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이성심(Lee, Sungsim),전주성(Ju Sung Ju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과 노후준비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과 노후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총 212명의 만 50~69세의 신중년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료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Model 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 노후준비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과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신중년의 노후준비도를 높이기 위해 신중년을 위해 평생학습역량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ew middle aged 50 to 69 years old living in Korea and the data of the 212 people were analyz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of Hayes (2013).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to increase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the new middle aged in order to increase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 KCI등재

        고등학생의 부모지지, 교사관계, 진로교육활동만족도, 자기효능감, 진로개발역량 간의 구조관계 분석

        이성심(Lee, Sungsim),이기형(Lee, Kihy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지지, 교사관계, 진로교육활동만족도, 자기효능감, 진로개발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II(KEEP II: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2차년도 데이터 총 4,75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지지, 교사관계, 진로교육활동만족도, 자기효능감, 진로개발역량은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부모지지, 교사관계는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등학생에게 있어 진로교육활동만족도가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개발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을 위해 진로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suppor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data in Year 2 of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II (KEEP II) with a total of 4,751 pers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suppor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Second, it turned out that parental support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d positive impacts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hird, in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had significant impacts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in which career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for the cul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이성심(Sungsim Lee)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에 개인차가 있는지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이하 KYCPS 2018)’데이터 중 2018년에 중학교 1학년, 2021년에 고등학교 1학년이 된 학생들의 총 4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련 변수에 성실하게 응답한 2,160명(남학생 1,158명, 여학생 1,00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청소년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은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무조건 모형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발달궤적은 개인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따스함, 거부, 자율성지지, 강요, 구조제공, 비일관성을 예측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강요를 제외한 따스함, 거부,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비일관성 모두 자아존중감의 초기치를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거부,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비일관성은 변화율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adolescents' self-esteem using a latent growth model,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YCPS 2018) of the Korean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which included 2,160 participants (1,158 males and 1,002 female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relevant variable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2018.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adolescent self-esteem gradually decreases with age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unconditional model of adolescent self-esteem, indicating that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is individualized. Third, parenting style warmth, rejection, autonomy support, coercion, structure provision, and inconsistency were analyzed as predictors, finding that; except for coercion, warmth, rejection, autonomy support, structure provision, and inconsistency were all predictors of initial self-esteem, and rejection, autonomy support, structure provision, and inconsist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ate of chang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d longitudinal changes in adolescent self-esteem,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한 청년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이성심,Sungsim Lee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youth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ways to increase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utilized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2021 Youth Socio-Economic Survey' to study 2,041 youth aged 18-34 as of 2021. The randomForest method was applied to explor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youth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1 variables were analyzed, including demograph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actors.The results of exploring the variables affecting youth life satisfaction using randomForest are as follows. First, all 21 predictor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young adult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yout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work values'. Third, it can be seen that young people's perceptions of society, such as 'political effectiveness' and 'perception of older generation', are also variables that affect youth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variables affecting youth life satisfaction are explained and discussion points are presented.

      • KCI등재

        전문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

        윤옥희 ( Yun Ok-hee ),이성심 ( Lee Sungsim ),유아미 ( You Am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셀프리더십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경상 지역 소재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50명이며, 연구자료는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셀프리더십의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여 회복탄력성을 높여주어야 하며, 높아진 회복탄력성이 셀프리더십을 높여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문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이 직ㆍ간접적으로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대학 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5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community college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sang provinc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silience,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second, the full dual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as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should be increased to enhance their resilience and that increased resilience can enhance self-leadership to help them adjust to college life. This study confirm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are directly and indirectly useful for improving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community college students to help them find ways to adapt to college life.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요인 탐색

        윤가영(Ga-young YUN),이성심(Sungsi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KCYPS 2018의 5차년도 자료 중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29개 변인을 선정하였으며, 이중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만족도에서 ‘잘모르겠다’고 답한 22명을 제외한 2,266명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하였고, 설명 변수로 학업 요인, 진로 요인, 정서 요인, 정서적 문제 요인, 신체 요인, 관계 요인(친구), 관계 요인(교사), 관계 요인(부모), 학교요인 등에 해당하는 총 29개 변수를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29개 변수 모두에서 유의미한 중요도 지수가 확인되었고, 학업 요인 중 학업열의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수로 나타났다. 이어서 정서문제-주의집중, 학업무기력, 정서문제-공격성, 부모양육 따스함, 삶의 만족도, 부모양육 자율성지지, 부모양육 거부, 부모양육 강요, 협동심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다. 결론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업에 열중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지지 및 지원 체계가 요구된다. 교사와의 관계 또한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는 유의미한 변수가 되며, 협동심, 삶의 만족도와 같은 정서 요인, 진로 요인, 신체 요인 등도 중요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직접 체험하고 경험하는 탐구와 참여 중심의 수업이 학교 활동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martphone depend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From the data of the 5th year of KCYPS 2018, 29 variables that were expected to influence smartphone dependence were selected. Among them, 2,266 participants excluding 22 who responded ‘don't know’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ere used as analysis data. For analysis, the random forest technique was utilized, and a total of 29 variables corresponding to academic factors, career factors, emotional factors, emotional problem factors, physical factors, relationship factors (friends), relationship factors (teachers), relationship factors (parents), and school factors were selected as explanatory 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significant importance indices were confirmed for all 29 variables, and among the academic factors, academic enthusiasm appeared as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Subsequently, emotional problem-attention deficit, academic helplessness, emotional problem-aggressiveness, parental warmth, life satisfaction, parental autonomy support, parental rejection, parental coercion, and cooperativeness were ranked high in importanc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 support system that enables concentration on academics and fosters interest is required to prevent and improve smartphone depend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lso becomes a significant variable in reducing smartphone dependence.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actors such as cooperativeness, life satisfaction, emotional factors, career factors, and physical factors may also be important, thus necessitating inquiry-based and participatory classroom activities to shape schoo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