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췌도세포 동종이식의 반복시행

        양태영,정인경,서인아,오은영,조건영,오승훈,김성주,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도영수,주성욱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췌도세포 이식은 시술이 간편하고 안전하기 때문에 반복이식이 가능하여 그 동안 여러 센터에서 반복이식의 성공을 보고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본 병원을 비롯하여 몇몇 센터에서 췌도세포 이식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나 사람에서의 동종이식 및 동종 이식의 반복시행은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국내 최초로 췌도세포 동종이식을 시행하여, 혈청 C­펩타이드가 증가하고 인슐린 요구량이 감소하였으며, 혈당농도와 당화혈색소의 안정을 보였다. 그러나 이식 70일 후 다시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고 C­펩타이드가 감소하여 췌도세포 이식을 다시 시행한 바 있다. 2차 이식 후 70여일이 지난 현재 다시 혈청 C­펩타이드가 증가하고, 인슐린 요구량이 더 감소되어 췌도세포 이식에서 반복 시행의 유용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환자는 32세 남자로 17년전 당뇨병 진단 후 인슐린 치료 중이었으며, 3년전 부터는 만성신부전증으로 혈액툭석을 하고있었다. 1999년 12월 25일 신장이식을 하였고 3일 후 췌도이식을 하였으며, 두번째 이식은 70일 후 시행하였다. 췌도분리는 변형된 Recordi방법과 비연속성 자당 농도차(discontinuous density gradient)를 이용하였으며 분리한 췌도는 배양 후 환자의 신장기능이 정상화되고 미생물학 검사에서 음성을 확인한 후 경피경간으로 간문맥을 접근하여 16G 폴리 에틸렌 카테터를 이용하여 간실질에 이식하였다. 결과:1차 췌도이식시 순수분리전 췌도수는 210,000개, 순수분리후 획득한 췌도수는 90,000개, 순도 95%, 세포양 1.0mL 이었고, 2차 췌도이식시 순수분리전 췌도수는 420,000개, 순수분리후 획득한 췌도수는 370,000개, 순도 95%, 세포양 1.5mL 이었다. 1,2차 모두 간문맥을 통해 약 20분에 걸쳐 간실질에 주입하였다. 췌도이식전 인슐린요구량은 75∼75U/일, HbA1e 8∼10%, C­펩타이드 0.6ng/mL 였으며, 1차 췌도이식수 7일째 인슐린 요구량은 40U/일, C­펩타이드 1.5ng/mL, FPS 109mg/mL 였고, 40일 추적관찰 후 인슐린 요구량이 36U/일, C­펩타이드 1.8ng/mL, HbA1e 6.5∼7.0%로 안정되었다. 그러나 이식 50일째부터 인슐린 요구량이 50∼56U/일, C­펩타이드 0.6ng/mL, FPS 130∼200mg/dL로 혈당 조절이 불안정하여 다시 췌도이식을 시행하였다. 2차 이식후 50일이 경과한 현재, 인슐린 요구량은 26U/일, C­펩타이드 1.8ng/mL, FPS 90∼120mg/dL로 다시 안정되었다. 결론:췌도이식은 반복이식이 가능하며, 본 환자의 경우 인슐린요구량 감소, 혈당의 안정화 및 C­펩타이드가 상승하여 이식한 췌도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가 유지 용량으로 감량되면 인슐린 요구량은 더 감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past 20 years,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human islet transplantation. However, cases of prolonged insulin independence after islet allotransplantation have rarely been reported and over time, a slight, gradual decrease in insulin secretion appears to occur, as suggested by the lower C-peptide. Although preliminary clinical success achieved over the past few years has been considerably higher with whole pancreatic transplant than with isolated islet grafts, both approaches remain experimental. Islet grafts might gain, over time, increasing credibility and might eventually provide an easier alternative in terms of grafting procedures and patient management, as compared with the more "traumatizing" whole-pancreas transplantation. Also, using islet, re-transplantation is possible. But it is not known whether re-transplantation of islet could be suitable for those patients who lost grafted islet func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ts of re-transplantation of islet in previously simultaneous islets-kidney transplant (SIK) patient who have lost graft function. Methods : The recipient was a 32 year old male. First islet transplantation was underwent at December 25, 1999. However, the grafted islets lost function after 70 days. So we performed re-transplantation of islets. The isolation of islet was conducted sterilely on a laminarflow hood and isolated by a modified Recordimethod. The islet was injected slowly into the liver via a cannular placed in the potalvein for 20 minutes. Results : Transplanted islets were 90,000 IEq at first islet transplantation, 370,000 IEq at second islet transplantation. The insulin requirement was reduced from 75-85 to 35-40 U/day, the basal C-peptide level was 1.5 ng/mL at 7 days posttransplant Unfortunately, the grafted islets lost function after 70 days. After second transplantation, the insulin requirement was reduced to 26 U/day. Conclusions : Despite the continuous need for exogenous insulin therapy, islet transplantation can prevent wide glucose fluctuations, thus resulting in normalization of glycemic control and improvement in HbAlc, and also, show that islets can be successfully and safely re-transplanted intraportally in patients who have lost previously grafted islet function (J Kor Diabetes Asso 457~466, 2000).

      • 화농성 슬관절염이 동반된 수막구균성 수막염 1예

        김태연,유진홍,박성환,김연식,임상현,신완식,강문원,정창훈,최문구,강지민 대한화학요법학회 1997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5 No.2

        저자들은 최근 화농성 슬관절염과 병발한 수막구균성 수막염 1예를 체험하였고, 이는 국내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은 드문 예로 사료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meningococcal meningitis associated with pyogenic arthritis in a 37-year old male patient. Pyogenic arthritis developed in right knee joint during treatment for meningococcal meningitis. He was treated successfully by appropriate antibiotics and arthroscopic irrigation. To our knowledge, such a rare case has not ever been reported in Korea, Hence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

        정인경,오승훈,김병준,양태영,이병완,하창영,노정현,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1

        연구배경:최근 당뇨병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시도되고 있는 췌도이식은 충분한 췌도수의 확보와 췌도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면역억제제 사용이 제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 전 충분한 췌도 수의 확보를 위해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는 방법을 확립하고 냉동보존한 백서 췌도세포의 시험관내 그리고 생체내 기능을 조사하였다. 방법:분리한 백서의 췌장소도를 48시간 배양한 후 한 시험관당 췌도세포 1000개씩 나누었다. 냉동보존은 6개의 시험관에 DMSO를 첨가한 후 초 냉각(supercooling), 핵화(nucleation)단계를 거친 후 99% isopropanol과 액체질소가 들어있는 dewer를 이용하여-0.25℃/분의 냉각속도로 -40℃까지 단계적으로 얼린후-70℃ 액체질소 탱크에 보관했다. 해동은 냉동시킨 vial들을 액체 질소 태으에서 꺼내 37℃ 항온조에 담가 급격히 해동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vial에 0.75M sucrose 용액을 가한 후, 10% fetal calf serum이 함유된 RPMI 1640 media에서 배양하였다 각각 6개의 시험관에서 해동한 췌도들을 광학현미경 및 형광현미경하에서 췌도의 모양과 생존율에 대해 조사하고 인슐린 정적반응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지 않고 이식한 경우를 대조군(6마리)과 생체내 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① 냉동보존후 획득한 췌도의 수와 생존율 해동후 획득한 췌도의 수는 해동시킨 당일날이 902±21, 24시간 배양 후에는 857±16, 72시간 후에는 817±18개로 점차 감소되었다. AO/PI 염색상 각 췌도의 생존율은 냉동 전을 100으로 하였을 때 해동당일, 24시간 후, 72시간 후가 각각 60±5, 80±5, 90±5%로 해동후 3일간 배양하였을 때 냉동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②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정적 인슐린 분비능:냉동직후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해동후 3일간 배양한 췌도의 인슐린 분비는 냉동전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이 냉동보존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③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동적 인슐린 분비능:냉동보존한 췌도를 해동후 3일째의 인슐린 동적 분비능은 냉동 전과 마찬가지로 자극 인슐린의 반응의 제1기와 2기가 잘 관찰되었다. ④ 냉동보존한 췌도세포 이식 후 혈당 변화: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에 췌도이식 후 혈당은 냉동보존한 췌도이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혈당의 조절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었다. 결론:소동물에서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기능, 구조 및 생존율에 큰 이상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장차 사람의 췌도세포 동종이식시 부족한 췌도세포수를 극복하고 면역반응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Although islet transplantation has been attempted to reverse the state of diabetes, achieving a critical number of islets and modulating the immune response limit the success of islet transplantation. Cryo-preservation of islets offers many important benefits for islet transplantation by collecting islets with a wide variety of HLA phenotypes and islet MHC expression.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cryo-preservation by using a controlled cooling method and to evaluate in vitro and in vivo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cryo-preserved islets. Methods : Collagenase-isolated, Ficoll-purified islets were cultured for 48 hours. They were aliquoted into freezing tubes (1000 islets per tube), equilibrated with 2M dimethyl sulfoxide (DMSO) in three steps, supercooled, nucleated, and controll-cooled at rate of 0.25℃/min to - 40℃ prior to storage at - 196℃. Rapid thawing and removal of DMSO with 0.75 M sucrose preceded 48 hour of culture and the morphology, viability, glucose-induced insulin secretion, and in vivo function of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reexamined. Results : ① Recovery was 90.2±0.2%, 85.7±0.1% and 81.7±0.1% immen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The viability was 60±5%, 80±5%, 90±5% imme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② The glucose-stimulated-insulin secretion (GSIS) tended to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awing, but GSIS increase to the level of pre-cryopreservation 72 hours after thawing. ③ The in dynamic GSIS, the first and the second phase of insulin secretion were well preserved in islets cultured for 72 hours after thawing. ④ The cryopreserved islets were cultured for 3 days and transplanted into renal sub-capsular space of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rats. The duration of normoglycemia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of the fresh islets. Conclusion : The optimal condition of cryopreservation using the controlled cooling method was established in rat pancreatic islets. This cryopreservation method can be a feasible approach for human islet transplantation (J Kor Diabetes Asso 26:64~74, 2002).

      • 기후변화가 美國의 국가안보에 끼치는 영향

        문태식(Tae-Shik Moo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2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2021.10 월 美國국가정보 위원회에서 ‘2040년까지 기후변화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한 판단서’ 를 발간하였음. 同 판단서는 기후변화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라는 美바이든 대통령의 지시에 의거 작성한 것으로 기후변화의 물리적 영향이 커지고 지정학적 위험지역이 증가함에 따라 2030년 이후 주요 국가의 불안정이 야기되면서, 미국의 국가안보 리스크도 증가한다고 예측하고 있음 위 판단서에서 보듯 미국은 기후변화가 自國의 국가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과 향후 대웅방안 둥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음. 또한, 군사안보 동맹 차원의 QUAD 나 AUKUS 外현재 미국이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의 경우 공정무역 · 공급망과 함께 기후변화 탄소감축을 중요한 목표로 제시, 對中 견제전선에 한국이 참여토록 요구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청와대 NSC 에서 외교국방 등 전통적 안보와 사이버 테러 문제 등을 담당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기후변화에 대한 안보적 측면의 대비는 미국처럼 활발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음. 新정부에서 총리실 산하 신홍안보위 설치, 공급망 위기 · 기후변화 · 감염병 둥을 포함한 경제안보를 담당한다고 보도되고 있는 바, 기후변화와 안보적 영향과의 相關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가 차원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

      • KCI우수등재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의 殺菌效果에 관한 實驗的 연구

        Zong, Moon-Shik,Chong, Kyu-Kwan,Kim, Tae-Shik,Kim, Chung-Ock 한국환경보건학회 198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13 No.1

        Owing to the modification of testing methods of disinfectants or antiseptics, variations of bacteria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resistance changes of bacteria, it is necessary that the bactericidal activities of disinfectants or antiscptics should be reevaluated nowaday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evaluate in the vitro bactericidal activity of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total bacteria taken from sewage water and Legionella bozemanii were $2.0\times 10^{-3}$%, $1.0\times 10^{-2}$%, respectively and were comparatively high.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Shigella flexneri was $1.6\times 10^{-4}$%, and was comparatively low. 2. For total bacteria taken from sewage water, it was killed within 15 minute in 0.1%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when number of cells was $1.6\times 10^7$/ml. 3. For 0.0125%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decimal reduction times of Ps. aeruginosa, S. typhi, E. Coli were 45 sec, 25 sec, 18 sec repectively. For 1%, 0.125%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decimal reduction times of Legionella bozemanii were 10 sec, 45 sec respectively.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according to temperattire. Phenol coefficient of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as using Staph. aureus was 100 and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disinfectants. In comparison with other disinfectants, Legionella bozemanii was killed within 5 minutes in 0.02% KMnO$_4$ and 0.125% Chlorhexidine giuconate solution but was not killed within 3 minutes in 1% 0-cresol, 1% Phenol.

      • KCI우수등재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의 殺園效果에 關한 寶驗的 硏f究

        鄭文植(Moon Shik Zong),鄭圭寬(Kyu Kwan Chong),金泰植(Tae Shik Kim),金貞天(Chung Ock Kim) 한국환경보건학회 198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13 No.1

        Owing to the modification of testing methods of disinfectants or antiseptics, variations of bacteria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resistance changes of bacteria, it is necessary that the bactericìdal activities of disinfectants or antiscptics should be reevaluated nowaday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evaluate in the vitro bactericidal activity of Chlorhexidine gluco. nate solu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total bacteria taken from sewage water and Legionella bozemanii were 2.0 x 10-3%, 1.0 x 10-2%, respectively and were comparatively high.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Shige/la flexneri was 1.6 x 10-4%, and was comparatively low. 2. For total bacteria taken from sewage water, it was killed within 15 minute in 0 .1 % Chlorhexidine gluc‘)nate solution w hen number of cells was 1 .6 x 107 fm1. 3. For 0.0125% Ch10rhexidine gluconate solution, decimal reduction times of Ps. aeruginosa. S. typhi. E. Coli were 45 sec, 25 sec, 18 sec repectively. For 1%, 0.125%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deciml!l reduction times of Legionella bozemanii were 10 sec, 45 sec respectively. 4. There was significantdifference in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5. Phenol coefficient of Chl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as using Staph. aureus was 100 and comparatively rugher than that of other disinfectants. 6. In comparison with other disinfectants‘ Legionella bozemanii was killed witrun 5 minutes in 0.02% KMn04 and 0 .1 25% CWorhexidine gluconate solution but was not ki1Ied within 3 minutes in 1% O-cresoI. 1 % PhenoI.

      • KCI등재

        기반 기술 : DNP3 프로토콜 보안 현황 및 공격 탐지 방안

        권성문 ( Sung Moon Kwon ),유형욱 ( Hyung Uk Yoo ),이상하 ( Sang Ha Lee ),손태식 ( Tae Shik Shon ),권성문 ( Sung Moon Kwon ),유형욱 ( Hyung Uk Yoo ),이상하 ( Sang Ha Lee ),손태식 ( Tae Shik Shon ) 한국항행학회 201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8 No.4

        과거의 제어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의 망을 외부의 망과 분리함으로써 외부의 접근을 원천 차단하여 외부공격에 대한 보안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제어 시스템의 디바이스들이 다양해지고 디바이스 간의 상호 운용이 필요해짐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해 졌으며 이는 제어 시스템 또한 외부의 망과 연결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관리는 용이해졌으나 보안 사항이 포함되지 않은 다수의 제어 시스템의 프로토콜이 각종 사이버 공격의 위험에 놓이게 되어 각 프로토콜에 대한 보안 기능 추가 및 공격 탐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컨트롤 센터와 변전소간 통신에 쓰이는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3 프로토콜을 중점으로 다루며 프로토콜의 특징과 보안 현황 분석 및 현재까지 공개된 취약점 분석과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탐지 방안을 제시한다. In the past, security on control system was guaranteed by isolation of control system networks from external networks. However as devices of the control systems became more various and interaction between the devices became necessary,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such network emerged and this triggered connection between control system networks and external system networks. This made management of control system easier but also made control system exposed to various cyber attack threats, Therefore researches on appending security measures on each protocols are in progress. This paper focused on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3 protocol which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rol center and substations. It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DNP3 protocol and research on adding security elements to the protocol. It also analyzed known vulnerabilities of DNP3 protocol and proposed data mining methodology for detecting such vulnerabilities.

      •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발암성 혼합 유기용제의 동시정량분석법 개발

        문덕환,김종근,황용식,이용희,김정호,박명희,이종태,이채언 인제대학교 1998 仁濟醫學 Vol.19 No.2

        산업장에서 사용되는 많은 유기용제 중 발암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발암성 유기용제들에 대한 폭로량 평가는 근로자들의 건강 관리와 작업환경 관리의 진보에 있어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이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정확히 분석하여 폭로 평가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점이 상당히 많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산업장 공기중 발암성으로 확인 및 추정된 혼합 유기용제 농도에 대한 동시정량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컬럼. 주입구 및 검출기의 온도를 변화시켜 14종의 발암성 혼합 유기용제의 최적 분리 조건을 제시하고,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산업 장에서 직업성 폭로에 의한 직업병 예방과 발암성 혼합 유기용제 정량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prepare the fundamental data for determination method on carcinogenic substance of organic solvents and prevent to occupational disease of workers by assessing the occupational exposure in industry, the author developed a simultaneous determination method on 14 carcinogenic organic solvent by gas chromatography with changing the temperature of column, injector and dete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The optimum condition of this method were 35-150℃ for colum temperature. 250℃ for injector and detector temperature with capillary OV -1 column at 0.2 kg/㎠ of inlet pressure. 2.The recovery rates of 8 carcinogenic organic solvent including 1,1.2-Trichloroethane were 90% and over.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