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Oh, Cheong-Ah,Kim, Dae-Hoon,Oh, Seung-Jong,Cho, Hyun-Jin,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Bae, Jae-Moon,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literature report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in order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o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KGCA) and the Journal of Korean Surgical Society (JKSS) between 2001 and 2008 were compar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retrospective study, prospective study, case report, biomolecular study, genetic study, tumor marker study, review article, and report. Results: For recent 8 years, while the number of review articles in JKSS had initially increased, gradually fallen down and recently increased again, only a few (only 6 publications) in JKGCA have been published. The number of case reports in JKS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fallen down. On the other hand, a few of case reports (1~3 publications) has been annually published in JKSS. Uniquely, reports were published only in JKGCA with the noticeable in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2004 to 2005. For retrospective studies, in JKGCA the number started off very high and decreased, and finally increased again (U-shaped), whereas it had a bell-shaped trend in JKSS. The number of prospective studies in JKGCA had a bell-shaped trend, but the one in JKSS continued to decrease. Few papers of molecular biologic study, tumor marker study and genetic study had been published in both journal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ion from retrospective studies to prospective studies as well a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team management of a clinical research would represent a desirable strategy in gastric cancer research.

      • KCI등재후보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4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 2004년 전국 위암 등록사업 결과 보고

        대한위암학회 정보전산위원회,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대한위암학회 정보전산위원회는 국내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양상과 치료 방법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파악하고자 2004년에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들에 대하여 전국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에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들의 자료를 57개 병원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2002년에 보고되었던 1995년과 1999년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14개 항목(성별, 나이, 위암의 위치와 크기, 육안형, 접근방법, 근치도, 수술종류, 재건술, 국제보건기구 분류 및 Lauren 분류, UICC 병기분류, 전이 및 절제림프절 개수)이 분석되었다. 연중 시행하는 위암수술 규모에 따라 57개 병원을 네 군(1군, <100; 2군, ${\geq}100$ 및 <200; 3군, ${\geq}200$ 및 <500; 4군, ${\geq}500$)으로 나누어 임상항목들을 군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2004년에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들 11,293명의 자료가 57개 병원으로부터 수집되었다. 남녀비는 2.05:1(7,586/3,705)이었고, 평균 연령은 58.0세였다. 호발연령분포에 있어서 남녀 모두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조기위암의 비율은 2004년에 47.4%로 1995년의 28.6%, 1999년의 32.8%에 비해 증가하였다. 절제림프절의 평균개수는 34.0개(1군 32.8개, 2군 34.0개, 3군 36.1개, 4군 32.9개)였다. 결론: 조기위암이 1995년과 1999년에 비해 2004년에 증가하였다. 절제림프절 개수로 볼 때 위암 수술은 병원규모에 무관하게 적정 림프절 절제를 동반한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향후 이 보고가 위암의 진료 및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ical changes of gastric cancer in Korea, 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performed nationwide survey for 2004.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on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cancer surgery in 2004 were collected from 57 institutes and compared with those of 1995 and 1999 which were reported in 2002. Fourteen factors (sex, age, tumor location and size, gross type, approach to operation, radicality, operative method, reconstruction method, WHO and Lauren classification, UICC stage, and numbers of positive and retrieved lymph nod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nual number of gastric cancer operations, 57 institut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100; 100 ${\leq}$ group 2 < 200 operations; 200 ${\leq}$ group 3 < 500 operations; group 4, ${\geq}500$). Results: Data on 11,293 patients were collected. The sex ratio (M : F) was 2.05 : 1 (7,586/3,705). The mean age was 58.0 years old. The age of highest incidence in both male and female has increased recently. The proportion of early gastric cancer has increased from 28.6% in 1995 and 32.8% in 1999 to 47.4% in 2004. The mea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was 34.0 (32.8, 34.0, 36.1, and 32.9 for group 1, 2, 3, and 4 respectively). Conclusion: Early gastric cancer has increased in 2004 compared to 1995 and 1999. Gastric cancer surgery seems to be performed with acceptable quality in view of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s. These data presented in nationwide survey c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gastric cancer in Korea.

      •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서의 상장간막정맥(14v) 림프절 절제술의 적응증

        임정택,정오,김지훈,오성태,김병식,박건춘,육정환,Lim, Jung-Taek,Jung, Oh,Kim, Ji-Hoon,Oh, Sung-Tae,Kim, Byung-Sik,Park, Kun-Choon,Yook, Jeong-Hwa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1998년도에 제정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제2판에 따르면 원위부 위암에 있어 2군에 속하는 림프절 중 14v (상장간막정맥) 림프절도 포함되어 있으나 조기 위암에서는 14v 림프절의 절제가 제외되는 등 상황과 술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제되고 있다. 저자들은 원위부 진행성 위암에 있어 14v 림프절의 전이 정도를 조사하여 14v 림프절 절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 림프절의 절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외과 위암팀에서 원위부 위암으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수술장에서 육안적 소견으로 진행성 위암으로 판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일본위암학회의 위암취급규약 영문판 2판에 정의된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의 구획을 표기하였다. 각 림프절 구획의 위암 전이 여부를 확인하여 전이율을 계산하고, 6번 림프절의 양성율과 14v 림프절 양성율의 상관 관계와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여 14v 림프절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고 환자의 예후에 대한 장기 추적은 하지 않았다. 결과: 전체 환자는 5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6 ($30{\sim}80$)세, 남녀비는 1.63 : 1이었다. 47명(94%)에서 위원위부 절제술과 위십이지장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3명(6%)에서는 위원 위부절제술과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D2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 후 림프절의 전이율이 가장 높았던 림프절은 3번(위소만부) 림프절과 6번(유문하림프절)이 54%)로 가장높았고 14v 림프절의 전이율은 10%로 다른 2군 림프절 중 7번 9번 림프절의 전이와 비슷하였다. 14v 림프절 양성군과 음성군을 비교하였을 때 전이된 림프절의 수와(평균 25.4개 vs 4.91개, P<0.001) 6번 림프절의 전이된 림프절 수에서(평균 6.5개 vs 1.42개, P<0.001) 차이를 보였고, 14v 양성군은 UICC 병기 3기 이상으로 음성군에 비해 진행된 위암인 경우가 많았다. 결론: 위암의 상태가 진행되어 있고 6번 림프절이 양성일수록 14v 림프절로의 전이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수술장 소견에서 3기 이상, 6번 림프절이 양성일 경우 14v 림프절의 절제가 필수이다. 그러나 14v 림프절 절제의 유용성에 대한 판단은 14v 림프절 절제하지 않은 군과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재발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According to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apanese Gastric Cancer Association (JGCA) in 1998, in case of distal gastric cancer, the 14v (superior mesenteric vein) lymph node (LN) is included in the N2 group. However, in Korea, a modified radical gastrectomy is performed, and a 14v LN dissection is not done as a routine procedure. Thus, we investigated the rate of metastatic 14v LNs, evaluated the necessity of dissection of the 14v LN, and searched for indications of 14v LN dis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4 to August 2005, we enrolle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advanced gastric cancer in the distal third portion of the stomach. We peformed a dis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as defined in the 2nd English edition of the JGCA classification. We calculated the positive rate of metastatic LNs of each stat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rates of No.6 LNs and 14v LNs. We also compared the positive 14v LN group with the negative 14v LN group.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as 50, the mean age was 56 (range $30{\sim}80$) years, and sex ratio (Male/Female) was 1.63 : 1. In 47 (94%) cases, distal a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was done, and in the remaining 3 (6%) cases, a distal gastrectomy with gastrojejunostomy was done. The most frequently metastatic LNs were nos. 3 and 6 (54%). The metastatic rate of the f4v LN was 10%,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LN no. 9. In the comparison of the 14v positive group with the 14v negativ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metastatic LNs (mean 25.4 vs 4.91, P<0.001) and the numbers of metastatic no. 6 LNs, (mean 6.8 vs 1.42, P<0.001), and if no. 6 LNs were metastatic, the possibility of metastasis to the 14v LN was 19.2%. In the 14v positive group, all cases were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6th edition. Conclusion: In cases of advanced cancer with metastasis to the no. 6 IN, there was a good chance of metastasis to the 14v LN. Thus, in the operative field, if the tumor is advanced to more than stage 3 by the UICC classification and the no. 6 LN is metastatic, a 14v LN dissection is necessary. However, the usefulness of a 14v LN dissection should be evaluated prospectively through an analysis of tumor recurrence and long-term survival.

      •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강태호,안지영,김용석,최민규,노재형,손태성,김성,Kang, Tae-Ho,An, Ji-Yeong,Kim, Yong-Seok,Choi, Min-Gew,Noh, Jae-Hyung,Sohn, Tae-Sung,Kim, S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 Borrmann 제4형 위암은 일반적으로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orrmann 제4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를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 분석하고, Borrmann 제4형 위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수술 받은 4,416명의 진행 위암 환자 중 Borrmann형 분류 및 생존여부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3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TNM 병기 및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에 비해 위벽침윤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모두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았고, 근치적 절제술 비율이 낮았다. 5년 생존율은 Borrmann 제4형이 20.7%로 다른 형의 5년 생존율 53.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일 병기에서도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위벽침윤도,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치유도 그리고 Borrmann 제4형이 위암의 독립적인 예후 인자였다. 결론: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의 위암과 비교시 임상병리학적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동일 병기에서도 Borrmann 제4형 위암은 다른 형에 비해 낮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어 이를 고려한 예후 판단과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rognosi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ncer is poorer than that of the other gastric carcinomas. We compared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Borrmann type IV gastric cancer with those of other types of cancer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as a prognostic facto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TNM stage and survival rates of 4,389 gastric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manage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4. Results: Patients with a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 had a more advanced stage than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t the initial diagnosis, and the curative resection rate was lower.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V cancer was 20.7%, and that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cancer was 50.3%.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t the same TNM stage.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he depth of invasion, the nodal state, distant metastasis, the TNM stage, cur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in cases of gastric cancer. Conclusion: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 Borrmann type IV carcinoma has uniqu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he prognosis should be predicat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rrmann type IV qastric carcinomas and other types of gastric carcinomas, and multimodal and intensive therapies are needed in patients with a Borrmann type IV gastric carcinoma.

      • 대형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및 예후

        장유진,박중민,김종한,박성수,김종석,목영재,Jang, You-Jin,Park, Jung-Min,Kim, Jong-Han,Park, Sung-Soo,Kim, Chong-Suk,Mok, Young-Jae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수술 전 측정이 가능한 종양의 크기는 위암의 중요한 예후 인자로 생각되고 있으며 크기가 큰 위암은 주위 장기 침범, 광범위 림프절 전이, 원격 전이 등을 동반한 진행성 위암으로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양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대형위암의 임상 병리학적 분석과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3년 9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진단되어 절제술을 시행받은 2,2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을 장경 8 cm를 기준으로 대형위암 335 (14.8%))예 소형위암 1,925예(85.2%)의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대형위암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군 간의 임상 병리학적 인자들을 다변량 분석과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생존은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사용하였다. 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종양의 위치(P<0.001), 수술 방법(P<0.001), 근치도(P<0.001), 위벽침윤도(P<0.001), 림프절 전이(P<0.001), 분화도(P<0.001) 그리고 타장기의 합병절제율(P<0.001)이 두 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 대형 위암의 생존율을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로 분석한 결과 림프절 전이(P<0.001), 근치도(P<0.001), 위벽 침윤도(P=0.010), 수술 방법(P=0.018)과 나이(P=0.03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대형위암은 소형위암에 비해 진행된 소견을 보였다. 대형 위암에서 근치절제는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 근치적 절제를 위해 노력이 필요하며 근치적 수술 가능성에 대한 좀더 정확한 수술 전 병기결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umor size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the preoperative setting and 8 cm has been confirmed as a cut-off value for large gastric tumors with respect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tumors larger than 8 cm in diamet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2,26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gastrectomy from 1983 to 2001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or a comparative analysis we divided the cases into the large and the small groups according to tumor size. Th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large gastric tumors were analyzed by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 applie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we used P<0.05 as the cutoff value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disclosed that tumor location (P<0.001), resection type (P<0.001), curability (P<0.001), depth of invasion (P<0.001),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P<0.001), differentiation (P<0.001) and combined resection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dependent factors for survival identified by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for large gastric tumors were nodal status (P<0.001), curative resection (P<0.001), depth of invasion (P=0.010), type of resection (P=0.018) and age (P=0.033). Conclusion: Large gastric tumors showed more aggressive local findings than their smaller counterparts. In patients with large gastric tumors, a curative res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prognosis. Therefore, we suggest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do a curative gastrectomy and an accurate preoperative examination.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244-249)

      • 표층팽창형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유명,김병식,오성태,육정환,이창환,Yu Myoung,Kim Byung-sik,Oh Sung-tae,Yook Jeung-hwan,Lee Chang-hwa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조기 위암 중 점막하층 침윤과 림프절 전이가 많은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5cm 이상)은 다른 형태의 조기위암과 다른 임상병리학적 양상을 보인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 중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에 대해 임상 병리학적 특성과 수술 방법 및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단국대학교 외과학교실과 울산대학교 서울 중앙병원 외과학교실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 중 조직 병리 검사상 조기 위암으로 보고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875예의 조기위암 환자 중 표층 팽창형 조기위암 300예($16.0\%$), 소형 조기위암 739예($39.4\%$)를 대상으로 임상병리조직학적 소견, 수술방법, 생존율, 재발 양상 및 재발률 등을 후향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양 군에서 육안적 소견상 IIc형이 가장 많았으며, 융기형보다 침윤형이 더 많았다. 양 군에서 수술방법의 차이는 없었다. 점막하층 침윤정도는 표층팽창형군이 185예($61.7\%$)로 소형군 294예($39.8\%$)보다 많았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림프관 침범은 표층팽창형군에서 39예($13.0\%$). 소형군에서 34예($4.6\%$)에서 관찰되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9) 종양의 재발은 표층팽창형군 300예 중 11예($3.6\%$), 소형군 739예 중 10예($1.4\%$)로 두 군 간에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14). 전체 5년 생존율은 표층팽창형군 $84.8\%$, 소형군 $93.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052), 5년 무병 생존율은 표층팽창형군 $87.5\%$, 소형군은 $94.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3). 결론: 표층팽창형 조기위암은 점막하층 침범, 림프관 침범, 림프절 전이는 빈도가 유의하게 많았다. 따라서 축소 수술 등은 적응이 되지 않으며 충분한 절제연과 광범위의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has different clinicopathologic features from other types of early gastric cancer in terms of its invasiveness and lymph-node metastases. Therefore,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pathological features, surgical procedures and patients prognose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information was reviewed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during an 8-year period ($1995\~2002$)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and Ulsan University, with an average follow-up of 48 months. Three hundred (300) superficial spreading lesion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macroscopic type, lymph-node (LN) metastasis, recurrent pattern, survival rate and method of surgical operation. In addition,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739 other patients with small-sized cancer. Results: In both groups, the IIc-type macroscopic lesion, the elevated subtype to be more specific, occurred most freque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hod of surgery between the groups. The submucosal invasion was $39.8\%$ in small-sized cancer, and $61.7\%$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P=0.005). The incidence of LN metastasis was $11.3\%$ in early gastric cancer, $7.8\%$ in small-sized cancer and $20.0\%$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P=0.005). The incidence of lymphatic invasion was $4.6\%$ in small-sized cancer and $13.0\%$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P=0.009). The incidence of recurrence was $1.4\%$ in small-sized cancer and $3.6\%$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4.8\%$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and $93.0\%$ in small-sized cancer (P=0.052).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94.7\%$ in superficial spreading cancer and $87.5\%$ in small-sized cancer (P=0.053). Conclusion: The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tends to be more invasive and to show a higher incidence of lymph-node metastasis than small-sized early gastric cancer. A wide resection with extensive lymph-node dissection seems to be an appropriate treatment for a superficial spreading type of early gastric cancer.

      • 4기 위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

        김유석,김성수,민영돈,Kim, Yoo Seok,Kim, Sung Soo,Min, Young Do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목적: 최근 내시경 및 각종 영상진단 기술의 발달로 위암의 조기 발견 및 수술 전 병기의 진단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초진 시 진행 위암 상태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개복 수술 후 병리조직 검사에서 4기 위암으로 진단이 되는 경우도 있다. 4기 위암은 예후가 극히 불량하지만 임상 분석을 통해 적극적인 치료 효과에 대한 의의를 찾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위암으로 진단되어 개복수술을 받은 1,376명의 환자들 중 4기 위암으로 진단된 1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개복술을 시행 받은 4기 위암환자 150명의 평균 나이는 57.8세(28~93세)였으며 이 중 남자가 104명, 여자가 46명이었다. 119명은 위아전절제술 또는 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31명은 절제 불가하였다.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생존기간은 평균 722일(14일~4,559일)로 그렇지 않은 환자의 173일(16일~374일)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절제술을 시행한 4기 위암 환자를 TNM 병기로 세분하였을 때 T4 환자들은 33명으로 평균 생존일은 534일(17일~3,378일)이었으며, N3 환자들은 63명으로 평균 생존일은 521일(14일~4,190일)이었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98명이었고 52명에 대해서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생존기간은 각각 792일, 243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결론: 4기 위암에 대해서도 원격 장기 전이의 증거가 없는 한 확대 림프절제술을 포함한 근치적 위절제술과 항암화학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를 시도함으로써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Purpose: The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and accuracy of preoperative staging has currently been on the increase due to the development of endoscopy and imaging techniques, but there are still many cases of advanced gastric cancer detected at the first diagnosis and there are also many cases of stage IV gastric cancer diagnosed after a postoperative pathological examination. Although the prognosis of stage IV gastric cancer is very poo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use of aggressive treatment determined after a clinical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50 patients that were diagnosed with stage IV gastric cancer among 1376 patients who underwent a laparotomy for gastric cancer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2006. Results: Of the 150 patients with stage IV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laparotomy, there were 104 men and 46 women. The mean patient age was 57.8 years (age range, 28~93 years). A subtotal gastrectomy or 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in 119 patients and 31 patients underwent an explorative laparotomy. The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that underwent a gastrectomy and patients that did not undergo a gastrectomy was 722 days (range, 14~4,559 days) and 173 days (range, 16~374 days), respectively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atients that underwent a gastrectom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NM stage, the mean survival time of 33 patients with stage T4 disease was 534 days (range, 17~3,378 days) and the mean survival time of 63 patients with stage N3 disease was 521 days (range, 14~4,190 day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98 patients and 52 patients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The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that received chemotherapy was 792 days (range, 36~4,559 days) and the mean survival time of patients that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was 243 days (range, 14~2,413 day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If there is no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in stage IV gastric cancer, one can expect improvement of the survival rate by the use of aggressive treatment, including curative gastric resection with radical lymph node dissection and chemotherapy.

      •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안영재,오성진,송재원,강욱호,형우진,최승호,노성훈,Ahn, Young-Jae,Oh, Sung-Jin,Song, Jye-Won,Kang, Wook-Ho,Hyung, Woo-Jin,Choi, Seung-Ho,Noh, Sung-Hoon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다발성 조기위암은 전체 조기위암 중 4.5~11.7%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다발성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를 알아보고 치료방침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1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선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2,281예의 조기위앙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다발성 조기위암은 총 91예(4.0%)였으며 2개의 병변이 81예, 3개가 9예, 4개가 1예였다. 총 102예의 보조병변 중 64예(62.7%)는 크기가 10 mm 이하였으며 83예(81.4%)는 주병변과 같은 부위에 위치하였다. 가장 흔한 조직학적 분류는 분화형으로 52예(57.1%)였다. 점막암은 49예(53.8%)였으며 점막하층암은 42예(46.2%)였고 림프절 전이는 6예(6.6%)에서 발견되었다. 단발성 조기위암과 비교하였 때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발성 조기위암은 단발성 조기위암과 임상병리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생존율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다발성 오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조기위암의 치료지침에 준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조기위암의 수술 전후 잔위에 보조병변을 남기지 않기 위하여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Multiple early gastric cancer (MEGC) accounts for between 4.5% and 11.7% of all early gastric cancers (EGC). We investigated the treatment of MEGC from the viewpoint of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2,281 patients with EGC underwent gastric resection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11 years between January 1994 and December 2004 and we carried ou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atients. Results: There were 91 cases of synchronous MEGC (4.0%)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Moertel: there were 81 double, 9 triple and 1 quadruple lesions. Of the 102 accessory lesions, 64 (62.7%) were less than 10 mm in diameter and 83 (81.4%) were located in the same region as the main lesion. The most frequent histologic type of main lesion was a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hich was found in 52 cases (57.1%). There were 49 mucosal main lesions and 42 submucosal main lesions. Lymph node metastasis was detected in 6 cases (6.6%): 1 in mucosal lesions and 5 in submucosal main lesions Conclusion: Solitary EGC and MEGC had very similar clinopathological features and a similar prognosi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general EGC treatment guidelines can be applied for multiple EGC.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whole stomach before an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n after examining the resected specimen.

      • 조기 위암에서 CT Gastrography를 이용한 위점막 표면 거리 측정

        최향희,유완식,염헌규,이재혁,최재정,김희수,정호영,Choi, Hyang-Hee,Yu, Wan-Sik,Ryeom, Hun-Kyu,Lee, Jae-Hyuk,Choi, Jae-Jeong,Kim, Hee-Su,Cleary, Kevin,Mun, Seong-Ki,Chung, Ho-Yo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위암의 조기발견이 갈수록 많아져서 근래에는 수술 환자에서 조기위암의 비율이 50%를 넘고 있다. 그런데 조기위암은 수술 중 촉각이나 시각에 의해 인지되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으며 수술 전 위 내시경조차도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술 중에 절제범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이 연구를 통하여 1) CT gastrography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경계지점에서부터 조기 위암 병변까지의 생체내 실제의 표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2)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수술에서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술 전 복부 3차원 CT gastrography를 촬영하고 위 절제술을 시행한 60명의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남자 45명, 여자 1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8세였다.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은 5 Fr 비위장관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킨 후 시행되었고 이 영상은 절편 두께 0.625 mm의 thin section과 kVp:120, mAs:200의 low dose radiation의 Protoco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면거리 측정 소프트웨어를 Rapidia 2.8 CT 3차원 재구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3차원 볼륨 렌더링 및 조기 위암 병변에서 유문, 또는 분문까지의 표면 거리를 측정하였고,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술 전 생체 내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병소와 유문, 또는 분문 사이의 거리에 대한 병리 표본과 CT gastrography로부터 측정된 거리간의 차이는 $5.04{\pm}2.97\;mm(range,\;0{\sim}11\;mm)$였으며 CT gastrography에 기초한 거리측정은 병리표본에 비하여 18명의 환자에서는 더 길었고 3명의 환자에서는 더 짧았다. CT gastrography로 측정된 술 전 생체 내 표면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95, P<0.01).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해부학적 경계지점으로부터 조기위암 병변까지의 표면 거리가 CT gastrography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기법은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Recently, the incidenc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is rapidly increased in Korea. However, they're often not perceptible by surgical palpation or inspe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e a software that can locate the tumor and measure the mucosal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tumor using CT gastrography and 2) to compare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eveloped software with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September 2005, sixty patients (male=45, female=15, mean 57.8 years old) estimated for EGC with preoperative CT scans and undergone gastrectomie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e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after insufflations of room air via 5 Fr NG tube. The scans included the following parameters: (slice thickness/reconstruction interval: 0.625 mm, kVp: 120, mAs: 200). 3D volume rendering and measurement of the surface distance from the pylorus to the EGC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software. Result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s measured from pathologic specimens and CT gastrography was $5.3{\pm}2.9\;mm(range,\;0{\sim}23\;mm)$.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 measured from CT gastrography was well correlated with that measured from the pathologic specimens (r=0.9843,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rface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EGC can be measured accurately by CT gastrography. This technique could be used for preoperative localization of early gastric carcinoma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