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그리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위수민,이승철,김윤지,김현정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환경 인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학생이 생활하는 지역에 따라 환경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개교 10학급 340명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그리기 활동과 그림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림에 등장하는 환경 요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환경 인식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환경에 대한 인식은 인공 환경,자연 환경,인간 공존 환경,추상적 환경으로 표면화 되었으며,생물과 무생물 및 인공물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요소들올 표현하여 학생들의 일상적인 생활 주변의 환경 요소에 대한 높은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 다. 5 유형으로 구분한 거주 지역별 학생들이 갖는 환경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인공 환경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haractehstics of sixth-graders'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and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area.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in 10 classes 340 students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Gyeonggi do by analyzing their environment related drawing activities, their explanations about their drawings, and environmental elements appearing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ixth-graders'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were described by artifici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 in which people live together, and abstract perceptions. In addition, they expressed various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living things, lifeless things and artificial things, and this shows their high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around them. What is more, the sixth-graders from five different area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but perception as artificial environment was more general among the students.

      • KCI등재후보

        학생 특성에 따른 소그룹 논증 수준 분석

        위수민,조현준,김선홍,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argumentations were affected by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in the small groups. The level of self-concept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were examined to the eleven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and the twelve student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omogeneous groups and heterogeneous groups. The argumentations under the condition of the interpretations about the experimental results in each small group were recorded by VCR. The recorded data were transcribed, then argumentation levels from transcripts m each small group were analyzed through Mitchell's parameters of argu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group which had higher level of both self-concept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achieved higher level of argum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nduce students to ask questions and present activities appropriately in order for those who have low self concept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to participate in argument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특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집단 내 논증과정의 수준에 주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시 소재 고등학교 11학년을 대상으로 자아개념과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참여할 12명을 선정한 후, 이들을 이질집단과 동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에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면서 실험결과에 대한 해석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증과정을 VCR 자료로 촬영한 후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Mitchell(2001)의 분류틀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그룹 중 자아개념과 과학적 태도 특성이 모두 높은 집단이 나머지 집단보다 논증의 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수업 중 학생들의 논증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개념과 과학적 태도가 낮은 학생들이 논증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발문 유도와 활동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Ge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Pliocene Alkaline Volcanic Rocks of Dok Island, Korea

        Soo Meen Wee 한국지구과학회 2015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6 No.5

        Dok island comprises Pliocene volcanic products such as a series of volcanoclastic rocks and lavas ranging in composition from alkali basalts, and trachyandesites to trachytes. Compositional variation of the basaltic rocks can be attributed to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olivine, clinopyroxene, plagioclase, and magnetite. Chemical variations among the trachyandesites are caused by fractionation of clinopyroxene, plagioclase, and magnetite with minor amphibole, while trachytes are controlled mainly by feldspar fractionation. Incompatible element abundance ratios and chondrite normalized LREE/HREE ratios (e.g., (La/Yb)c: 24.8 to 32.8 for basalts, 15.6 to 31.2 for trachyandesites) suggest that the origins of the basalts and trachyandesites involve both different degrees of partial melting and subsequent fractional crystallization processes. Trace element ratios of the basalts from Dok island are characterized by high Ba/Nb, La/Nb, Ba/Th and Th/U and isotopic ratios (Tasumoto and Nakamura, 1991) that are similar to the EM 1 type of oceanic island basalts such as Gough and Tristan da Cunha basal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전 사고 관련 SSI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도와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위수민 ( Soo Meen Wee ),임성만 ( Sung Man L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SSI와 관련된 구체적인 이슈로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이용하였다. 연구에는 교원양성대학에 재학중인 대학교 2학년생 12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참여자 모두는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등 과학교육론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연구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모두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원전 사고에 대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접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이어서인지 다른 매체에 비해 인터넷을 통해 원전 사고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접하고 있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초등 예비교사는 원전 사고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았으며, 원전 사고와 같은 SSI에 대해 평소관심을 갖고 있거나 교육을 받은 경험을 미비했다. 원전 사고와 같은 SSI에 대해 관심은 없으나 원전사고와 같은 과학적인 문제들이 사회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현행 교육과정에 SSI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모두 공감하고 있었으며, 적용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문제인식을 같이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과학교육의 목표중에 하나인 과학의 본성을 이해시키는 측면과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 제고를 위해서라도 SSI 교육에 더욱 활발한 연구뿐만 아니라 정규 교육과정에의 적용은 매우 중요하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ddressed the awareness of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 of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was used by concrete issue connected with SSI for this study. Twelve second-year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were taking a class of science teacher preparation at that time that consists of the content of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courses. The study revealed that all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d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nd received such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s. In particular, they were receiv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rough the internet than any other media by using the internet a lot, and also gained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y recognized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ey neither had much information about it nor had been interested in SSI such as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Moreover, they had been basically uneducated about SSI. Despite of having no interest in SSI such a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d that scientific problems such a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may affect a society closely. In addition, they together sympathized with the point that SSI education should be applied on the current education courses by identifying the problem in application. As the study revealed above, the application of SSI education to the formal education courses as well as more lively research on that subject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for boosting interest in science subjects and enlightening the nature of science that is one of the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물의 순환에 대한 과학 수업에서 개념 만화 활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위수민 ( Soo Meen Wee ),조현준 ( Hyun Jun Cho ),문은영 ( Eun Young Mo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물의 순환에 대한 과학 수업에서 개념 만화 활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개념 만화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이 계발되었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과학적 태도의 네 영역을 가진 과학 태도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설계는 준실험설계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개념 만화가 9차시 동안 실험집단에 적용되었다. 개발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t-test를 통한 분석 결과 네 영역 중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개념만화가 과학 태도의 모든 영역에 효과적이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과학수업에서 개념만화의 사용은 좁은 영역에서 제한된 목적으로 사용되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using the concept cartoons about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in the lessons on water cycle unit. For the purpose, they were developed to the learning program with concept cartoon and the instrument for the science attitude which has four categories; attitudes about science, attitudes about science subject, learning motives for science subject,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concept cartoon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nine lessons.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in all two groups, the pre-post tests with the instrument were performed. The results from twice t-tests were shown that the domain of learning motives for science subject was only improved. From these, it were indicated that the concept cartoon was not effective all areas in science attitude, therefore the use in science lessons need to be restricted within narrow purpose.

      • KCI등재

        한반도 남서부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위수민(Soo Meen Wee),박세미(Se Mi Park),최선규(),유인창()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2

        한반도 남서부 지역은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화성활동이 매우 활발했던 지역으로 백악기 화강암류와 이와 성인적 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백악기 화강암류를 형성시킨 마그마의 특성 및지구조적 환경을 규명하고자 이미 보고 된 185 개의 자료와,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해 얻은 시료 중 신선한 36 개의 시료에 대해 주성분 원소, 미량원소에 대한 지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역 화강암류들은 전형적으로 I-type 의 비알칼리암 중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하며 ANK vs. ACNK 도에 도시해볼 때 대부분 메타알루미나질에 해당된다.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변화경향은 일반적인 화강암류의 분화경향과 유사하지만 지역별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특성을 살펴보면 이들 화강암류가 동원마그마 기원이 아님을 시사한다. 연구 지역의 동쪽에 분포하는 화강암체들은 서부에 비해 높은 Li, Co, Sr, Sc 의 함량과 낮은 Rb, Nb 의 함량을 나타낸다. 미량원소의 함량은 화강암의 세계 평균값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 며, 특히 Cr, Co, Ni, V, Sc 등의 철-마그네슘 계열 원소의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희토류원소는 모두 LREE 가 HREE 보다 부화되어 화강암류의 전형적인 패턴과 일치하며, 서부 지역이 동부 지역보다 더 뚜렷한 Eu( − ) 이상을 갖는다. 지구조 판별도에서도 VAG 와 syn-COLG 환경에 점시된다. 본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들은 대륙연변부에서 나타나는 화강암류의 희토류원소의 총량(60~499 ppm) 과 (La/Lu) CN = 8.9~66 의 범위에 해당되며 모든 지화학적 자료를 종합해보면 이지역의 화강암류들은 고태평양판의 섭입에 의한 압축장이 작용하는 대륙 연변부에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Cretaceous intrusive and extrusive rock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ossibly the result of intensive magmatism which occurred in response to subduction of the western proto-Pacific plate beneath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urasian plate. Geochemical and petrological study on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constrain the petrogenesis of the granitic magma and to establish the paleotectonic environment of the area. Whole rock chemical data of the granitic rocks from the study area indicate that the all the rocks have characteristics of calc-alkaline series in the subalkaline field. The overall geochemical features show systematic variations in each granitic body, but the source materials of each granitic body are thought to have been different in their chemical composition. Higher values of Fe 2 O 3 /FeO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western area suggest that the granitoids had been solidified under highly oxidizing environment. The granitic bodies in the eastern area also show higher contents of Li, Ni, Co, Sr, Cr, Sc and lower Rb and Nb compared to the those of the western area. Chondrite normalized REE patterns show generally enriched LREE and strong negative Eu anomalies in the western area, while slight to flat Eu anomalies in the eastern area. The REE and (La/Lu) CN of the granites are 60~499 ppm and 8.9~66 correspond to the range of the continental margin granite. On the ANK vs. ACNK and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s, parental magma type of the granites corresponds to I-type, VAG and syn-collision granite. Interpretations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ic rocks favor their emplacement in a compressional tectonic regime at continental margin during the subduction of proto-Pacific plate.

      • KCI등재

        Geochemistry of Precambrian Mafic Dikes in Northern Michigan, U.S.A.: Implications for the Paleo-Tectonic Environment

        위수민,Wee, Soo Meen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 1991 자원환경지질 Vol.24 No.4

        본 논문은 슈피리어호 남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염기성 암맥들에 대하여 마그마의 기원과 그들이 생성될 당시의 지구조적인 환경을 알기 위하여 암석 및 지화학적인 연구가 행하여 졌다. 46개의 시료에 대한 주성분, 미량원소 및 희토류 원소들에 대한 화학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들의 화학성분은 전형적인 콘티넨탈 쏠레아이트 (contiental tholeiite)의 성격을 띄우며, 다소 철성분이 부화된 분화경향을 나타낸다. 부동원소 (immobile element)들을 이용한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 에 의하면 모 마그마는 현재의 T-type MORB와 유사한 Ti의 함량이 많은 쏠레아이틱(tholeiitic)현무암으로 사료된다. 분화가 진행될수록 암석의 화학적 성질은 지각과의 동화작용(crustral asimilation)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분화가 많이 진행된 암석들은 Rb, K, Ba, Th 과 같은 LIL원소의 증가를 보인 반면에 Nb, P, Ti과 같은 HFS 원소들은 그들과 물리,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 이웃한 원소들보다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징은 마그마의 기원에서 유래된 것 뿐만 아니라 지각과의 동화작용이 병행함으로 기인되었다고 사료된다. 이 암석들의 지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지각의 섭입과 관련되어(subduction related)생성된 암석의 화학성분과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며, 판(板)내에서 생성된 현무암(Within plate basalt)과 해양지각에서 형성된 현무암 (MORB)에서 보이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화학적인 특성을 살펴볼 때 이 암석들은 rifting과 같은 extensional tectonic 환경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Petrological and chemical studies of Precambrian dikes in the southern Lake Superior region were conducted with the objects of evaluating magma source and constraining models for the paleo-tectonic environment. Forty-six samples were analyzed for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Chemical data of the studied dikes are typical of continental tholeiites and showing iron-enrichment fractionation trend. With wallrock contamination carefully evaluated, a series of tectonic discriminating methods utilizing immobile trace elements indicate that the source magma was a high-Ti tholeiitic basalt similar to present-day T-type MORB. Effect of chemical contamination from wallrock assimilation accmulates with increasing differentiation. Evolved rocks show LREE enriched patterns and have enhanced levels of LIL elements (e.g., Rb, K, Ba, Th), but low levels of high field strength elements (e.g., Nb, P, Ti) with respect to their neighboring elements. It is suggested from this study that this enrichment possibly due to a combination of a feature inherited from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e and crustal contamination. Geochemical signatures of these rocks are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arc-related volcanics. Comparisons with chemistries of modern magmas show a pattern of overlap between Within-plate and ocean-floor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signatures of these rocks favor a model of intrusion into a crustal environment undergoing lithospheric attenuation.

      • KCI등재

        추가령 열곡대에 분포하는 전곡현무암의 지화학적 특성

        위수민,Wee, Soo-Mee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6 자원환경지질 Vol.29 No.2

        제 4기 전곡현무암은 추가령 열곡대내의 한탄강유로를 따라 길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대성 외 (1983)에 의하면 대략 10-20 m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전곡현무암의 암석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57개의 시료가 채취 되었으며, 이중 16개의 시료에 대한 주성분 및 미량원소의 화학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된 시료들의 화학조성에 의하면 전곡현무암은 알칼리계열의 현무암으로 특징지워지며, MgO를 제외한 주성분원소의 변화범위가 미량원소에 비하여 상당히 좁은 영역을 나타낸다. 분별결정작용 모델을 정량적으로 시험하기 위해서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주성분원소와 반정으로 산출되는 광물의 화학조성을 사용하여 계산된 결과는 전곡현무암의 화학조성의 변화는 감람석, 사장석, 휘석, 자철석이 56 : 25 : 17 : 2의 비율로 분별정출되어 분화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결과를 가지고 미량원소의 함량을 계산하면 불호정 (incompatible) 원소의 계산치는 딸암석의 실제 함량에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전곡현무암의 화학조성의 변화는 광물들의 단순한 분별정출 작용만으로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전곡현무암의 화학조성의 변화는 약간 다른 정도의 부분용융에 의해 불호정 원소의 초기치가 다른 것들이 분별정출과정을 겪었거나, 혹은 RTF과정에 의한 불호정원소의 부화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Quaternary Jungok basalts are distributed along the old Hantan river in Mid-Korean Peninsula. They were flowed out from Mt. Ori and Upland (680 m), and they formed narrow and long basalt plateau showing the layers of 10 to 20 meters in thickness and about 95 km in length. Fifty seve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tudy area, and sixteen rock samples were selected and analysed for major and trace elements. The analyzed samples have alkalic composition and show a relatively restricted variation in major element chemistry (except MgO), as comparing to the that of trace element. Based on major element chemistry, a quantitative modelling of fractional crystallization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suggests that the chemical evolution of the evolved rocks can be generated by fractionation of olivine, plagioc1ase, clinopyroxene, and magnetite in proportion of 56 : 25 : 17 : 2, respectively. The calculated trace element abundances by mineral proportions estimated from major element modelling, however, underestimate the incompatible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evolved rocks. According to the incompatible element abundances, simple fractional crystallization process has difficulty to explain the chemical variation of the evolved rocks. It seems that the other processes, which enrichment of incompatible elements can occure without concomitant changes in major element composi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xplain the chemical variation of the Jungok basalts. Thus, the major elements and compatible trace elements variations of the Jungok basalts are due to fractional crystallization, but the incompatible elements variation is due to fractional crystallization superimposed on already varying concentrations caused by slightly different degrees of melting of the same source, and/or due to periodic replenishment, tapping and fractionation(RTF)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