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D Loc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 Tradeoffs between R&D Autonomy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Yuri Jo,Chang-Yang Lee 한국전략경영학회 2010 한국전략경영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0 No.4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firms' R&D units and other departments affects their innovation performance. When R&D units are geographically separated from other functional departments, such as the headquarters and manufacturing plants, they are more likely to enjoy greater freedom in the research activities they conduct, while those units that are closely located to other functional departments are better suited for efficient communication or coordination between the departments. The two-period analytic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separated R&D units achieve better innovation performance in product innovation or in rapidly-chan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s, while co-located R&D units have better innovation performance in process innovation or under stable technological environments. Supportive evidence was found from data on Korean manufacturing firms for the existence of trade-offs between R&D autonomy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in relation to firm R&D location.

      • KCI등재

        정부지원을 받는 신생 ICT 벤처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조유리(Yuri Jo),김정호(Jungho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어떤 특성을 가진 신생 벤처기업이 정부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대표적인 기술집약적(high-tech) 산업이며 창업관련 정부지원이 많은 정보통신(ICT)산업에서 최근 3년 내에 창업한 벤처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특성이 정부지원 수혜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신생 벤처기업의 특성을 창업 요인(창업주의 창업 경험, 자금조달 방법 중 정책자금 비중), 혁신 요인(혁신활동 유형의 개수, 주요 제품의 기술력 수준), 경영전략요인(상대적으로 중요시하는 전략 유형), 기업성장단계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요인에 관한 가설의 지지 여부를 파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생 ICT 벤처기업 중 창업주가 창업 경험이 없거나 정책자금 의존도가 높을수록, 적정한 수준의 혁신활동을 수행하며, 마케팅관련 전략을 중시하며, 상대적으로 창업초기 단계에 있는 기업일수록 전반적으로 정부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정부지원 유형을 구분함으로써 신생 ICT 벤처기업의 특성들이 특정한 유형의 정부지원 수혜가능성에 선택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였다. 예를 들어, 창업주의 창업경험이 없거나 자금조달에서 정책자금 비중이 높은 기업, 전략적으로 마케팅을 중시하는 기업은 다른 기업들에 비해서 자금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일정 수준의 다양한 혁신활동을 수행하거나 품질·비용 개선을 중시하는 기업은 공동연구개발 지원과 인력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그리고 창업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자금 지원, 성장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판로·마케팅 지원, 안정기 단계에 있는 기업은 공동연구개발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ich new technology-based firms (or venture companies) are more likely to receive public support. The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rm-specific factors on the likelihood of receiving the support, by using the sample of venture firms less than three years old in the ICT industries where technological intensity is high and public supports for start-ups are abundant. The factor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founding characteristics (a founder’s pre-entrepreneurial experience, the proportion of public subsidy in financing since birth), innovation (the number of innovation types, technology level of main product), strategy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rategy types), and corporate growth stage. Hypotheses on each factor are tested, by analyzing the dat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new technology-based firms with an inexperienced founder, more dependence of public subsidy for financing, a moderate level of innovation activities, more marketing-oriented strategies, or early stage of growth are more likely to generally receive public support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s also fi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have selec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support. For example, new technology-based firms with a inexperienced founder, more dependent on public subsidy or more marketing-oriented strategies tend to receive financing support, while those with a moderate level of innovation activities or focusing on quality-improvement and cost-reducing tend to receive supports for R&D alliance and human resources. In addition, those on early, expansion, or mature stage are more likely to receive support for financing, marketing, or R&D alliance, respectively.

      • 나스닥 상장기업의 벤처 인수합병 결정요인 분석

        조유리(Yuri Jo),김정호(Jungho Kim)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벤처 및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창업 뿐만 아니라 투자 회수가 매우 중요하며, 인수합병(M&A)은 기업공개(IPO)와 함께 벤처투자 회수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된다. 미국을 포함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벤처투자 회수 수단으로써 기업공개에 비해 인수합병의 비중이 매우 높고 기술집약적 산업 내 인수합병 중 비공개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의 비중이 높지만, 이런 현상에 대해서 인수자 측면에서 접근하여 실증 분석한 학술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는 어떤 기업들이 비공개 벤처기업을 인수합병하는가에 대하여 실증 분석함으로써, 벤처기업의 인수합병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기준으로 NASDAQ에 등록된 기업 중에서 기술집약적인 정보통신기술(ICT)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업들의 과거 3년간 인수합병 자료를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수 기업의 인수합병 경험과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 수혜가 인수합병 여부와 인수합병 건수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수기업이 초기 단계에서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받거나 인수합병을 수행한 경험이 많을수록 비공개 기업의 인수합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형적 자원에 대한 가치 평가, 조직 통합, 지식 이전 등 여러 측면에서 인수합병은 일상적인 경영활동과는 다른 역량을 필요 하며, 비공개 벤처기업의 인수합병 과정에는 정보비대칭성을 비롯하여 벤처생태계에 특수한 여러 사항이 존재한다. 따라서 과거 초기단계에서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받거나 인수합병을 경험한 기업일수록 벤처생태계와 인수합병의 과정을 잘 이해하거나 인수합병에 특수한 역량을 갖춤으로써 인수합병을 추진할 유인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인수합병 경험은 기업규모와 그 성장률, 연구개발집약도가 인수합병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합병 경험이 많은 기업들 중에서 작은 기업규모, 높은 성장률, 높은 연구개발집약도를 가진 기업들이 향후 비공개 기업의 인수에 더 적극적이었다. 인수합병에 미치는 기업규모 자체의 효과가 긍정적인 것과 반대로 기업규모와 인수합병 경험 간의 상호 작용이 인수합병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큰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형 자원이나 시장지배력이 부족한 작은 기업이 인수합병 경험을 가지면 이를 자신의 경쟁우위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역량 및 전략의 경로의존성 관점에서 보면, 과거 성장률이 높으면서 인수합병을 많이 경험한 기업은 인수합병에 기반한 성장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으며 향후에도 이런 방식의 성장을 위해서 인수합병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개발집약도는 기술적 역량 또는 흡수역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인수합병을 많이 경험한 기업이 이런 역량을 추가적으로 갖고 있다면 인수합병 이후 지식 이전 및 조직 통합, 시너지 창출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수합병의 유인이 더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Track and Field Practice and Bone Outcomes among Adolescents: A Pilot Study (ABCD-Growth Study)

        Yuri da Silva Ventura Faustino-da-Silva,Ricardo Ribeiro Agostinete,André Oliveira Werneck,Santiago Maillane-Vanegas,Kyle Robinson Lynch,Isabella Neto Exupério,Igor Hideki Ito,Romulo Araújo Fernandes 대한골대사학회 2018 대한골대사학회지 Vol.25 No.1

        Background: Osteoporosis is considered a public health problem with high worldwide prevalence. One approach to prevention is through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exercise, during adolescence. Methods: This study compared bone variables in different body segments in adolescents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rack and field. The study included 34 adolescents (22 boys), of whom 17 were track and field athletes and 17 were control subjects. Bone mineral density (BMD, g/cm2) and bone mineral content (BMC, g) were analyz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otal body stratified by body segments). Peak height velocity was used to estimate somatic maturation. Results: Athletes had higher BMD (P=0.003) and BMC (P=0.011) values in the lower limbs and higher whole body BMD (P=0.025)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when adjusted for confounding factors, the difference was not maintained. The groups had similar lean soft tissue values (P=0.094). Training overloa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in the upper limbs (r=0.504; 95% confidence interval, 0.031-0.793). Although track and field athletes had higher BMD and BMC values in the lower limbs,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hen adjusted for confounding factors. Conclusions: Track and field participation in adolescence appears to influence BMD and BMC in lower limbs, and fat-free mass seems to mediate this effect. Also, higher training loads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bone health in upper limbs.

      • KCI등재

        The Pathophysiology of Tinnitus: Involvement of the Somatosensory, Brain, and Limbic Systems

        Yuri Lee,Taehwa Kim,Kieun Lee,Seungik Jeon,Sungmin Jo,In-Ki Jin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0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6 No.1

        This study reviewed the pathophysiology of tinnitus. Tinnitus is a symptom that a subject perceives sound regardless of external stimuli. Tinnitus sufferers have reported varying sound types, loudness, and duration of tinnitus. Also, the pathophysiology of tinnitus is also reported to be varied. We searched a web database and found 2,545 articles related to tinnitus. The selection criteria for articles to be reviewed was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category, participant characteristic, publication type, and area of study. Thirty-three studies on the pathophysiology of tinnitus were finally selected and reviewed. Tinnitus pathophysiology was reviewed in relation to the somatosensory, brain, and limbic systems. Fourteen sub-regions were identified to be associated with tinnitus. The data on each sub-region was also reviewed, including its primary role and the tinnitus trigger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studies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innitus and develop intervention methods.

      • KCI등재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미래(Jo Mirae),이현진(Lee Hyunjin),강유리(Kang Yuri),김유진(Kim Yoo Jin),노경미(No Kyungmi),최시은(Choi Si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간호대학생 159명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이 실시되었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주관적 성격유형, 학년, 동아리 활동여부, 주관적 학과적응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대학생활적응을 55.2% 설명하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동아리 활동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mage of nurse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59 nursing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31, 2020. Data analysis was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s College adjustment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mage of nurse and major satisfaction. The regression model that included major satisfaction, image of nurses, subjective personality type, grade, club activity, and academic adjustment explained about 55.2% of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s In order to help nursing students be settled in their college lif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promoting their images as a nurse and satisfaction in major, and club activity supports should be searched.

      • SCISCIESCOPUS
      • Cytoplasmic TrkA Expression as a Screen for Detecting <i>NTRK1</i> Fusions in Colorectal Cancer <sup>1</sup> <sup>2</sup>

        Choi, Yuri,Won, Yeo-Jin,Lee, Sojeong,Kim, Ahrong,Kim, Younggeum,Park, Won-Young,Jo, Hong-Jae,Song, Geun Am,Kwon, Chae Hwa,Park, Do Youn Neoplasia Press 2018 Translational oncology Vol.11 No.3

        <P><I>NTRK1</I> gene fusions, the targets of multikinase inhibitors, are promising therapeutic targets for colorectal cancer (CRC). However, screening methods for detecting <I>NTRK1</I> gene fusions in CRC tissues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use of immunohistochemistry (IHC) for detecting <I>NTRK1</I> gene fusions. We performed and compared IHC wit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in 80 CRC patients. TrkA immunostaining was observed to be both membranous and cytoplasmic and was scored semiquantitatively using staining intensity and proportions. The tumors were observed to be <I>NTRK1</I> gene fusion-positive when ≥20 out of 100 nuclei in FISH.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IHC and FISH results for determination of the <I>NTRK1</I> gene fusions was observed. We measured the cytoplasmic TrkA expression, which showed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of 0.926 (range: 0.864-0.987, 95% CI, <I>P</I> = .001). By choosing 4.5 (sum of the intensity and proportion scores of cytoplasmic TrkA expression) as the cut-off value for the positive and negative <I>NTRK1</I> gene fusion group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predicting lymph node metastasis were 100 and 83.8%, respectively (<I>P</I> = .001). Specifically, high cytoplasmic TrkA expression (sum of intensity and proportion scores >4) wa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I>NTRK1</I> gene fusions (<I>P</I> < .0001, r = 0.528). Taken together, our data showed that IHC for TrkA can be used as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detecting <I>NTRK1</I> gene fusions in CR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