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학생의 스트레스원, 인지정도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 간호전문대 학생을 중심으로

        박혜숙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essors and the perceived stress level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and through that to identify the ways in which they cope with it. Further the study tried to identify effective and positive ways to help them to cope with the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convenient sampling including 201 female Nursing Students of Sang-Ji Catholic College. The period of collection was from Oct. 4 to 23 in 1997. The data for frequency(%), Mean(SD), T-test, F-test, and reliability coefficient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ellows ; 1. The most frequent experienced stressors by Nursing Students were ranked 'frequent examinations(100% )', 'overlord of lectures(100% )'. 2. The most stressful stressors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were ranked 'frequent examination(4.22)', 'difficulty to elavate record(4.10)', 'fear of nursing licence examination(4.10)', 'backward record(4.10)'. 3. Total mean(SD) score of perceived stress level of subjects is 2.15(.55). The maximum score is 3.93 and minimum score is.34. 4. The comparison of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subjects with grade, state of tuition suppling,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satisfaction in their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5. For the ways to cope with these stressors,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used long coping(2.05) and short coping(1.58). 6. The comparison of the coping of subjects with grade, growth region, and motives of choice for the nursing colle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7. 1) The relationship of coping with the perceived stress level(total, clinical practice, home, friend relationship, self, fellowship with the other s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rt coping. 2) The relationship of coping with the perceived stress level showed no differences in long coping. 3) The relationship of coping to perceived stress level(total, clinical practice, home, friend relationship, fellowship with the other sex )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oping.

      • 行政事務監査의 效率性 提高方案 : 重複監査의 克服과 政策評價의 適用을 中心으로

        황영하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지방자치는 중앙정부의 통제와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자치단체와 자율적인 정책결정을 가능케하는 정치제도이다. 지방자치의 본래적 취지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정책결정권이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자치단체로의 실질적인 이양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자치단체의 정책사업이 순조롭게 집행될 수 있도록 재정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체계의 틀도 변화되어야 한다.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상부기관의 중복된 감사는 행정업무의 장애를 가져오는 동시에 지방자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지방 자치시대에 걸맞는 감사체계와 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종적·횡적 감사체계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감사내용의 중복성과 빈도 놀은 감사회수. 자체감사와 행정사무감사의 연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행정사무감사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만 모색을 통하여 이러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집행기관의 역할은 지방의회나 자치단체장이 결정한 정책을 실행에 옳기는 일이다. 정책의 기본취지를 정확히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이 정책집행의 핵심이다. 이러한 집행기관에 대한 평가·통제의 기능은 지방의회의 행정사문감사를 통하여 행해지게 된다. 지방의회의원들은 재선을 위해서 지역주민의 요구와 주장을 지역의 정책과정에 적극 반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행정사무강사는 지역주민의 관점에서 자치단체의 정책과정 전반에 걸쳐 평가와 통제를 행하게 된다. 지방의회의원은 차기 선거에서 재선출되기 위해 선거구민의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민의 감응적이다. 그러나 행정사무감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모든 분야에 걸쳐 전적으로 민의 감응적 태도로 일관할 수는 없다. 정책수립 및 집행과정에서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집행결과에 대한 평가 및 대안제시에 있어서는 합리성에 입각한 행정사무감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의 감사체계의 틀은 기본적으로 다음의 사항들이 반영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첫째,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상부기관의 감사, 특히 국무총리실감사, 내무부감사, 광역자치단체감사는 행정업무의 조정·통합적 기능과 기강확립기능에 중점을 둔 감사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감사원감사는 상위감사를 핵심으로 하는 감사체계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다. 기초자치단체 내의 감사기관에 대한 감사만을 행함으로써 과중한 감사업무로부터 벗어나 효율적인 감사를 행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복감사와 과중한 빈도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셋째, 기초자치단체의 자체감사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자체감사의 역할이 실질적으로 기능화함으로써 자율적인 감사체계를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전적·예방적·상시적 감사체계를 가동시킴으로써 정책집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행정사무감사를 실질적으로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감사기간을 좀 더 연장하여 실질적인 감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효성 있는 행정사무감사가 되기 위해서는 감사기능을 보강해 줄 수 있는 인력의 충원과 함께 지방의회의원들에 대한 연수가 강도 높게 행해질 필요가 있다. 지방의회의원들의 전문성 부족은 행정사무감사의 실질적 효용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입법 및 예산에 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의원들 스스로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다섯째, 기초자치단체의 자체감사와 행정사무감사를 효율적으로 연계시켜 집행기관에 대한 감시 통제 기능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자체감사와 행정사무감사에서 각기 중점적으로 취급해야 할 사항을 구분하고 이를 전문화 함으로써 감사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地方選擧制度의 一般的 考察

        김종덕,이승천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1.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지방의회의원의 선출방법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이하에서는 공직선거법이라함.) 제191조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있어서는 상대다수대표제를 채택하고 있으나, 주민의 정당성확보라는 측면에서 절대다수대표제의 도입이 필요하며, 또한 최고득표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연장자순에 의한 당선인 결정을 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진보적 이념을 표방하는 후보자가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층인 점을 감안할 때 합리적 근거없는 부당한 차별로서 평등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볼 것이다. 오늘날의 지방자치단체의 직무의 내용이 급변하는 사회변동에 대처하기 위하여 고도의 전문성이 요청되므로 일부 의원을 직능대표로 선출하는 직능대표제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지방의회의원의 정수와 선거구 현행 공직선거법 제22조 및 제23조에서는 지방의회의원의 정수와 관련하여 시·도의 경우는 시·군 및 자치구당 3인씩으로 하되, 인구가 30만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매 20만마다 1인씩을 더하도록 되어 있다(7만미만은 2명). 이 경우 서울특별시와 같은 경우는 비례대표를 합쳐 의원정수가 147명에 이르고 경기도의 경우는 137명에 이른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역시 읍·면 동마다 1인씩 선출하되 인구가 2만을 넘을 때에는 매 2만마다 1인씩을 더하도록 되어 있다. 최대정수를 50명로 정하고 있다. 따라서 광역의회는 효율적인 운영에 방해가 될 정도의 대의회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의원정수를 대폭적으로 줄이는 방향으로 개정될 필요가 있으며 기초의회 또한 마찬가지이다. 지방의원 정수문제와 함께 선거구 문제 또한 개정을 깊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현행의 제도는 소선거구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기초지방의회의 경우 읍·면·동마다 1인씩 선출하되 인구가 2만을 넘을 때는 매 2만마다 1인씩을 더하도록 하여 중선거구제적 요소를 가미하고 있으나 기본 골격은 역시 소선거구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선거구제는 주민과 지방의원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하는 등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는 지방의원들로 하여금 지역전체의 이익보다는 출신구역의 이해관계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되어 때로는 지역이기주의 문제와 연계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집행력을 약화시키기도 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전 구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하는 중선거구제(광역) 내지는 대선거구제(기초)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3. 중앙선거에 출마하는 지방선출직 공직자의 사직문제 공직선거법 제53조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원이 국회의원선거나 대통령선거 또는 당해 지방자치단체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와 지방의원 선거에 출마할 경우 선거일전 90일까지 그직을 그만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직을 이용한 선거운동을 막고 공직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이라 하겠으나, 이러한 규정은 지방정치인의 횡적이동과 함께 종적이동을 어렵게 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지방의회의 의원직과 자치단체장의 직은 그 자체로서의 의미도 크지만 정치적 충원과 관련하여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지방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직을 통해 중앙정치인으로 성장하고, 나아가서는 국가의 원수로 성장하는 일이 보편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으나 90일전의 사퇴규정을 두어 지방정치인 스스로 몸을 움추리게 하는 것은 중앙정치의 발전은 물론 지방 자치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법 제53조는 또한 선출직 공직자간의 형평의 문제를 제기하게 한다. 국회의원을 국회의원의 직을 가지고 다른 지역구에 출마하는 횡적이동과 대통령으로 출마하는 종적이동이 용이한데 비해 지방의원과 자치단체장은 횡적이동과 종적이동의 경우 모두 그직을 그만두어야 하므로 형평의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지방정치가 지니는 충원기능을 살리고 선출직 공직자간의 형평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 선거비용의 문제(선거공영제와 기탁금제) 1) 선거 공영제 오늘날 경제사회의 성장에 따른 선거구민들의 정치서비스에 대한 욕구증가는 필연적으로 선거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제121조는 선거비용의 제한을 총액제한방식으로 하여 산출기준을 법정화하고 있다. 따라서 선거비용의 제한액을 경제현실과 정치현실을 감안하여 현실화하는 것이 음성적인 선거비용의 지출을 차단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선거공영제의 확대실시를 통하여 후보자들의 선거경비에 대한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후보자간의 정치적 논쟁을 토대로 공정한 선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직과 예산규모를 확대하여 선거홍보물의 제작 및 배포·선거벽보의 제작과 부착·합동연설회 주관·방송출연 등 일체의 입후보자에 의한 대국민의사 표현을 선거관리위원회의 관리하에 행하면서 그 비용을 국고부담으로 하되, 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지 아니하는 선거운동을 입후보자가 할 수 없도록 금지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전면적인 선거공영제를 실시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직과 업무수행이 독립적이고도 중립적이어야 한다. 2) 기탁금제 공직선거법 제56조는 후보자들에게 일정한 기탁금을 요구하고 있는 바, 그 액수가 고액일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국민의 피선거권 내지 선거권을 침해함과 동시에 헌법상의 평등선거원칙에도 위배된다. 이에 따라 헌법재판소는 고액일 경우 헌법불합치결정을 내린 바 있어, 기탁금제도의 문제는 제도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과연 우리나라에서 기탁금제도가 필요한 것인가의 문제이다. 기탁금제도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후보자의 사퇴와 등록무효를 방지하고 일정 수 이상의 득표가능성이 없는 자의 입후보를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후보자의 난립으로 인해 국민의 의사가 분산되어 선거기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탁금제도의 그러한 목적은 통합선거법상의 벌칙조항이라든가 후보자추천제도와 선거소송제도의 합리적 운용으로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되므로, 젊을 층이나 기층민중의 이익을 대변하는 사람들을 그 경제적인 지위로 인하여 공직에의 입후보가 원천적으로 봉쇄시켜 버리는 기탁금제도는 폐지하고 오히려 선거공영제의 실시로 선거비용의 국가부담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 5. 선거운동의 문제 선거운동은 유권자와 입후보자의 의사소통의 장이며 곧 여론의 방향을 알 수 있는 터전이기도 한다. 즉 선거운동을 통하여 유권자와 후보자간의 동질감이 형성되고 여론을 수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선거운동은 과열, 타락선거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한(선거운동의 기회균등의 보장범위내) 이외에는 정치활동의 자유로써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직선거법은 제7장(선거운동)에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자의 범위와 선거운동방법 등에 있어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1) 선거운동 주체의 제한 선거운동에 대한 인적 제한으로서 공직선거법 제60조는 과거의 포괄적인 제한규정을 개정하여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으나, 제53조의 공무원 등의 입후보제한규정과 정당법 제6조 2호(정당의 당원이 될 수 없는 사립대학의 교원)와 관련하여 일정한 국민의 선거운동을 제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87조에서 사회단체의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는 것은 개인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으로서 자유선거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할 것이다. 2) 선거운동의 시간상의 제한 공직선거법 제59조는 시간상의 제한으로서 선거운동을 후보자의 등록이 끝난 때부터 선거일 전일까지 한정하여 사전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사전운동을 억제하는 것은 기존후보(내지 현직의원)에게만 유리하고 신인후보자의 선거운동을 방해하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어, 결국 후보자간의 불평등 선거를 초래하기 때문에 법정선거운동기간을 지나치게 짧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할 것이다. 3) 선거운동의 방법상의 제한 (1) 호별방문의 금지 공직선거법 제106조는 호별방문에 따른 폐해의 우려는 방문행위에 대한 일정한 합리적 제한과 선거인의 자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선거운동의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서의 호별방문을 전면적·일률적으로 금지하는 것은 선거과정에서의 국민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다. (2) 합동연설회의 횟수제한 공직선거법 제75조는 매회 37분의 범위내에서 각 선거마다 7-2회로 합동연설회를 제한하고 있어서 유권자가 후보자의 정견이나 인물됨을 판단하기에는 극히 부족하다고 판단되며, 또 제77조가 개인연설회를 허용하고 있어서 조직력과, 자금력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야당 내지 무소속 후보자에게는 결과적으로 연설회의 개최기회가 줄어들어 정당후보자와 무소속후보자간에 차별을 인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인정견 발표회라든가 좌담회, 시국강연회, 기타의 연설회에 대한 허용여부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 (3) 선거운동기구의 설치 제한 공직선거법 제61조 3항은 선거운동기구로 선거사무소와 선거연락소 이외의 운동기구설치를 제한하면서도 정당의 선거대책기구를 허용하고 있는 것은 무소속후보자와 정당추천 후보자간의 차별을 인정하는 것으로서 헌법상 평등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다. (4) 선거기간 중 일체의 집회금지 공직선거법 제59조는 선거기간 중 선거운동을 위한 일체의 집회를 금지하고 있으면서 정당의 경우에 제한적이나마(당무에 관한 연락·지시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원간의 면접을 허용하고 있는 것은 실질적으로 그것이 선거기간 중에 이루어지는 점에서 합리적인 근거를 잃은 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 4) 선거비용상의 제한 여기에서 주로 문제되는 것은 각종 기부행위의 제한 내지 금지의 문제이다. 공직선거법 제112조 내지 제117조에서는 기부행위 제한기간내 당해 선거에 관한 여부를 불문하고 일체의 기부행위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정치자금에관한법률 제12조에 해당하는 자로부터 기부를 요구하거나 그로부터 기부받을 수도 없게 하고 있다. 5) 지방자치단체장의 직무행위 제한 공직선거법 제86조 2항은 지방자치단체장직무행위를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지방자치 단체장이 직위를 이용하여 선거운동을 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으로 그 근본취지는 충분히 이해가 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행위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나머지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상적인 업무행위마저 하지 못하게 한다는데 있다. 특히 제4호와 5호에 속하는 사항으로 선거구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강좌와 체육대회, 사업설명회, 심지어 민원상담과 통·이장회의 참석조차 짧게는 47일, 길게는 77일간이나 못하게 하는 것은 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 자치단체장의 직무행위에 대한 이러한 제한은 이러한 사업의 수혜자인 지역주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국민의 행복추구권에도 저촉되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직무행위 제한기간을 제85조에서는 「선거기간 개시일전 30일부터 선거일까지」로 규정하고 있으나 제111조에서는 「선거기간 개시일부터 선거일까지」 시·도정 등의 활동보고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제86조의 행사와 제111조의 활동보고가 구별되지 않아 이 기간중 적법과 탈법을 가리기가 애매하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장의 활동에 대한 이러한 제한을 철폐 또는 대폭 완화하는 방향으로 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6) 단체의 선거관련 활동금지 조항 폐지 공직선거법 제87조는 "단체는 사단·재단 기타 명칭의 여하를 불문하고 선거기간 중에 그 명의 또는 그 대표자의 명의로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를 지지·반대하거나 지지·반대 할 것을 권유하는 행위를 할 수 없다"라고 규정함으로써 단체의 선거운동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이 역시 선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근본취지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정당에 의한 선거과정의 사실상의 독점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에 큰 문제가 있다. 관련단체나 특수 이해관련세력의 선거운동을 규제하는 효과는 있겠으나 시민단체와 같은 건전한 공익단체의 소극적인 정치기능마저도 규제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되는 것이다. 수면아래에서 활동하는 사조직이 제대로 규제되지 않는 현실에서 공익적 시민단체의 기능만 묶어 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지지"와 "비판"을 허용함으로써 이들 공익적 시민단체들의 건전한 참여기능과 비판기능을 살리고, 그를 통해 정당이 보다 건전한 시민정당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개정이 모색되어야 한다. 선거과열이 우려되는 경우 지지와 비판을 할 수 있는 단체의 범위를 한정시키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 청소년가출의 가족역동적 요인에 관한 연구

        남영옥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청소년 가출행동에 가족역동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여 청소년 가출을 가족역동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가출행동과 관련된 가족역동 변인으로 선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청소년 가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청소년 가출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이지만 주요 원인은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성원간의 정서적 유대의 단절,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빈곤, 가정에 대한 불만족, 가족 문화의 부재 등 가족기능의 약화 내지는 붕괴로 인한 것임이 본 연구를 통해 지적되었다. 청소년 가출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관한 청소년 설문조사에서 가정의 화목이 2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가정, 학교, 개인, 사회환경의 종합적인 노력이 15.3%, 사회환경의 개선이 14.5%를 차지하였다. 이것을 볼 때 안정되고 화목한 가정환경을 위한 노력이 청소년 가출예방의 최우선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내의 스트레스를 극소화시키고 문제가정에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와 더불어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그만큼 자녀들의 가출문제도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채 가출청소년이 자신들의 가정으로 돌아가게 될 경우 가출은 되풀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미국의 경우 26초에 한 명 꼴로 가출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대책의 일환으로 가출청소년에게 사회복귀의 기회를 부여하는 '커브넌트 하우스(Covenant House, 聖約의 집)'가 있다. 커브넌트 하우스는 뉴욕 최대의 청소년 대상 수용시설로 미국 전역에 광범위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약 1만 3천명의 청소년이 이 곳에서 새로운 삶을 꿈꾸며 재활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커브넌트 하우스가 다른 보호기관과 다른 점은 일시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버려지고 가출한 청소년에게 사회복귀를 가능토록 해주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우리나라도 커브넌트 하우스처럼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다양하게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커브넌트 하우스와 같은 보호시설이 아무리 훌륭하고 가출청소년의 재활의지를 북돋을 수 있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 할지라도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청소년 가출은 증가할 것이다. 즉 가정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가정의 붕괴로 인한 가출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 가출의 예방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가정에서 따뜻한 정서적 지지와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부모-자녀간의 명료한 대화와 은화한 가정분위기를 바탕으로 가족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족복지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실용적인 맥파변환기 개발

        이호재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This paper describes a development of two-model transducers(radial pulse wave transducer and carotid pulse wave transducer) for non-invasively detecting radial pulse wave and carotid pulse wave which need to study arterial pulse diagnosi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is transducer can detect continuity in real time arterial pulse wave and it can use semipermanent for a long time. The mechanism of transducer is composed of sensing mechanism, pressure sensor. The variation of arterial pulse pressure in sensing mechanism is converted to the electric signal by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 and it converted to the digital signal after preprocessing via ADC. The developed transducers be made an clinical experiment in analyzing a operation features, in detecting a valid component of arterial pulse wave. As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is superior to operation feature and that is a feature parameters in arterial pulse wave which detected by the developed transducer. This transducer can be helpful in quantify the aterial pulse diagnosis of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버디 할당 레지스터 파일 시스템

        조석한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Fine-grained multi-threading requires rapid context switching, which can be slow on architectures with register windows. In past, researchers have either proposed new hardware support for dynamic allocation of windows to threads, or have sacrificed fast procedure calls by fixed allocation of windows to threads. In this paper, buddy allocation file system, which retains fast context switching, is proposed. the evaluation shows that proposed scheme always does better than the other schemes. Some Implications for multi-threaded architectures are also presented. This paper presents 'buddy allocation register file', a mechanism that efficiently supports flexible partitioning of the register file into variable-size contexts with minimal hardware support. Since the number of registers required by thread contexts varies, this flexibility permits a better utilization of scarce registers, allowing more contexts to be regident, which in turn allows applications to tolerate shorter run lengths and longer latencies. It's experiments show that compared to fixed-size hardware contexts and register relocation, buddy register file allocation can improve processor utilization by a factor of three for many applications.

      • HPSG에 기반한 한국어 문장간 서술대용어의 復元

        김정해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HPSG문법에 기반한 서술대용어를 해결하려고 한다. 사람들은 대화를 할 때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염두에 두고 이야기를 진행한다. 이때 언어의 경제성 논리를 적용하여 같은 말을 중복하여 사용하기보다는 다양한 유형의 대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언어의 사용은 컴퓨터로 자연 언어를 처리하려 할 때 많은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용어의 해결 중에서 특히 문장간에서 야기된 서술대용어의 해결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 해결을 위해서는 HPSG에 기반한 파서를 통해 차트 자료 구조상에 보관된 자질 정보들을 이용하였고, 구문적이고 의미적으로 적합한 서술대용어의 선행어구를 추출하여 대용어가 있는 문장을 원래의 문장으로 복원하였다.

      • 유도전동기 위치제어를 위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퍼지-슬라이딩 모우드 제어기

        김덕헌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Recently, sliding mode control has been widely used in induction motor servo drives. It provides attractive features such as fast dynamic response, insensitivity to variations in plant parameters and external disturbance. However, one difficult problem for which the sliding mode controlled servo system has not yet been popular is due to chattering and long settling time. This paper presents a new fuzzy-sliding mode controller for a vector-controlled induction motor servo system not only to shorten the settling time but to practically eliminate the chattering problem. In conventional sliding mode strategy, the reference trajectory is linear function on a phase plane. Consequently, the variables are exponential function of time, which means that the slate may reach the origin very slowly. To shorten the flight lime, reference trajectory of fuzzy-sliding mode controller is nonlinear function on a phase plane. The basic idea of design method of fuzzy controller is described based on sliding mode control. The control is composed of equivalent control and switched control. To determine the switched control signal current, we use fuzzy logic method for chattering elimination. However, a systematic method for tuning the normalization parameters of fuzzy logic controller is not developed yet. In this paper, an auto-tuning method for fuzzy controller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is presented. To optimize the well-chosen objective function(fitness function), normalization parameters are transformed into binnary bit-strings which are Processed by the genetic algorithm. The servo system with the proposed control staregy was analyzed by simulation.

      • 회계이익구성이 정보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재문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재무이론에서 평가모델을 실증적 검증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킨 사람은 Miller와 Modigliani이다. M-M은 기업의 대체적 자본구조의 의미를 엄밀히 분석하고서 기업의 재무조달 의사결정은 투자의사결정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석적으로 입증하였고, 이를 기초로 불확실성 하에서 기업가치 결정문제로 발전시켰다. 그리하여 M-M은 이론적 평가모델을 완성하고 그들의 모델이 배당지급 및 현금에 기초한 이론적 평가모델과 같음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이론적 모델로부터 실증적 모델을 유도하고 하였다. 그리고 M-M은 기업들을 동일한 위험계층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기업의 기대이익을 그 기업이 속하는 동일한 위험계층의 동일한 할인률로 자본화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업을 동일한 위험계층군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이는 개별기업의 위험을 고려한 기업별 할인율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Litzenberger와 Rao모델을 이용하여 기업가치와 유형별 회계이익간의 관계를 회귀방정식으로 추정하여 유의수준과 설명력을 검증하였다. 이때 통계적 추정에 사용된 자료는 우리나라의 자본시장에 이미 생성된 자료를 이용하여 횡단면 분석을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 영업이익, 경상이익, 세전이익, 순이익 변수를 도입하고 위험 변수는 기업 지분의 장부가치에 대한 기업수익률의 표준편차와 개별기업의 주식과 시장 포오트폴리오 각각의 수익률간의 상관계수를 곱한 값이다. 또한 성장변수는 장부가치의 기대성장율로서 각각 검증하였다. 또한 산업효과의 존재를 알아보기 위해서 분산분석을 했다. 그 결과는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모두에 산업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검증결과가 산업간의 차이로 인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가설 1의 검증결과는 정통적 유의수준에서 귀무가설을 기각시키고 있다. 이는 곧 유형별 회계이익이 기업가치 평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87년과 88년의 검증결과에서 위험 및 성장변수의 부호가 기대부호와 일치하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는 87년 이후 증권시장의 과열로 인한 위험회피적이 아닌 위험선호적인 증권시장의 환경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추정치의 크기와 모델의 설명력, 유의성 등이 각 년도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분산분석에서 나타난 산업효과와 모델에 사용된 각 변수들 사이의 다중공선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2의 검증에서는 경상이익, 세전이익, 순이익의 설명력이 비슷하나 1985년을 제외한 4개년도에서 당기순이익의 결정계수가 높다. 이는 곧 투자자들이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서 회계이익 정보 중 당기순이익을 유용한 회계정보로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영업이익과는 정보효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88년과 89년의 결정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기업가치평가에 있어서 회계이익 정보보다는 거시경제적 요인과 증권시장 과열로 인한 비정상적 외적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업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산업 Dummy변수를 선택한 경우는 설명력이 개선되었다. 이는 Dummy변수가 설명하는 부분이 컸기 때문이다.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 고유치, 상태지수, 분산분할비율, 분산확대인자 등의 방법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나 심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공선성을 해결하기 위한 능형회귀분석과 주성분 분석 등의 편의 추정법은 본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다.

      • 성 명칭과 놀이 유형이 유아들의 놀이친구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황혜경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gender labels and play style(masculine or feminine) in playmate selection was evaluated In 40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 and 6 years using a novel Interview measure. The date was analyzed by the 2×2 ANOVA, when targets' gender labels and targets' play style were presented as independent dimensions, children showed predicted sex differences in preferences for gender labels [F(1,36) = 45.00, P<.001] and for play styles [F(1,36) = 39.42, P<.001]. When targets' gender labels and targets' play styles were presented as competing dimensions, children showed sex differences [F(1,36) = 4.47, P<.05]. Boys of all ages chose female targets with masculine play styles over male targets with feminine play styles. In contrast, younger girls(4-year olds) chose female targets with masculine play styles, whereas older girls(6-7ear olds) chose male targets with feminine play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