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hibitory Effect of Metformin on Angiotensin II Induced RASMC Migration

        Sohyun Sim,Diem Thi Ngoc Huynh,Yujin Jin,Kyung-Sun Heo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19 藥學論文集 Vol.34 No.-

        Angiotensin II (Ang II) contribute a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 proliferation and migration that lead progre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cluding atherosclerosis and restenosis. Metformin (Met) is anti- diabetic drugs extensively used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2D) patients. Recent study has suggested that Met has protective effects on vascular diseases but signaling pathway related to cell migration remains un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Met on Ang II-induced cell migration and its underlying signaling pathway in rat aortic VSMC (RASMC). First, activat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Akt were evaluated in Ang II and Met treated cell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g II induced activation of Akt, ERK1/2, and p38 at 25 nM within 1 min, whereas Met inhibited Ang II-stimulated activation of ERK1/2 and p38 in RASMC. Next, we examined effect of Met on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Ang II-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2),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1), and vascular cell adhesion protein-1 (VCAM-1) using western blot and qRT-PCR analysis. Interestingly, Met completely inhibited both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Ang II-increased ICAM-1, VCAM-1 and MMP2. To confirm the effect of Met on Ang II-induced cell migration, we performed wound healing assay and found that 1 mM Met completely inhibited cell migration stimulated by 100 nM Ang II for 24 hrs. Together, our data demonstrates that Met regulates VSMC migration through down-regulation of ERK1/2 and p38 kinase activation and migratory gene expression, such as ICAM-1, VCAM-1 and MMP2.

      • 소환현실 실험을 위한 가상 시뮬레이터 설계

        심소현 ( Sohyun Sim ),정윤지 ( Yoonji Jeong ),이병권 ( Byeonggwon Lee ),이창환 ( Changhwan Yi ),엄기현 ( Kyhyun Um ),조경은 ( Kyungeun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최근 NUI 를 기반으로 하는 소환현실 연구가 활발하다. 일반적으로 소환현실 실험을 위해서는 소환현실 환경을 구축하는데, 이는 다양한 센서 장비와 출력 장비를 사용하므로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가상 시뮬레이션을 제안한다. 제안한 소환 현실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구현한 결과 팔 동작 인식 시뮬레이션이 가능했다.

      • 로봇의 작업 생성을 위한 모터 프리미티브 데이터 생성기의 설계

        심소현 ( Sohyun Sim ),성연식 ( Yunsick Sung ),조경은 ( Kyungeun Cho ),엄기현 ( Kyhyun U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사람과 휴모노이드 로봇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로봇 연구의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휴모노이드 로봇인 나오 로봇을 통해 서비스 로봇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 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로봇이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발생하는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다. 로봇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터 프리미티브와 작업을 사전에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터 프리미티브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시스템은 모터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는 단계까지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작업을 생성하는 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분석

        이소현(SoHyun Lee),윤선아(Sun Ah Yoon),우숙정(SukJung Woo),심세화(SeHwa Sim),남보람(Boram Nam) 한국자폐학회 2023 자폐성 장애연구 Vol.23 No.1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exhibits as many intellectual levels and functions as different levels of the spectr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S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WISC-IV profile, an intelligence test conducted for participants in the K-CARS 2 standardization study.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CARS 2, the ASD group was classified into groups (standard, high-functioning) based on IQ of 80, and the subjects were 141 people aged 8-15 years (78 ASD; standard 50, high-functioning 28, 24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and 39 clinical children).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the overall intelligence quotient (FSIQ) of the K-WISC-IV, the average of the index scores, and the profile pattern. Second, the effect of the index scores of children with standard and high-functioning ASDs on the overall intelligence was examined. Third,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IQ or subtest according to ASD, typical development children or clinical children.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autism symptoms and cognitive profile index scores of children with ASD was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shown through the K-WISC-IV profile of children with ASD, and there were parts that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superiority of perceptual reasoning index scores by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ome parts that show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so this has been dealt with in the discussion. 자폐 범주성 장애(ASD)는 지적 수준과 기능에 있어서 그 다양성의 폭이 매우 넓다. 본 연구는 한국판 아동기 자폐 평정 척도(K-CARS 2) 표준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능검사 K-WISC-IV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ASD 아동의 인지적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8~15세의 141명(ASD 78명; 표준형 50명, 고기능형 28명, 일반아동 24명, 임상아동 39명)이었으며, ASD 그룹은 K-CARS 2의 기준에 따라 지능지수(IQ) 80을 기준으로 그룹(표준, 고기능)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K-WISC-IV의 전체지능지수(FSIQ), 지표점수의 평균과 프로파일 양상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표준형과 고기능형 ASD아동의 지표점수가 전체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세 번째로, ASD 일반아동이나 임상아동에 따라 지능지수나 소검사 간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였고, 마지막으로 ASD 아동의 자폐 증상과 인지프로파일의 상관 및 자폐 증상이 FSIQ 및 지표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ASD 아동의 K-WISC-IV 프로파일을 통해 나타난 인지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지각추론 지표점수의 우위성 등 선행연구와 일치되는 부분과 고기능 및 표준형에 따라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 대해 논의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 Development of a Hand Gestures SDK for NUI-Based Applications

        Lee, Seongjo,Sim, Sohyun,Um, Kyhyun,Jeong, Young-Sik,Jung, Seung-won,Cho, Kyungeun Hindawi Limited 2015 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Vol.2015 No.-

        <P>Concomitant with the advent of the ubiquitous era, research into better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for human-focused interfaces has intensified. Natural user interface (NUI), in particular, is being actively investigated with the objective of more intuitive and simpler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However, developing NUI-based applications without special NUI-related knowledge is difficult. This paper proposes a NUI-specific SDK, called “Gesture SDK,” for development of NUI-based applications. Gesture SDK provides a gesture generator with which developers can directly define gestures. Further, a “Gesture Recognition Component” is provided that enables defined gestures to be recognized by applications. We generated gestures using the proposed SDK and developed a “Smart Interior,” NUI-based application using the Gesture Recognition Component.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indicate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the generated gestures was 96% on average.</P>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위한 놀이 기술 교수 중재의 동향 : 국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이귀남,심세화,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 Vol.21 No.4

        연구목적: 영유아기 놀이는 발달적으로 중요하며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들의 제한적인 놀이 특성을 고려할 때 이들에게 놀이 기술을 교수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놀이 기술 교수 단일대상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동향과 놀이 기술 중재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기준에 따라 총 20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개괄적 분석과 연구 설계에 따른 놀이 기술 중재 전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 대상 놀이 기술 교수 중재는 2010년 이후부터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주로 영유아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익숙하지 않은 성인에 의해 자연적 교수 전략과 직접교수 전략을 함께 실행하였다. 기초선 구간 및 중재 내용, 종속변인 측정, 중재 충실도 측정 차원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유아의 놀이 기술 교수 중재에 대한 시사점 및 제언을 하였다. Purpose: Playing is important in childhood development. When considering a limited characteristic in play, teaching play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critical.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lay skill intervention by examining single subject research on teaching play skil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Based on specific criteria, 20 researches in total we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s of teaching play skill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perimental design. Results: Researches regarding teaching play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ave been continuously published since 2010. The experiment was usually conducted in a natural environment and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by an unfamiliar adult using naturalistic teaching strategies combined with direct teaching strategies. Intervention facto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examined during the baseline phase. Dependent variables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fidelity analysis were conducted. Conclusi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bout teaching play skill intervention wa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gathered.

      • 전자기파 계측기반 내부 철근의 변형 모니터링

        이태민(Lee, Taemin),심소현(Sim, Sohyun),최하진(Choi, Hajin) 한국콘크리트학회 2021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GPR(Ground Penetrating Radar)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배근된 철근의 변형에 따른 전자기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신호처리를 통한 Migration 이미지 기법으로 철근의 형상을 모니터링한 결과,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변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using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the change of electromagnetic wave due to the lengthened of rebar inside concrete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flected wave patter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vari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reinforcing bars inside the concrete.

      • KCI등재

        통영연안의 패류양식장 중단 이후 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박소현,김선영,심보람,박세진,김형철,윤상필,Park, Sohyun,Kim, Sunyoung,Sim, Bo-Ram,Park, Se-jin,Kim, Hyung Chul,Yoon, Sang-Pil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7 No.5

        The recovery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round a fallowing shellfish farm during its rest period after 20 years of long-running operation, was explored in Tongyeong Bay of Korea. Seasonal survey on macrobenthos community was conducted from July 2016 to September 2018 at five stations, which included the fallowing shellfish farm after 20-year operation (FF), a newly installed shellfish farm (NF), a shellfish farm for comparison around the closed shellfish farm (CF), and control stations with no farming activities (Con1, Con2).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the density of macrobenthos were higher at the shellfish farm stations than the non-shellfish farm station, and their seasonal changes were significant. The dominant species at the shellfish farm stations was Capitella capitata while Paraprionospio patiens was dominant at the non-shellfish farm stations. The two dominant species were potential organic contamination indicators usually inhabiting the areas with dense organic matter. This suggests that the overall survey area was highly polluted with organic matter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macrobenthic community of CF chang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Con1 immediately after the investigation, but not to a state above the Con1 level. Furthermore, the changes in NF were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ose in CF.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운영된 양식장에 휴지기가 주어졌을 때, 양식장 주변 퇴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회복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남 통영의 수하식 굴양식장 일대에서 대형저서다모류 군집을 조사하였다. 2016년 7월부터 2018년 9월까지 20년간 운영된 후 폐쇄된 양식장(FF), 양식장의 이동으로 새롭게 설치된 양식장(NF), NF와 인접한 비교대상의 굴양식장(CF), 그리고 양식시설이 없는 두 개의 대조지역(Con1, Con2) 등 5개 정점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는 여름철에 감소하고 늦가을철 부터 증가하는 계절 변동을 보였으며, 양식장 정점들이 비양식장 정점들에 비해 높았다. 출현종의 상위우점종은 비양식장 정점에서는 Paraprionospio patiens, 양식장 정점에서는 Capitella capitata로 차이를 보였으나, 두 종 모두 유기물이 심한 지역에서 출현하는 잠재적 유기물 오염지시종으로 조사지역 저서환경의 유기물 오염이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FF가 Con1과 군집구조가 유사한 수준으로 변화하였지만 Con1 이상의 상태로 회복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