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류문화의 비판적 논점과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중심으로 -

        노상우(Ro Sang Woo),황혜연(Whang Hey Yeon),이진복(Lee,Jin Bok)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다문화사회가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다문화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류 문화중심의 동화주의적 시각, 포스트 식민주의 성격의 문제, 신자유주의적 세계시민주의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국내외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주류문화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되고 있는 소수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주창하는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철학을 통해 타자존중의 교육원리를 제시하고 그것의 다문화 교육의 철학적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타자존중의 다문화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대화적 교육방식과 책임의 교육원리, 그리고 타자 지향적 다문화교사상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통해 그동안 축적되어 온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새롭게 검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In a situation where a multicultural society is becoming more common, a philosophical approa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raising critical issues about the assimilationist perspective centered on mainstream culture i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e problem of postcolonialism, and the limitations of neoliberal global citizenship. The second was to present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respect for others through Levinas’philosophy of others, advocating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minority cultures excluded and alienated from mainstream culture, and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finally as a concrete practical wa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respect for other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onversational education method,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teachers’ model oriented toward others were presented.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newly review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a philosoph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교육위원회와 교육의원 제도에 관한 연구

        장윤이,고명석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교육정책의 형성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정책이 외부환경적 요인 및 행위자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큰 틀에서의 교육제도는 일제강점기, 미군정, 권위주의 시기의 정치적 결정, 민주화 과정 등의 정치적 환경, 소득수준 증가 및 교육수요의 확대라는 외부환경적 요인의 변화, 행위자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06년 도입된 교육의원제도를 2014년 일몰시키기로 결정한 2010년의 국회 정책결정과정은 역사적 흐름의 측면에서도 매우 이해하기 힘든 결정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후속적인 교육위원회의 구성이 결정되지 않은 채 폐지가 먼저 이루어 졌다는 점, 일방적인 정치적 판단에만 의해 폐지가 결정되었다는 점, 교육의원이 정치권의 영역으로 포함될 개연성이 높아졌다는 점 등 큰 문제점이 있는 정책결정과정 이었다. 지금까지 교육정책에 대한 연구는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하기보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 등 관념적인 이념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제는 제도가 실질적으로 어떤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교육계는 교육의원제도와 관련한 제도변화 전후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보완책을 제시하는 등, 합리적인 교육의원제도 정착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가르침과 배움의 여정으로서 자아성찰

        송재홍(Song Jae-Hong)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2

        제7차 교육과정에서 표방하는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교육체제’는 학교교육의 중심을 교과서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다양한 경험세계를 포괄하는 교육과정으로 전환함으로써 전통적인 지식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교교육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시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생활지도의 중핵적 활동인 상담과 교과학습지도의 중추적 활동인 수업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으며, 이제 우리는 교과교육과 상담의 경계 허물기를 좀 더 적극적으로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될 시점에 와 있다. 다시 말해서, 교실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하는 교육적 행위는 ‘공학적’이기보다는 좀 더 ‘상담적’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교과교육과 상담의 접목 가능성을 탐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먼저 학교교육 실제에서 전개되고 있는 가르침과 배움의 현상에 관한 개념적 사유의 틀을 다각적으로 논의하고, 학교교육과 상담의 본질 그리고 교과와 교과교육의 성격에 관한 몇 가지 가정을 제시한다. 이 글은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적 의미를 적극적인 삶과 자기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자아성찰의 여정으로 성격화하고 있으며, 교과교육의 기본적 성격을 교과학습을 통해 습득된 지식체계를 넘어서 삶의 주체인 자기의 완성에 필요한 자아성찰을 안내하는 체계적인 조력활동으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이 글은 또한 이처럼 가르침과 배움의 현상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사유의 틀에 기초해서 교과교육과 상담을 접목하여 학교교육의 본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 과제를 제안하고, 이러한 시도가 교과교육 실제에서 초래하게 될 변화와 향후 과제를 논의한다. The 7th curriculum has oriented toward the curriculum-based schooling system, in which the schooling is administrated by curriculum rather than textbook. This system tends to insist on its usefulness as well as knowledge. Recently, the counseling function is included in the teacher s role statement, and many teachers are required to spend some of the day in classrooms conduct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ounseling and guidance lessons. But many teachers have little opportunities to naturally contact with their students in and out of classroom. This is due in part to the lack of knowledge which they should have in order to cope with students inappropriate behaviors, but more importantly in part to the lack of time which they spend to meet with their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interweave some counseling programs with the classroom teaching of subject matter.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should be oriented to the counseling approach rather than the technological approach. According to this dem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with counseling program, and to suggest a new viewpoint of the education of subject matter. From this viewpoint, learning is viewed as the journey of self-reflection on the part of learner that lead to accomplish his or her self-actualization, and the classroom teaching of subject matter is supposed to be the human service that help the learner to connect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with his or her own experienc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integrative self-system. According to these premises, the author suggests the framework of thinking ab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ubject matter so called the rainbow learning process in which help the learner use the acquired knowledge of subject matter to organize his or her own experiences. Also, the author discusses some of results which this suggestion might bring to the teaching practice and/or the learning outcome, and recommends some of tasks that teachers should conduct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ject successfully.

      • KCI등재

        듀이의 경험교육론이 현대 청소년교육에 주는 의미 고찰

        임진옥(Lim Jin-ok) 교육종합연구원 2004 교육종합연구 Vol.2 No.2

        청소년기는 꿈과 이상을 갖는 인생의 황금기이고 그들은 우리에게 둘도 없는 귀중한 존재이며 우리는 그들을 올바르고 건전하게 육성해야 할 책임이 있다. 변화하는 사회적 필요에 부응하고자 하는 최근의 교육개혁안의 특징은 고정된 지식과 가치를 획일적으로 주입하는 기존의 권위적 교육방식을 지양하고 학생의 ‘경험’을 중요시했다. 듀이는 경험은 단순히 독단적인 정신작용에 반대되는 입장에 있는 단순한 감각적 기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인간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얻어진 지식이다. 이러한 경험은 이전 경험으로부터 어떤 것을 취하며 후속경험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경험은 삶을 의미한다. 경험의 연속성 속에서 생명이 유지되고 삶이 계속되며 청소년은 여러 종류의 경험을 통해서 지성적 습관을 형성해 가며 그것의 연속성이 청소년들의 성장을 이끈다고 보았다. 문제 청소년은 결국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교육결핍의 희생자이다. 따라서 청소년 교육은 청소년들을 기성세대의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 끌어드리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듀이의 경험교육론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에 입각하여 오늘날의 청소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것이 청소년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Adolescence is the time when adolescents make their own world-view and belief. For the future of one nation depends on how adolescent world-view and belief are, adolescence is the very important time of life. However, education for the contemporary adolescents faces very difficult situation because of the separ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rom the real life. This separation results from the knowledge-oriented perspective of traditional education; school forces students who have no interest in the present education to learn the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and, in response, students take very resistant attitude toward the school. So, most of the contemporary adolescent problem is due to the knowledge-oriented perspective of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speculate Dewey s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to acquire the cue for solving the contemporary adolescent problem. According to Dewey, experience is made from the interaction of trying and undergoing , that is, activeness and passiveness . When experience is made in continuity, one s self achieves growth. Dewey s concept of experience can be widely applied to family, school, society, and occupational circles where adolescents lead their life. The aim of education is to make development of society through each individual s self-growth. Adolescence is very important time as the starting point for self-growth, which means the destiny of one society depends on the present adolescents. After all, this study made discussions about all the conditions which adolescents need for their self-growth in the aspect of school, social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circles on the basis of Dewey s theory of experiential educat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전라북도교육청 미래교육 정책 운영 특성 분석

        유승민,심경은,조서영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미래교육 정책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통찰과 그 운영 특성을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을 대상으로 해당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미래교육 관련 자료 중 보도자료 29건, 미래준비학교 운영계획서 13건, 미래교육 관련 동향 분석 및 현안 보고서 10건 등 총 52건의 문서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라북도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의 최상위 주요 키워드는 ‘학생’, ‘교사’, ‘교육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성 지수 및 네트워크 지도를 확인한 결과, 보도자료에서는 ‘미래교육’, ‘교육과정’, ‘에듀테크’가 전북미래준비학교 운영계획서에서는 ‘수업’, ‘교육과정’이 미래교육연구원 탑재 자료에서는 ‘교육과정’, ‘학습’이 연결망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북도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운영상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몰입의 구조 관계: 성인학습자 특성의 조절 효과

        권인탁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몰입의 구조 관계와 성인학습자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육서비스 질,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몰입의 관계, 둘째, 교육서비스 질과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의 관계에 대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셋째, 성인학습자의 배경특성 따른 변인간의 조절효과 분석이다. 연구방법은 10개 평생교육단과대학에 재학하는 성인학습자 303명을 대상으로, SPSS 21.0과 AMO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 매개 및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육서비스 질은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육서비스 질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 배경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교육서비스 질,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몰입의 관계는 교육서비스 질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취업유무만 유의하였고, 그 가운데 취업자의 교육서비스 질에서 학습몰입으로 가는 경로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commitment recognized by lifelong education college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dult learne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s,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adult learners' learning flow, and thir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PSS 21.0 and AMOS 21 progra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mediation, and regulation effects between variables in 303 adult learners enrolled in 10 lifelong education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in lifelong education colleges affects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Second, it was found that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and learning flow in lifelong education colleg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colleges,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according to adult learn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the path from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of the employed to learning flow.

      • KCI등재

        사교육 과열지역 학부모들의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에 대한 반응 분석

        한신일,박진은,김현철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종합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전반에 대해 학부모를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한 후, 향후 사교육 관련 교육정책을 설계 및 집행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서울시내 과열 사교육지역에 소재한 9개의 초·중·고등학교 학부모 6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의 전반적 정책 효과는 특별히 높지도 않지만 낮지도 않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② 학교급이 낮을수록 전반적으로 정책 효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③ 정책들 가운데 공교육 내실화 지속추진 정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④ 방과후학교 또는 EBS강의와 같은 사교육 대체수단에 대한 정책보다 학원 수강료 표시제나 체감 학원비 모니터링과 같은 사교육 공급자 강화 정책의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⑤ 영어·논술 사교육 수요 완화와 입시제도 관련 정책 효과는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사교육 정책의 기획 및 실행을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양경화,이난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내용분석을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하고 향후 다문화교육 현장에 맞는 실제적인 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살펴보았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 6가지 추진과제를 다문화교육 현장의 실행과정에서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과 문화다양성 교육 및 다문화 교육 지원체제 3영역으로 통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정책은 보수적 성격이 강하며, [문화다양성 교육] 정책은 수용적 성격이 강하며,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정책은 변화・개혁적 성격이 강하며, 보수적 성격 4건, 수용적 성격 3건, 변화・개혁적 성격 3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J지역 교육청의 다문화교육정책은 보수적, 수용적 및 변화・개혁적 성격을 갖추고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보수적 성격에 집중되고, 변화・개혁적 성격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문화교육정책의 실제 학교 교육과정 속에는 타문화 이해, 평등, 상호이해와 존중 등의 명시적 안내만 있을 뿐 구체적인 정책들이 없으며, 다문화 관련 부처의 연결고리 부재로 인해 정책이 중첩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육영역에서 실제적이며 구체적이면서도 변화・개혁적 성격의 다문화교육정책이 구성되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어야 하며, 관련 부처의 연결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 currently in operation, and sought practical approaches suitabl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d the six key initiative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ese six initiative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egrating them into three areas: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analysis of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tegration revealed that the "Tailored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policy exhibited a conservative natur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olicy displayed an accommodating nature, and the "Support Syste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emonstrated a change and reform-oriented nature. In total, there were four conservative, three accommodating, and three change and reform-oriented initiatives. While J Regional Education Offic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encompassed elements of conservatism, accommodation, and change and reform, it generally emphasized conservatism, and the change and reform aspects often remained more formal than substantive. Additionally, within the actual school curricula, there were explicit guidelines such a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quality,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but specific policies were lacking. The absence of inter-agency connec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affairs led to issues of policy overlap.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ncrete, and chang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the education sector. Moreover, there is a necessity to establish a systematic inter-agency connection.

      • KCI등재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 실태와 개선방안

        이길재,서범종,박선주,이수경,나민주 교육종합연구원 2017 교육종합연구 Vol.15 No.4

        지방교육행정기관에 대한 조직 분석․진단은 2013년 총액인건비제 도입과 함께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자율적 조직 관리에 대한 책무성 강화를 목적으로 제도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연구는 최근 3년 간(2015년-2017년) 시행된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의 연도별 특징, 강조점, 조직 분석․진단 방법, 결과 분석을 통해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2013년 조직 분석․진단 체계와 지표가 개발된 이후 3년 동안 비교적 유사한 방식으로 조직 분석․진단이 진행되었으나 지표는 지속적으로 수정․보완되었다. 특히, 기관 운영에 관한 시도교육청의 자체 노력을 강조하는 2017년의 경우 조직 분석․진단의 방법과 결과가 기존과는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 분석․진단 관련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1) 조직 분석․진단의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2) 조직 분석을 실시한 후 의무적으로 조직진단을 실시할 것이 아니라 원하는 시도교육청이 있을 시 자율적으로 조직진단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3) 조직 분석 및 조직진단과 유사한 제도를 통폐합시켜 시도교육청의 업무를 경감시켜 줄 필요가 있다. 4) 시도교육청의 자율적인 조직운영 효율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지방교육행정기관 통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적 구조 전환 -‘고등평생교육체계’의 관점에서-

        양병찬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3

        오늘날 대학은 급격한 변화의 파고 앞에 서있다. 그 개혁 방향으로서 대학 평생교육의 전략적 위치는 어떻게 모색되고 있는가. 그간 급속한 고등교육 양적 팽창에 따른 후유증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국민의 전 생애에 걸친 ‘개방형 고등교육 체제’를 통한 성인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경로의 구축 및 제도적 연계화가 시급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단순히 대학 입장에서 ‘새로운 고객’을 찾아 입학 정원을 채우는 문제라기보다는 국가 차원의 고등평생교육 체제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 이에 이 연구는 고등평생교육체제라는 개념 속에서 한국 대학 평생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그 체제의 구조 전환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 한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고등평생교육체제로의 대학 구조의 변화이다. 둘째, 고등평생교육체제라는 변화 구조에서 중요한 것은 성인친화형 평생교육대학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미래의 고등교육은 학령기 연령뿐만 아니라 전생애적 주기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대외적으로는 지역사회와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고등교육의 구조적 개편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