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in Patients with COVID-19 Supported b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Son JeongA,Hyun Seungji,Yu Woo Sik,Jung Joonho,함석진 대한흉부외과학회 202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6 No.2

        Background: Pneumonia caused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can caus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ten requiring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and eventually tracheostomy. Both procedures occur in isolation units whe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s needed. Additionally, the high bleeding risk in patients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places a great strain on surgeon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PDT) in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upported by ECMO, and compared the outcomes of patients with and without ECMO. Methods: This retrospective, single-center,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severe COVID-19 who underwent elective PDT (n=29) from April 1, 2020, to October 31, 2021.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ECMO and non-ECMO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Ajou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Korea. Results: Twenty-nine COVID-19 patients underwent PDT (24 men [82.8%] and 5 women [17.2%]; median age, 61 years; range, 26–87 years; interquartile range, 54–71 years). The mean procedure time was 17±10.07 minutes. No clinically 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cedure time was noted between the ECMO and non-ECMO groups (16.35±7.34 vs. 18.25±13.32, p=0.661). Overall, 12 patients (41.4%) had minor complications; 10 had mild subdermal bleeding from the skin incision, which was resolved with local gauze packing, and 2 (6.9%) had dislodgement. No healthcare provider infection was reported. Conclusion: Our PDT approach is safe for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With bronchoscopy assistance, PDT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even in isolation units and with acceptable risk, regardless of the hypo-coagulable condition of patients on ECMO.

      • KCI등재

        중국어교육을 위한 현대중국어 부사 `환(還)`의 의미와 용법 연구 - 중국어교재의 예문 분석을 중심으로 -

        손정애 ( Son Jeongae ),김나래 ( Kim Narae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8 No.-

        현대중국어 부사 `還(ha?i)`는 다양한 의미와 복잡한 용법으로 한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난이도가 매우 높은 다의어 중 하나이다. `還(ha?i)`의 의미 기능은 지속, 중복, 첨가, 정도, 어기를 나타내는 것 등으로 귀납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인지적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다. 현행 초급 중국어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서는 `還(ha?i)`가 `첨가`와 `지속`의 용례로 사용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실제 언어사용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어기와 관련된 용례는 대단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역량중심 체육교육과 테크놀로지 통합의 가능성

        유정애(JeongAe You),손환(Hwan Son),진연경(Yeonkyung Ji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수행하여 체육교과에서의 테크놀로지 통합 현황을 분석하고, 역량중심교육과 과정중심 평가 체계 내 체육과 학습에서 테크놀로지와 과정중심평가 통합의 방향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여, 체육교육과 테크놀로지의 통합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방안들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테크놀로지 통합 수업은 학생의 참여 동기 자극, 학생과의 상호작용, 다양한 자료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긍정적이었으나, 현장에서 보편화되기에는 기술적 특면, 학습자 인식측면, 콘텐츠의 부재의 한계점도 나타나고 있었다. 테크놀로지 통합 체육교육은 역량중심교육의 중심이 되는 과정중심평가체제 내에서 학습 과정에의 평가, 능동적 학습의 평가, 문제해결력 배양을 위한 평가, 다양한 평가 방식 제공 등의 긍정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체육교육 내에서 테크놀로지는 체육교과 역량 함양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는 데 그 역할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을 위한 기술로서 테크놀로지의 적용, 테크놀로지 활용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한 루브릭 설계,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체육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강화의 노력이 더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echnology integration in physical education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direction and potential of technology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tegr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capacity-oriented educ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ystem, and assessed the measures that should precede the integr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technology. The study found that technology integration classes were positive in terms of student motiva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various methods of presenting data, but limitations of technical features, learner recognition, and lack of content were also seen in the field. Technology-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had positive potential in terms of the assessment of learning processes, active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within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system that is central to capacity-oriented education. Thus, technology should play a role in assessing the process of enhancing the function of physical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the design of rubrics for technology-based evaluation, and the effor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enhance their skills to integrate technolog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