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작근 공간에서 재발된 치성각화낭

        임수연,허경회,이원진,최현배,최순철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8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8 No.2

        The odontogenic keratocyst (OKC) is a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 typically occurring in the jaws. Since the first description of OKC was published in 1956, the lesion has been of particular interest because of its specific histopathologic features, high recurrence rate, and aggressive behavior. Recurrences most commonly arise within bone at the site of the original cyst. However, as lining cells may find their way into surrounding tissues either from implantation during surgery or from cortical perforation recurrences may arise at a distance from the original cyst.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recurrent OKC which was first developed in mandible and recurred within the masticatory space.

      • KCI등재후보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의료기관 종사자 및 질병의 특성

        임현술,안연순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의료기관 종사자는 다양한 위험 요인에 노출되어 있지만 지금까지 의료기관 종사자에 대한 건강장해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가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질병 사례를 검토하여 의료기관 종사자의 업무상질병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근로복지공단에서 1999년과 2000년 업무상질병자 또는 기타 재해자로 입력된 전산 자료를 한국산업안전공단 전산망에 연결하여 자료를 다운받아 업무상질병을 재분류한 후 2001년 6월 30일까지 요양 승인된 업무상질병자 5,460명을 파악하였다. 이들 중 의료기관 종사자인 근로자 1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연령, 진단명 및 직종을 파악하여 기술역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중에서 의료기관 종사자의 점유율은 1999년과 2000년 각각 2.6%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감염성 질환이 61명(43.0%), 뇌·심장혈관계 질환이 60명(42.3%), 근육골격계 질환이 18명(12.6%), 기타 3명(2.1%)이었다. 성별 분포는 남성 59명(41.5%), 여성 83명(58.5%)으로 여성이 많았다. 연령별 질병별 분포는 20대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0명(21.1%), 40대 25명(17.6%), 50대 17명(12.0%), 60대 6명(4.2%)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직종별 질병별 분포는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64명(45.1%)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 19명(13.4%), 사무직 18명(12.7%), 조리실 10명(7.0%), 영선부 5명(3.5%), 임상병리사 5명(3.5%), 환경미화원 4명(2.8%)의 순이었다. 질병별 분포는 1999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1명, 간염은 B형 간염 3명, C형 간염 2명, 수두 1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7명, 심근경색증 7명이었다. 근육골격계 질환은 좌완관절전위 1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2명, 좌측견관절 상부관절 와순파열 및 감입증후군 1명이었다. 2000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이 23명, 간염 5명, 수두 3명, 홍역 3명이었다. 뇌·심장혈관계 질환은 뇌출혈 14명, 뇌경색 4명 심근경색증 12명 심실세동 1명, 중심망막동맥폐쇄 1명이었다. 근육골격계질환은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요추부 추간판탈출증 4명, 주관절 내상과염 1명, 견관절 극상근 건초염 1명, 수지 활액낭염 1명, 주관절 염좌 1명, 견괄절 충돌증후군 1명, 근막통증 증후군 1명이었다. 결론: 의료기관 종사자의 승인된 업무상질병은 감염성 질환, 뇌·심장혈관계 질환 및 근육골격계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앞으로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해 환경 노출 실태 및 업무상질병 여부를 파악하고 의료기관 종사자를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산업보건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Using the database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5,460 approved occupational disease cases, between Jan 1, 1999 and Dec 31, 2000, and approved by the Jun 30, 2001, were collected. Of these, the 142 health care worker cas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proportion of health care workers among the total cases reported in 1999 and 2000 was 2.6%, respectively. The diseases were infectious in 61(43.0%), cerebro-cardiovascular in 60(42.3%)and musculoskeletal in 18 cases(12.6%).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sex were 59(41.5%)and 83 cases(58.5%),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the occupational diseases by age were 64(45.1%), 30(21.1%), 25(17.6%) and 17 cases(12.0%),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pectively. For the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by age there were 48(78.7%) in their 20s and 12(19.7%)in their 30s, for the cases of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s by age there were 17(28.3%)in their 40s, 16(26.7%)in their 50s and 12(20.0%)in their 20s, and for the case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there were 7(38.9%)in their 30s and 4(22.2%)in their 20s. The distributions of the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s by department were 64(45.1%), 19(13.4%), 18(12.7%), and 10(7.0%)in the nursing, doctors, officers, and food services departm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as approved by the KLWC, were the infectious, cerebro-cardiovascular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 special management policy must be consider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 지방자치의 평가 : 경삭북도 의정활동(2000-2002)을 중심으로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김연기,임명순 大邱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3 社會科學硏究 Vol.11 No.1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결정과정에서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이 강화되어야 집행기관의 독주를 막을 수 있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익이 행정에 반영되는 주민중심의 지방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상북도의회가 의정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민의수렴, 정책의제의 형성과 조례제정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의원들의 전문성과 자질을 겸비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지방의원들이 고유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하는 자계가 필요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지역의 현안은 물론 정책에 대한 연구는 집행부를 견제 · 감시하거나 질의 · 질문을 하는데 이론적 · 실증적 기초자료가 된다. 연구를 기초로 하여 지방의회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데 연구자세의 부족은 지방의회의 전문성 부족으로 이어져 의원발의 등은 기대할 수 없다. 경상북도의회가 조례제정, 행정사무감사 정책대안 등이 바람직한 행사를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전문성 보완이 선결과제이므로 이를 위한 기관 설립과 제도적 장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성을 갖춘 인사가 지방의회에 진출할 수 있는 법제도 적 개선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경상북도의회 의원들은 각계각층의 다양한 비판과 대안 적인 목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지역의 풀뿌리 민주주의와 지역발전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legislative activities during the past three years(2000-2002). The legislative activities include to deliberate, decide budget, enact and revise regulations, inspect and investigate administrative affairs and reflect the opinion of the provincial people. And the results and matters in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were deduced from it. Generally speaking, this study shows that legislative activities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have been developed quantitatively.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has similar trends to other local councils at the upper local governments on the overall.

      • KCI등재

        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질병 특성

        안연순,임현술 대한산업의학회 2007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9 No.1

        목적: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8년 동안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요양 승인 된 사례를 분석하여 질병의 종류와 근로자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직업병 예방이나 산재보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한국산업안전공단으로부터 근로복지공단에서 1998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산업재해로 요양을 승인한(요양급여 또는 유족급여 수령자)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전산자료를 받아 자료를 검토하여 전체 재해자 중 업무상질병자 66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에 대하여 성, 연령, 근속기간, 직종, 질병종류, 질병 발생원인, 업종, 사업장규모 등에 대한 기술분석을 시행하였고, 근속기간 및 직종 등 정보가 누락된 변수는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조사 통계팀에서 산업재해 원인분석을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결과: 업무상질병자 667명은 남성이 76.0%(507명), 여성이 24.0%(160명)이었다. 이 중 사망자가 10.3%(69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7.3%(249명)로 가장 많았고, 사업장 규모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이 47.5%(317명)로 가장 많았다. 질병별로는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질환이 45.9%(306명), 감염성질환 등 직업병이 54.1%(361명)이었다. 직업병을 세분류하면 피부질환이 40.7%(147명)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감염성질환 36.3%(131명), 독성질환 11.1%(40명)의 순이었다. 감염성질환의 93.9%(123명)가 쯔쯔가무시병이었다. 직업병의 원인을 분류하였을 때, 생물학적인자가 88.6%(320명)로 가장 많았고, 화학적인자 8.0%(29명), 물리적인자 3.0%(11명)이었다. 종사업종은 임업이 66.7%(445명)로 가장 많았고, 어업은 6.1%(41명)이었다. 직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가 177명으로 전체의 75.3%로 가장 많았고, 특히 임업은 단순노무종사자가 151명으로 89.3%이었다. 다음으로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가 24명,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10명의 순이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 8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에서 업무상질병으로 인정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통계자료에서 알 수 없었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업무상질병의 특성을 요약하면 근속기간이 6개월 미만인 고연령 단순노무자에서 쯔쯔가무시병 등 감염성질환과 생물학적인자에 의한 피부질환이나 전신 독성 질환이 매우 중요한 직업병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고연령, 짧은 근속기간, 단순노무직 등의 특성은 산업보건의 사각지대에 있는바 향후 이들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업무상질병 예방을 위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compensated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at is operated by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Methods: Using the KLWC database, we collected667 cases of occupational disease compensated during the 8 years between 1 January 1998 and 31 December 2005.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diseases using the KLWC electronic data and the data investiga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sults: KLWC approved 667 cases, including 69 deaths (10.3%). Men accounted for 76.0%of the approved case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50~59 years of age (37.3%). The most common size of enterprise was 5 to 49 workers (47.5%). The propor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was 54.1%, of which 45.9% was work-related. Among occupational diseases, the most common was skin diseases (147 cases, 40.7%), followed by infectious diseases (131 cases, 36.3%), including scrub typhus (123 cases) and intoxication (40 cases, 11.1%). The causal hazardous agents were biological (320 cases, 88.6%), chemical (29 cases, 8.0%), and physical (11 cases, 3.0%). The major type of industry and occupation were forestry (445 cases, 66.7%) and elementary (151 among 235 cases, 89.3%), respectively. Conclusions: Major compensated occupational diseases were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scrub-typhus, skin diseases and toxic disease, which occurred among workers who were older, and had short tenure and elementary occupation, and these workers were out of the occupational health policy. A management policy must be establishe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occurring in such vulnerable workers.

      • 염산 Bleomycin 병변내 주입을 이용한 사마귀 치료

        강민정,임연순,최혜영,명기범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9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2 No.2

        연구목적 : 지금까지 난치성을 보이는 사마귀의 치료로 Bleomycin 행변내 주사의 효과가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치료방법의 효과를 사마귀의 크기, 숫자, 위치 및 유병기간에 따라 판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적응 대상을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 1995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피부과에 비성기성 사마귀로 내원한 환자중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재발한 경우, 크기가 0.5㎝ 이상이거나 7개 이상의 다발성 병변 , 혹은 조감 주위 병변을 보인 1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leomycin 병변내 주사로 치료하였다. 1회 치료후 효과와 치료 종결후 완치율을 병변은 크기, 숫자, 위치, 유병기간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 1) 환자의 연령 분포는 4세에서 45세였고, 남자 59명 여자 74명으로 1:1.24 비율이었다. 2) 첫 주사 치료후 96명의 환자에서 50% 이상의 병변의 수나 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크기별로는 0.5~0.9㎝의 87.5%에서, 병소의 수별로는 단일 병소의 76.9%에서 50% 이상의 병변의 크기나 수의 감소를 보여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조갑주의 병변은 79.1%에서, 수부는 75.8%, 족부는 72.9%에서 50% 이상의 호전을 보였으나 족서부 병변은 53.4%로 가장 낮은 낮은 효과를 보였다. 유행병 기간은 6개월 이하인 31명(86.2%)에서 50% 이상의 효과를 보여 유병기간이 짧을수록 치료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치료 종결시 3개월 이후까지 재발없이 완치된 경우는 총 93명으로 69.9%였고 치료받은 병변의 수가 증가할 수록 완치율이 감소하였다, 부위별로는 조감주위가 77.1%로 가장 높았으며, 병변의 크기에 따른 일괄된 완치율의 차이는 없었다. 병변의 기간에 따른 완치율은 6개월 이하에서 80.6%로 가장 높았으며, 유병기간이 길수록 완치율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4) 부작용은 환자 중 18.4%인 24명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유형별로는 3일 이상 지속된 동통과 홍반, 색소 침착 및 감염이 관찰되었으나, 모두 이후 호전되었으며, 1명에서 경한 조갑 능선을 동반한 변형이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마귀에 대한 Bleomycin 병변내 주사효과가 병변의 크기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심한 부작용이나 전신적인 독작용없이 조감주위병변 및 급성기 병변에서 높은 완치율을 보여 좋은 적응증이 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Bleomycin 병변내 주사의 효과 및 안정성에 있어서 시술자가 적당한 양의 약물을 주변부위로 부터 과도한 침습없이 정확히 병변의 기저부에 도달시키는 기술이 또하나의 중요한 변수가 됨을 반영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Purpose: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injection of bleomycin for common warts and plantar warts according to size, number, location, and duration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indication of this treatment for warts. Materials & Methods : The objective patients had warts being refractory to previous treatment or large than 0.5cm in size or 7 or more lesions or periungal lesions. The intralesional injection with bleomycin hydrochloride 1㎎/㎖ had been performed single to six times at 3 week interval until complete resolution.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4 to 45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 : 1.25(59 : 74). Results : After first treatment of bleomycin intralesional injection, a reduction of 50% or more of the primary wart area was observed in 96(72.2%) of 133 patients. 93(69.9%) of 133 treated patients experienced complete cure after 1 to 7 injections.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bleomycin injection for warts was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ize of warts. However the duration and number of warts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efficacy of treatment. The highest cure rate was shown in patients with periungal warts(77.1%), and lowest in patients with plantar warts(53.3%). The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18.4%(24 of 133) including persistent pain(17.3%), pigmentation(3.0%), erythema(1.5%), and mild nail dystrophy(0.8%), but no evidence of systemic toxicity was found. Conclusions : The efficacy of intralesional injection of bleomyci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ize, but closely related to the duration, number and site of the lesion. These results partly suggest that there is som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of treatment of bleomycin such as duration of the lesion and skillful injection of the agent into the wart tissue.

      • 액와 부 유방조직 1예

        조소연,임연순,최혜영,명기범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7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0 No.2

        부 유방조직은 발생학적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며 주로 사춘기 이후에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여러 아형이 있으며, 본 증례에서와 같이 임신과 무관하게 액외부에 일측성으로 피부표면의 병변 없이 이소성 선조직만 존재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 case of unilateral accessory axillary breast tissue developed as a subcutaneous nodule unassociated with menstrual periods, pregnancy, or lactation in a 33-year-old parous woman. Histopathologic finding of the nodule revealed lobules of normal breast tissue forming islands of glandular tissue, This case belongs to one of the unusual forms of supernumerary breast tissu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berrant gland tissue alone. The literature is briefly reviewed.

      • 임신중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임상적 고찰

        서정호,김윤숙,김대원,이동운,최규연,이정재,이임순 순천향의학연구소 2003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9 No.1

        Objectives: To stud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time, mode of delivery, size of myomas and outcome of pregnancy in cases of myomas that were detected prior to pregnancy or during the antenatal care and after delivery. Methods: We statistically analyzed 76 patients with uterine myomas in pregnancy admitted to Soonchunhyang Seoul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an. 1999 and Dec. 2001.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atients in the detected group and undetected group were 32.9 years and 32.3 year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rimarity between the detected group(98.2%) and the undetected group(79.6%) 2. The most common type of uterine myoma in both groups was intramural myoma (detected group 94.1% vs undetected group 81.3%). The uterine myomas were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anterior portion and fundus(detected group 52.9% and 23.5% respectively vs undetected group 47.4% and 23.7%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Uterine myomas with a diameter of 3cm or more in the detected group were detected by clin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m. Rate of uterine myomas with a diameter of 3cm or more in the detected group is 76.5% and less than 3cm is 54.2% which detected incidentally at delivery. 3. The proportion of term infants were detected group 88.2% vs undetected group 91.5%. 4. The most common indications for cesarean section in both groups were cephalopelvic disproportion and repeated cesarean section (detected group 41.2% and 45.8% respectively vs undetected group 11.8% and 18.6%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5. Secondary pathologic changes in the all myomectomy specimens were degeneration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no necrosis or sarcomatous change. 6. Antenatal complications were preterm labor, premature repture of membranes, spontaneous abortion, malpresentation, and placenta previa.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lacental abruption were not seen in both groups. Conclusion: Myoma detected by ultrasonogram before or during pregnancy is not a significant implication of pregnancy outcome.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A Case of Eosinophilic Panniculitis Associated With Superior Sagittal Sinus Thrombosis

        Lim, Yeon Soon,Choi, Hae Young,Myung, Ki Bum,Seo, Seung Lee,Kim, Yun Jin 대한피부과학회 1999 Annals of Dermatology Vol.11 No.1

        Eosinophilic panniculitis is characterized by a prominent infiltration of numerous eosinophils in subcutaneous fat, and has been identified in patients with a variety of associated clinical conditions. A case of eosinophilic panniculitis in a 20-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is reported. She later developed superior sagittal sinus thrombosis, and we stress the importance of systemic evaluations in patients with eosinophilic pannicul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