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영중교류와 ‘과학 만들기’ ― 영국 약재 연구자의 중국 본초서 수용을 중심으로 ―

        安洙英 ( An¸ Soo-young ) 명청사학회 2021 명청사연구 Vol.- No.56

        In the 19th century, British herbalist Daniel Hanbury made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research on Chinese materia medica.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philological practice that Hanbury took, and examines how he and his contemporaries availed themselves of the Chinese bencao books, such as Bencao gangmu, as well as the previous natural historical writings of Jesuit missionaries and how they evaluated the textual sources. Although Hanbury consulted various literatures, he was greatly selective in using them and chose not to quote the words. Even while still succeeding the tradition of natural history in collecting, translating, and reading foreign knowledge, he tried to ensure the ‘scientific’ sincerity of knowledge by putting to the fore a new method of experimentation and observation conducted directly on things. His ambivalent attitude toward the textual materials as a reliable source of knowledge is manifest in such a contradictory research practice, which reflects the trajectory of the 19<sup>th</sup>-century British science. Therefore, the exchange of natural knowledge between China and the West in the 19th century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where the ‘new men of science’ engaged in the act of setting up the boundary of the Others to which the knowledge from the past and from the foreign lands awere supposed to belong as the urge toward formation of modern science and ‘the scientific’ overwhelmed.

      • KCI우수등재

        수도권 거주 화자의 출신 방언 반영 양상 연구 -체언 ‘ㅌ’, ‘ㅊ’ 말음 어간의 실현을 중심으로-

        김수영 ( Kim¸ Soo-young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9

        체언 ‘ㅌ’, ‘ㅊ’ 말음 어간의 재구조화 양상은 방언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데, ‘ㅅ’ 말음 어간으로의 재구조화가 남한의 서부 방언(충남·전라·제주)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각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 화자들에게서 ‘ㅌ’, ‘ㅊ’ 말음 어간의 실현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방언 접촉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대부터 60대까지의 제보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ㅌ’ 말음 어간과 ‘ㅊ’ 말음 어간은 모두 출신 권역에 따라 제보자들의 응답형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ㅅ’ 말음 어간으로 실현하는 제보자들은 주로 충남·전라·제주 출신의 화자들이었고, ‘ㅌ’ 또는 ‘ㅊ’ 말음 어간으로 실현하는 제보자들은 주로 경상도 출신의 화자들이었다. 또한 전체 응답형의 비율은 ‘ㅅ’ 말음 어간이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수도권 지역에서 방언 접촉으로 인한 코이네화를 겪어 어느 한쪽으로 균일화된다면 그 방향은 ‘ㅅ’ 말음 어간 쪽일 것으로 추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대와 응답형 사이에는 큰 관련이 없었지만, 5-60대 화자들보다 2-30대 화자들에게서 단어별로 우세한 변이형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도권에서 이 단어들의 변이형들은 앞으로 지역 방언형으로서의 기능을 잃고, 단어별로 우세한 변이형이 2-30대의 변이형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사회방언적 기능을 얻게 될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dialectal differences in the reconstruction aspect of the nominal stem-final consonant ‘ㅌ’, ‘ㅊ’.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that the reconstruction towards the stem-final consonant ‘ㅅ’ has appeared in the west area of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is phenomenon and investigates how the immigrants from local areas to Seoul pronounce the final sound of the nominal stem-final ‘ㅌ’ and ‘ㅊ’.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realization of the stem-final ‘ㅌ’ and ‘ㅊ’ of the immigrants is related with their native dialectal features. Also, there are more informants who responded that they use the stem-final ‘ㅅ’ than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use the stem final ‘ㅌ’ or ‘ㅊ’. Therefore, if there is a koineization and dialect levelling in Seoul, the stem-final ‘ㅅ’ will survive. Lastly,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age and responses but young speakers tend to choose the prestige variant of each word. It means that these variants will lose their regional dialect function and acquire new social dialect functions.

      • KCI등재

        자가 거주가 미혼 가구주의 결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수영 ( Lee¸ Soo-young ),정의철 ( Chung¸ Eui-chul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1 不動産學硏究 Vol.27 No.3

        주택시장 여건과 연결하여 혼인율의 감소와 초혼 연령의 증가의 원인을 찾아보는 연구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자가 거주가 결혼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2011 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자가 거주가 미혼 가구주의 결혼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결혼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들의 효과가 가구주의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분석하기 위해 표본을 남성 가구주와 여성 가구주로 구분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혼 가구주만을 대상으로 결혼 확률을 추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표본선택 편의 존재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변량 프로빗 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결혼이 관찰되는 시점 2년 전의 자가 거주 변수를 설명변수로 이용하여 결혼과 자가 거주 사이의 역 인과관계로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였다. 전체 표본을 이용한 추정 결과 자가 거주 미혼 가구주는 임차 거주에 비해 결혼 확률이 약 5.8%p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남성 가구주의 경우 자가 거주의 한계효과가 약 7%p로 측정되었으나 여성 가구주의 경우에는 자가 거주가 미혼 가구주의 결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혼시장에서 자가 거주의 지위 재로서의 영향, 주택자산의 독립 거주 효과, 자가 거주가 제공하는 주거 안정성과 자산 축적 가능성 등이 미혼 가구주의 성별에 따라 결혼 확률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자가 거주 대신 주택 소유 변수를 이용하였을 경우나 주택전세시장 대신 주택매매시장 변수를 분석에 이용하였을 경우에도 동일한 방향성을 보였다. Although there has been increasing tries to do research on linkage between the housing market conditions and marriage of young adults, little evidence is available for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owner occupancy affects marriage.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11 to 2019,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owner occupancy on marriage decisions of the head of unmarried household. Additional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the marriage decisions depends on the gender of the head of household. A bivariate probit model with sample selection is employed to control for sample selection bias. The endogeneity possibly caused by reverse causality between owner occupancy and marriage is controlled by using two-year lagged owner occupancy status of the head of unmarried household. The empirical results with a full sample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unmarried heads, suggest that the heads who are owner-occupied are about 6% more likely to get married than who are rented. The marginal effect for the male heads is estimated to be about 7%, but not significant for the female head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effects of factors such as the role of owner occupancy as a positional good in the marriage market, pursuit of independence by housing wealth effect, and housing stability and future capital gains provided by owner occupancy tend to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se findings are robust over other specifications with the owner occupancy variable and local housing market conditions.

      • KCI등재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s of ultrasound-guided transversus abdominis plane block for open appendectomy

        Sooyoung Cho,Youn-Jin Kim,Dong-Yeon Kim,Soon-Sup Chung 대한외과학회 2013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85 No.3

        Purpose: Transversus abdominis plane (TAP) block is a newly developed and effective peripheral block involving the nerves of the anterior abdominal wall for lower abdominal surgery. We evaluated the postoperative analgesic efficacy of ultrasoundguided TAP block using 20 mL of 0.5% levobupivacaine in patients undergoing open appendectomy. Methods: Forty-four patients undergoing appendectomy were assigned either to undergo a right sided-TAP block (group I, n = 22), or to receive standard care (group II, n = 22). All patients received standard anesthetics, and the TAP block group received ultrasound-guided right side TAP block using 20 mL of 0.5% levobupivacaine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All patients received acetaminophe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as required during the 48 postoperative hours. Each patients was assessed for time to first rescue analgesia, verbal numerical rating pain scores (VNRS), number of rescue analgesic demands, nausea, vomiting, pruritus, and drowsiness by a blinded investigator at 0, 1, 3, 6, 12, 24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TAP block group with levobupivacain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duced VNRS significantly up to 12 hour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to first analgesia, number of rescue analgesics demands, nausea, vomiting, pruritus and drowsiness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ttributable to the TAP block. Conclusion: Ultrasound-guided TAP block using 20 mL of 0.5% levobupivacaine provided effective postoperative analgesia during the 12 postoperative hours after an open appendectomy.

      • KCI등재

        Imaging Characteristics of Perosomus elumbis in a Puppy

        Sooyoung Choi,Byungho Lee,Byungdon Lee,Jiwon Seo,Hyunyoung Park,Kyunghun Kwon,이영원,최호정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15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A 4-day-old, male Poodle dog was presented with dull, depressed and exhausted activity after the birth. On physical examination, the puppy showed arthrogryposis, muscular atrophy and no movement of hindlimbs. Palpation on dorsum revealed an absence of lumbar and sacral vertebrae. On prenatal and postnatal radiography, lumbar vertebrae, sacrum and coccygeal vertebrae were not visualized. On ultrasonography, bilateral kidney and urinary bladder were observed. On computed tomography, there were no apparent abnormalities in the forelimbs, cervical vertebrae or head, while lumbar vertebrae, sacrum and coccygeal vertebrae were not observed. At necropsy examination, the liver, stomach, intestine, kidney and urinary bladder were normal. This congenital anomaly was consistent with Perosomus elumbis. Perosomus elumbis in dogs is a rare condition of unknown etiology. In this report, Perosomus elumbis was evaluated with radiography,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 KCI등재

        Between "Gibson Girl" and "Flapper"

        Sooyoung Lee 한국영미어문학회 2013 영미어문학 Vol.- No.107

        This study examines how Winnifred Eaton, better known by her penname Onota Watanna, presented her image in published photographs and her purported autobiographical novel, Me: A Book of Remembrance, by positioning herself under the discourses of the American "New Woman." At the turn of the century in America, the New Women were symbols of modernity and an upper level in the evolutionary sense, represented in the figure of the Gibson girl. However, there was also a concern about the emergence of a young, urban, single, working girl threatening the middle class home, represented later in popular culture as a flapper. Under the divided discourses around the new woman, Watanna skillfully becomes an icon of a young American modern woman and avoids the dangers of being excluded from the categorization because of her racial and class disadvantages as a half-Asian woman writer. These strategies, in reality, contributed to her assimilation into the dominant literary society as an American woman writer.

      • Which organ decides the frequency of the sound of the cicada Meimuna mongolica?

        Sooyoung Park,Eunho Oh,Jiwon Han,Kisang Y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0

        쓰름매미의 진동막와 복부 중 어떤 기관이 유인음의 주파수를 결정하는지 확인하였다. 쓰름매미는 유인음 발생시 복부의 모양을 변화시켜 주파수를 변조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안동하회마을에 Songmeter를 설치하여 24시간동안 녹음하여 우는 시간을 분석하였다. 양쪽 진동막에서 나온 비명음을 프로브마이크로폰으로 녹음하였다. 비명음 발생시 진동막의 진동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20,000 fps)하여 평균진동수±불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쓰름매미는 일출시각이 05:39이었던 날에 05:13부터 울기 시작하여, 일몰시각이 19:23 이후인 19:55까지 울어, 말매미·애매미·참매미와의 경쟁에서 가장 긴 시간동안 울었다. 유인음의 FFT 결과, 중심주파수는 약 6,000Hz인 고주파임을 알 수 있었다. 두 진동막은 비동시적으로 진동하였는데, 진동 주기는 5.45ms이며, 지속시간은 4.75ms으로 양쪽진동막 소리 사이 공백이 0.7ms로 중첩은 없었다. 2,061Hz의 진동은 계속 유지되고 중간에 11,111Hz의 고주파가 합성되었다. 진동막은 3가지 모드로 진동하였고, 1st 모드의 평균진동수±불확도는 1,904±78Hz, 2nd 1,644±49Hz, 3rd 1,019±39Hz로, 불확도 99% 신뢰수준에서 세 가지 모드 모두에서 양쪽 진동막의 진동수는 다르다고 할 수 없으며 또한, 모드별로 같다고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복부 공명 효과가 배제된 진동막의 진동수 범위는 2,000 Hz 미만임에도 유인음과 비명음에서 모두 6,000 Hz 이상의 소리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진동막은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소리 발생하지만 복부의 부피와 모양을 변화시켜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