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et Oxide Gate and Nitride Oxide Gate for fabrication of NMOSFET

        Yi, Jae-Young,Lee, Young-Hui,Yi, Cheon-Hee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2005 産業科學硏究 Vol.23 No.1

        이 논문에서는 HP 4145 소자 테스터를 사용하여 핫 케리어 효과와 트래핑차지, SILC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질화 산화막 게이트와 습식게이트 산화막을 가지고 0.26㎛ NMOSFET를 테스트하고 생성시켰다. 그 결과로 습식게이트 산화막소자보다 질화 산화막 게이트의 특성이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핫 케리어 라이트 타임이 (질화 산화막 게이트 소자는 30년이나 습식 게이트 산화막은 10년) 길고 Vg의 변화 및 항복전압이나 트래핑의 충전 등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fabricated and tested the 0.26㎛ NMOSFET with wet gate oxide and nitride oxide gate to compar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t carrier effect, charge to breakdown, transistor Id_Vg curve, charge trapping, and SILC(Stress Induced Leakage Current) using the HP4145 device tester.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itride oxide gate device better than wet gate oxide device, especially hot carrier lifetime (nitride oxide gate device satisfied 30years, but the lifetime of wet gate oxide was only 0.1year), variation of Vg, charge to breakdown and charge trapping etc.

      • SCIEKCI등재

        Validation of the oxford classification of iga nephropathy: A Single-Center Study in Korean Adults

        ( Ho Young Lee ),( Sul Hee Yi ),( Mi Seon Seo ),( Jin Nam Hyun ),( Jin Seok Jeon ),( Hyunjin Noh ),( Dong Cheol Han ),( Seung Duk Hwang ),( So Young Jin ),( Soon Hyo Kwon ) 대한내과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27 No.3

        Background/Aims: The recently published Oxford classification of IgA nephropathy (IgAN) proposed a split system for histological grading, based on prognostic pathological features. This new classification system must be validated in a variety of cohorts. We investigated whether these pathological features were applicable to an adult Korean population. Methods: In total, 69 adult Korean patients with IgAN were analyzed using the Oxford classification system at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All cas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Lee`s classification. Renal biopsies from all patients were scored by a pathologist who was blinded to the clinical data for pathological variables. Inclusion criteria were age greater than 18 years and at least 36 months of follow-up. We excluded cases with secondary IgAN, diabetic nephropathy combined other glomerulopathies, less than 36 months of follow-up, and those that progressed rapidly.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34 years (range, 27 to 45).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was 97 ± 10 mmHg at the time of biops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85 months (range, 60 to 114). Kaplan-Meier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rognostic predictions for M, E, and T lesions. A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also revealed prognostic predictions for E and T lesions. Conclusions: Using the Oxford classification in IgAN, E, and T lesions predicted renal outcome in Korean adults after taking clinical variables into accou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추신경계질환에서 병소부위에 다른 요류역학적 관찰

        이동국,이상도,유영수,박영춘,임정근,이 형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2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urodynamic findings and localization of CNS lesions in patient with voiding disturbance. The patient group consisted of 48 patients (35 male and 13 female) with various localization of CNS lesions confirmed by CT or MRI among which were 9 cerebral cortex, 8 putamen and internal capsule, 6 thalamus and internal capsule, 7 brain stem and 18 spinal core. m and 18 spinal core. Nineteen of the 42 patients with various CNS lesions above sacral crod showed detrusor hyperreflexia. Six of the 7 patients who had suprasacral cord lesion and detrusor hyperreflexia showed detrusor sphincter dyssynergia. In 6 patients with sacral cord lesions, 5 patients showed detrusor areflexa. In summary, detrusor sphincter dyssynergia with detrusor hyperreflexia and detrusor areflexia seemed to be specific urodynamcic pattern of suprasacral spinal cord and sacral cord lesion, respectively. But other CNS lesion showed no consistent specific urodynamic pattern.

      • 등속성 운동 시 근전도 주파수 분석에서 얻은 피로지수의 특성

        권오윤,이충휘,조상현,이영희,원종임,박정미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01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8 No.3

        In rehabilitation programs involving muscle re-education and endurance exercise,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n fatigue occurs. It is also necessary to quantify fatigue, to confirm whether the muscle has been exercised sufficiently. In general, as fatigue occurs, the force-generating ability of the muscle is reduced. If the median frequency (MDF) obtained from electromyograrn (EMG) power spectrum is correlated highly with work, then the timing and degree of fatigue may be confirme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MDF obtained from the EMG power spectrum during repetitive isokinetic exercise. Surface EMG signals were collected from biceps brachii and vastus lateralis of 52 normal subjects (26 males, 26 females) at 120˚/sec and 60˚/sec while performing an isokinetic exercise. The exercise was finished at 25% of peak work. MDF data was obtained using a moving fast Fourier transformation (FPT), and random noise was removed using the inverse FPT, then a new MDF data was obtained from the main signal.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work and MDF during repetitive isokinetic exercise in the biceps brachii and vastus lateralis of males and the biceps Brachii of temales (r=.50∼.77). However,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work and MDF in the vastus lateralis of females (r=.06∼.19).

      • SCOPUSKCI등재

        원예치료가 중학생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이기세,노명래,이영현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200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3 No.3

        Human beings are getting isolated from the nature 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gress rapidly in our time.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at the first stage of adolescence and grow bodily and mentally faster than in any other period of their life, face many problems at school life adaptations. Owing to achievements at studies, relationships with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hey are liable to get stress.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how horticultural therapy might be applicable to middle school student in its effects of withdrawal, somatic symptom, and depression especi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post test in withdrawal,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veraged 4.80, and those of control group averaged 6.85. Its means of withdrawal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Second, At the post test in somatic symptom,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veraged 2.20, and those of control group averaged 3.80. Its means of somatic symptom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t the post test in depression,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veraged 6.95, and those of control group averaged 10.65. Its means of depress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ough the horticultural programs were not effective significantly in mitigating somatic symptom, it was effective in curing withdrawal and depres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medying psychological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 To remedy students' psychological problems, more researches need to be made for the generaliza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diver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복숭아 발효주 개발에 관한 연구

        이성훈,안용근,최종승,이종수 한국식품영양학회 199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9 No.4

        복숭아 발효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명" 과실에 효소 및 열처리하여 착즙수율을 측정하고 청주용 효모와 포도주용 야생 효모로 발효시킨 복숭아술의 성분과 기호성을 조사하였다.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 처리한 경우 착즙수율이 89.2%로 가장 높았고 pectinase, hemicellulase와 cellulase등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도 80%이상의 착즙수율을 보였다. 복숭아술의 총산은 0.30%에서 0.36%이었다. 에틸알코올올 함량은 포도주용 야생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49-2가 14.5%로 가장 높았으나, 기호성은 고온성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D-71로 발효시킨 술이 가장 좋았다. Juice yield of peach "Yoo Myung" by pretreatment of various enzymes and heat was determin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ch wine fermented by some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also investigated. 89.2% of juice yield was showed in mixture treatment of pectinase and cellulase at 35℃ for 8 hrs, 82% of yield was also showed in single treatment of pectinase and cellulase. Ethyl alcohol content of peach wine fermented by wild type Saccharomyces cerevisiae 49-2 was 14.5%. However, wine from thermophilic Saccharomyces cerevisiae D-71 was excellent in taste and flav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