koreans in Japan” on the Internet.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n order to counteract nuclear power opposition actively occurred in various places, with a slogan such as “opposing nuclear power opposed” and “promotion of nuclear weapons”, demo demanding “strong Japan” and street propaganda I also actively went. These arguments lacked any historical recognition that Japan dominated the Korean Peninsula, nor responsibility as an imperialist state at all. The ideology of the “special society” spelled by distortion and prejudice, the emotional consent of the net right wing affected by it will follow Japan's conservation and military reconstruction. I would never miss seeing that the movement of historical revisionism departing from the naming of re-lighting the history of the country in response to the crisis situation of the Japanese society is associated with right wing forces dreaming of Japanese “brilliant resurrection” It will not. The emergence of the right net wing = “ordinary Japanese” which receives distorted historical recognition without any filtering equipment will become the biggest tragedy of all East Asian people, especially the Japanese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悩む·苦しむ」 に前接する格助詞の用例分析 - 名詞句と格助詞 「ニ·デ·ヲ」との関係を中心に -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고에서는 동사 “悩む(Nayau)”와 “苦しむ(Kurushiu)” 앞에 격조사 “ニ(ni), デ(de), ヲ (wo)”가 접속하는 용례를 코퍼스에서 수집해 분석을 실시했다.그 결과 ①조사 앞에 오는 명사구가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 “ニ(ni)”, 감정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デ(de)”, 직접적으로 감정을 나타내지 않으나 숨어 있는 감정을 읽어낼 수 있는 경우 “ニ(ni), デ(de)”가 접속한다. ②용법 면에서 보면 “목적, 상대”의 용법인 경우 “ニ(ni)”, “내용”의 용법인 경우 “デ(de)”가 접속한다. ③문장 구조상, “고민, 고생”하는 주체와 그 원인이 되는 대상의 주체가 동일한 경우 “ニ(ni)”, 동일하지 않은 경우 “デ(de)”가 접속한다. ④문장 구조상, 조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デ(de)”와 “ニ(ni)”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⑤“ヲ(wo)”는 일반적으로 “ニ (ni), デ(de)”가 접속하는 문장에서 “높은 주체성(의지, 적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per usage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particles connected before the verb “Nayamu, Kurushimu”. Examples obtained from “BCCWJ :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sortKWIC” and “BNAnalyzer” are used for analysis of examp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le “ni” is used for words expressing emotions. Particle “de” is used for the words expressing causes. Secondly, for purpose and opponent usage, use “ni”. For contents usage, use “de”. Third, if the subject is the same, use “ni”. If the subject is different, use “de”. Fourth, when representing a strong will, use particle “wo” rather than “ni, de”. Fifth, if both “ni” and “de” can be used, one particle is optionally us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p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