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음악과 신학의 이해

        권지원(Kwon Ji Wo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과 학문 Vol.26 No.-

        바흐는 바흐연구가들과 특별히 독일 음악연구가들에 의해 위대하고 새로운것을 창조하고, 변화와 혁신의 음악 역사를 새로 쓴 천재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음악 요소와 작곡 방식이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다양성과 몰입의 결과로써 현시대에까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바흐의 다양한 음악 장르 안에는 신학적 의미가 있으며, 당대의 신학적 흐름과 더불어 바흐 개인의 신앙의 방향성이 담겨있다. 루터는 바흐에게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며, 음악과 신학을 한 연장선에서 바라보고 예배 음악에 대해 정의 내릴 수 있는 신학학자이자 음악가라고 본다. 이 글에서 루터와 바흐의 접점을 살펴보았고, 그들의 신학적 견지를 이해함으로써 음악과 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선구자로서의 두 인물이 상징하는 바를 예술 안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Bach is regarded by Bach researchers and especially German music researchers as a genius who created new and great innovated music, changing and rewriting music history. Bach’s music has great implications even to this day because the elements of his music and the way it is composed are the result of diversity and immersion that no one else could imitate. There is a theological significance within Bach’s various musical genre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Bach’s individual faith in addition to the current theological trend. Luther had profound influence on Bach in the way he saw music and theology, and his worship music can be extended and defined in a perspective of theologian and musician. In this article, we are able to see the interface between Luther and Bach, and by understanding their theological point of view, we tried to present in art what the two figures as pioneers who opened up new horizons of music and theology.

      • KCI등재후보

        대학생용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 개발 : 삼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정성진(Chung, Sung-Jin),박희성(Park, Hee-Sung),최혜빈(Choi, Hye-Bi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학문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삼육대학교 재학생들의 인성교육 효과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육대학교의 교육이념을 재개념화하여 보편적인 인성교육의 영역과 차원을 연결시켜 측정도구의 구조를 4영역(도덕적 인지, 도덕적 정서, 도덕적 행동, 영적 요소)과 2차원(개인적, 관계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한 인성 요인들을 4영역 2차원에 배정하면서 통합 및 정리하여 자기이해, 양심, 타인이해, 공동체의식, 자기존중, 인내, 공감, 자비, 자기관리, 책임, 소통, 돌봄, 기독교 세계관을 하위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하위요인의 조작적 정의에 부합하는 기존의 척도 문항들과 새로 개발한 문항들로 예비문항 130개를 만들고, 삼육대학교 재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58문항으로 정리하였다. 넷째, 개발된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내적 일치도 계수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measuring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on Sahmyook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y reconceptualizing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Sahmyook University and linking the domains and dimensions of universal character education,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ool is divided into 4 domains (moral cognition, moral emotion, moral behavior, spiritual element) and 2 dimensions (personal, relational) was selected. Second, the character factor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re allotted to the 4 domains and 2 dimensions, and integrated and organized so that self-understanding, conscience, understanding others, community consciousness, self-respect, patience, empathy, compassion, self- management,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care, and the Christian worldview was selected as a sub-factor. Third, 130 preliminary questions were made from the existing scale questions and newly developed questions that mee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ub-factors, and the final questions were organized into 58 question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392 students at Sahmyook University. Fourt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Finally,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공회 공공신학의 역사와 최근 동향 연구

        이훈재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학문 Vol.34 No.-

        This paper aims to pursue the history and recent trends of Anglican public theology. The Anglican Church was political rather than religious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Anglican Church was a new Protestantism working with the government, the church members readily accepted the church’s social or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nglican Church in the colonies presented an indigenous path for the local community. The church embraced all the high church (Catholic), low church (Evangelical) and the broad church (Modernist) by emphasizing universality rather than specificity. The Anglican Church has consistent views and actions for the public good with people and organizations of different theological values. Towards the world, it became the leading denomination in the church unity movement for public goo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veal three important points in the field of public theology. First, the history of the Anglican church's birth helps to understand its present public theology. Second, theology emphasizing universality strengthens the publicity and public theology. Finally, public theology's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no excuse for giving up public good. 이 논문은 성공회 공공신학의 역사와 최근 동향을 추적하고자 한다. 성공회는 시작부터 종교적이기보다는 정치적이었다. 성공회는 국가와 함께 일하는 새로운 프로테스탄티즘이었기에 정치적 사회적 참여를 당연히 여긴다. 식민지에서의 성 공회는 그 지역 사회에 맞는 토착화된 길을 제시했다. 그 교회는 특수성보다는 보편 성을 강조하여 고교회(가톨릭주의자), 저교회(복음주의자) 그리고 광교회(현대주 의자) 모두를 포용했다. 성공회는 다른 신학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나 단체들 과 공공선을 위해서라면 일치된 견해와 행동을 해왔다. 전 세계를 향해서는 공공선 을 위한 교회일치운동에 선두적인 교단이 되었다. 이 연구는 공공신학 분야에 있어 서 세 가지 중요한 점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첫째, 한 교회가 태동하게 된 과거 역사는 그 교회의 공공신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 보편성을 강조하는 신학은 교회의 공공성과 공공신학을 강화시킨다. 마지막으로, 공공신학의 정치 참여가 공공선을 포기하는 데 대한 변명이 되지 않는다.

      • KCI등재

        연희전문의 역사와 학풍을 통해 본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정승우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8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기독교 대학들의 시대적 사명을 연세대 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의 역사와 학풍을 중심으로 살펴 보는데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위기에 봉착한 한국의 기독교 대학들이 지녀야 할 기독교 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거시적으로 성찰한다.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와 에비슨(Oliver R. Avison, 1860-1956)은 구한말 애국계몽기에 대학교육을 통해 무너져가는 봉건적 질서를 대체할 수 있는 근대적인 고등교육을 기독교적 정신에 입각해 실현하고자 했다. 이들은 에큐메니칼 정신에 기초하여 초교파적 기독교 대학을 설립했고, 봉건적 신분질서에 사로잡혀있던 조선 땅에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고자 했다. 한편 일제강점기에는 연희전문은 기독교 적 학풍을 민족주의와 연결시킬 수 있었다. 이 시기 연희전문에 기독교 교양수업과 채플을 정착시킨 인물은 미국 프린스톤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한 로즈(Harry A. Rhodes, 1875-1933) 선교사였다. 그는 당시 총독부의 사학법 하에서 정규교과로 서의 운영이 불가능한 성경교육과 채플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후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한 연전의 민족주의적 학풍은 정인보, 최현배, 백낙준, 백남운 등을 중심으 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항일 민족주의적 학풍은 1938년에 연전에 입 학한 윤동주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윤동주는 연희전문의 기독교 정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크리스천 대학으로 시작된 연희전문 의 역사와 학풍은 기독교적 정체성을 고민하는 이 땅의 기독교 대학들에게 기독교 고등교육이 민족의 역사와 어떻게 합류할 수 있는지에 관한 소중한 선례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miss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academic traditions of Yeonhee College, the predecessor of Yonsei University. 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macroscopically reflect on the meaning and content of Christian education that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facing various crises should have. 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 and Oliver R. Avison (1860-1956), during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established modern higher education that could replace the crumbling feudal order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They established an interdenomi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based on the ecumenical spirit, and wanted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Chosun, which was captivated by the feudal status order. During this period, the person who established Christian liberal arts classes and chapels in Yeonhee College was missionary Har ry A. Rhodes (1875-1933), who studied theol ogy at Princeton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He made Bible education and chapels possible, which were impossible to operate as regular subjects under the Private School Law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ince then, Yeonhee's nationalistic academic style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was naturally formed around Jeong In-bo, Choi Hyeon-bae, Baek Nak-jun, and Baek Nam-un. This anti-Japanese nationalistic academic tradition had a profound influence on Yoon Dong-ju, who entered Yeonhee college in 1938. Yoon Dong-ju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figure that symbolizes the Christian spirit of Yeonhee College. The history and academic tradition of Yeonhee College, which began as a Chosun Christian University, can provide a valuable precedent for how Christian higher education can merge with the history of the nation to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 KCI등재

        19세기 독일 신학자 알브레히트 리츨의 성서관 - 동시대의 슐라이어마허와 슈트라우스와의 비교 -

        진규선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학문 Vol.36 No.-

        This article analyses Ritschl's view of the Bible in the context of German theology in the 19th century. The doctrines of biblical inerrancy or of verbal inspiration have been the basis for the standards used to evaluate someone's views of the Bible. The theologians reacted, however, differently when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questioned by the academic advancement after the Age of Enlightenment. Ritschl was especially the most significant theologian in Europe following the Enlightenment. In order to explain how Ritschl views the Bible, this article compares and contrasts contrasts and compares him with two other contemporary theologians, Schleiermacher and Strauss. Schleiermacher recognized only the New Testament based on the common religious experience of believers, while Strauss regarded the Bible mythical and unreliable according to historical criticism. Ritschl critically accepted the contributions, religious experiences and historical criticism of both theologians. He saw the Old Testament as the background for of the New Testament, accepted the New Testament as records of Jesus relatively without distortion, and claimed that the Bible is a Christian scripture with religious values. This article present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h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authority and value of the Bible apart from the doctrines of biblical inerrancy or inspiration. 본고는 19세기 독일 신학의 맥락에서 리츨의 성서관을 분석한다. 성서무오 또는 축자영감 교리는 성서에 대한 누군가의 견해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표준의 기초였다. 그러나 계몽시대 이후 학문의 발전으로 성서의 권위가 의문시되자 신학자들의 반응은 저마다 달랐다. 특히, 리츨은 계몽주의 이후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신학 자였다. 리츨이 성서를 어떻게 보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본고는 그를 다른 두 명의 동시대 신학자인 슐라이어마허와 슈트라우스와 대조하고 비교한다. 슐라이어마허는 체험을 중심으로 신약만을 인정했으며, 슈트라우스는 성서를 신화로 규정하고역사적 검토에 따라 신뢰할 수 없는 책으로 보았다. 리츨은 두 사람의 기여, 체험과역사 비평을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그리고 리츨은 신약의 배경으로, 신약을 예수에 대한 증언으로 보고, 성서는 종교적 가치를 지니는 기독교의 경전임을 확립했 다. 본고는 성서무오나 축자영감 교리를 넘어 성경의 권위와 가치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신학적 관점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Developments of the Interpretation of ‘within the Veil’(Heb. 6:19-20) within Adventism

        지상훈(Jee, Sang-hoo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30 No.-

        This study traces the developments of four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within the veil’ (Heb. 6:19-20) with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nd explores their theological implications. The four different interpretations can be condensed as follows: (1) ‘into the Holy Place,’ (2) ‘into the Most Holy Place,’ (3) ‘into the whole heavenly sanctuary,’ and (4) ‘into the presence of God.’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understand the long-standing deba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phase ‘within the veil’ and its implications. This study will also help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heavenly sanctuary and the intercessory ministry of Christ in the heavenly sanctuary. The co-existence of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within the veil” calls for a thorough linguistic, typological,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y. 본 연구는 재림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휘장 안에”(히 6:19-20)에 대한 네 가지 서로 다른 해석의 발달 과정을 추적하고 각 해석의 신학적 함의를 고찰한다. 네가지 해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성소 안으로,’ (2) ‘지성소 안으로,’ (3) ‘전체적인 하늘 성소 안으로,’ 그리고 (4) ‘하나님의 존전 안으로.’ 본 연구는 ‘휘장안’이라는 표현의 해석과 그 함의에 대한 오랜 논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하늘 성소의 실재성과 하늘 성소에서의 그리스도의 중보 사역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재림교회 안에 “휘장 안에”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공존한다는 것은 보다 철저한 언어적, 표상적, 성서적, 그리고 신학적 연구를 요구한다.

      • KCI등재

        E. G. White의 인간 이해에 기초한 삼육(三育)과 삼육교육의 의미에 대한 연구

        김정미,김진섭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8 No.-

        본 연구는 한국 재림교회 교육의 근간이 되는 삼육의 의미를 재림교회 교육의 창시자인 엘렌 G. 화잇의 인간 이해에 기초하여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삼육교육 의 의미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삼육(三育)이란, ‘세 가지(三)를 기른다(育)’라는 의미를 가진 한자어로 그 세 가지가 지덕체, 또는 영지체 등 다양 하게 사용되고 있어 합의된 용어의 정의가 필요하다. 엘렌 화잇의 인간 이해의 핵심은 하나님의 형상이며, 그는 하나님의 형상을 신체적(physical), 정신적 (mental), 영적(spiritual) 영역의 세 가지로 정의하였으며, 이는 데살로니가전서 5장 23절의 영⋅혼⋅몸과 동일한 개념이다. 삼육(三育)을 정의할 때 재림교회 교육의 목적은 죄로 인해 타락한 인간의 본성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변화 이므로, 구속사업과 동일한 영적인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덕(德)보다는 영(靈)으로 용어를 통일하는 것이 적합하다. 인간의 정신적 측면에는 지성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서적, 의지적 측면이 포함되며, 이 세 가지 정신적인 영역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이기 때문에 지(知)보다는 지(智)로 정의하는 것이 적합하 다. 인간의 변화는 전인적으로 이루어지나 가장 먼저 변화되어야 하는 것이 ‘영’이 며, 변화된 ‘영’이 ‘혼’과 협력하여 작용하며 ‘혼’과 ‘몸’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삼육교육(三育敎育)을 지덕체(知德體)보다는 영지체(靈智體) 교육으 로 정의하는 것이 적합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Sahmyook, the Seventh-day Adventist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human understanding of Ellen G. White, the founder of Seventh-day Adventist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Sahmyook educ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Sahmyook (三育) is a Chinese term meaning ‘nurturing three aspects.’ There have been various opinions about what the three aspects are, so an agreed upon definition is needed. The core of Ellen G. White'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s the image of God, and she defined the image of God in three areas: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which is the same concept as spirit, soul, and body in 1 Thessalonians 5:23. In defining Sahmyook, the purpose of Adventist education is the transformation of sin-corrupted human nature into the image of God. Thus it is appropriate to use the term spirit rather than virtue because it has the same spiritual purpose as the work of redemption. The mental aspect of man includes the emotion and will as well as the intellect. Human transformation is a holistic process, but the first thing to be transformed is the spirit, and a transformed spirit can work in cooperation with the soul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soul and body.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to align the order of the spiritual, mental, and physical with the meaning of the order of human change.

      • 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의 계시 개념에 대하여 - 「현상학과 신학」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윤동민(Yoon Dongmi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 학문 Vol.24 No.-

        본 논고는 하이데거의 전기 철학에서 계시 개념을 해명하고, 특별히 현존재의 실존방식, 고지, 생기라는 세 가지 개념에 기초한 그의 계시 이해의 종교적이고 신학적인 함축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나는 하이데거가 계시 개념을 현존재와 관련하여 사용하고 있는 「현상학과 신학」을 단초로 삼아 『존재와 시간』의 맥락에서 그의 계시 개념을 분석한다. 그에 의하면 계시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로부터 고지되는 인간 현존재의 실존방식이다. 자기로 존재하거나 자기로 존재하지 않지만 자기로 존재해야 하는 존재방식을 가지는 현존재는 그의 실존을 그리스도로부터 고지 받는다. 여기서 고지는 현존재를 그리스도의 실존에 참여하도록 만드는 것, 현존재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실존을 함께 나누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 나눔은 그리스도의 실존을 단지 다수의 존재 가능성 중 하나로 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계시는 생기다. 즉 과거의 있었던 실존가능성을 전수받아 이를 현재의 자신의 단순한 하나의 본래적인 실존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에게 계시는 정보나 사실을 전달하거나 인격적인 지식을 염두에 두는 신의 자기고지가 아니다. 물론 감정적인 체험 또한 아니다. 오히려 계시는 그리스도가 보여준 저 실존을 오늘날 자기로 존재하는 단 하나의 방식으로 전유하는 역사적인 현존재의 실존적 사건이다.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concept of revelation in the Martin Heidegger’s early philosophy and then aims to show its religious or theological implications Heidegger understood the concept of revelation based on three kinds of concepts: the existing mode of the Dasein, the Communication, and the Occurrence. To this end, I will analyze the revelation concept in the context of Being and Time, focusing on “phenomenology and theology” that Heidegger is using revelation in relation to the Dasein. According to him, revelation is the existential way of human Dasein who are communicated from Christ on the cross. Dasein, who has a way of being that exists to be itself or not to be itself, but has to be itself, is communicated by Christ of his existence. Here the communication is to make Dasein participate in the existence of Christ and to share the existence of Christ. But this sharing does not mean that Christ’s existence is just one of the many possibilities of Dasein’s existence. According to Heidegger, revelation is an Occurrence. In other words, he receive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from the past and repeats it as a simple and original existence of the present. In this regard, a revelation for him is not God’s self-inform to convey the information or facts or to meet personally. Of course, it is not an emotional experience either. Rather, it is an existential event of a historic Dasein, which appropriate to the existence of Christ in the only way that exists to be itself today.

      • KCI등재
      • KCI등재

        종교 기반 전문대학의 종교 교육 - 어려움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 -

        정철민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8 No.-

        이 논문은 종교 기반 전문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종교 교육이 직면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고등 직업교육 기관으로서 이념을 실현하는 데 종교 교육의 관련 가능성 을 논의하였다. 최근 종교 기반 전문대학은 고등 교육기관으로 자유로운 진리의 탐구를 강조하거나 직업 교육기관으로 특정 분야의 직무 숙달을 강조한 나머지 설립 기반 혹은 배경이 된 종교 교육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종교 교육은 인성 교육과의 관련뿐만 아니라 직업인으로서 나아가 개인의 삶 전반에 걸쳐 진지한 성찰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종교 기반 전문대학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고등 직업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education related to realizing ideology as 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despite the difficulties faced by religious education conducted at religious colleges. Recently, religious colleges have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religious education as a foundation or background because they emphasize freely exploration of truth a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or job proficiency in certain fields as vo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religious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religious colleges and playing a role as 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in that it is not only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involves serious reflection on individual life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