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김혜란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외국인들의 한국의 다양한 문화상품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온라인 설문 응답들은 총 142부였고 이를 SPSS 등을 사용하여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상품들 중 가장 활발한 세계시장 진출을 하고 있는 문화상품으로 영화, 드라마, 음식, 가요를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한국 기업 브랜드 선호도가 한국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 추가적으로 소비자의 성별에 따른 문화상품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검증결과, 첫째, 문화상품 선호도는 연구모델과 같이 전체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영국소비자들의 선호도는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영향력이 강한 것은 한국가요에 대한 선호도로, 한국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구매의향 등을 포함한 브랜드 충성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남녀 소비자간 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상품들이 한국기업에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제적 영향력을 아시아권이 아닌 서양문화권에서 확인한 연구로, 단순히 상품의 수준을 넘어 문화상품의 의미가 국가 경제에유의미한 파급효과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궁극적으로 문화상품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국가, 문화, 기업의 상호간 협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기여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한류’ 문화상품 이미지의 수출촉진 역할에 관한 실증연구

        김성엽(Kim, Sung-Reup),주혜영(Joo, Hye-Young)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한·중·일 3개국을 중심으로 각 국가에 형성되어 있는 우리 나라 문화상품 이미지의 지각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문화 상품의 수출촉진적 역할을 국가 이미지와 외국 소비자들의 한국상품구매의 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중·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 문화상품 이미지 및 국가 이미지의 지각수준은 중국, 일본, 한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상품구매 의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는 국가는 일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상품 이미지 중 드라마·영화 이미지는 국가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관광 이미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 이미지 중 교육 수준 및 성실성 부문이 한국상품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경제 및 기술 수준이 그 다음의 순이었다. 넷째, 문화상품이미지 중 직접적으로 한국상품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광 이미지이고 그 다음이 드라마·영화 이미지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perception gap of cultural products image of Korea in the three countries, Korea, China, Japa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products image, Korean imag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A total of 507 college students including Korean Student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was translated into Chinse and Japanese. The results from empirical model suggest that china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in cultural products image of Korea and Korean images. Japan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i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It is also found that cultural products image affect Korean images, specially drama/movie images had the highest effect on Korean images. Not only educational standards/ sincerity of Korean images had a major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but tour images of cultural products image had a critical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based on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정(情)’과 ‘효(孝)’의 디자인 연구

        선병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Korean emo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emotional consensus in advertising by expressing the condensed feeling that implies socio - cultural values of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vertising campaigns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sing Korean emotion, and to search for the messages of the advertisements embedded in them. Therefore, we analyzed the elements forming Korean emotions, and analyzed Affective, which represents Korean emotions in economic factors and Filial Piety in Confucian thought in cultural elements, through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vertising campaign of Orion Choco Pie expressed in Korean emotion. The ‘Affection Campaign’ has naturally digested simple and recognizable content. Orion has put Choco Pie in Korea's own affection called ‘Affection’ so that consumers can settle into one another. In addition, our nation emphasized affection, and it was able to convey the message of advertisement because it contained Korean character called affection. Secondly, Kyungdong Navien boiler ‘Filial Piety’ series advertisement expressed in Korean emotion. Kyungdong Nabeun boiler advertised the story of two propositions, “Parents in the country” and “Cool mind”, and it resonated with many people. In addition, 'Filial Piety' among Korean emotions is used as an advertising strategy to naturally recognize products to consumers, and it is an advertisement that once again awakens the Korean emotion in society. Affection and Filial Piety, which contain Korean emotions, are used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emo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while at the same time seeking new things in terms of social contribution. You will be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advertising with emotions. 광고는 환경에 적응적 일 때 그 효과도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 가운데 소비자에게 가장 장기적이고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바로 그들의 문화, 즉 정서이다. 한국적 정서는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내포하는 응축된심정의 표현으로 광고에서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하여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광고 캠페인을 분석하여 그 안에 내재된 광고의 메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를 연구하고, 연구를 통해 경제적 요소에서 한국적 정서를 대표하는 정(情)과 문화적요소에서 유교사상에 나타난 효(孝)를 도출하여 한국적 정서가 표현된 TV광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과 범위는 오리온 초코파이 정 캠페인의 ‘선생님 편’과 ‘삼촌 편’이며, 경동나비엔 효 시리즈의 ‘소 편’과 ‘연탄갈기 편’ TV광고이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 캠페인 광고는 소박하고 인정스런 내용을 자연스럽게 소화해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에 ‘정(情)’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아 소비자들이 서로 마음을 위로하는 매개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우리 민족은 정(情)을 강조하고 정(情)이라는 한국성을 담았기 때문에 광고의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경동나비엔 보일러 ‘효(孝)’ 시리즈 광고는 ‘시골에 계신 부모님’, 그리고 ‘차가운 마음’이라는두 명제에 속하는 처지를 이야기로 풀어내며 많은 이들로부터 효심이라는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한국적 정서 중 ‘효(孝)’를 광고 전략으로 삼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게 상품을 인지시키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다시 한 번 한국적 정서를 일깨운 광고라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정(情)과 효(孝)에 나타난 광고는 변화해가는 사회, 문화에 따라 소비자에게 한국적 전통문화와 정서를 유지시켜 주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동시에 사회적기여 측면에서 문화 창조로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광고의 기틀을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롯데월드타워의 건축 디자인 요소를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김소라,김정지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igorate the industry of developing products with motifs based on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by exploring cases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d the design of Lotte World Tower; this building is currently the tallest building in South Korea and the fifth tallest building in the world, in addition to being one of Seoul’s most famous landmarks. As part of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history and content of the tower’s design and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the tower’s formative design elements into three types based on reference materials and various reports and press releases.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bjectives of cultural products that are sold at tourist destinations such as symbolic buildings or important landmarks. Third,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researches were selected by limiting them to cultural goods that used Lotte World Tower’s architectural design as a motif and cultural goods sold at the Seoul Sky Observatory, that occupies the 117th to the 123rd floors of the tower.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evelopment reports, product catalogues, field studies, and related news artic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of cultural products that use architectural design motifs: these products can be continuously used in real life by using content descriptions or symbols while excluding existing souvenir images as much as possible; additionally,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striking visual expressions are a result of collaboration of product developers with designers and artis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heoretically systemize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hat utilize the aesthetic beauty and architectural design of Lotte World Tower, and to present the potential of creating high-value cultural products.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고 세계에서 5번째 높은 건물이며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 중 하나인 롯데월드타워의건축 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탐구하여 건축물을 모티브로 한 상품개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타워의 건축 디자인 연보와 내용을 살펴보고, 타워 건축물의 조형적 디자인 요소를 참고문헌과 각종 보고서 및보도자료 등을 바탕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둘째, 상징건물이나 명소 등의 관광지에서 개발하여 판매하고있는 문화상품의 개발 목적과 초고층 건물을 모티브로 한 문화상품 개발사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타워 전망대인 ‘SEOUL SKY’에서 개발하여 판매하는 문화상품 중 롯데월드타워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개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연구자의 상품개발 과정 자료와 대외에 공개된 객관적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타워의 건축디자인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특징은 콘텐츠 설명이나 상징적 요소를 활용하면서 기존 기념품의 이미지를 최대한 배제하고, 실생활에서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디자이너 및 작가와 협업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두드러진다는 점이었다. 본 연구는 롯데월드타워와 건축디자인의 조형미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결과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함과 동시에 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자수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준,김현욱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Cultural Goods is a complex creating economical added value combining country's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with aesthetic element and industrial technology. Cultural Goods is not only a high value creative industry, but also a knowledge-creative industry creating new value combining country's own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to the world. Therefore it's a twenty-first century's promising growth requiring cutting edge software technology and high-degree cultural creative ability than any other industries. Korea has a high level in national governmental cognition to cultural goods, but establishing foundation to private capital's inflow and fostering of conciliation is insufficient. Product developments are being also promoted in the stage of imitating western items, and new-product development in financial-centrical aspect is very short due to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handicrafted similar works of art, regional local products, tourism souvenirs.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projecting our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ndustrialized with differentiated culture, it could be lost without counteract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ve period. We have to develop our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s Cultural Goods fit to our period like ceramics of China and England, wooden lacquerware of Japan, etc.So we have to study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as globally excellent Cultural Goods.

      • KCI등재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정(情)’과 ‘효(孝)’의 디자인 연구 TV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선병일 ( Sun Byoung Il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광고는 환경에 적응적 일 때 그 효과도 충분히 발휘 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 가운데 소비자에게 가장 장기적이고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바로 그들의 문화, 즉 정서이다. 한국적 정서는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가치관을 내포하는 응축된 심정의 표현으로 광고에서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를 활용하여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진행된 광고 캠페인을 분석하여 그 안에 내재된 광고의 메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를 연구하고, 연구를 통해 경제적 요소에서 한국적 정서를 대표하는 정(情)과 문화적요소에서 유교사상에 나타난 효(孝)를 도출하여 한국적 정서가 표현된 TV광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과 범위는 오리온 초코파이 정 캠페인의 ‘선생님 편’과 ‘삼촌 편’이며, 경동나비엔 효 시리즈의 ‘소 편’과 ‘연탄갈기 편’ TV광고이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 캠페인 광고는 소박하고 인정스런 내용을 자연스럽게 소화해냈다. 오리온은 초코파이에 ‘정(情)’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아 소비자들이 서로 마음을 위로하는 매개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우리 민족은 정(情)을 강조하고 정(情)이라는 한국성을 담았기 때문에 광고의 메시지를 잘 전달 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적 정서로 표현된 경동나비엔 보일러 ‘효(孝)’ 시리즈 광고는 ‘시골에 계신 부모님’, 그리고 ‘차가운 마음’이라는 두 명제에 속하는 처지를 이야기로 풀어내며 많은 이들로부터 효심이라는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한국적 정서 중 ‘효(孝)’를 광고 전략으로 삼아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게 상품을 인지시키는 가운데 사회적으로 다시 한 번 한국적 정서를 일깨운 광고라 할 수 있다. 한국인의 정서가 담긴 정(情)과 효(孝)에 나타난 광고는 변화해가는 사회, 문화에 따라 소비자에게 한국적 전통문화와 정서를 유지시켜 주는 단초(端初)를 제공한다. 동시에 사회적기여 측면에서 문화 창조로서 한국적 정서가 담긴 광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emo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emotional consensus in advertising by expressing the condensed feeling that implies socio - cultural values of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vertising campaigns that have been condu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sing Korean emotion, and to search for the messages of the advertisements embedded in them. Therefore, we analyzed the elements forming Korean emotions, and analyzed Affective, which represents Korean emotions in economic factors and Filial Piety in Confucian thought in cultural elements, through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vertising campaign of Orion Choco Pie expressed in Korean emotion. The ‘Affection Campaign’ has naturally digested simple and recognizable content. Orion has put Choco Pie in Korea's own affection called ‘Affection’ so that consumers can settle into one another. In addition, our nation emphasized affection, and it was able to convey the message of advertisement because it contained Korean character called affection. Secondly, Kyungdong Navien boiler ‘Filial Piety’ series advertisement expressed in Korean emotion. Kyungdong Nabeun boiler advertised the story of two propositions, “Parents in the country” and “Cool mind”, and it resonated with many people. In addition, 'Filial Piety' among Korean emotions is used as an advertising strategy to naturally recognize products to consumers, and it is an advertisement that once again awakens the Korean emotion in society. Affection and Filial Piety, which contain Korean emotions, are used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emo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society and culture, while at the same time seeking new things in terms of social contribution. You will be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advertising with emotion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이 중국에서의 한류 및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정평(Li, Zheng Ping),김종근(Kim, Jongkeun)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한류에 대한 한국어 학습의 영향에 관련된 실증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경영학분야에서 주로 한류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었으며, 한국어 학습의 한류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논문의 주요 연구목적은 중국에서 한국어 학습이 한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이 아닌 연구문제에 대해 실증적으로 접근할 것이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의 논리적 근거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을 것이며, 향후 연구의 초석으로서의 역할을 위해 다양한 한류 차원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인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 현재 선호하는 한류의 콘텐츠 유형들, 한류 충성도, 향후 경험해보고 싶은 한류 콘텐츠 유형들 등으로 한류를 구분하였으며, 경영학적 관점에서 중요시되는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 또한 포함시킴으로써 연구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분산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 등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 현재 선호하는 한류의 콘텐츠 유형, 한류 충성도, 향후경험해보고 싶은 한류 콘텐츠 유형 등의 다양한 한류 차원들에 대한 분석을 실행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어 학습이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한류 차원 또는 한국어 차원을 제외하면 대체로 한국어 학습이 한류에 대한 현재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은 경우 한국드라마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K-pop에 대해서는 학습수준이 낮은 경우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두 번째, 한국어 학습이 한류 충성도와 향후 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한국어 학습정도를 단일차원으로 설정한 경우 한국어 학습이 한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은경우 한국 드라마에 대한 충성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이 한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으로 한국어 학습정도가 증가할수록 한국 상품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품, 의류, 전자제품, 자동차, 음식 등의 5대 품목들 중 한국어 학습수준이 높은 경우 화장품과 의류를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가장 선호하며, 그 다음으로 전자제품과 음식을 비슷한 수준으로 선호하고,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 wave so far. Especially i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there have been investigated mainly about the economic impact of Korean wave, and there has been no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 w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loratory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wave in China, and this study approaches the research question empiricallywithout research hypothesis. Even though this study does not lay out logical basis for the research question, it will be the foundation and provides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to the future research by the analysis of various dimension about Korean wave. In this study, there were divided Korean wave into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the preferred contents types of Korean wave, the loyalty to Korean wave, and the contents types of Koreanwave that you want to experience in the future, and including the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that is important in business administration point of view. It was analyzed by the various statistics technique such as variance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ross analysis how Korean learning affects the various dimensions of Korean wave which are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the preferred contents types of Korean wave, the loyalty to Korean wave, and the contents types of Korean wave that you want to experience in the future. First, in the result of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it shows generally the positiv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current preference for Korean wave but only excludes partially the dimension of Korean wave or the dimension of Korean learning. Also, the group of high level of Korean learning have themost preferred Korean drama, and have evenmore preferred K-pop than the group of lowlevel of Korean learning. Second, in the result of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Korean Wave loyalty and intention to experience in the future, it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Korean Wave loyalty in case that analyze by the single dimension of Korean learning level. The group of high level of Korean learning have the highest loyalty to Korean drama. Finally, in the result of the effect of Korean learning on the preference of Korean products, it shows that the higher level of Korean learning, the more preference of Korean products. Among the 5 products which are cosmetics, clothing, electronics, car, food, the group of high level of Korean learning have the most preferred the cosmetics and clothing quite similarly, and then electronics and food similarly, car is the lowest preferred.

      • KCI등재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K-컬처 콘텐츠의 전략 자산화 제안

        오지연,이도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0 No.-

        Korea's unique culture has originated from Hongik people as an important resource to enhance Korea's status along with the rise of economic power and globalization. Recently, as Korean cultural content projects have been spotlighted around the world with K-POP, K-Movie, K-Drama, and K-Game of Korean culture, it is a reality that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Korean culture. This soon leads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ional brand, which can be seen as the peak of a big leap forward that can further boost Korea's image. Historically, just as a place that has made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experience through elegant buildings, famous paintings, art and culture scents becomes a global tourist destination, the place that has been the center of culture and art becomes a brand. As the status of Korean culture and K-content is increasing worldwide in the 21st century, Korea should lead to the center of world culture and new brands and im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K-culture content strategy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s national image status and integrated (IMC) management system, and to this end, it aims to analyze various overseas cases of national brands and propose a strategy to form a new national brand of Korea and turn it into a global asse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K-culture contents by analyzing overseas success stories, the market status of K-culture contents in Korea, and the future prospects, and when we could raise the value of Korea's national brand. In addition, private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Image Commiss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ledges at the national brand level, such as presenting branding of content, was suggested. Due to this study, it can be a sample that can lead the new market in Korea. Furthermore,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the developmental expected effect of enhancing the image of Korea as a national brand. 한국 고유의 문화는 경제력의 상승, 세계화와 함께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자원으로써 홍익인간으로부터 시작되어왔다. 최근에는 한국문화의 K-POP, K-Movie, K-Drama, K-Food 등으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게 됨으로써 한국문화의 발전에 더 큰 힘을 쏟아야 하는 게 현실이다. 이는 곧 국가 브랜드 활성화로 이어져 한국의 이미지를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큰 도약의 정점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품격있는 건조물, 명화, 예술과 문화의 향기 등으로 세계인의 많은 사람들을 경험하게 한 장소가 세계적인 관광지가 되듯이 문화예술의 중심이었던곳은 곧 브랜드가 된다. 21세기에 세계적으로 한국문화 및 K-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으로써 한국은 세계문화의 중심지로 새로운 브랜드와 이미지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현황 및 통합관리 체계를 통하여 K-컬처 콘텐츠 전략을 제안 하는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 브랜드의 다양한 해외 사례들을 분석하고, 한국의 새로운 국가 브랜드를 형성시켜 세계적으로 자산화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에 맞게해외 국가 브랜드 성공사례 분석 및 한국의 K-컬처 콘텐츠의 시장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K-컬처 콘텐츠를 배경으로 한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브랜딩화제시 등 국가 브랜드 차원에서 국가 이미지 위원회 구성 및 새 정부 공약의 실천에 따른 민간 협업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신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표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 브랜드로의이미지 제고에 전세계적으로 발전적인 기대효과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30년대 관광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박암종 ( Park Arm J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획일적이며 창의성이 부족한 관광문화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관광산업은 한 가지만 갖춰진다고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주요한 관광인프라 요소는 교통, 숙박,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에 추가로 관광문화상품 같은 살거리가 빠질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관광문화상품 속에 담긴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해 관광문화상품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방법은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틀 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입하여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디자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소장품 중 1920-30년대에 생산된 관광문화상품 중에서 그룹을 지울수 있는 문화상품군(文化商品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및 후 가공의 마무리 수준이 매우 높다. 둘째, 한국적 전통소재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타 지역과 차별화 하였다. 셋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돋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상품이 많다. 넷째, 장정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으며 사용설명문이 첨부돼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관광문화상품디자인에 자극제가 되어 참신한 관광문화상품들이 생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sign features shown on our modern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uniform and less creative contemporar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tourism industry can hardly be invigorated with a single solution; a well-organized promotion policy is required. The major essential infra elements for invigoration of tourism are transport, hotels, must-eat, must-see, must-enjoy, and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ll in all, in order to invigorate the tourism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by, help develop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duced an objective analysis model conduciv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however, limited to the modern design works produced during 1920's ~ 1930' and collected by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Museum reputed for its largest design collections in Korea; among them, the tourism culture commodity group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was sampl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quality after printing is very high;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well highlight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Thirdly, man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feature fresh ideas, being environmental-friendly; Fourthly, much efforts were made for marks or package designs, with the background and brochure attach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timulate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that fresh tourism culture commodities would be produced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