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elecoxib 유도체인 PCX-계열 화합물의 항염증 및 혈관신생 억제 작용

        소지현,안은경,전혜진,임은주,박은희 숙명여자대학교 약학연구소 2005 약학논문집-숙명여자대학교 Vol.22 No.-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armacological efficacies of PCX-series compounds, which were synthesized as prodrugs of celecoxib, a COX-2 selective inhibitor. Celecoxib, PCX-1, PCX-2, PCX-3, PCX-7, PCX-15 and PCX-16 provide potent anti-angiogenic activity in chorioallantoic membrane (CAM) assay. In addition, celecoxib, PCX-2, and PCX-16 showed anti-angiogenic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PCX-2 inhibited swelling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paw edema test 24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In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PCX-7 and PCX-15 were verified to provide more potent analgesic effect than celecoxib 12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and PCX-2 showed potent analgesic effect 24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In the carrageenan-induced rat air pouch model, PCX-2 significantly decreased exudate volume, number of leukocyte and NO level. In the ulcerogenic activity test, PCX-2, PCX-7, PCX-15, and PCX-16 showed significantly less ulcer formation than indomethacin. Especially, PCX-7 showed the highest safety in the GI safety test. These findings provide novel pharmacological knowledge on pharmacological actions of celecoxib and its PCX-series compouds.

      • 망막혈관종성증식에서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 후 맥락막두께 변화의 비교

        Soh-Eun Ahn,Heon Yang,Hye Min Jeon,Sang Won Kim,Hee Seong Yoon 한국망막학회 2016 Journal of Retina Vol.1 No.2

        Purpose: To compare changes in choroidal thickness after intravitreal ranibizumab and aflibercept injections in patients with 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Methods: This study involved 39 eyes (21 ranimizumab-treated eyes, 18 aflibercept-treated eyes) of 36 patients who received either intravitreal ranibizumab or aflibercept injection for the first time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6 months.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was measured before intravitreal injection and at 3 and 6 month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change in subfoveal chorioidal thickness over time in each treatment group. The relevant changes at each time point were measur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Central macular thickness and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ere measured and compared. Results: Choroidal thickness at 3 and 6 months after inje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before injection in both the ranibizumab and aflibercept groups (p < 0.001, in all). The changes in choroidal thickness were 17.7 ± 10.9 μm and 13.0 ± 11.0 μm at 3 and 6 months after ranibizumab injection, respectively, and 24.5 ± 12.5 μm and 18.3 ± 11.1 μm at 3 and 6 months after aflibercept injec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injection type at 3 months, the aflibercept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at 6 months (p = 0.094, 0.043).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ly improved for up to 6 months after the injection compared with before the injection, and the central macular thicknes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improvement and central macular thickness decreas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confirmed that both of these two drug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in patients with RAP for up to 6 months after the injection, and the intravitreal injection of aflibercept tended to show a greater decrease in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than the intravitreal injection of ranibizumab. 목적: 망막혈관종성증식 환자에서 유리체강내 라니비주맙과 애플리버셉트 주입술 후 중심하맥락막두께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처음으로 망막혈관종성증식으로 진단된 후 라니비주맙 또는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을 시행 받고 6개월 이상 경과관찰 가능했던 36명 39안(라니비주맙 21안, 애플리버셉트 1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주사 전, 주사 후 3개월, 6개월째 중심하맥락막두께를측정하여 약제군별로 시간에 따라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는지 확인하였고, 시기별 변화량을 측정하여 약제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최대교정시력 및 중심망막두께도 함께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라니비주맙군과 애플리버셉트군 모두 주사 전 중심하맥락막두께와 비교하여 주사 후 3개월, 6개월째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보였다(p<0.001, in all). 라니비주맙 주사 후 3개월, 6개월째 변화량은 17.7 ± 10.9 μm, 13.0 ± 11.0 μm, 애플리버셉트 주사 후변화량은 24.5 ± 12.5 μm, 18.3 ± 11.1 μm로 애플리버셉트군에서 보다 큰 변화량을 보였으며 3개월째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6개월째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94, 0.043). 두 군 모두에서 최대교정시력 및 중심망막두께는 주사 전과 비교하여 주사 후 6개월까지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호전정도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망막혈관종성증식 환자의 치료에서 두 약제 모두 주사 후 6개월까지 유의하게 중심하맥락막두께를 감소시켰고, 애플리버셉트를주사하였을 때 라니비주맙에 비해 보다 큰 맥락막두께 감소를 보이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세 가지 유형의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비교

        안소은(Soh Eun Ahn),안동섭(Dong Seob Ahn),양헌(Heon Yang),윤희성(Hee Seong Yoon)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7

        목적: 한 번도 치료 받지 않은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전형적삼출성나이관련황반변성(typical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결절맥락막혈관병증(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망막혈관종성증식(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세 가지 하위분류에 따른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치료 기왕력이 없는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 153명 15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깊이증강모드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진단 시점에서의 중심하 맥락막두께와 중심망막두께를 측정하고 망막내낭포액, 망막하액을 비롯한 구조적 특징들을 확인하였다. 전체 환자군을 전형적 nAMD, PCV, RAP 세 그룹으로 나누고 특징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153안 중에서 typical nAMD가 74안, PCV가 55안, RAP가 24안이었다. 연령과 최대교정시력은 그룹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심하 맥락막두께는 PCV가 가장 두껍고, typical nAMD, RAP 순서로 얇은 두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RAP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운 중심망막두께(p=0.004)와 높은 빈도의 망막내낭포액의 존재(p<0.001)를 보였다. 결론: 삼출성나이관련황반변성은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을 보였다. PCV는 가장 두꺼운 맥락막두께를 보였고, RAP는 가장 얇은 맥락막두께와 두꺼운 중심망막두께, 그리고 높은 빈도의 망막내낭포액을 보였다. 삼출성나이관련황반변성을 유형별로 감별진단하는 데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분석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093-1101> Purpos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eyes with treatment-naïve typical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ypical nAMD),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and retinal angiomatous proliferation (RAP). Methods: One hundred fifty-three eyes newly diagnosed with exudative AMD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All study ey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ubtypes: typical nAMD, PCV, and RAP.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SFCT) was measured using enhanced depth imag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DI-OCT).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and other OCT features including intraretinal cystoid fluid and subretinal fluid were also evaluated in all eyes. SFCT, CMT and other OCT featur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subtypes of exudative AMD. Results: Seventy-four eyes with typical nAMD, 55 eyes with PCV, and 24 eyes with RAP were included. SFCT was significantly thickest in PCV and thinnest in RAP (p < 0.001). RAP showed the thickest CMT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intraretinal cystoid fluid (p = 0.004,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exudative AM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OCT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three subtypes. Identification of OCT characteristics could help differentiate the subtypes of exudative AMD.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093-1101

      • 경기도 시설재배지 토양의 화학성분 함량 변화

        노안성(Ahn-Sung Roh),소호섭(Ho-Seop Soh),정재원(Jae-Won Jeong),주옥정(Ok-Jung Ju),김조은(Jo-Eu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업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설재배지 140지점을 대상으로 2004년 부터 2020년 까지 4년 1주기 토양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pH는 2012년 6.3에서 2016년과 2020년 6.6으로 증가하였다. 유기물 함량은 2012년 33g kg<SUP>-1</SUP>이었으며, 나머지 조사연도 모두 34g kg<SUP>-1</SUP>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유효인산 함량은 2008년 1,747mg kg<SUP>-1</SUP>에서 2020년 1,488mg kg<SUP>-1</SUP>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치환성칼륨 함량은 2008년 1.67cmol<SUB>c</SUB> kg<SUP>-1</SUP>이었으나 2020년 1.34cmol<SUB>c</SUB> kg<SUP>-1</SUP>으로 감소하였으며, 치환성마그네슘도 2008년 4.3에서 2020년 3.1cmol<SUB>c</SUB> kg<SUP>-1</SUP>으로 감소하였다. 치환성칼슘 함량은 2008년 12.2cmol<SUB>c</SUB> kg<SUP>-1</SUP>에서 2020년 10.7cmol<SUB>c</SUB> kg<SUP>-1</SUP>으로 감소하였다. 토양염 농도는 2008년 5.75dS m<SUP>-1</SUP>에서 2016년 3.07dS m<SUP>-1</SUP>으로 감소하였으나 2020년 3.29dS m<SUP>-1</SUP>으로 증가하였다. 질산태질소 함량도 2008년 270mg kg<SUP>-1</SUP>에서 2016년 145mg kg<SUP>-1</SUP>으로 감소하였으나 2020년 166mg kg<SUP>-1</SUP>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경기도 시설재배지의 염농도 및 유효인산 함량 등이 개선되고 있으며 염류집적과 양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료사용 시비처방에 따른 농경지 시비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임신 말기의 쌍둥이 임신부에서 다발성장기부전증후군 및 심내막염을 유발한 리스테리아 감염증

        소은정 ( Eun Jung Soh ),안태규 ( Tae Gyu Ahn ),한애라 ( Ae Rah Han ),이향아 ( Hyang Ah Lee ),황종윤 ( Jong Yun Hwang ),원혜성 ( Hye Sung Won ),이동헌 ( Dong Heon Lee ),조준식 ( Jun Sik Ch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5

        Human listeriosis is a relatively rare but serious disease with mortality rate 20~40%. Listeria monocytogenes affects patients with decreased cell mediated immunity such as the elderly, transplant recipients, cancer patients, renal failure, diabetes, HIV, pregnant women and unborn child, neonate. We experienced a case of listeriosis in twin pregnant woman at 35th weeks without preterm labor. The pregnant woman present sepsis with fever at first time. Sepsis progress to MODS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and combined endocarditis. We reported it with brief of literatures.

      • 경기도 대표필지 토양화학성 변화

        김조은(Jo-Eun Kim),노안성(Ahn-Sung Roh),주옥정(Ok-Jung Ju),정재원(Jae-Won Jeong),소호섭(Ho-Seop Soh),이영순(Young-Soo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전국 규모의 토양검정 사업은 지역, 지목, 지형별 대표지점 15만점을 선정하고 매년 5만여점에 대한 토양 검정 결과를 DB화하여 농경지 토양화학성의 적정범위 대비 과부족 비율을 평가하고 적정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토양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경기도는 24개 시군에서 농경지를 대표하는 5,960지점을 선정하고 토양화학성 분석결과를 DB 구축하여 농업인 대상 시비관리 교육 및 현장 컨설팅에서 친환경 토양 양분관리를 위한 농경지 토양화학성 변동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경기도는 토양검정 추진계획에 따라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논토양 13,733점, 밭토양 8,907점, 과수토양 1,389점, 시설재배지 토양 1,188점, 총 25,217점에 대하여 토양검정을 하였다. 모든 토양 pH는 6.3~6.7으로 적정범위에 속하였으나, EC는 시설재배지에서 3.9dS m<SUP>-1</SUP>로 적정범위 2.0dS m<SUP>-1</SUP>보다 높았다. 유기물 함량은 과수를 제외한 모든 토양에서 21~30g kg<SUP>-1</SUP>로 적정범위 내에 있었고, 유효인산의 함량은 과수원과 시설재배지에서 각각 744, 1,092㎎ kg<SUP>-1</SUP>으로 적정범위인 550㎎ kg<SUP>-1</SUP>보다 높았다. 치환성 마그네슘은 논을 제외한 모든 지목에서 적정범위보다 높았으며, 치환성 칼리와 치환성 칼슘은 모든 지목에서 적정범위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토양화학성을 적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으로 과부족 성분함량을 확인하고 작물별 비료사용 처방서를 활용하여 적정량을 시비하는 한편, 토양 유기물 증대를 위해서 볏짚, 퇴구비 시용과 녹비작물 재배 등 지속적인 토양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논토양 질소시비량과 물관리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량 평가

        주옥정(Okjung Ju),노안성(Ahn-Sung Roh),정재원(Jaewon Jeong),김조은(Jo-Eun Kim),소호섭(Hoseup Soh),이영순(Young-Soo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는 토양에 투입된 질소투입원에 따른 토양 내 미생물의 질산화 및 탈질화 과정에 의해 발생한다. 담수상태에 있는 논토양에서는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적어 관련 연구가 부족하나, 중간낙수 등 논토양이 혐기적 환경에서 호기적으로 전환될 경우 질산화와 탈질화 과정을 촉진하여 아산화질소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논토양 질소 비료 시용량과 물관리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평가하고자 실내 포트시험을 수행하였다. 수행방법은 경기도농업기술원내 논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풍건후 약 9kg을 와그너포트(NF-2, 1/2000a, Φ256×Φ234×297mm)에 담아 처리구별 폐쇄형 원형 챔버(Φ240×500mm)를 3개씩 설치하였다. 질소질 비료 시용에 따른 처리구는 벼 재배 표준시비량인 3요소 N-P₂O<SUB>5</SUB>-K₂O = 90-45-57 kg ha<SUP>-1</SUP> 기준 질소 1배, 1.5배, 2배, 무시비로 처리하였다. N은 요소, P₂O<SUB>5</SUB>는 용과린, K₂O는 염화칼리로 시용하였으며, N는 기비 56%, 분얼비는 22%, 수비는 22% 분시하였고, 인산은 전량 기비, 칼리는 기비 70%, 수비 30%로 분시하였다. 건토양에 기비 시용 후 2주 후 담수하였으며, 분얼비는 담수 후 12일, 수비는 담수 후 70일에 시용하였으며 분얼비 후 35일에 중간낙수를 3주 동안 실시하였다. 아산화질소 시료채취는 폐쇄형 챔버법으로 주 2회 이상 오전 10시~12시 사이에 챔버 뚜껑을 닫고 1차로 채취한 후 40분 경과 후 2차로 시료 채취하여 아산화질소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채취와 동시에 최초 온도와 40분 후 온도를 기록하였으며, 논물로부터 챔버 상단까지 유효높이를 조사하여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약 144일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무시비 0.13, 질소 1배 0.48, 질소 1.5배 0.74, 질소 2배 0.91 mg m<SUP>-2</SUP> hr<SUP>-1</SUP>으로 질소질 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일일 아산화질소 배출량 변화에서는 담수 20일 이후부터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중간 낙수 마지막날에 최고 일일 배출량(무시비 0.07, 1배 0.89, 1.5배 2.68, 2배 3.15 mg m<SUP>-2</SUP> hr<SUP>-1</SUP>)이 나타났다가 담수후 약 50일 지나서 다시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의한 황반하출혈에서 유리체강내 애플리버셉트 단독요법의 임상적 효과

        채수혜(Sue Hey Chae),안소은(Soh Eun Ahn),윤희성(Hee Seong Yoo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5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submacular hemorrhage secondary to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patients diagnosed with nAMD with submacular hemorrhage treated with intravitreal aflibercept monotherapy. A total of 54 eyes of 54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 initial series of three monthly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s followed by as-needed injections. At the 6 month follow-up, changes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and submacular hemorrhage area (SMH)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BCVA was 0.79 ± 0.59 logMAR, which improved significantly to 0.53 ± 0.46 logMAR at 3 months and 0.48 ± 0.50 logMAR at 6 months (p < 0.001, in both). The CMT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yes: preoperative, 454.4 ± 131.5 μm, to 242.6 ± 39.7 μm at 6 months. The SMH was also reduced in all eyes: preoperative, 6.4 ± 4.8 disc areas (DAs) to 0.8 ± 1.4 DAs at 6 months. Ten eyes were diagnosed with typical nAMD (18.5%) and 44 eyes were diagnosed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81.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6 months in the visual outcomes of the subgroups. Conclusions: Intravitreal aflibercept monotherapy is well-tolerated as a treatment in maintaining or improving vision in patients with SMH secondary to nAMD.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5):437-44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