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level-set method for bubble growth in acoustic droplet vaporization

        Cho, Sungwook,Son, Gihun Elsevier 2018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n Heat and Mass Tran Vol.93 No.-

        <P><B>Abstract</B></P> <P>A level-set method is presented for computation of bubble growth in acoustic droplet vaporization (ADV) inclu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liquid-vapor interface and the liquid-liquid interface as well as the effects of vapor compressibility and liquid-vapor phase change. The ghostfluid and semi-implicit pressure correction methods are implemented into the level-set method for compressible bubble growth with phase change. The numerical results for several test case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analytical solutions. The level-set method is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ll and ambient temperature on the droplet and bubble motion in the ADV condition.</P>

      • KCI등재

        Early Experience of Doppler-Guided Hemorrhoidal Artery Ligation and Rectoanal Repair (DG-HAL & RAR) 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Hemorrhoids

        SungWook Cho,RyungAh Lee,SoonSup Chung,KwangHo Kim 대한외과학회 2010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8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introduce our preliminary experience of the Doppler-guided hemorrhoidal artery ligation and Rectoanal repair (DG-HAL & RAR) as a new treatment for symptomatic or prolapsed hemorrhoids. Methods: A Doppler probe incorporated proctoscope was inserted under the lithotomy position and the location of the hemorrhoidal artery was identified. The identified artery was ligated as a ‘figure of eight’ method with an absorbable suture into the submucosa. Then the prolapsed hemorrhoidal pile was lifted at the rectal mucosa by continuous suture to 5 ㎜ above the dentate line and tied. The procedure was repeated at the 1, 3, 5, 7, 9, and 11 o’clock positions. We evaluate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degree of pain, time to return to work, and recurrence. Results: The patient’s mean age was 50.2±15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time was 415±75 days. The constitution of the type of internal hemorrhoids was as follows: Grade Ⅱ: 13, Grade Ⅲ: 16, and Grade Ⅳ: 5. The mean operation time was 35 minutes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1.4 days. The mean time it took to return to work was 1.8 days. There were no severe pains requiring injection of analgesics or other severe complications. So far, 2 patients have had recurrence of symptoms. Conclusion: The DG-HAL & RAR is a safe and less painful procedure. The DG-HAL & RAR i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or prolapsed hemorrhoids.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7개 스탄 국가 학습을 통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이해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7개 스탄 국가를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을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지리와 역사적 측면에서 동질성을 지니면서, 국가명에 ‘스탄’이라는 접미어가 공통적으로 붙은 7개 국가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3단계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 먼저, 다양한 지역 분류 방법(위치, 정치, 기후, 지형, 면적, 인구규모, 민족과 언어, 종교적 측면 등)을 통한 지역의 기본 틀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위치 특성에 의해서 이 지역에 진출한 다양한 세력(메소포타미아 문명, 황허 문명, 인더스 문명)의 이해를 통한 지역 형성 과정을 역사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이 지역의 지역문제들(아프가니스탄을 둘러싼 러시아와 영국의 충돌과 같이 지정학 관련 지역 문제, 수자원과 아랄 해, 카스피 해의 자원, 페르가나 계곡을 둘러싼 분쟁 등의 자연지리 관련 지역 문제, 러시아인의 이주, 캐시미르 분쟁, 고려인 문제 등의 인문지리 관련 지역 문제)을 지리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단계이다. 특히 이 지역 국가들의 국가명에 공통적으로 ‘스탄’이라는 접미사가 붙는다는 점과 우리 민족인 고려인이 거주하고 있다는 측면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요인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understand the Central Asian region, centering on seven Stan countries. The Central Asian region is homogeneous in terms of geography and history, and consists of seven countries with the suffix “Stan” commonly attached to their national names. A three-step approach was proposed as a way to understand the Central Asian region. First, it is a step to understand using various regional classification methods (location, politics, climate, topography, area, population size, ethnic and language, religious aspects, etc.) and to understand the basic framework of region through them. The second is the historical stag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regional form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forces (Mesopotamian, Yellow river, Indus civilization) that have entered this reg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third is to understand regional issues in this area (related to geopolitics such as conflicts between Russia and Britain over Afghanistan, natural geography issues such as water resources, Aral Sea resources, Caspian Sea resources, conflicts over Fergana valleys, and human geography issues such as Russian migration, Kashmir dispute, and Goryeo people’s issue) in terms of geograph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national names of countries in this region are commonly labeled “Stan” and that Goryeo people reside in is a good factor that can attract students’ attention.

      • KCI등재후보

        1914년 호남선 철도 개통이 역명과 지역 중심지 변동에 미친 영향: 전북지역 6개 철도역을 중심으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1914년 호남선 철도(대전~목포) 건설과 함께 전라북도 지역에 개설된 6개 역(함열, 이리, 부용, 김제, 신태인, 정읍)을 대상으로, 역명 제정과 역의 개설이 지역의 중심지 변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역명은 당시의 군현명을 따른 경우는 함열역, 김제역, 정읍역의 3개역이었고, 신태인역은 태인현에서 유래했다. 그리고 이리역과 부용역은 마을명에서 유래했다. 이 중 신태인역과 이리역은 신태인읍과 이리읍으로 행정지명으로 변용되어 지명의 의미 확장을 가져왔으나, 부용역은 지명의 의미 확장에는 이르지 못했다. 역의 개설이 지역 중심지에 미친 영향은, 첫째, 김제역, 정읍역과 같이 중심지의 변화없이 기존행정구역 내에서 시가지의 확장에만 기여한 경우이다. 둘째, 이리역, 신태인역과 같이 새로운 중심지의 형성으로 기존 중심지를 대체한 경우이다. 셋째, 부용역과 같이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행정 중심지까지는 성장하지 못한 경우와 같이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of the railroad station names and their impact to the central place changes with the establishment of Honam railroad line (Daejeon-Mokpo, 1914), focusing on six stations (Hamyeol, Iri, Buyong, Gimje, Sintaein, Jeongeup) in Jeonbuk region. The names of the railroad stations conforming the related administration names were Hamyeol, Gimje and Jeongeup station. And Sintaein station name was derived from Taein Prefecture. But Iri and Buyong were derived from the village names. The Sintaein and Iri station name were selected as an administration region name like a Sintaein town and Iri town that got the meaning of regional regional expansion of the station name. But Buyong station did not have any regional expansion of the station name. The influence to central place by opened railroad station, classified 3 groups. First, Gimje and Jeongeup station were only the expansion the urban area within the existed administrative divisions without changing the central place. Second, the new central places established by the railroad station and replaced the existed central place which were Hamyeol, Iri and Sintaein station. Third, the commercial regional centers newly established but not replacing existed administrative central place was Buyong station.

      • KCI등재

        지역지리교육의 개념 논의와 방향 모색

        조성욱(Cho, Sungw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리교육에서의 논의 점을 살펴보고,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구성 방법을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했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지역지리’와 ‘지역지리교육’은 연구와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구분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다. ‘향토교육’은 향토애라는 정의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고, ‘지역학습’은 지역을 학습의 수단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역학습’과 ‘지역지리교육’은 학습대상의 지역 규모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지리학에서의 지역 개념 변화과정을 학습을 고려한 지역 개념으로 재구조화하여 조직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지역 규모의 개념은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시각적이며 단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지역지리교육의 교육목표는 3개 영역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1영역은 학습 내용(지식, 이해)은 무엇인가?, 2영역은 학습 과정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기능과 역량은 무엇인가?, 3영역은 학습과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태도 및 가치관은 무엇인가? 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선정에서는 지역의 개념 인식, 지역성과 변화, 상호작용 등의 지역이해와 이러한 지식 학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태도, 가치관, 활용으로 구분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조직 방법은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지역성 이해에 중점을 두는 지역 중심 방법, 중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변화와 지역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주제 중심 방법, 고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쟁점을 중심으로 조직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oints of discussion in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nd sought alternatives on educational goals and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The summary of discussion, First,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 to be used in terms of research and education separately. And ‘local education’ focus on the emotional aspect of localism, ‘local learning’ regards the region as a means of learning. And ‘local learning’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re have a difference in regional scale.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cess of change of regional concept in geography as organizational concept by restructuring in geography education. Third, regional scale in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as concretely and visually and step by step as possible. The educational goals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s to be presented in three domains. Domain 1 is what is the learning contents(knowledge and understanding)?, Domain 2 is what are the functions and competencies you want to foster in the learning process?, Domain 3 is what are the attitudes and values? I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vided into regional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recognition, locality and regional change, interaction among regions and attitude, value, utiliz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learning process. In the organization method is that regional-centered method focusing on region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elementaryschool level, the subject-centered method which enables deeper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issues-centered method focusing on the regional issues at present in the high schoo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