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육수업중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이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최경범,최영인,염건영,류기성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interaction behaviors on student learning products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experimental teaching units(E,T.U.). In one E.T.U., two teachers instructed respectively "vault activity units" to 5th grad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with the same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similar Environments. In such controlled conditions, we intervened with teacher A to perform active interaction behaviors(especially feedback behaviors to individual motor learning). On the other hand, teacher B was not intervened concerning interaction behaviors. In these practices, teacher A performed interaction behaviors 2 times more than teacher B.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s of student formative Evaluation to physical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eacher A's class than teacher B's class. In the other E.T.U., the same teacher instructed "volleyball activity units" to 2 different classes of the 9th grade in a junior high school, Instructional conditions with 2 classes were Equally controlled without teacher interaction behaviors. In the model C class, we intervened with the teacher to perform active interaction behaviors especially with individual student motor learning. In the model D class, the teacher was not intervened with performance of interaction in their motor learning, but to give advices about learning how to learn,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spontaneous learning. As a result, the teacher in model C class performed interaction behaviors 3 times more than in the model D class. The average scores of student formative evalu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el C class than the model D class. Thus, it seem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interaction behaviors for student motor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 was confirm through these results of these E.T.U. studies.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 SCOPUSKCI등재

        제1형 탈요오드효소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 모델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제1형 탈요오드효소의 발현에 관여하는 hdiol 유전자는 5 flanking region 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즉 TREI과 TRE2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를 투여하였을 때 hdiol유전자의 전사작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hdiol mRNA가 충분히 발현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으나 T₃ 투여시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바 없다. 한편 현재까지 보고 된 연구 결과들은 갑상선호르몬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 한다는 전제 조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가정은 간접적으로만 증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세포를 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후 hdiol 유전자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에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함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 TR 1, TR 2 항체와 IREI, TRE2에 상보적인 시발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hdiol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4'1, TR 1, TR 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I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 투여 전후 TREI 부위에는 TRgl이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al 결합이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TR4'1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₃ 투여 전3.74에서 T₃ 투여 후 1.97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47.3%, p<0.05). T₃ 투여 전 ·후 TRβl과 TRβ2의 결합은 관찰되지 않았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2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god하였을 때 T₃ 투여 전ㆍ후 TRE2 부위에는 TRα1, TR 1, TR 2가 모두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α1과 TR 1의 결합은 감소하였으나 TR 2의 결합은 증가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Rαl은 T₃ 투여 전 10.41에서 T₃ 투여 후 3.01, TRβl은 T₃ 투여 전 12.56에서 T₃ 투여 후 2.9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Rβ2는 T₃ 투여 전 9.17에서 T₃ 투여 후 9.84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Rα1, Δ=-71.1%, p<0.05; TR 1, Δ=-76.7%, p<0.05; TR2, Δ=+7.3%).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32.14에서 T₃ 투여 후 15.78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50.9%, p.0.05).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μL와 4.5μL 첨가한 후TREI과 TRE2에 대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깡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의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란 후 12시간 뒤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hdiol cDNA 시발체를 이용한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hdiol mRNA발현량은 2.03배 증가하였다(p<0.001).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현재까지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가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실정을고려하여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특히 T₃ 자극 전 hdiol 유전자의 TREI 부위에서 TRal이 억제자 (silencer)로서 작용할 가능성 및 T₃자극 전 · 투 TRE2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교대현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종류의 세포주 및 체내에서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한편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통해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할 뿐 아니라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T₃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통한 유전자 전사조절기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역동학적 기전을 규명함에 있어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ype 1 iodothyronine deiodinase (Dl), the product of the hdiol gene, is involved in thyroid hormone activation by the deiodination of thyroxine (T4) to form 3,5,3'-triiodothyronine (T3).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two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s (TREs) in the 5 ' flanking region of the hdiol gene. TRE1, proximal to TRE in the hdiol gene, consists of a direct repeat of thyroid hormone receptor (TR) binding octamers with 10 bp separating the two TR binding sites. The upstream TRE, TRE2, is a classical direct repeat of retinoid X receptor (RXR)/TR binding half-sites with a 4-bp separation. There are few studies clarifying the TR dynamics in the TRE of a specific gene with or without the exposure of activated thyroid hormone. We evaluated TR binding patterns in the proximal and distal TREs of the hdiol gene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Methods: We employe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TR- 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 line. Following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1 and TRβ2 antibodies. We analyzed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l and TRβ2 to TREl and TRE2 before an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by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Reverse transcriptional PCR (RT-PCR) and Western blot with TR 1, TR 1 and TR 2 antibodi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levels of hdiol mRNA and TR 1, TR 1 and TR 2 proteins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Results: In TRE1, TRα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l00nM T3 (3.74→97, Δ=-47.3%, p<0.05), but TRβ1 and TRβ2 bindings were not detected by conventional PCR and RQ-PCR. Although all TR isoforms were bound to TRE2, the binding patterns were quite different. While TRα1 and TRβ1 bindings to TRE2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0.41→3.01, Δ=-71.1%, p<0.05; 12.56 →2.93, Δ =-76.7%, p<0.05, respectively), TRβ2 binding was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9.17 →9.84, Δ =+7.3%). Total TR bindings in TRE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OOnM T₃ (32.14 →15.78, Δ=-50.9%, p<0.05). The TR bindings to TREl and TRE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amounts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ChIP assays. The levels of hdiol mRN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03 times,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p<O.001). Western blo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 of each TR isoform protein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100nM T3.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e dynamics of TRal at proximal TRE (TRE1) and the switching phenomenon of TR isoforms at distal TRE (TRE2) of the hdiol gene after T3 stimulation.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is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these observations (J Kor SOC Endocrinol 18:283-295, 2003).

      • KCI등재SCISCIE

        [Ca(2+)]-dependent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mediates maitotoxin-induced cellular response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Yi, Sun-Ju,Kim, Kyung Hwan,Choi, Hyun Jung,Yoo, Je Ok,Jung, Hyo-Il,Han, Jeong-A,Kim, Young-Myeong,Suh, In Bum,Ha, Kwon-Soo Korean Society of Molecular Biology 2006 Molecules and cells Vol.21 No.1

        <P>Maitotoxin (MTX) is known as one of the most potent marine toxins involved in Ciguatera poisoning, but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caused by MTX was not fully understood. Thus,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involved in MTX-induced cellular response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MTX induced a dose-dependent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MTX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intracellular RO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which was suppressed by BAPTA-AM, an intracellular Ca(2+) che-lator. Ionomycin also elevated the ROS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MTX elevated transamidation activity in a time-dependent manner and the activation was largely inhibited by transfection of tissue transglutaminase siRNA. The activation of tissue transglutaminase and ERK1/2 by MTX was sup-pressed by BAPTA-AM or ROS scavengers. In addition, MTX-induced cell death was significantly de-layed by BAPTA-AM or a ROS scaveng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2+)]-dependent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OS, at least in part, play an important role in MTX-stimulated cellular responses, such as activation of tTGase, ERK phosphorylation, and in-duction of cell death,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P>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핀과 연관된 체중 증가에 대한 니자티딘과 효과 : 예비 연구 A Pilot Study

        배치운,정유경,이창옥,이수정,이철,백인호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본 연구는 올란자핀을 투여 후 체증 증가가 관찰된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nizatidine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시도되었다. 올란자핀을 처으 투여 받은 환자들 중 체중 증가가 발생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nizatidine을 300mg/day로 투여하였으며 임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PANSS와 BPRS를 기저 시점과 nizatidine 투여 후 4주 및 8주 시점에 측정하여 임상 증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시작 후 4주 및 8주 시점에서 체중 변화는 각각 1.1kg(1.5%)와 2.5kg(3.5%)이었으며 BMI의 경우 4주와 8주 시점에서 각각 0.4(1.6%)와0.9(3.7%)로 연구 기간동안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올란자핀을 복용하여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던 1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8주간 nizatidine을 투여한 결과, 연구 방법상의 제한점이 있으나 nizatidine은 올란자핀 관련 체중 증가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로 생각된다. Objectives:This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nizatidine on olanzapine-associated weight gain(OAWG) in schizophrenic patients in Korea. Methods:Ten subjects with OAWG from outpatients clinic who we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in accordance with DSM-IV criteria.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an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were measured at baseline, week 4 and week 8 as were weight and Body Mass Index(BMI). A flexible dose of olanzapine plus fixed 150mg(b.i.d) dose of nizatidine was administered to all patients. Weight and BMI(kg/m^2) were recorded at each visit. Results:A combination of nazatidine resulted in significant reversal of OAWG without worsening the psychopathology. In the with studies of Western populations, an add-on therapy of nizatidine could be an effective option for the control of weight gain in olanzapine-treated patients in Korea. Conclusion:Our finding call for furthe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is drug on schizophrenics, with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ies, in Asian populations.

      • KCI등재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헌경,문정인,유두한,Park, Hun-Kyung,Moon, Jung-In,Yoo, Doo-Han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의 관계 맺기에 대한 장애인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성과의 관계 맺기 속에서 일어나는 경험한 내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후천적 장애인들의 경험과 감정, 그 과정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현장 기록, 기술적 관찰 일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후천적으로 장애를 갖게 된 대상자들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특히 이성과의 관계 맺기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대상자 8명의 심층 면담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6가지의 주제 모음 1) 진단에 대하여 다양한 심리적 반응 2) 보호자 및 이성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 3) 적극적인 지지를 통한 재활 의지변화 4) 장애를 갖게 된 이후 사회성 결여 5) 재활을 통한 자신감 변화 6) 이성에 대해 다양한 생각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후천적 장애인이 이성과 관계 맺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및 감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유용하다. 이성과의 관계 맺기는 다른 어떤 사회속에서의 상호 작용하는 행위보다 의미가 있다. 관계 맺기 과정에서 갈등이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disabled in start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and disclosing experienced events related to start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Methods :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experience, emotions and process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y, phenomenological study,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Data on subjects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the-scene recording and technical observation diary, etc and were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Results : Subjects who had acquired disabilities experienced changes i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spects and especially in the course of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of 8 subjects were analyzed 6 types of subject themes were derived. 1) Diagnosis of varying psychological reactions. 2) Various psychological reactions of parents and the other gender. 3) Through aggressive support rehabilitation volition will change. 4) After you have a disability as a lack of social skills. 5) Changes in confidence through rehabilitation. 6) the other gender for the different ideas. Conclusion : This research is valuable in presenting important data in understanding problems and emotions of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with opposite gender. Start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gender has more meaning than any other interacting activities in society. Conflicts exist in starting relationships and support programs for various specialists are indispensable.

      • SCOPUSKCI등재

        백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의 Chicken Lysozym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₃효과 분석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유전자 전사과정은 증강부위 (enhancer) 또는 억제부위(silencer)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조절되며 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는 두 개의독립적인 전사인자 결합부위 (Fl과 F2)를 가지는데 Fl부위는 75~93 kD 크기의 NePl 단백질이 결합하는 위치인 반면 역위회문구조(inverted palindrome, InvPal)의 F2 부위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Fl부위 또는 F2 부위 (이하 F2-TRE 부위)를 각각 다량체화(multimerization) 하였을 때 전사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가 완전한 전사억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다. 현재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chicken Iysozyme 유전자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73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자들은 치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전 ·후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IRE2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색체 면역침전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F2-lRE 부위를 포함하는 백서 뇌하수체 종양세포주인 GC8 세포를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시간적 순서에 따라 F2-TRE 부위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thymidine kinase(TK) promoter의 5' 부위에 chicken Iysozyme silencer의 고친화력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F2-TRE 부위)가 삽입된 플라스미드,mouse TRα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 neomycinresistance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를 백서 뇌하수체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인 GC 세포에 각각 주입하여 제작한 GC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100 α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각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을 1.5μL에서 4.5μL로 바꾸어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한 후 2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F2-TRE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과 TRβ2의 결합은 증가한 반면 TRβl의 결합은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TRα1은 T₃ 투여 전 1.01에서 T₃ 투여 후 2.7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Bβl은 T₃ 투여 전 4.59에서 T₃투여 후 2.0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Rβ2는 T₃ 투여 전 2.53에서 T₃ 투여 후 2.98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TRα1, Δ=+170.3%, p<0.05; TRαl, Δ=-55.1%, p<0.05; TRβ2, Δ=+17.8%).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8.13에서 T₃ 투여 후 7.7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Δ=-4.4%).100nM T₃ 투여 전 ·후 시간별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Rα1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과 6시간 뒤 각각 증가하였으며 TRβ2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 뒤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가 2시간 뒤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TRαl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1시간 뒤 최저치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100 nM T₃ 투여 전과 투여 후 2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비교하였을 때 TRα1은 219.8% (1.01→3.23), TRβ2는 9.9% (2.53→2.78) 증가하였으나 TRβ1은 52.9% (4.59-)2.16) 감소하였으며 결합량 변화의 방향은 100 naM T₃ 투여 후 4시간 뒤와 6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 변화의 방향과 일치하였다(TRα1, 2.89→4.09, Δ =+41.5%; TRβl, 2.33→2.04, Δ=-12.4%; TRβ2, 2.57→2.59, Δ=10.8%).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 μL 또는 4.5 μL 투여한 후 F2-TRE부위에 대한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행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결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관찰된 T₃ 자극 전 · 후 chickenIysozyme 유전자의 F2-TBtE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이성체의 교대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하여 추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다른 유전자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와유전자 발현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대한 많은 의문점을 풀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ㆍ후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F2-TRE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교대현상을 재확인하였다는 점과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can be controlled by both positive (enhancer) and negative (silencer) regulatory sequences. Several enhancer and silencer ele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5' region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The silencer located at -2.4 kb upstream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is composed of two separate modules (Fl and F2) that can function as silencers by themselves, but also show synergistic repression after multimerization. The F1 module is bound by a protein termed NePl and F2 module, a F2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 (F2-TRE), and can be bound by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TR). F2-TRE has an inverted palindromic structure, with high affinity to TR. Although many current reported results have tried to expla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hicken lysozyme gene expression due to the thyroid hormo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larify the TR dynamic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either with or without exposure of the thyroid hormone. Here, the changes in the TR binding pattern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are described,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Methods: Using the stably transfected rat pituitary somatotroph tumor cell line, GC8 cells, with the F2-TRE inserted 5' to the thymidine kinase (TIC) promoter, together with a mouse TRα - expressing plasmid,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was employed to reveal the TR-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Following the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the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respectively.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1 and TRβ2 to the F2-TRE, before and after 1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The ChIP technique was used to give a basal value for 20 minutes and 1, 2, 4, 6, 8 and 12 hours after the 100nM T₃ stimulation, and RQ-PCR was then performed. Western blot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of the GC8 cells, the TRα1 and TRβ2 binding to the F2-TRE increased, but the TRβ1 binding to the F2-TRE decreased, by conventional PCR. Although all the TR isoforms were bound to the F2-TRE by RQ-PCR, the TRαl binding to the F2-TRE, after 12 hours of l00nM T₃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1→2.73, Δ =+170.3%, p<0.05), bu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W2 binding was not significant (2.53→2.98, Δ=+17.8%). The TRβ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level (4.59→2.06, Δ=-55.1%, p<0.05). The total TR bindings to the F2-T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8.13→7.77, Δ=-4.4%).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βl and Tβ2, both before and after the 100 nM T₃ sti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over time. While the TRβl bindings to the F2-TRE after 1 hour of l00nM T₃ stimulation were acutely reduced, those of the TRαl at 20 minutes and 6 hours were increased. The TRβ2 bindings showed a maximal increase at 20 minutes. The directions of the TR binding pattern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identical to those for between 4 and 6 hours of T₃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 bindings to the F2-TRE in relation to the amounts (1.5 vs. 4.5μ I)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the ChIP assays. The Western blo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s of each TR isoform proteins, either before or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100nM T₃.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dynamic binding patterns of the TR isoforms to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our observations. The ChIP technique may then be used to reveal the dynamic models of the cofactors, as well as TR isoforms, in the TR-regulated transcription machinery (J Kor SOC Endocrinol 18:379-391, 2003).

      • KCI등재

        민들레 잎과 뿌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유경미,김세희,장정화,황인경,김경임,김성수,김영찬 한국조리과학회 200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1 No.1

        In order to develop a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with natural food applications, the effects of dandelion leaves and roots powder content on the phys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ulggidduk were examined. Dandelion powders of leaves and roots at 0, 1, 2 and 3% were added to the dandelion sulgidduk. In the dandelion roots powder in sulgidduk, the color intensity of L values and the values and moisture content decreased however, the sensory color intensity, dandelio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andelion powder content. The sensory overall acceptability indicated the dandelion roots powder content at 3% had the highest overall and flavor scores. As the dandelion leaves content was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s, lightness,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of sulggidduk decreased, while the sensory color intensity, sensory hardness, hardness of texture properties and dandelion flavor increased. The addition at 1% of the dandelion leaves powder content with the dandelion sulggidduk and the addition at 3% of the dandelion roots powder content with the dandelion sulggidduk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 강화 특화작목 지표물질의 함량 분석

        유종수,방면호,정해곤,정태숙,최명숙,이경태,김세영,백남인 경희대학교식량자원개발연구소 2007 硏究論文集 Vol.26 No.1

        강화 특화작목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품화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재배작물의 표준화 연구를 위해 사자발쑥, 싸주아리쑥 그리고 순무에 대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사자발쑥이 9.5mg/g, 싸주아리쑥이 7.4mg/g, 순무가 1.8mg/g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자발쑥이 4.3mg/g, 싸주아리쑥이 3.6mg/g, 순무가 0.4mg/g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강화 약쑥의 유효지표성분인 eupatilin과 jaceosidin이 사자발쑥에는 각각 208mg/100g, 118mg/100g, 싸주아리쑥에는 199mg/100g, 111mg/100g 함유된 것을 HPLC를 통해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three Ganghwa indigenous crops, two varie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 Sajuarissuk) and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Sajabalssuk were 9.5 and 4.3 mg/g, those of Sajuarissuk were 7.4 and 3.6 mg/g, those of B. campestris ssp rapa were 1.8 and 0.4 mg/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 princeps Pampanini which were calculated by HPLC, were determined 208 mg/100g, 118 mg/100g in Sajabalssuk and 199 mg/100g, 111 mg/100g in Sajuarissuk, respectively.

      • In-Orbit Performance Result of KITSAT-3 Earth Imaging System(MEIS)

        Yoo, Sang Keun,Kim, Ee Eul,Chang, Hyon Sock,Kang, Kyung In,Choi, Soon Dal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Vol.15 No.1

        A compact imaging system, the Multi-spectral Earth Imaging System (MEIS) was developed and operated on an engineering test satellite, KITSAT-3 at the orbital altitude of 720 km. The MEIS takes multi-spectral images of the earth's surface with the swath width of 48 km and the ground sampling distance of 13.8 rn in three spectral bands. A brief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KITSAT-3 MEIS and the result from its initial operation since early 7une, 1999 are presented. The quality of images produced by the KITSAT-3 MEIS was found comparable to that of images from existing commercial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from its preliminary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