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두와 병변 수술의 발생한 경막하 긴장성 기두증

        목진호,김한식,이규춘,박용석,이영배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9 東國醫學 Vol.6 No.-

        긴장성 기두증은 신경외과영역에서 개두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으로 특히 만성 뇌경막하 혈종 제거수술이나 좌위에서 후두와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두수술 후에 신경학적 증상의 악화가 있거나 수술 후 예상경과를 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긴장성 기두증의 발생 가증성을 항상 고려하여야 한다. 긴장성 기두증의 발생기전은 물병을 거꾸로 세운 것과 같은 기전(Inverted pop-bottle mechanism)으로 뇌척수액이 누수된 만큼 공기방울이 경막하강으로 올라가 빈 공간을 메우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전으로 두개강내로 들어간 공기가 일정한 압력을 가지게 되어 주변 뇌조직을 압박하여 신경학적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뇌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쉽게 진단이 가능하며 치료는 두개골 천공을 시행하여 두개강내 공기를 배기시켜 줌으로서 가능하다. 저자들은 복와위에서 후두와 병변 수술 후에 발생한 긴장성 기두증을 뇌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진단하고 전두골을 천공하여 두개강내 공기를 배기시켜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중심단어:긴장성 기두증, 후두와 수술, 경막하강, 복와위 Tension pneumocephalus is a rare complication in neurosurgical opera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whenever a patient fails to recover as expected following surgery. The possible mechanism for the entry of air into the subdural space is analogous to the entry of air into an inverted soda-pop bottle. As the fluid pours out. air bubbles reach the top of the container, Computed tomography permitted rapid diagnosis including localization of the air, thus facilitating prompt treatment. Peaking of frontal lobe. mountain appearance of frontal lobe. and air densities at the cisterns are characteristic findings of' tension pneumocephalus on brain CT scan. This condition is easily diagnosed and treated using twist-drill aspiration. The authors describe a case of subdural tension pneumocephalus complicating the early postoperative course after posterior fossa surgery in the prone position.

      • 두부외상후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목직호,김한식,이규춘,이영배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7 東國論集 Vol.16 No.2

        1995년 7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최근 2년간 본원 신경외과에 입원한 343례의 두부손상 환자중 사망한 25례를 조기사망군(7일이내)과 후기사망군(7일후)으로 분류하여 분석해본 결과 7.3%의 사망률을 보였으며 남자 사망자는 여자에 비해 3.2배였으며, 연령 별로는 조기사망군은 40대이상에서 많았고 후기 사망군은 60대 이상의 고령에서 다소 많았다. 조기사망군에서는 낮은 GCS, 비정상적인 동공반사 반응, 타장기 손상, 저혈압, 저산소증, 고혈당, 심한 정중전이, 뇌실압박, 두개골 골절, 개두술의 빈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이송시간은 조기사망군에서 1시간 이내에 도착한 경우가 많아 신속한 후송이 이루어졌다. 한편 후기사망군에서는 저이산화탄소혈증, 빈혈, 고나트륨혈증등이 높게 조사되었다. 사인은 조기사망군에서 1차성두개강내 병변 및 저혈량 등이 많았고 후기사망례는 폐렴,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외상후성 뇌경색증 등이 주요 사망 원인이었다. 따라서 생존기간별로 위험도가 높은 요소를 찾아 그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두부 손상으로 인한 사망률을 개선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We present a study the variable factor in the early(within one week) and late death(after one week) after head injury. The multiple factors were analysed on the clinical, imaging,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25 patients who were dead among 343 head injured persons during recent 2 years form July, 1995 to July, 1997. The mortality rate was 7.3% an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3.2 to 1. The early death were younger than late death(5th decade vs 7th decade). Mechanism of injury were motor vehicle accident(64%), followed by work-related, slip and fall, and unknown. The early death had a higher percentage of low GCS score, abnormal pupil reflex, other associated injury, hypotension, hypoxemia, hyperglycemia, midline shift, ventricle compression, skull fracture, and craniotomy compared with the late death. On the other hand, the late death had a higher incidence of hypocarbia, anemia, and hypernatremia than the early death. The main causes of death were primary intracranial lesions and hypovolemia in the early death and pneumonia, ARDS, and posttraumatic cerebral infarction in the late death.

      • Vertebrobasilar Dolichoectasia 4례 : 증례보고 A Case Report

        목진호,김한식,이규춘,이영배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8 東國論集 Vol.17 No.1

        Dolichoectasia란 혈관이 연장되고 방추상으로 팽창된 것을 말하며 두경부 혈관에서는 추골-기저동맥과 내경동맥에 주로 발생하며 중대뇌동맥이나 전대뇌동맥에는 드물게 발생한다 Vertebrobasilar dolichoectasia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일분 환자에서는 뇌간이나 뇌신경들을 압박하거나 뇌허혈을 유발하여 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임상증상에 따라 1) ischemic symptom 2) cranial nerve compression symptom 3) pseudotumor symptom 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경과중 반복적인 뇌 허혈증상 또는 뇌간 경색증을 유발하여 심각한 임상경과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Vertebrobasilar dolichoectasia로 진단된 환자에서는 적극적으로 고혈압을 치료하며, 임상증상이 없더라도 항응고 제제나 항혈소판 제제를 투약하며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이다. 자들은 일과성 허혈성 발작이나 뇌신경기능 장애를 보이는 Vertebrobasilar dolichoectasia 4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dolichoectasia of cerebral arteries is an uncommon entity and the term dolichoectasia (elongation-distention)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se vessels, which are characterized by elongation and fusiform dilatation. The vertebrobasilar system and intracranial internal caroted arteries are more frequently involved and the diagnosis can be made by cerebral angiography, brain CT or brain MRI. It is generally asymptomatic, but may present with a variety of symptoms. Headache, cranial nerve paresis and cerebral ischemia are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s. Cerebral ischemia, especially brain stem infarction, due to vertebrobasilar dolichoectasia is rare, but its development may be fatal. When the dolichoectasia is diagnosed by CT findings, even if it is clinically asymptomatic, it may be better to treat patients with medical therapy used to prevent ischemic stroke. We report four cases with vertebrobasilar dolichoectasia, all of them had ischemic symptoms and were treated with medical therapy.

      • EDPM 가황 고무의 가교 밀도와 파괴 특성

        徐延穆,柳百能,孟學永 公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4 自然科學硏究 Vol.3 No.-

        가교밀도가 다른 몇가지 EDPM 가환물을 제조하여, 가교밀도가 탄성체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등을 검토하였다. 가교밀도가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하였다. 팬텀모델이 가교밀도를 결정하는데 최적이었다. 문턱 개열에너지는 29~127J/m2 범위로 판명되었다. Several samples of the EPDM vulcanizates with various crosslink density(XLD) are prepared by changing the addition amounts of surf fur and ENB. The XLD data are obtaned from experiments, such as the swelling and stress, and their effec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elastomer are studied. The XLD is increased as the amount of sulfur and ENB increased and the density of elastomers, the amount of gel,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creased accordingly, while the molecular weight between crossllinking points of the network(Mc) decreased. The XLD data obtained from swelling and stress experiments are due to the physical constraints on the juntion position imposed by surrounding chai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hantom model gives better agreement in determining XLD than the affine model with the experimental data. Hysteresis ratio is found to be increasing as the strain rate, tear energy, and Mc increased, and as the XLD decreased. It is also found that the storage modulus increased as the XLD increased in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The 100% modulus are also found to be increasing as the XLD increased, and a linear relationship of M100=0.124×10-4N0+0.74 is obtained. The tear energy increased as the tear rate and temperature also found to be a linear function of the XLD, and the threshold tear energy is a range of 29∼127J/m2.

      • 가열처리에 의한 단감의 이화학적 특성

        손규목,김광호,성태수,김종현,신동주,정지영,배영일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5 No.2

        단감의 기능성 소재 및 기호성이 우수한 부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감새옥를 전처리별 즉, 열처리 온도 (25℃, 75℃ 및 95℃) 에서 NaCl (0, 1, 3%) 농도별로 침적 (1, 5분) 하여 동결건조한 시료구를 대상으로 탄닌, 비타민 C, 색도 및 조직감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탄닌 성분은 열처리 온도, NaCl 농도 및 침적시간이 증가할수록 탄닌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조구 (420 mg%) 에 비해 95℃에서 1% 및 3% NaCl 농도에 5분간 침적시 각각 228 및 198 mg%로 감소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대조구 (122.4 mg%)에 비해 95℃에서 3% NaCl 농도에 5분간 침적시 75.8 mg% 로 감소하였고, 색도는 열처리 온도, NaCl 농도 및 침적시간이 증가할수록 L(명도) 및 b(황색)값이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a(적색도) 값은 감소하였고, ??E 값은 증가하여 처리조건이 가중될수록 색의 변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단감껍질과 전처리한 시료 (95℃, 1% NaCl, 5 분)의 flavonol 함량은 껍질에 myricetin(2.0 ㎍/g), quercetin (34. 5 ㎍/g) 및 kaemferol (1.1 ㎍/g) 성분이 검출되었고, 전처리한 시료는 myricetin (9.5 ㎍/g), quercetin (5.5 ㎍/g)이 검출되었다.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 전처리 (95℃, 1% NaCl, 5분) 한 시료에서 부서짐성, 응집성, 점성 및 씹힘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는 95℃에서 1% NaCl에 5분 및 3% NaCl 농도에 1부간 침지한 시료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Sweet persimmon were tested in order to identify their use as secondary material which is excellent in function and taste as food. Samples were soaked for 1 and 5 min with NaCl concentration (0, 1 and 3%) at a certain heating temperature (25, 75 and 9r℃), and then tannin, vitamin C, flavonol, color intensity, sensory test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Tannins were decreased as heating temperature, NaCl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were increased, especially, that the control was 420 mg% but decreased 228 and 198 mg% at 95℃ (1 and 3% NaCl concentration) for 5 min, soaked in each. Vitamin C content also decreased more in higher temperature and NaCl concentration than control (122.4 mg%). Color intensity showed higher value in L and b than in heating temperature, NaCl concentration and soaked time longer remarkably, but a value decreased. The peel of sweet persimmons was analyzed myricetin (2.0 ㎍/g), quercetin (34.5 ㎍/g) and kaemperaol (1.1 ㎍/g), but in pre-treatment sample ( 95℃, 1% NaCl concentration and 5 min, soaked ) was showed higher myricetin (9.5 ㎍/g) and quercetin (5.5 ㎍/g). Textural properties were good in pre-treatment sample ( 95℃, 1% NaCl concentration and 5 min, soaked) such as brittle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 sensory analysis, the pre-treatment samples (95℃, 1% NaCl concentration and 5 min, soaked and 95℃, 3% NaCl concentration and 1 min, soaked) were showed higher point than others.

      • 두개저 골절 환자의 임상적 고찰

        김한식,목진호,이규춘,이영배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7 東國論集 Vol.16 No.2

        저자들은 최근 2년간 본원 신경외과에 입원 치료 받았던 두부외상 환자 중 자료 분석이 가능했던 119례의 두 개저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두부외상후 두개저 골절의 발생 빈도는 34%로 남녀 발생비는 5 : 1이었고, 활동기 연령인 20∼59세가 70.6%를 차지 하였다. 원인으로는 교통사고가 56.3%로 가장 많고 추락, 산재, 낙상, 구타 순이었으며, 내원당시 환자상태는 경증뇌손상(GCS 13-15)이 64.7%, 중증 뇌손상(3∼8) 21.8%, 중등도 뇌손상(9∼12) 13.5% 순이었고 예후도 GCS가 높을수록 양호하였다. 임상소견은 뇌척수액 비루(43.7%)가 가장 흔하고 비루(31.9%), 안와부 반상출혈(31.1%), 기뇌증(26.1%), 청각소실(18.5%)등이었다. 뇌척수액루의 지속 기간은 87.7%가 7일 이내였고 보존적 치료로 93.9%가 해결되었다. 2∼4주 지속된 경우는 요추천자 배액술, 4주 이상된 경우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뇌신경 손상은 안면신경마비가 31.7%로 가장 높았고 발현 시기는 지연성 마비가 69.2%, 조기마비가 30.8%였다. 뇌막염의 발생 빈도는 5.9%로 모두 뇌척수액루가 1주 이상 지속된 경우였고, 항생제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뇌막염 발생율은 각각 6.1%와 4.8%로 항생제가 감염율을 낮추지는 못했다. 119 consecutive cases with basal skull fractures out of 343 head injuried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Pohang Hospital from July 1995 to July 1997 were analysed. The authors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 findings, complications and outcomes. Most of the patients(70.6%) were between 20 and 59 years old. The basal skull fractures were more common in men than women-the ratio being 5 : 1. The cause of BSF were traffic accident(56.3%), fall down, work related, silp down, and assults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The outcome of treatment wee related to initial GCS(Glasgow coma scale) of patients. The severity of head injury were mild(GCS13-15)-64.7%, Moderate(GCS9-12)-13.5%, and severe(GCS3-8)-21.8%, The most common feature of BSF were rhinorrhea(43.7%), otorrhea(31.3%), raccoon's eye(31.1%), pneumocephalus(26.1%), hearing disturbance(18.5%). Most of CSF leakage(86.7%) were noted within 24hours after injury and most of leakage(93.9%) were ceas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within 2 weeks, but one case that did not respond to conservative and lumbar drainage required operative repair. The facial nerve(31.7%)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cranial nerve followed by vestibulocochlear and optic nerve. The onset of facial palsies were immediate in 30.8% and delayed 69.2%. The incidence of meningitis was 5.9% and the prophylactic antibiotics had no beneficial effect in reducing the infection rate.

      • KCI등재

        통화량과 통화 구성의 장기 추이, 1905-2014

        배영목 ( Young Mok Bae ) 경제사학회 2016 經濟史學 Vol.40 No.2

        이 논문은 현대적 의미에서 통화량과 통화의 구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 통화지표를 검토한 결과에 의거하여 1905-2014년간 화폐 발행고, 통화, 총통화 등의 주요 통화지표의 장기 시계열을 재구성한 다음 그 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통화증가율의 장기 추이를 본원통화, 통화, 총통화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본원통화와 통화의 증가율은 1910년대 후반 1940년대, 1950년대 전반, 1970년대에 공통적으로 높았으나, 광복 이후에는 장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총통화의 증가율은 두 지표와 비슷한 추이를 보이나 일제하 저축증강기, 금리현실화기에 높았다. 특히, 1943-1954년은 어느 지표로 보든 통화증가율이 매우 높은 통화남발기이었다. 그리고 통화 구성의 추이를 보면, 은행권 중심의 지폐발행 체계는 1910년대에 이미 확립되었고, 예금통화 비율은 증가세를 보이지만, 1940년대 반전되어 한국전쟁기까지 하락세를 보이고, 그 이후에는 증가세를 보여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통화의 핵심 요소가 된다. 예금통화 중에서 요구불예금의 비중은 1960년대 이후 대체자산의 등장과 확장으로 계속 낮아지고, 저축성예금 등은 1960년대 중반 금리현실화 이후 크게 높아졌으나. 다른 유동성 대체 자산의 출현과 확산으로 그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가 외환위기 이후 다시 높아지고 있다. This paper purports to suggest long term monetary aggregates serie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trend of money supply and money components during 1905-2014. The growth rate of M0 (reserve money) and M1, during the second half of 1910s, 1940s, the first half of 1950s, and 1970s appear to be higher than other periods. Though M2 growth rate the growth rate of M2 shows similar trend as M0 and M1, it is higher during colonial war period and interest liberalization period than in other periods. The period in which money growth rate is higher than 50% is 1943-1954. But money growth rate has decreased gradual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Bank of Korea. Fidduciary money system was introduced the colonial bloc of yen exchange standard in 1906, but didn``t take root until 1910s. Deposit money ratio has increased in trend and become the main component of money since 1960s, but this ratio decreased sharply during hyperinflation periods. Under the Bank of Korea, demand deposit ratio has decreased in trend since 1965. Although time deposit ratio was unstable, it has increased in long term. Recently, the growth rate and components of conventional aggregates(M0, M1 and M2) are less important in monetary policy because of the fast growth of money substitutes or liquidity asse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