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별 음란물 접촉실태와 성 갈등에 대한 연구

        차남현 ( Nam Hyun Cha ),왕명자 ( Wang Myoung Ja ),유경희 ( Kyung Hui Yu ),김정아 ( Jeong Ah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 대상 아동 952명중 ‘음란물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남아는 63. 2%,(288명) 이고 여아는 60.5% (300명)이지만,‘음란물에 접촉한 경험’이 있다 ``에는 남아 34.4% (l57명), 여아27.4% (l36명)가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은 있지만, 접촉한 경험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 아동을 연구한 Kim과 woo (2001), Kim (2002)과 Kang (2004)이 음란물 접촉자율을 각각 20.3%, 28.6%, 30%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퍼센트를 나타내었다. 처음 음란물을 접촉한 시기는 ``5학년 때’가 남가 아동 39.5%, 여아 44.1%로 가장 많았고, ``4학년 이전’도 남아 31.8% , 여아 30.9% 로서, 음란물을 첫 접촉한 시기가 4학년 이전 16.8%(Kim,2002) , 19.8% (Oh, 2003)라는 선행연구에 비하면, 본 연구 대상 아동의 ``4학년 이전’ 음란물 접촉 비율이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이 상업적인 성에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매스미디어의 광범위성, 대중성, 능동성, 동시성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음란물 접촉을 및 저학년 접촉빈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한 음란물 유형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컴퓨터를 통해 음란물을 보았다``는 남아 82.8%(l30명), 여아 90.4% (l23명)로 가장 빈도가 높은 접촉유형이고’ 다른 음란 접촉 유형은 비슷한 빈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컴퓨터를 통한 음란물에 초등학교 아동이 쉽게 접촉하고 있음을 지적한 선행연구 (Yom, Yun, & Lee, 2002; Hong, 2003; Kang, 2004)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학교나 주택가 주변 PC방이 즐비 하면서 음란물들을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된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Kim과 woo (2001), Park(2001)는 연구에서 컴퓨터 음란물 차단프로그램의 설치가 각각 19.4%, 13.3%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인터넷 음란물은 대중성과 동시성 등의 특성이 있어 미성년자의 접근이 쉽고 광범위하게 노출이 될 수 있는 반면,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과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정부에서는 청소년보호법 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규제 및 처벌을 더욱 엄격하게 하고,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의 설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음란물에 접촉하는 동기는``우연히`` 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남아 51.6%, 여아 53.7%) ‘스팸메일’을 통해서, 친구 및 형제’의 권유로,‘호기심``으로 직접 찾아봄순으되 남녀 등 모두 우연히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스팸메일’을 통해사는 남아보다 여아가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 청 (2005)에서 제시한 청소년 음란물 사이트 접속경로로 우연히 (남이 32.7%, 여아 35.5%), 친구나 선후배 소개로 (남아 31.5%, 여아 11.7%), 일부러 음란물 검색 (남아 20.9%, 여아 6.9%), 스팸메일 (남아 6.5%, 여아 14.8%)과 순서가 일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동이 무엇보다 우연히 음란물을 접하는 경우가 많은 결과는 포르노 사이트의 무차별적 음란물 배포에 대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 되어 있으며, 현재 이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치의 미흡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빈도는 ‘거의 안보거나 특정 싸이클이 없다. (남아 73.7%, 여아 87. 2%)는 응답이 많았고)거의 매일 보는, 남아는 4.5%, 여아는 0.7%였다. 이는 통계청 (2005) 의 청소년음란사이트 이용경험 조사에서 ‘한번도 없음’(남아 24. 5%, 여아 70.6%), ‘일년에 l-2회, 접촉히는 남아가 l5.8%, 여아 8.5%,‘한달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26.8%, 여아 4.8%, ‘일주일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l5,9%, 여아 1.9% 라는 결과에서 제시하듯이, 대부분 이동은 음란물에 접촉하지 않고 있으나, 음란물 접촉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기간은·15분 미만이 남아 86.8%, 여아 96.2%로 가장 많았고, 15분 이상’은 남아 l3.2%, 여아 3.8%로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 접촉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이기는 하나 정기적으로 음란물에 접촉하는 아동에 대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음란물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아동일수록 학습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음은 물론, 성과 관련된 반응에 있어서 보다 쉽게 자극 받고 충동을 일으키며, 그 충동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고 (oh, 2003), 중독성이 강하며, 성에 대해 비하하는 태도와 행위, 충동조절 능력 저하, 폭력적이 거나 모욕적인 성행위를 선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당국, 부모님의 음란물에의 적극적이 고 효과적 인 대처 방안이 시급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장소는 자기 집이 (남아 68,8%, 여아 81.5%) 가장 않았고 친구집(남아 16.0%, 여아 7.6%), PC방 (남아 4,2%, 여아 5.9%), 학교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청 (2005)에서 보고한 6-l4세 어린이가 이용하는 인터넷 장소로 가정 90.5%, PC방 빛 게임방 25. 8%, 학교 18.2%라는 결과와 순위가 일치 하고 있다. 따라서 음란물 접촉이 가장 많다고 응답 한 가정에서 부모의 음란물을 방지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공개적으로 아이들과 PC를 공유하는 방을 마련하고 음란물 차단 시스템을 PC에 설치하며, 수시로 관심 있게 보는 사이트 및 정보를 확인,대화하고 컴퓨터 이용시간을 제한하여 아이들의 건전한 컴퓨티 이용문화를 형성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음란물 접촉 이유는 ‘우연히’가 가장 많았고 (남아 35.7%, 여아 57.3%), 남아는 ‘호기심’때문에,‘스팸메일,을 열어보다가,‘친구``가 권해서,‘재미, 스트레스 해소와 성충동’ 때문이라고 답했고, 여아는 ‘스팸메일’ 윤 열어보다가,‘호기심’ 때문에,‘친구’가 권해서,‘재미,스트레스 해소’ 위해,‘성충동과 성적지식’을 얻기 위해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의도적인 접촉보다 비의도적인 접촉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다행스럽긴 하나, 음란물은 처음 접했을 경우 충격적이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면서 무뎌지고 점차 더 자극적인 음란물을 경험하고자 하며 모방행동으로까지 발전되는 특성이 있다고 한다. 초·중 아동을 대 상으로 한 Hong(2003)의 연구에서 음란물 경험 후 실제로 ‘모방행동을 해 본적이 있다’ 에 11.l%가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절대 간과해서논 안 될 문제이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은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이 높은 반면, 긍정적이거나 충동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은 저조하였다. 부정적인 반응은 ‘부끄럽고 창피하다’가 (남아31.51%, 여아 32.05%)가장 많았고, 남아는 ‘죄책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혐오감’을, 여아는 ‘혐오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죄책감’ 순으로 반응하였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이 긍정적 반응보다는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을 볼 때, 음란물 접촉아동은 음란물을 통해 성이 아름답고 신성한 것이 아닌 은밀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인식되 왜곡된 성의식을 가지게 되며, 혼란과 갈등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Kang, 2004; Kim, 2004; oh, 2003; Kim, 2002)에서도 지적하고 있다. 성 갈등은 남녀 아동 모두 음란물에 접촉한 아동이 접촉하지 않은 아동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음란물 접촉후 아동간의 성 갈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성별에 따른 성 갈등은 차이가 없었다. 음란물에 노출될수록 중독성이 강하여 성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음란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서구에서는 영상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screening)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Tv에 V-chiP을 설치해 부모나 성인의 감독 없이 영상매체에 근접하지 못하게 한다 (Cho & Kim, 2004).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한 방지책이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음란물을 못보게 막으려 시도하기 보다는 아동에게 음란물에 대한 비평능력을 심어주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교육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Gruer와 Grube(2000)의하면, 얼마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지 아무런 비판없이 무분별하게 청소년이 음란물에 접하 면,음란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으나, 실제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올바른 성 지식 습득하였을 때 성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음란물의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직접적인 성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woo, Kim과 Park (2001) 은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이 컴퓨터와 비디오 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를 한 결과,성 교육 후 실험군은 성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란물 접촉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고’ 컴퓨터를 통한 원조교제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으며, 음란물 접촉빈도가 적었다고 하면서 음란물에 대한 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나 교사인 어른들의 입장에서 고려된 보수적이고 전 근대적인 성교육방법 과 내용만을 고수하여 무조건적으로 음란물 접촉을 막는 것보다는, 아동이 올바른 성의식을 확립하여 스스로 볼 수 있는 것과 보지 않아야 할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비판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아동들 스스로가 성행동의 주체로서 음란물 공해에서도 자신 있게 맞설 수 있는 성숙한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무차별적인 대중매체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는 시스템의 조기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d to confirm responses after that, and to compare the feeling of sexual conflict between the boys and girls. Methods: The subjects were 952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y areas(456 boys, 496 girls). Data collection was via questionnaires Results: Except several pupils(34.4% of boys, 27.4% of girls), most of subjects of the study had no contact with pornographs. The response after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was feeling of shame the most, which was a negative reaction. The sexual conflict appeared more in pupils who had contact with pornographs than in those who had not boys(t=3.84, p<.000), girls(t3.96, p<.000),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boys and girl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sound control system must be prepared and a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ability fighting against them that can release their impulse of sex.

      • SCOPUSKCI등재

        Paricalcitol attenu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proximal tubular cells through the prostaglandin E<sub>2</sub> receptor EP4

        ( Yu Ah Hong ),( Keum Jin Yang ),( So Young Jung ),( Yoon Kyung Chang ),( Cheol Whee Park ),( Chul Woo Yang ),( Suk Young Kim ),( Hyeon Seok Hwang ) 대한신장학회 2017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36 No.2

        Background: Vitamin D is considered to exert a protective effect on various renal diseases but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remain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paricalcitol attenuates inflammation and apoptosis dur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enal proximal tubular cell injury through the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 receptor EP4. Methods: Human renal tubular epithelial (HK-2) cells were pretreated with paricalcitol (2 ng/mL) for 1 hour and exposed to LPS (1 μg/mL). The effects of paricalcitol pretreatment in relation to an EP4 blockade using AH-23848 or EP4 small interfering RNA (siRNA)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PGE<sub>2</sub>, and EP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S-exposed HK-2 cells treated with paricalcitol compared with cells exposed to LPS only. Paricalcitol prevented cell death induced by LPS exposure, and the cotreatment of AH-23848 or EP4 siRNA offset these cell-protective effects. The phosphoryl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p65 nuclear factor-kappaB (NF-κB) were decreased and the phosphorylation of Akt was increased in LPS-exposed cells with paricalcitol treatment. AH-23848 or EP4 siRNA inhibited the suppressive effects of paricalcitol on p65 NF-κB nuclear translocation and the activation of Akt.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number of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positive cells were attenuated by paricalcitol in LPS exposed HK-2 cells. The cotreatment with an EP4 antagonist abolished these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tic effects. Conclusion: EP4 plays a pivotal role in anti-inflammatory and antiapoptotic effects through Akt and NF-κB signaling after paricalcitol pretreatment in LPS-induced renal proximal tubule cell injury.

      •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지닌 폐경 후 여성의 영양소 섭취 평가

        김상연,정경아,장유경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3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21

        Women have a greater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CHD) after menopause. It relates to hormone imbalance-induced changes in known CHD risk factors, especially hyperlipidemia. Accordingly, once women are diagnosed, the rat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s greater than for men. Thus, preventive strategies are critic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later years for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nutrient intakes and diet quality based on nutrient intake between normocholesterol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rmocholesterol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based on The Guideline for Korean Hyperlipidemia.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dietary intakes of the subject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Intakes of nutrients such as energy, carbohydrate, protein, fat, minerals and antioxidant vitam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rmocholesterolemia group and hypercholesterolemia group. However, antioxidant vitamins and folate intakes in hypercholesterolemia group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in normocholesterolmia group. Intakes of vitamin A, vitamin E, and Ca in normocholesterolemia and hypercholesterolemia groups were below RDA. In particular, RDA for those nutrients in hypercholesterolemia was much less than RDA for those nutrients in normocholesterolemia. MAR and INQ in hypercholesterolemia group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in normocholesterolemia. In particular, INQ of vitamin A was significantly(p<0.05) lower in hypercholesterolemia group than in normocholesterolemia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use various diet quality index based on nutrient intake such as % RDA, NAR, MAR, and INQ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cholesterol and nutrient intake. Key words : postmenopausal women, hypercholesterolemia,, % RDA, NAR, MAR, INQ

      • 노년기 여성의 식이 섭취 조사를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에 관한 연구

        김상연,정경아,장유경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8

        A data based semiquantitative flood frequency questionnaire, which can be used in studies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n elderly women, wa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is a 30-minute, face-to-face administered instrument designed especially for assessing food and mixed dishes. Food items were selected from 3-day flood records. 140 food item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and the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the total population intake of the following 11 nutrients: energy, carbohydrate, protein, fat, cholesterol, SFA, MUFA, PUFA, β -carotene, vitamin C, and vitamin E. The percentage of total nutrient intake which each food provides is presented for the top 50 contributiors of each of the nutrients listed above, as well as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consuming them. Foods sometimes overlooked as important sources are found in some instances to be quantitatively important to population intake, such as carrot as an independent sources of carotenoids. Portion size of each food item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mean and median values of the amounts consumed by subjects in the preliminary survey. Frequency of consumption was asked in nine categories ranging from more than 'three times a day' to 'almost never'. A nutrient database was compiled from many sources, but mostly from Korean nutrition society. This flood frequency questionnaire should be useful to epidemiologists with a substantive interest in dietary etiologies and it can reasonably estimate the usual dietary intakes among postmenopausal women for cardiovascular disease study, but shorter form of questionnaire and validation would be needed.

      • 유아 매스미디어에 대한 분석

        박유미,김은아,서명숙 원광대학교 2006 論文集 Vol.37 No.-

        This research is aimed to know how educating mass media to children has impacted on child-development by analyzing some data studied through. We suggested some questions for this conducting. First, what is the point issued by early media use to children? Second, How much has the study about children's computer use been done? We have drawn these conclusions. About the first question, early educators had pro and con to the media use and they had focused on popularity and use of new media. And then they have changed their focus to some effects or impacts of new media on child-development. For the second question, in our country as well as other countries, there have been some meaningful effects, a few negative sides and none effects to child-development. On the ground of education, the computer use has been adapted and applied to child-development with proper softwares fitted good topic or intention. Besides, many teachers have tried to have good interactions with their young students. But we are insisting one thing that more chances to make use of computer be given to young students at home and there be more connections between two educational fields- home and school.

      •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식사중재에 대한 준수도(adherence) 평가

        정경아,김상연,우정익,장유경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2001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dherence to dietary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CHD) in postmenopausal women by observing change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dietary intake and seam level. The subjects with hypercholesterolemia (TC≥240mg/dl) were treated with one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group), dietary intervention (DIET group) or combination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dietary intervention (HRT+DIET group) for 1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Mean daily nutrient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HRT group, but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DIET group and the HRT+DIET group. Especially, dietary vitamin A and E intakes were increased from less than 75% to more than 90% of RDA for Korean in the two groups. With changes of dietary intakes, serum vitamin A and E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IET group and tended to increase in the HRT+DIET group.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was also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HRT group, but was significantly chanced in the DIET group and the HRT+DIET group. With changes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DIET group and the HRT+DIET group although there was tendency of returning to initial value after 12 weeks. Judging from changes in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subjects' adherence to dietary intervention tended to decrease after 12 weeks. However, the change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dietary intake were compatible with the changes of those in serum level, and we can conclude that dietary intervention was adhered quite well by subjects.

      • KCI등재

        경막 내 colistimethate 투여로 치료한 다제 내성 cinetobacter baumannii 뇌실염

        홍유아,유진홍,김진진,모은영,안건희,정희경,김진석,이현정,정미향,윤승배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4

        Acinetobacter species is a non-fermentative aerobic gram-negative coccobacillus that is an important pathogen found in nosocomial infections. Recently,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infections have been increasing and pose a serious problem. Most such infections present as bacteremia, pneumonia, or a wound infection; however, CNS infections are very rare. We herein present a case of ventriculitis caused by MDR-AB in a 37-year old man after a neurosurgical intervention.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intrathecal colistimethate.

      • 콩 및 당의 종류의 달리한 매실 콩아이스크림의 품질특성

        이숙영,김아영,유지영,이중기,이향섭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3 생활과학논집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ice creams prepared with soy protein isolate(SPI) or Jinpum-soybean, and different kinds of sweeteners of maltitol and sucrose, xylitol+sucrose, or malitiol. The viscosity of the ice cream mix containing xylitol+sucrose appeared the highest, and that from Jinpum-soybean was higher than that from SPI. The overrun of soy ice creams containing xylitol+sucrose was the highest, and the next was the samples containing maltitol+sucrose. The overrun values of Jinpum-soybean samples appeared higher than those of SPI samples. As for the case of the SPI samples, the melt-down percent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 of maltitol addition, and the next were maltitol+sucrose addition, xylitol+sucrose addition in order. The melt-down percent of Jinpum-soybean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 of maltitol+sucrose addition, and the next were maltitol addition, xylitol+sucrose addition in order. The higher the viscosity of samples, the lower the melt-down percent. In sensory characteristics, the beany flavor, flavor, mouthfeel, overall quality of Jinpum-soybean samples were evaluated better than those of SPI in general. The samples containing xylitol+sucrose evaluated better in beany flavor, mouthfeel, icy feel, and overall qualit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prepared with Jinpum-soybeans and xylitol+sucrose were evaluated the best.

      • 교내 수도꼭지형 냉온수기의 생수 배출 부위와 생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포

        박창은,김설아,임미소,이다은,박유진 남서울대학교 2010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6 No.1-1

        The distributed species and number of viable microorganisms in drinking water were monitored according to water dispenser maintenanc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drinking water dispenser. To analyze possible dispenser contaminations sampling were performed from 14 locations in Namseoul University for 3 months from March to May, 2010. The isolated bacteria were identified by Gram stain and biochemical test using VITEKⅡ systems. The microorganism concentrations around the water discharge areas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of total microorganisms was determined. The number of bacteria were measured by McFarland turbidity. The water and water discharge areas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The isolation rates of Gram positive cocci and Gram negative bacilli were 56.5%, 17.4% respectively. The frequently isolated bacteria were Staphylococcus epidermidis, Enterobacter aerogenes, Enterbacter sakazakii, Alcaligenes faecalis, Acinetobacter baumannii, Staphylococcus hominis, respectively. Further systematic studies are necessary with an emphasis on species identification. Key Words : Microorganisms, Water Discharge Areas, Drinking Water, McFarland

      • SCISCIE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