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총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박창석,전영옥,조영국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2 國土計劃 Vol.37 No.6

        본 연구는 농촌어메니티를 농촌주민이 지닌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도시민이 보이는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대상)으로 볼 수 있고, 이러한 자원들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효용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자원적 가치를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둘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관계분석에서 전문가와 전체집단(전문가+농촌주민)의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자원 개발의 방향과 가치부여가 각 자원의 속성과 효용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농촌주민의 경우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해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거나 혹은 농촌자원의 가치평가가 정주거주성에 편향되어져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도시민의 관광자원화와 전문가나 전체집단의 순위상관관계수가 농촌주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간적, 경제적 제약이 있을 경우 전문가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관광자원 개발방향 수립이 타당성을 가진다.셋째, 농촌자원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각각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 Ⅰ은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의 중요도가 모두 평균이상인 기초핵심자원의 성격을 지니고, 유형 Ⅱ는 생활자원중심형으로, 유형 Ⅲ은 관광자원중심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Ⅰ∼Ⅲ에는 전체 자원의 62%에 해당하는 23개 자원이 포함되었다. 유형 Ⅰ에 해당되는 자원은 모두 최소한의 수준 이상이 되도록 고려하면서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앞서 살펴본 최소 23개 자원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 실태를 반영한 농촌자원에 대한 상대적인 존재 수준과 주민들의 이용과 관리, 보존의식 등에 대한 자료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농촌자원은 이용 및 소비 주체에 따라 각기 다른 가치와 개발방향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당 농촌자원에 대한 구체적인 가치를 정주기능과 관광적 입장에서 계량적으로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농촌자원을 실질적으로 이용하거나 소비하는 집단의 공간적 범위와 사회·경제적 특성을 규명하는 작업 또한 농촌자원 개발·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요구된다.

      • KCI등재

        지역환경정책에 대하 주민의 지지요소와 공분산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김미숙,정회성,최충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4 國土計劃 Vol.39 No.2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이 곧바로 지역환경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정책의 주요 주체들에 대한 평가와, 주민복지 측면에서 지역경제성장에 대한 평가를 거쳐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지역환경오염도로 표현된 지역환경에 대한 인식은 지방정부의 환경관리에 대한 평가와 지역에 입지한 기업에 대한 신뢰여부, 지역복지에 대한 판단을 거쳐 지역 환경정책에 대한 지지태도로 나타난다. 그리고 지역주민의 지역환경정책에 대한 인식은 나이, 교육정도 등 인구사회적인 변수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1 과 같다.본 논문에서는 설정된 5개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광양만 지역을 구체적인 사례지로 선택하였으며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항만재개발은 부산을 위한 기회인가 위기인가: 항만도시성장관점에서

        이성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7 國土計劃 Vol.42 No.4

        항만도시들의 독특한 항만도시성장패턴을 검토하였다 . 아시아 항만도시의 독특한 성장패턴은 도시구조 내에 글로벌 기능과 지역 기능의 조화에 기인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부산항 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부산의 항만재개발사업은 아시아 항만도시들의 글로벌과 지역 기능의 조화에 근거하여 부산의 경제적 , 공간적, 역사적, 환경적 포지션(position)에 대한 정확한 파악 후에 추진되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항만재개발 사업은 항상 성공하는 것이 아니며 , 일반 도시재개발보다 더 많은 장벽이 존재한다 . 과 도시의 통합 관점에서 세계도시들의 개발 결과물에 대한 벤치마킹이 아니라 부산과 비슷한 여건에 있는 항만재개발 사업의 글로벌과 지역 기능의 연계과정에 대한 벤치마킹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해외와 국내, 서울과 부산, 구항과 신항, 도심과 항만간의 관계에 대한 분명한 고찰을 통해 부산의 특성과 위치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 부산항 재개발사업은 맥락주의 입장에서 기존 도심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개발과 보존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고 , 지역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도시와 항만의 통합적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 KCI등재

        국토조사의 지표선정과 자료수집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범,이종용,안종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6 國土計劃 Vol.41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roposal for an effective national territorial statistics survey through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new and old survey. Improvement in the new survey is classified two aspects, that is, a concerns with national territorial indicator selections and data collections. In national territorial indicators,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upon concepts, methods of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indicators. This study proposes to build net national territorial indicator system, security on rationality and objectivity along with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approache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national territorial indicators, and presenting a basis of its classification. In concerns with data collection,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in data collection system and production period of its output. Another focu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building a database management team for the purpose of security on correctiveness and timeliness of database. One of the important role of the database management team is to build a linkage with another authorities. This research leaves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direct survey and utility parts in the national territorial statistics survey.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an effective operations of national territorial statistics survey. 키 워 드 국토조사, 국토지표, 자료수집Keywords National Territorial Statistics Survey, National Territorial Indicator, Data Collec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부동산 비기초가격과 부동산 신문담론의 시계열 관계 분석 : 서울 아파트 매매가를 중심으로

        홍지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3 國土計劃 Vol.58 No.3

        부동산 비기초가격에 대한 구체화된 접근은 정책적으로도 상당한 함의를 가진다. 부동산 가격이 기초가격에 의해 변동하는지혹은 비기초가격에 의해 등락하는지에 따라 관련한 정책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홍정의 외, 2022). 단순화하자면, 예를 들어 실질적(기초가격) 상승은 공급의 부족 차원에서, 심리적(비기초가격) 상승은 투기적 수요 차원에서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부동산 비기초가격이 어떤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지 파악하여수요자의 인식 구조를 보다 정확히 이해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종합적인 부동산 정책이 가능할 것이다(권순구·강명구, 2011). 본 연구는 서울 아파트 매매가를 중심으로 부동산 비기초가격과 부동산 신문담론의 관계를 분석해, 부동산 비기초가격에 대한추정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부동산 비기초가격에 대한 이해도를 재고하여 부동산 가격 안정화 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언론매체가 대중심리를 일정부분 주도하며, 이렇게 형성된 여론이 가격에 실질적 영향을 미친다는점에 착안하여, 부동산 신문기사 빅데이터를 활용해 부동산에 관한 비정량적 요인을 정량화한다. 이에 기초해 부동산 비기초가격과 부동산 신문담론의 관계, 나아가 부동산 비기초가격과 부동산시장에 대한 대중적 심라의 관계를 고찰한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