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지평—『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전망에 부쳐—

        이상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논문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지령 100호를 맞아 이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어 연구가 어떤 경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한국어학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연구의 역사적 변천을 살핀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학 연구의 결실을 바탕으로 향후 『민족문화연구』의 미래를 위해 새롭게 모색해야 할 과제와 전망에 대해 ‘한국학 연구의 발자취와 새로운 방향 모색’이라는 주제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우선 논의의 전제로 ‘민족문화’와 ‘민족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문제를 간략하게 다루었다. 또한 본론에서는 한국학, 한국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성과를 시대별로 조망하였다. 1970년대 이전부터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그리고 201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어학적 성과를 전통적인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시대별로 두드러진 어학적 성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시대적 의미를 한국어학사의 시선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민연의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중심의 한국어학사이다. 물론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가 지난 60년의 한국어학사 전체를 대변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통해서 한국어학사 전체의 한 줄기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한국학으로서 한국어학 연구의 다양성과 확장을 보여주는 학술지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민족문화연구』). After identifying the Korean language as the national language that manifests the national culture, I discuss what has been done and what needs to be done more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studies. More specifically, I examine said papers based on different time periods: pre-1970s, 1970s, 1980s, 1990s, 2000s, and 2010s. The papers are then further categorized based on research trends and linguistic achievements, which in turn are evaluated within a broader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history. While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cannot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 is no denying that we can identify some trends by chronologically examining the papers. Overall,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of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evaluates the depth, diversity, and expansion of traditional Korean language studies.

      • KCI등재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고지혜 ( Ko Ji-hy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조지훈의 학술 활동을 조감하고 당대의 담론 지형 안에서 그 위치를 가늠해 보면서 ‘학인 조지훈’을 역사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4년에 조지훈은 단독저서 1권과 공동저서 2권을 출간하고 잡지 및 학술지에 3편의 논고를 발표 했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학술지 『민족문화연구』를 창간하고, 『한국문화사대계』를 기획 및 출간했다. 이러한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민족이라는 주체의 삶을 이루는 ‘거의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작업, 이른바 ‘학(學)으로서의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즉, 조지훈은 ‘민족지 구축’과 ‘민족문화사 다시 쓰기’라는 방법론을 통해 민족문화학을 세우고자 했는데, 이러한 작업의 배면에는 면면히 이어 왔어야 할 단일민족의 전통과 문화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1920년대생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언제나 ‘일본’ 혹은 ‘식민의 경험’을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에, 결국 조지훈이 몰두했던 것은 식민사학이 그토록 부정했던 ‘단일한 실체로서의 국가/민족’이 상정되고 작용될 수 있는 지식체계를 만드는 일이었으며, 이러한 ‘탈식민을 위한 욕망’이야말로 학인 조지훈을 추동하던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훈의 탈식민 민족문화학에 대한 구상은 식민지 조선학운동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특히 최남선의 학술적 작업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는 조지훈의 작업은 우리 민족문화(사)에 내재해 있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현시키는 학술 활동이야 말로 민족의 독자성과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전제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이기도 했다. 즉, 조지훈은 민족을 주체로 하는 ‘계보의 서사’를 상상하고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보편에의 충동, 달리 말하면 한국문화사/문학사에도 형이상(사상)이 있음을 증명해내고픈 욕망이 잠재해 있다. 이는 식민과 탈식민이 교차하고,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서 치열한 담론 투쟁이 일어나던 1960년대의 시대정신이기도 하며, ‘한국적인 것’을 탐구하고 찾아내야 했던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자기정립을 향한 의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cholar Cho Ji-hoo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by seeing the entire view of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60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arena of that time. In 1964, Cho Ji-hoon published one single-authored book, two co-authored books, and three research papers in periodical and academic journal, issued the academic journal Korean Culture Studies as the Research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and planned and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Civilization. His academic activities are converged into establishing the project of systemizing ‘almost all knowledge’ that comprise the life of ethnic group, so-called ‘national culture as academic studies’. In other words,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culture studies by ‘establishing ethnography’ and ‘rewriting national culture studies’. There underlain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radition and culture of a single race, which should have been passed on continuously, were not properly succeeded. Since the academic activities of Cho Ji-hoon who was born in the 1920s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either ‘Japan’ or ‘colonial experience’, he focused on making a knowledge system that can introduce and apply ‘country and race as a single substance’, which was totally denied by the colonial academia. Such a desire for decolonization was an impetus for him. When it came to study contents and methodology, he substantially succeeded the academic projects of the 1920s colonial era Joseonhak movement, especially Choi Nam-seon. Here underlain the thinking that academic activities succeeding and manifesting mankind’s universal value inherent in the Korean ethnic culture history is the project of identifying race’s identity and existence value. This wa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ntrinsic development which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late 1960s. In other words, Cho Ji-hoon aimed to conduct the work of imagining and creating ‘description of genealogy’ which became the root of nation. Here underlain universality orientation―desire to prove that metaphysics exist i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history. This is the spirit of the 1960s when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ombined and fierce discourse struggle took place in division and the Cold War and the will toward establishing oneself b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had to explore and discover ‘Korean things’.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 연구와 『민족문화연구』—『민족문화연구』를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동향—

        이만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is paper lay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academic practic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s been publish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To this end, first, the academic status which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ccounts for was analyzed through a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he Dong Bang Hak Chi, the Daedong Munwha Yeon'gu, and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by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since the 1950s or 1960s. As a result, unlike the Dong Bang Hak Ch and Daedong Munwha Yeon'gu, which attempted to form an academic network with countries around Asia,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intended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integrate and unit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which can be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Koreanology—within the magnetic field of ‘National Culture.’ Second, how research trends have changed by period was reviewed by diachronically examining the inclusion aspects by major and of modern literature papers, with respect to the papers included in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nographs fro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all papers included. It is interpreted that this could be the result coming out because of not only the absence of researchers capable of studying and lecturing on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and modern & contemporary history but also the lack of organization of related subjects, during the 1940s and 1960s, when many four-year universities were founded. In addition, the paper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re categorized by period, which were organized into “A perio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64-1979)—A period when the work theory and writer’s theory was established as a methodology for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80-1999)—A period when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were diversified (after 2000).” Through this, we reviewed the academic-history position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occupied for each period.

      • KCI등재

        미국적 가치의 대중적 수용과 통제의 메커니즘 : 1950년대 대중서사의 부부/가족 표상을 중심으로

        이선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4 No.-

        1950년대 전후 한국사회에서 미국문화는 전쟁의 고통과 이데올로기를 대신할 새로운 문화적 출구로 인식되었다. 미국문화는 미국영화를 비롯하여 미군부대의 미제물건 등을 통해 실감적인 것으로 체험되면서, 대중문화의 중심으로 자리잡는다. 이에 상응하여 이런 문화적 영향을 통제하고 조율하려는 담론도 공존한다. 개인의 자유를 비롯한 성적 자유를 주제로 한 여성문화의 변화를 통제하려는 문화적 상징들은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 논문은 1950년대 중 후반의 미국문화 수용의 양상과 미국문화를 조율하고 통제하는 문화적 상징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950년대 미국문화는 일상문화로서 전면적으로 영향을 끼치지만 대중표상으로는 조율/통제의 메카니즘이 강력하게 작용하여 이 문화적 영향을 한국적 맥락에서 재편한다. 이 과정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950년대 미국문화가 유입되면서 여성의 사회적 자기발견의 문제나 성적 자유가 가장 상징적으로 받아들여졌고, 연애와 결혼, 가족문화 영역에서 구체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가족문화의 변화는 기존의 가부장적 가족윤리를 부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거부감이 심할 수밖에 없는 분야이다. 새로운 문화현상으로서 자유를 통제하는 서사적 충동은 "왈순아지매"를 거쳐 "로맨스 빠빠"에 이르러 강력한 통제의 메카니즘으로 자리잡는다. 가부장의 권위를 중심으로 통합된 행복한 가족의 표상은 자유를 찾아 단독자가 된 개인 서사를 위험하고 불온한 것으로 의심하게 하는 규범으로 역할한다. 가족의 복원을 지향하면서도 개개인의 서사에서 출발하고 있는 『자유부인』과 같은 작품은 더 이상 대중문화적 상징으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1956년과 1959년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용한다는 측면에서는 전혀 다른 시기로 구분되어야 할 것이다. American Culture in the 1950s' was regarded as the exit. Koreans falled into despairs after the war, and they were interested in American Culture for gaining their feets. Koreans regarded American Culture as American Film, American fancy goods (comming from PX), and micellanious things for American life style. But most Koreans thought that American Culture was connected to American democray, for example, gender equality. Therefore, American Culture influenced the social reration and social consciousness. And then, the regulating mechanism for American Culture was formed in the same time. "Madame freedom"(novel), "Walsoon Ma"am"(cartoon), and "Romance Papa" (film) were the symbols of regulat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cceptance of Amenrican Culture and the meaning of regulating. First of all American Culture changed the female culture and life style. Women hoped to emulate American movie star, because they had lived not a person but a moral standard. Women hoped to love and marry according to their favor. Then love affairs, an idea of marriage, and family life changed in the city(Seoul). It could be evaluated that Korean female life style and family life changed to American democratic life style. But Korean morality became into conflict this American Culture. Korean morality, for example, paternalism began to regulate the new trend. "Madame freedom"(novel), "Walsoon Ma'am"(cartoon), and "Romance Papa"(film) were the representations of regulating. Especially Romance Papa became the symbol of democracy as the considerate and attentive "Father". The development of regulating American Culture was like the process exchanging American democracy to Korean democracy.

      • KCI등재

        특집 : 센티멘탈 이데올로기; "이광수"라는 과제: 개인, 국민, 난민 사이의 "민족" -이광수 「민족개조론」다시 읽기-

        김항 ( Ha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이 논문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1921)을 재독해함으로써 그의 ‘민족’ 개념이 국민이나 개인의 총체로 환원될 수 없는 독특한 것이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 개념이 1910년대 일본의 다이쇼 데모크라시 조류 아래에서 형성되었음을 논증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이광수의 ‘민족’ 개념은 개인이 국민이 되는 과정에서 겪는 근원적인 폭력에 바탕을 둔 정치의 층위를 말소했으며, 이후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이 쉽사리 국가 주도의 민족주의로 흡수되어 ‘난민’으로서의 민족을 사념하지 못하게 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민족 개념이 내포한 이런 특성들을 「민족개조론」에 내장된 분절점을 분석함으로써 규명했다. 그 분절점이란 이 텍스트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놓여 있는데, 전자를 특징짓는 제1차 세계대전 직후의 국제주의와 보편주의는 후자의 본론 부분에서 이론적 지주로 등장하는 르 봉의 심리학과 명백히 대립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르 봉은 이광수가 ‘개조’의 시대 정신이라 부른프랑스 혁명 이래의 평등주의, 국제주의, 보편주의에 노골적인 비난을 퍼부은 인물이며, 실증주의적 생물학의 성과에 힘입어 인종간 불평등과 문명-야만의 위계적 세계질서를 옹호한 인물이다. 그런 의미에서 「민족개조론」은 서로 대립되는 사상 조류를 하나의 논조 안에 마름질한 기이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광수가 이렇게할 수 있었던 것은 1910년대 일본에서의 르 봉 수용이라는 맥락 덕분이었다. 르 봉은 1910년대 일본에서 식민정책학의 맥락에서 수용되었으며, 그의 프랑스 동화주의 식민정책에 대한 비판이 일본 내 식민정책학자들의 이론적 논거가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제국일본의 동화주의를 비판하던 일본의 식민정책학자들은 반동화주의를 국제주의 및 보편주의의 입장에서 설파했다. 즉 프랑스에서는 반평등 및 반혁명의 식민정책학이었던 반동화주의가 일본에서는 평등과 개혁을 설파하는 식민정책학으로 굴절되어 수용된 것이다. 이는 천황의 지위를 철저히 탈정치화함으로써 민주주의를 문화적인 층위 속에 가두어 두려던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기본 인식틀에 기반한 것으로, 이광수는 여기에 힘입어 르 봉의 이론을 민족개조를 위한 논거로 차용할 수 있었고, 민족 개념을 철저히 탈정치화된 영역 속에 가두어 둘 수 있었던 것이다. 최인훈은 이런 이광수의 민족 개념이 한국의 민족주의가 내포하는 정치적 한계의 근원으로 작용했음을 인지하면서 국가와 개인으로 환원될 수 없는 난민으로서의 민족 정치를 되살리려 한 인물이다. 따라서 최인훈을 따라 한국의 민족 정치를 재전유하기 위해서는 「민족개조론」이 뿌리 깊게 남겨둔 민족의 탈정치화를 난민 형상의 정치화라는 계보를 통해 비판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In this article, Lee Gwangsu`s path breaking text Minjok Gaejoron(1921) is reexamined under the perspective from which a unique connotation of his concept Minjok can be problematized politically. His Minjok is diffeciated from both citizen and refugee. The former means some people who belong to a nation state legally, while the later digignate collective persons who have no place in a nation state.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Korean people`s legal positon were very ambiguous one because on the one hand they belonged to the Japanese Empire as subjects of the empror, but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ever legally admitted citizens of the nation state. Thus, colonial Korean people were situated between citizens and refugees, and Lee Gwansu`s Minjok, which was the name of the colletive identity of Korean people, should be analyzed in the context of their ambiguous political and legal positon. In the analysis under this presupposition, it is argued that the text consists of articulation of two different intellectual and political legacies which oppsite to each other. The introduction was dominated by the legacy of reformation inherited from the French revolution, while the main part of the text was strongly influenced by Gustav Le von who has been famous by his anti-Revolution political position. Le von supplied Lee Gwangsu the basis of the argument that Minjok could be reformed to catch up the western cilvilzion. Although Le von had argued that the unique trait of each nation could never be changed or reformed and the hierarchial order between civilzed nation and uncivilized was unabled to be overcome, Lee Gwangsu amazingly argue his faith to reformation of Korean people who had been thought of one of the most uncivilized nation in the world. How did Lee Gwansu articulate these two intellecual and political legacies? That is the influence of so called ‘Taisho democracy’ in 1910`s Japan. Under the influence of 1910`s Japanese intellecctual and political situatio0n, Lee Gwangsu could read, accept, and articulate the opposite legacies of the modern European thoughts. In the conclusion, his minjok de-politicized the imagination of Korean people`s self-identity, which has influenced Korean people`s cultural, political, and intellecual imagination of self-identity strongly until now.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

        ‘국학’에서 ‘한국학’으로, 새로운 진로의 모색—『민족문화연구』 한국사(전근대) 연구의 회고—

        오치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re-modern Korean history, focusing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Korean Cultural Studies” (RIKS) from its inaugural issue to the 99th issue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Korea University. This is intended to commemorate the publication of the 100th issue of RIKS and, on the other hand, to review 60 years of research history leading up to 2024, anticipating the 60th anniversary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4. Quantitatively, the review results show a total of 186 articles in the field of pre-modern Korean history, with 17 of them being data releases. When classified by field, there are 5 articles on archaeology, 7 on art history, 10 on folklore, and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there are 22 articles on ancient history, 22 on the Goryeo period, 18 on the early Joseon period, 76 on the late Joseon period, and 7 on the somewhat ambiguous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ith 2 on the pre-modern period. Among the 147 articles in the field of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era and topic, the most preferred topic by researchers is political history. In contrast, social history does not seem to be prominent, especially in the Goryeo period. Additionally, economic history is heavily biased towards the late Joseon period, except for one article on the Goryeo period,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elds. Next, the review of content and topics identified several research trends. Firstly, before the year 2000, foundational research laying the groundwork for Korean studies and various papers by scholars from diverse disciplin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were published. Critiques of the heteronomy and notion of stagnated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expressions of pride in Korean culture were emphasized. Secondly, since the 1960s,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at emerged while criticizing the heteronomy and notion of stagnated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iography has been critically inherited. Thirdly, around the year 2000, there was a shift in direction from ‘國學’ (national studies) to ‘韓國學’ (Korean studies). In addition, 18 special features and 31 studies related to pre-modern Korean history were conducted, and 17 resources were introduced under the title “Introduction to Overseas Korean Studies Materials.” 본고는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하는 『민족문화연구』의 창간호부터 99호까지의 논문 가운데 한국사 전근대사 분야에 한정하여 연구성과를 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것은 『민족문화연구』의 100호 발간을 기념하고, 한편으로는 1964년에 창간된 이후 2024년을 앞두고 60년의 연구사를 검토하는 의미도 있다. 정량적으로 검토한 결과 전근대사 분야의 글은 총 186편에 이르며, 이 가운데 자료해제는 17편이 있다. 논문을 분야별로 나누어 보면 고고학 5편, 미술사 7편, 민속학 10편이 있고, 한국사 분야는 고대사 22편, 고려시대 22편, 조선전기 18편, 조선후기 76편과 시기 분류가 다소 애매한 조선시대 7편, 전근대 2편이 있다. 전근대사 분야 147편을 대상으로 각 시대별, 주제별 분류 결과에 의하면, 연구자들이 가장 선호한 주제는 정치사이다. 국제관계사와 사상사의 경우 고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시기를 불문하고 비교적 고르게 관심을 받고 있는 반면에 사회사는 고려시대의 경우 보이지 않는다. 또한 경제사는 고려시대 1편을 제외하면 조선후기에 편중되어 있어 분야별 차이가 심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다음으로 내용과 주제를 검토한 결과 몇 가지 연구경향을 확인하였다. 첫째, 2000년 이전에는 한국학의 초석을 다지는 기초적인 연구, 전통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전공자들의 논고가 게재되었으며, 식민사학에 대한 비판과 한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 표출이 강조되었다. 둘째, 1960년대 이후로 식민사관의 타율성과 정체성론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내재적 발전론이 비판적으로 계승되었다. 셋째, 2000년을 전후로 ‘국학’에서 ‘한국학’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이밖에 전근대사 분야와 관련하여 18개의 특집, 31편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해외한국학자료 소개>라는 제목으로 17개의 자료 소개가 있었다.

      • KCI등재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강상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民族文化硏究 Vol.55 No.-

        본고는 중세적 정전 체계가 해체되고 근대적 정전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20세기 전반 고전소설이 봉건적 잔재로 부정적으로 인식되다가 점차 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민족문화의 유산으로 재평가되기에 이르는 과정, 곧 고전소설의 정전화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2절에서는 근대 이전의 정전 체계에서 소설이 지니고 있었던 위상에 대해 논의했다. 소설은 중세적 정전 체계에서 배제되어 엘리트층의 비주류 문화 혹은 여성·중하층의 통속 문화로서 존재했으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후자의 성격이 더욱 강화되어 갔다. 3절에서는 1900~10년대 들어 소설이 무지한 대중을 근대적 국민으로 계몽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진보적인 장르로 "재발견"되었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고전소설은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되기에 이르렀음을 검토했다. 이러한 고전소설 부정론은 여성이나 중하층 독자들을 계몽의 대상으로만 파악했던 계몽적 지식인들의 엘리트주의의 산물이지만, 동시에 식민화의 고착과 민족의 소멸을 타개하고자 했던 그들의 탈식민적 저항의 실천이기도 했다. 4절에서는 1920~30년대 들어 고전소설이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민족문화의 소중한 유산으로, 근대적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재평가되는 과정을 검토했다. 우선 이러한 인식의 전환에 앞서 주로 이방의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번역과 해외 출판이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식민지 지식인들에게 일정한 자극을 주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근대 초 계몽적 지식인들 가운데 드물게 고전소설에 관심을 보였던 인물로 최남선과 안확을 들고 이들의 국학적 고전 연구를 검토했다. 고전소설에 대한 본격적이고도 근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고전적 가치를 널리 인정받게 된 것은 1930년대 전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성제대에서 근대적 연구방법론을 익힌 김태준의 연구는 고전소설을 그 역사적 조건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그것을 현재적 맥락에서 재평가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전소설에 대한 근대적 연구와 재평가를 촉발하고 고무시킨 것은 1920년대 초반부터 거세게 불기 시작한 문화민족주의 바람과 그에 기반한 "조선학" 운동, 그리고 그러한 식민지 지식인들의 열망을 제도적으로 수렴하면서 근대 학문의 권위를 통해 그것을 지배하거나 학술계 밖으로 배제하고자 했던 일제의 "조선연구"였다고 여겨진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고전소설 연구의 학문적·제도적 기초는 "조선학"과 "조선연구"의 길항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the modern reperception and canoniz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 The Korean classical novel-it had been called Soso(小說) or Faeso(稗說) and so on- had been excluded in the medieval canon system, was present as non-mainstream or popular culture. The value of the novel was "rediscovered" and reassessed between 1894~1910. It was charged with the enormous responsibility of enlighting the nation. B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why it entangled the ignorant masses in blindness. Changing attitudes towards the Korean classical novel had to await the Korean Studies movement of the 1930's. This movement rose at the intersection of several trends that was prevalent in the 1920's~1930's; cultural nationalism, Marxism,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says such trends. Kim Tae-jun stood on the cutting edge of modern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in the 1930's. In his work of "History of the Korean Novel" he attempted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e-evaluation for some works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Kim Tae-jun's interpretation was one which brought theoretical tools to the then trend to publish classical novels; by doing so, he established them as canonical works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 ―민족 정신사 수립의 길―

        조형열 ( Cho Hyong-yer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자신의 학문을 민족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이해했던 조지훈은 신칸트학파의 영향 아래 한국학과 한국사 연구에 들어섰다. 한국사는 한국학을 구성하는 핵심이었으며 그의 실천의 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조지훈은 전통을 계승의 대상이자 가치 창조의 주체로 삼아 민족주체성을 바로 잡고자 했고, 한국사의 체계화를 모색했다. 또한 한국사의 독자성을 찾고 세계사와 견주기를 시도하는가 하면, 자연적·외적 조건에 인한 영향을 조화·융합하면서 한국사가 발전한다고 보았다. 원효의 철학과 동학사상을 이와 같은 전범으로 내세웠으며 한국사를 보는 주체적·개성적 시선을 갖는 것이 ‘한국적’ 방법이라고 집약했다.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 영역은 문화사, 그 가운데 정신사(精神史)에 해당했다. 그는 민족이 조선 세종대에, 민족의식은 왜란·호란을 거치며 형성된다는 것을 시작으로, 실학운동-홍경래의 난-삼정 소요-갑신정변-동학혁명-갑오경장을 통한 민족의식 발달사를 체계화했다. 또한 독립운동도 정신사의 범위로 끌어들여 3·1운동-6·10만세운동-광주학생운동 등 민중의 독립투쟁을 높게 평가했고, 사회주의도 민족의식의 범위 안에서 수용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조지훈의 한국사 서술은 민족의식에 절대성을 부여하는 규범적·윤리적 성격이 강했으며, 이는 사회 모순으로 인한 역사발전을 강조한 당시 소장 연구자의 내재적 발전론과 차이가 있었다. 조지훈은 한국학이 처음으로 공론화되던 1960년대 초에 한국사 연구를 통해 한국학의 역사적 흐름을 확인하고, 정신사 연구의 경험을 통해 한국학의 방향을 모색했다. 따라서 조지훈의 한국사 연구는 민족 중심 한국학과 민족문화운동의 설계도로서 의미가 있었다. Cho Ji-hoon, who understood his scholarship as part of the national cultural movement, began to study Korean history under the influence of neo-Kantians. Korean history was the core of Korean studies, and an important means of revealing his practical consciousness. Cho Ji-hoon wanted to make tradition the target of succession and the subject of value creation, and rectify the national identity, and sought to systematize Korean history. He also attempted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history and compare it with the world history, and believed that Korean history would develop through harmonization and convergence with natural and external conditions. He thought of Wonhyo’s philosophy and the thought of Donghak as examples thereof, and said in summary that having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istic viewpoint of Korean history is the ‘Korean’ method. The research area of Cho Ji-hoon’s Korean history corresponded to cultural history, and particularly, intellectual history. Having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ity under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during the Japanese and Manchu invasion, he systematize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Silhak Movement, Hong Gyeong-rae’s Rebellion, the Samjeong Riot, the Gapsin Coup, the Donghak Revolution, and the Gabo Reformation. He also inclu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range of the intellectual history, and thought highly of people’s struggle for independence, e.g. the March 1st Movement, the June 10th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tried to accommodate socialism within the scope of national consciousness. Cho Ji-hoon’s descrip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had a strong normative and ethical personality that gives absoluteness to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of the young researchers of those days who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history due to the contradictions in our society. Cho Ji-hoon verified the historical genealogy of Korean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in the early 1960’s when Korean studies came under the spotlight for the first time, and sought for the direction of Korean studies through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tellectual history. As a result, Cho Ji-hoon’s study of Korean history became the blueprint of the nation-centric Korean studies and national cultural movement.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한국 근대사 연구의 “문화사적 전환" : 역사 대중화, 식민지 근대성, 경험세계의 역사화

        허영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서구 역사학에서 신문화사(new cultural history)는 '문화적 영역'을 연구하는 전통적인 문화사와 거리를 두면서 문화적 '관점'에서 역사를 새롭게 해볼 것을 제안하며 등장했다. 그들의 연구를 통해 사회구조의 해명에 치중하느라 간과해온 생활세계의 의미망이나 그것을 전승하거나 재현하는 매체 및 형식 등 주관적 측면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도 '밑으로부터의 역사'에 대한 지향, 역사 대중화의 요구, 탈민족·탈근대의 역사학에 대한 모색 등 한국 근대역사학이 직면했던 현실적 고민들의 연장선에서 문화적 '관점'을 역사연구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나타났으며, 그것은 한국 근대사 연구의 '문화사적 전환'을 추동했다. 이 글에서는 시기적인 계열화보다는 방향성에 따른 계열화를 통해 그러한 시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그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990년 이후 본격화된 한국 근대사의 '문화사적 전환'은 세 가지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역사 대중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연구영역의 확장이다. 이 단계에서 개인이나 집단 주체의 미시적인 경험세계를 역사학의 연구대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다. 둘째는 식민지 근대성 담론을 제기하면서 근대 민족주의 역사담론의 해체를 시도한 것이다. 이것은 거시적인 역사담론 차원에서 탈식민·탈민족의 역사학을 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는 개별 주체의 경험과 정체성 문제 등 경험세계에 대한 역사화, 역사서술의 추구이다. 대상과 방법 등에서 한계가 많지만 이러한 시도는 점점 더 확대·심화되어 갈 것이다. 지금도 거시적인 역사담론을 둘러싼 논쟁이 문화사적 전환의 핵심에 놓여있다. 역사학은 과거의 사실로부터 진실을 추구하는 것이고 그것을 이야기로 구축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작업의 뼈대를 결정하는 역사담론은 당연히 중요하다. 그러나 과거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서, 과거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가 없이는, 비판적 역사담론 역시 힘을 발휘하기 어렵다. 역사서술은 과거에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근거로 이루어진다. 과거는 역사서술 이전에 혹은 그 바깥에 객관적으로 실존한다. 물론 과거 사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며, 역사학은 분명 과거에 대한 텍스트이자 사실적 허구이다. 또한 역사학은 역사적 사실 그 자체가 아니라 역사서술의 동의어에 가깝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있었던 그대로의 사실을 알 수는 없다'는 것과 '역사적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구별되어야 하며, 역사학은 그러한 '사실'을 존재 근거로 삼는다. 따라서 한국 근대사 연구의 문화사적 전환은 거시적 역사담론, 기억과 표상의 해석을 넘어 경험세계로서의 '과거'와 직접 대면하고 그것을 역사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적 시도 속에서 새로운 내용성을 획득해 가야 할 것이다. In the studies of western history a new cultural history has emerged, proposing a new look at history from a cultural "perspective" with some distance from conventional cultural history that studied "cultural areas," and highlighted anew subjective aspects that had been neglected, being focused on explaining a social structure including the network of meaning of the world of life, and the media and formats to inherit and reproduce it. It was in the 1990s that Korea started to introduce a cultural "perspective" in historical science in the line of the realistic worries facing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such as the pursuit of "history from the bottom," demand for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search for post-national and post-modern historical science. A "cultural turn" in 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can be reviewed in three aspects: first, there was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s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It is in this stage that the study of history began to accept the microscopic worlds of experience of individuals or groups; secondly, there was an attempt to deconstruct the historical discourse of early modern nationalism, raising discourse about colonial modernity. It was a pursuit of post-colonial and post-national historical science in the dimension of macroscopic historical study; finally, there was a pursuit of historicization and historical narration about the world of experience such as issues of individual subjects' experiences and identities. Even today controversy over macroscopic historical discourse stands at the center of a cultural historical turn. Historical science is a science to seek after truth in facts from the past and build a story based on it. Historical discourse determines a framework for such works and accordingly claims significance. However, it will not be able to exercise its power without concrete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past beyond a discussion about how to look at the past. Historical narrations are based on actual events from the past, which claim their objective existence before them or outside them. Of course, one cannot help admitting to the limitations with objective perceptions of facts from the past, and historical science delivers texts and realistic fiction of the past. However, there should b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re is no knowing of facts as they were ultimately"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historical facts." Thus a cultural historical turn in the studies of 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should move in a direction of facing the past as the world of experience beyond macroscopic historical discourse and interpretations of memories and symb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