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scle Mass Changes After Daily Consumption of Protein Mix Supplemented With Vitamin D in Adults Over 50 Years of Age: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Serum 25(OH)D Level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Yeji Kang,Namhee Kim,Yunhwan Lee,Xiangxue An,Yoon-Sok Chung,Yoo Kyoung Park 한국임상영양학회 2023 Clinical Nutrition Research Vol.12 No.3

        Early prevention of sarcopenia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for muscle maintenance, but most studies target subjects at slightly pre-sarcopenic state. Our previou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protein supplements rich in leucine and vitamin D on muscle condition, and in this paper, we performed a sub-analysis to evaluate who benefitted the most in terms of improvement in muscle health. A 12-week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120 healthy adults (aged 50 to 80) assigned to an intervention group (n = 60) or control group (n = 60) were analyzed. Subjects in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twice per day, a protein supplement containing (per serving) 800 IU of vitamin D, 20 g of protein (3 g of total leucine), 300 mg of calcium, 1.1 g of fat, and 2.5 g of carbohydrat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insufficient’ and ‘sufficient’ groups at 25-hydroxyvitamin D (25[OH]D) value of 30 ng/mL. The skeletal muscle mass index normalized to the square of the skeletal muscle mass (SMM) height (kg/ m2 )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nsufficient group’ difference value of change between weeks 0 and 12 (Δ1.07 ± 2.20; p = 0.037). The SMM normalized by body weight (kg/kg, %) was higher, but not significantly, in the insufficient group (Δ0.38 ± 0.69; p = 0.050). For people with insufficient (serum 25[OH]D), supplemental intake of protein and vitamin D, calcium, and leucine and adequate energy intake increases muscle mas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would be likely to exert a beneficial effect on muscle health.

      • 생육 모니터링 개발을 위한 근접, 광역 촬영 투입비용 비교 연구

        강예지 ( Yeji Kang ),이철우 ( Chul Woo Lee ),서강훈 ( Gang-hun Seo ),이상호 ( Sangho Lee ),김국환 ( Gookhwa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농작물에 발생하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초강력 태풍 발생, 지구 연평균 기온 상승에 따른 해수면 상승, 가뭄과 홍수 발생 빈도 증가, 곤충 생태계 붕괴 등 기후변화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야기하며 최종적으로는 식량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노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이 급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분광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 광역에서 농작물을 촬영하고, 취득한 이미지를 분석 후 생육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근접은 가변형 플랫폼에 다중분광카메라를 수직으로 거치하여 1m씩 이동하며 촬영하였다. 촬영 높이는 1.9m로 한 프레임당 1.7m*1.3m 면적이 촬영되며 플랫폼의 폭과 높이는 작물별 두둑 폭과 최종생육상태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광역의 경우 동일한 다중분광카메라를 드론에 장착하여 촬영하였다. 25m 높이에서 촬영하였으며 한 프레임 안에 약 22.3m*16.7m 면적이 촬영된다. 근접, 광역 촬영은 촬영 높이 차이로 GSD(Ground Sample Distance)는 150배 이상 차이 난다. 따라서 생육모니터링 항목에도 차이가 있다. 투입비용 비교산출은 하드웨어 구축비용과 소요시간에 따른 인건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광역촬영이 효율적이었다. 하지만 생육모니터링 측면에서는 근접촬영에서만 가능한 절대적인 항목이 다수 있었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촬영 방법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값은 앞으로의 생육모니터링 개발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향후 근접 플랫폼 개발의 경제성 분석 비교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KCI등재후보

        X선 촬영실에서 방호복 유무에 따른 공간산란선량의 측정 비교

        허예지(Yeji Heo),김교태(Kyotae Kim),조창훈(Changhoon Cho),강수만(Suman Kang),박지군(Jikoon Park),강상식(Sangsik Kang),노시철(Sicheul Noh),정봉재(Bongjae Jung)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4

        현재 의료기관은 의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방사선 발생장치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방사선으로 인해 환자가 받는 직접적인 피폭을 가능한한 줄이는 목적도 중요하지만 촬영시 공간 내에서 받을수 있는 간접적인 피폭을 줄여 의료업에 종사하는 의료인, 방사선 작업종사자 및 보호자의 피폭을 줄여야 한다. 엑스선 촬영실에서는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보호자에게 방호복의 착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불가피하게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보호자가 환자의 촬영 보조를 할 경우, 방호복 착용에 의한 중량감 및 불편함 때문에 방호복 착용이 등한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호복 유무에 따라 공간산란선량을 측정하고 거리, 가로면 각도 및 높이에 따라 측정함으로써 방호복 착용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urrent medical institu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o the increased demand for health use of radiation equipment is increasing rapidly. Direct radiation from the patient receives the aim of reducing exposure as much as possible is important and the spatial dose of scattered radiation with in the space to engage in reducing healthcare physician, radiation workers and carers need to reduce indirect exposure. X-ray radiation workers and caregivers in the X-ray room to wearing of protective clothing is advised. However Radiation worker sand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econdary is done, by wearing protective clothing to wear protective clothing because of the weight and discomfort have been neglec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othing scattered radiation from space to measure distances, depending on the horizontal and height by measuring the angle of the importance of wearing protective clothing were investigated.

      • KCI등재

        노인 당뇨병 인지자의 연령에 따른 삶의 질 수준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강예지(Yeji Kang),박경(Kyong Park)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2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6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그중 자신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2,353명을 대상으로 세부 연령 그룹별 정신건강 특성, 식이 섭취수준 및 HRQoL 수준을 비교하였다. 노인 당뇨병 인지자들을 65–69세, 70–74세, ≥ 75세로 분류하여 EQ-5D 개별 항목과 index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5가지 항목 중, 연령이 높을수록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항목의 수준이 낮은 결과를 보였고, EQ-5D index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당뇨병 환자의 경우, 질환을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과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기능장애들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개별적인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관리에서 HRQoL 측정의 중요성은 강조되며, 지속적인 추적 조사를 통해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특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를 고려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의 HRQoL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은 개인의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국가의 보건복지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lthough the importance of life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has been emphasized, limit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his study examined the HRQoL among Korean patients with diabetes aged 65 years or older.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6. The analysis included data of 2,353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aware that they had type 2 diabetes. Each participant was categorized into one of three age groups (65–69 years, 70–74 years, and ≥ 75 years). The EuroQol-5 Dimensions (EQ-5D) scale was computed to estimate the HRQoL.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style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and EQ-5D scores between the age groups. Results: The intake levels of most nutrients were similar in the three age groups, but the total energy intak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e sodium intak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er age groups (p < 0.001). In addition, all items of the EQ-5D index, except for anxiety/depression, tended to decrease with age. In particular, the oldest age group (≥ 75 yea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n most items and the EQ-5D index than those in the other age groups (p < 0.001). Conclusion: Elderly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ay have low levels of life satisfaction, which worsens with increasing 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d manage personalized guidelines and medical systems so that elderly patients have a higher quality of life for the remainder of their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diabetes in elderly Korean patients.

      • 스마트 온실 방제로봇 기대 수명 도출을 위한 연구

        강예지 ( Yeji Kang ),김경철 ( Kyoung-chul Kim ),서다솜 ( Dasom Seo ),권경도 ( Kyungdo Kwon ),김국환 ( Gookhwan Kim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스마트팜 보급이 확산되면서 온실 내부에서 사용되는 로봇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로봇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인력과 로봇의 작업시간 비교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한 작기 최소 로봇 운영 일수 도출이 필요하다. 방제 로봇의 경우 발생하는 병충해에 따라 사용되는 약제와 횟수가 달라서 특정 병에 대한 방제 로봇 최소 운영 일수 도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 임실군 청웅면에 소재하는 완숙 토마토 데프니스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의 환경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제 잎곰팡이병이 발생한 작기의 환경 데이터를 취득하여 방제 로봇의 기대 수명 도출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잎곰팡이 병원균의 발육 적온은 20℃~25℃, 습도 90% 이상이며, 밤ㆍ낮 일교차가 크면 급속하게 발병한다. 따라서 발병 기준을 습도 80% 이상, 온도 차 10℃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환경 데이터는 온실 내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 5분 단위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임실 농가의 경우 두 개 구역에 센서가 설치되었으며 측정된 값을 평균으로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밤ㆍ낮 일교차는 일출, 일몰 시각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온도 차는 최대온도와 최소온도 차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값에 의하여 총 7일이 발병 적정 환경으로 검출되었으며 평균 방제 횟수를 곱하여 최소 방제 일수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방제 로봇의 경제성 확보를 위한 기대 수명과 목표 수명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변량시비장치 도입을 위한 측조시비장치 비용편익분석 연구

        강예지 ( Yeji Kang ),홍영기 ( Youngki Hong ),김국환 ( Gookhwan Kim ),김경철 ( Kyung-chul Kim ),권경도 ( Kyung-do Kwon ),양창주 ( Changju Y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지속되는 원자재가격상승과 환경문제 대두로 비료 사용은 농업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농업에서 측조시비장치는 이앙기가 모를 정식하면 측면에 비료를 살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농업노동력 감축에 효과적이다. 변량시비장치는 측조시비장치를 기반으로 비료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써 포장 내에서 모를 정식할 때 토양에 함유된 영양분에 따라 필요 비료량을 조절하여 살포한다. 본 연구는 변량시비장치를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변량시비장치를 이앙기에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를 수치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행 기술인 측조시비장치에 대해 감가상각을 시행하였으며 정액법을 적용하였다. 구동부가 ERP방식의 6조식 이앙기에 부착되는 측조시비장치를 대상으로 감가상각 후 현재 가치액과 누적 유지보수비의 비용편익분석을 시행하였다. B/C Ratio는 4년 0.86, 5년 2.15로 5년째 측조시비장치의 현재 가치액을 유지보수비가 초과하게 된다. 감가상각은 농기계화 촉진법 시행규칙 중 농업기계의 내용연수에 따라 동력 이앙기 및 그 부속작업기 내용연수를 적용하였으며 총비용을 고정비와 유동비로 분류하여 유지보수 부품에 대해 별도로 감가 상각을 시행하여 유지보수비를 산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분석값을 바탕으로 손익분기분석을 시행하여 신규 농업기술이 관행 농업기술보다 경제적 우위를 갖는 생산면적과 생산량을 수치화할 예정이다.

      • KCI등재

        발톱 크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요인과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분석

        강예지(Kang, Yeji),이유진(Lee, Yujin),손자경(Son, Jakyung),박경(Park, Kyong)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본 연구는 SELEN 코호트 연구의 기반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남녀의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면류, 채소류, 과일류가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교란인자를 보정한 후 크롬 수준과 주요 이상지질혈증 간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발톱 크롬 농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제시하게 된 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크롬 관련 영양 역학연구의 결과로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크롬의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 개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크롬 섭취 및 체내 크롬 농도와 이상지질혈증과의 명확한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인 크롬 식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코호트 연구와 임상시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yslipidemia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over the past few decades in South Korea.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romium level and chronic disease has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Korean popul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etary and non-dietary correlates of the toenail chromium level, and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oenail chromium level and dyslipidemia. Methods: The baseline data of an ongoing prospective cohort study in Yeungnam area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A total of 500 participants aged 35 years or older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ir demographics,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medical information were included. The toenail chromium level was analyzed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The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a validated 146-ite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blood lipid profil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examinations conduct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or medical institutions. Results: Higher chromium levels were associated with the residential area (urban),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intakes of noodles and vegetables, and lower intake of frui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toenail chromium levels we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odds ratio: 0.99, 95% confidence interval: 0.61 ~ 1.60).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determine the independent correlates of the toenail chromium level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hromium exposure and dyslipidemia.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scientif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chromium intake guidelines for the Kore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