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비스 회복활동이 상품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케이블TV산업 중심으로)

        경승현,정기주,Kyung, Seung Hyun,Cheong, Ki Ju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6 서비스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방송 통신 산업에서 기업의 서비스 회복 활동이 고객의 상품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 것이다. 한국의 방송통신시장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며, 서비스 수준이 메이저 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들의 고객이동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일단 한번 이동한 고객은 돌아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비스 기업에게 고객유지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CRM이 강화되는 추세다. 그러나 대규모 투자와 지속적인 비용이 필요한 CRM은 중소기업에서 운영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RM환경이 열악한 기업이 고객의 서비스 실패 상황을 작지만 즉각적인 회복활동이 상품전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 기업데이터를 사례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고객의 이동률이 약 2~5배 (월 평균 전체고객 대상 상품전환율 1.3%)가 높았으며, 적극적인 회복 활동은 상품전환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고객의 상품전환(Churn) 의사에 따른 서비스 회복활동 보다는 서비스 실패 확인 시 기업의 서비스 회복활동 노력이 상품전환율을 낮추어, 기업의 다양한 서비스 실패 환경에서의 서비스 회복 노력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품전환(Churn) 의사확인 후 방어활동 비용 대비 상대적으로 저 비용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service recovery activities influence customers' commodity churning in the media telecommunication industry(CATV industry). Put it differently, we tried to identify this change of commodity churning rates by the stages of service failures, by which we inte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rvice recoveries. Korean media telecommunication market has already been saturated; customers tend to move to bigger major companies with better customer care increasingly. As once customers gone never returns, CRM functions are being reinforced over the time. We were able to ha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urning rates, for those experienced service failure, who were dissatisfied with service recovery activities are 2~5 times (monthly average turning rates are 1.3%) higher than those satisfied. Secondly, active service recovery activities at the customer's service request after experiencing service failure lowered churning rates significantly. The most effective timing is service recovery activities pre-recovery stage. Thirdly, reward activities after service recovery activities at the immediate recovery stage is more effective than service recovery at the arranged recovery schedule and reward activities after customer's expressing churning inten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firms should engage in service recovery activities at the time of identifying service failures, prior to customer's expressing churning intention, which means relatively lower ROI for the service recovery activities than the times of customers' expressing churning inten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정중구개부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개방교합치료에 대한 연구

        경승현(Seung-Hyun Kyung)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전치부의 개방교합을 동반한 환자 5명의 증례응 분석하여 (1) 성인에서의 상악 구치 함입을 토압 개방교합의 치료의 가능성과 (2) 이때 고정원으로서의 정중구개부 미니스크류의 유용성 여부와 (3) 치료에 의한 골격성, 치아-치조공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악구치부를 스플린트한 후 정중구개부에 두개의 미니스크류를 삽입하고 구개횡선 아치로 상악제일대구치를 연결한 뒤, 탄성재를 이용하여 상악 제일대구치에 함입력을 적용하였다. 측면 두개방사선상의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환자에서 상악 제 1대구치의 실질적인 압하가 일어났고, 이때 평군 압하량은 3.4mm (1.5mm~5.0mm)였다. 2. 상악 구치의 압하를 시행하는 동안 임상적으로 정중구개부의 미니스크류의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3. 하악이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되었으며, 하악평면각, 교합평면각의 감소가 관찰괴었다. Recently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reported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 in adults characterized by molar intrusion with skeletal anchorage. In this study, five adult patients who had anterior open bite malocclusion were selected to undergo upper molar intrusion with midpalatal miniscrew to close the open bite.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validate true intrusion of molars in adults (2) to test the usefullness of midpalatal miniscrews as anchorage for intruding upper molars (3)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of open bite clos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ll had true intrusion of the maxillary molars. Mean amount of molar intrusion was 3.4mm(range 1.5-5mm). (2) No movement of midpalatal miniscrew occurred during their use. (3) Open bite closure was achieved for all 5 patients. The mandible closed and B-point rotated anteriorly and upward. The mandibular plane angle and the occlusal plane angle decreased.

      • KCI등재

        Effect of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on Airway Size and Airway Collapsibili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Cine CT during Sleep

        홍승봉,경승현,한현정,나동규,손영익,박영철,Hong, Seung-Bong,Kyung, Seung-Hyun,Han, Hyun-Jung,Na, Dong-Kyu,Son, Young-Ik,Park, Young-Chel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2

        목 적: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 수면 중 구강내 기구의 착용이 수면 중 기도의 크기와 airway collapsi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방 법: 9명의 폐쇄성 수면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ea) 환자들에서 구강내 기구를 착용하기 전과 후에 수면다원검사와 axial airway CT를 시행하였다. 상기도의 다섯 곳(retropalatal-high, retropalatal-low, retroglossal, epiglottis, hypopharynx levels)에서 axial CT를 시행하였는데, 각 위치에서 수면무호흡 상태에서 하나의 axial CT image를 얻고, 정상적인 수면호흡 중에 1초 간격으로 10장의 axial CT images를 연속적으로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강내 기구를 착용하기 전과 후에 airway CT를 각각 2회 실시하였다. 각 CT 영상에서 기도의 횡단면적(cross-sectional area)을 측정하여서 구강내 기구의 착용 전과 후에서 기도 횡단면적의 최소 크기, 최대 크기 및 airway collapsibility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수면무호흡 중에 가장 흔하게 좁아지는 부위는 retropalatal-low level이었다. 정상 수면호흡 중에 retropalatallow level의 최소 기도면적이 구강내 기구에 의하여 유의하게 넓어졌다(p=0.011). 평균 airway collapsibility는 retropalatal-low level에서 가장 높았다. 구강내 기구는 retropalatal-low level(p=0.021) 뿐만아니라 epiglottis level(p=0.038)에서도 유의하게 airway collapsibility를 감소시켰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구강내 기구는 일부 환자에서 수면 중 기도의 최소면적을 넓히고, airway collapsibility를 낮추어서 수면무호흡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dibular repasitioning device on airway sige and airway collapsibili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Methods: Cine CT with polysomnographic monitoring was performed during sleep in nine(OSAS) patients before and after manibular repositioning device(MRD) application. Axial CT images were obtained in five upper airway levels(retropalatal-high, retroalatal-low, retroglossal, epiglottis, and hypopharynx levels). In each airway level, one axial CT image was obtained during sleep apnea period and 10 serial axial CT images were scanned every 1 second during normal sleep breathing. After wearing MRD, all CT images were obtained by the same metho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airway were measured by automatic tracing method. The changes of minimum airway size and maximum airway size after MRD were evaluated. The airway collapsibility was calculaed before and after MRD. Results: During sleep apnea, the airway of retropalatal-low level was the most frequently narrowest site. During normal sleep breahing the minimum airway siz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RD at retropalatal-low level(p=0.011). The mean airway collapsibility was the highest at retropalatal-low level. MRD decreased the airway collapsibility significantly at retropalatal-low level(p=0.021) and epiglottis level(p=0.038). Conclusions: The enlargement of the minimum airway size and decreased airway collapsibility may be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MRD in obstructive sleep apnea.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치료효과

        황충주,경승현,임중기,Hwang, Chung-Ju,Kyung, Seung-Hyun,Lim, Joong-Ki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4

        Before 1970, mandibular overgrowth was known as main caus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growing children ; however, recent study reports that man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lso show maxillary deficiency. Since 1972, when Delaire re-accommodated Protraction Head Gear (P.H.G.),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skeletal Class III discrepancies could be corrected through use of P.H.G., which induces anterior movement of maxilla and change in mandibular growth pattern into infero-posterior direction ; nevertheless,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resultant changes of orofacial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reatment effect P.H.G. has on different study samples. Author divided 51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ith maxillary deficiency who were treated with P.H.G. into different study groups depending on sex, treatment beginning age, intraoral appliance, and facial growth pattern. By doing so,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reatment beginning age and Sex Four age groups (5.8 to 8 year-old, 8 to 10 year-old, 10 to 12 year-old, 12 to 14 year-old) were compar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 groups, either. (p<0.05). 2. Intraoral appliance Treatment effects of study groups that used R.P.E.(mean age of 10.2) and Labio-Lingual appliance(mean age of 8.9) were compa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intraoral appliance that was used. (p<0.05) 3. Facial growth pattern 1) Amounts of SNB and ANB corrections were smaller in clockwise growth pattern group than those in normal or counterclockwise growth pattern group. (p<0.05) 2) Amounts of increase in Wits appraisal and mandibular plane angle were greater in counterclockwise growth pattern group than those in normal or clockwise growth pattern group. (p<0.05) 3)Amounts of increase in articular angle were greater in counter lockwise growth pattern group than those in clockwise growth pattern group. (p<0.05)

      • KCI등재

        Airway Narrowing Patterns during Obstructive Sleep Apnea : Airway CT and Multi-level Airway Pressure Monitoring

        정승철,홍승봉,경승현,김후원,Jeong, Seung-Cheol,Hong, Seung-Bong,Kyung, Seung-Hyun,Kim, Hoo-Won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1

        목적 및 방법 :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 상기도 압력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면 중 기도협착의 형태를 연구하고, 각성시와 수면 중에 실시한 상기도 CT scan의 수면무호흡 중 기도 협착 부위의 예측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1명의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4 압력 센서 또는 2 압력 센서가 달린 도관을 상기도로 삽입하여 상기도의 압력을 측정하면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고, 이 환자들에서 각성시와 수면 중에 상기도의 다섯 곳(high-retropalatal, low-retropalatal, retroglossal, hypopharynx, esophagus)에서 cine CT를 시행한 후 각 방법에 의하여 기도 협착 부위를 진단하고, 수면 중 상기도 압력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도 cine CT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상기도 압력 측정 결과 4명(36%)만이 수면 중에 단일 형태의 기도 협착을 보였고, 나머지 7명(64%)은 여러 가지 형태의 기도 협착을 보였다. Velopharynx가 수면무호흡시에 가장 흔히 관찰되는 기도 협착 부위였다(63.6%). 그러나, 상기도 cine CT결과는 수면무호흡 중에 8명이 단일 형태의 기도 협착을 보였다(72.7%). Apneic CT에서도 Velopharynx가 가장 흔한 기도 협착 부위였다. 상기도 압력 측정법과 상기도 CT 촬영법 사이의 기도 협착 진단의 일치율은 단 5명에서만 잘 일치하였고(high-concordant), 5명은 잘 일치하지 않았으며(low-concordant), 나머지 1명은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결 론: 대부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수면 중 여러 번 발생하는 수면무호흡에서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기도 협착 형태를 보이므로, 단 1회의 수면무호흡의 상태만을 반영하는 상기도 CT는 수면무호흡의 기도 협착 부위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airway narrowing patterns by multi-level airway pressure(MAP) monitoring during sleep and to evaluate the value of CT scan taken during waking and sleep apneic periods to identify the level of airway narrowing(LAN)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Methods: Eleven patients with OSAS underwent a night polysomnography with continuous MAP monitoring by 4-sensor(placed at nasopharynx, caudal-uvula, hypopharynx, esophagus) or 2-sensor(placed at caudal-uvula and esophagus) catheter. All patients had cine CT at five levels of high retro and alatal, low retropalatal, retroglossal, epiglottis and hypopharynx during awake and sleep periods. In each patient, LAN determined by CT scan($LAN_{CT}$) during sleep apnea was compared with LAN by MAP monitoring($LAN_{MAP}$). Results: MAP monitoring showed that four patients(36%) had a single pattern of LAN while the other seven patients(64%) showed two or more different LANs in different apneic episodes. Velopharynx was the most common level of frequently observed airway narrowing during sleep apnea(63.6%). However, a single pattern of airway narrowing was more frequent(72.7%) in airway CT during sleep apnea. Velopharynx was the most common narrowest level also in apneic CT(66%). In comparing $LAN_{CT}$ with $LAN_{MAP}$, the $LAN_{CT}$ of five patients(45.5%) were high-concordant, those of another five(45.5%) low-concordant, and that of one(9%) discordant with $LAN_{MAP}$. Conclusions: Cine CT scan during the awake state or sleep apnea may not reflect the LAN correctly in OSAS because most patients showed two or more different airway narrowing patterns during different episodes of sleep apnea in each patient.

      • KCI등재

        FRACTURE RESISTANCE OF CROWN-ROOT FRACTURED TEETH REPAIR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AND HORIZONTAL POSTS

        장석우,이용근,경승현,유현미,오태석,박동성,Chang, Seok-Woo,Lee, Yong-Keun,Kyung, Seung-Hyun,Yoo, Hyun-Mi,Oh, Tae-Seok,Park, Dong-Sung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acture resistance of crown-root fractured teeth repair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and horizontal posts. 48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Complete crown-root fractures were experimentally induced in all control and experimental teeth. In the control group. the teeth (n=12) were bonded with resin cement and endodontically treated. Thereafter, the access cavities were seal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In composite resin core-post group (n=12),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access cavities were seal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In addition, the fractured segments in this group were fixed using horizontal posts. In composite resin core group (n=12),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the access cavities were fill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without horizontal posts. In bonded amalgam group (n = 12),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the access cavities were sealed with bonded amalgam. Experimental complete crown-root fractures were induced again on repaired control and experimental teeth. The ratio of fracture resistance to original fracture resistance was analyzed with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eeth in control and composite resin core-po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istance to re-fracture than those in amalgam core group (p < 0.05). The resistance to refracture was high in the order of composite resin - post group, control group, composite resin group and bonded amalgam group.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the use of horizontal post could be beneficial in increasing the fracture resistance of previously fractured teeth. 이 연구의 목적은 이중 중합복합레진과 수평 포스트를 이용하여 수복한 치관-치근 복합파절 치아의 수직파절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48개의 발치된 사람의 소구치에 실험적으로 치관-치근 복합파절을 일으킨 후 대조군 및 3개의 실험군에 (n=12) 각각 할당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치아 파절편을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근관와동을 이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충전하였다. 실험군에서는, 각각의 치아에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레진-포스트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수평 포스트 및 이중중합 복합레진을사용하여 충전하였다. 레진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포스트 없이 이중중합 복합레진만 사용하여 수복하였으며 아말감 코어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접착 아말감을 사용하여 수복하였다. 이렇게 수복된 치아를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치관-치근 복합파절을 유도하여 이때의 파절 저항성을 기록하고 이 값과 처음 파절을 유도하였을 때의 파절 저항성의 비를 계산하고 각 군별로 차이가 있는 지 검증하기 위해 Kruskal-Wallis test를 시행하였다. 수복된 치아의 파절저항성은 레진-포스트군, 대조군, 레진군, 접착 아말감 순으로 높았으며, 이 실험결과로 볼 때,치관-치근 복합파절 치아의 수복 시 수평 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재파절 방지를 위해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니스크류 식립 부위로서 정중 구개봉합부 골의 두께에 관한 연구

        경승현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1

        상악에 미니스크류를 적용할 때 사용되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특별한 해부학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되고 각화치은으로 덮여 있는 장점이 있어서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상에서 보이는 정중 구개봉합부는 그 두께가 ?曇?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니스크류 식립시 골 천공의 위험과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다. 본 연구는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정중 구개봉합부의 수직골의 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총 25명(남 : 13, 여 : 12)의 20대 환자 전산화 단층촬영상을 이용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횡단면으로부터 정중구개봉합부의 수직골 두께를 계측하였고 각 부위의 유의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중 구개 봉합부 골의 두께는 남녀간의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관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정중 구개 봉합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시상단면에서 보았을 때 절치공에서 후비극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수평적으로 정중 구개 봉합부 좌우 3mm 이내, 전후방적으로 절치공 후방 25mm까지는 골의 두께가 3-4mm 이상으로 미니스크류 식립을 위한 수직적인 골의 두께가 충분하였다. The midpalatal suture area has some advantages for supporting miniscrews : it has no specific anatomical structure, it is composed of thick cortical bone, and covered with attached gingiva. So it is suitable area for inserting miniscrews. However, the midpalatal suture area appears thinner when seen in ceph. As a result, Clinicians can misunderstand that inserting miniscrews cause the problem, both the risk of perforation and the decrease of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measuring the vertical bone thickness of the midpalatal suture area for inserting miniscrews. The total of 25patient (male : 13, female : 12), who are in their twenties, were taken CT. The vertical bone thickness of the midpalatal suture area was measures from the transverse section of CT. As a result, We reached a conclusion from the differences of each area. It is as follows :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male group and that of female group. 2. In coronal section, Bone thickness becomes thinner from the midpalatal suture to Left & Right side, in sagittal section, Bone thickness becomes thinner from incisive foramen to PNS. 3. The area that is within 3mm of left and right from the midpalatal suture area transversely and within 25mm backward from the incisive foramen sagittaly is enough for inserting miniscrews.

      • SCOPUSSCIE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 있어서 구내장치 반응성에 대한 두부 방사선적 연구

        경승현,박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OSA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여 RDI가5이상이고 Arousal Index가 20이상이어서 OSA로 진단된 환자 24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구내장치에 대한 반응검사를 위한 수면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장치 장착 전후의 RDI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구내장치 장착전과 후에 두장의 두부 방사선을 호기 말에서 채득하여 안모 형태에 대한 변수를 첫번째 두부 방사선 상에서 측정하였고, 두 장의 두부 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연구개,후 인두벽, 혀, 설골, 상기도, 하악의 구내장치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는 두부 방사선상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RDI 개선도에 따라 가장 양호하게 반응하는 8명과 가장 효과가 낮게 반응하는 8명을 선택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여 군 비교를 시행하였다. 군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rank test를 시행 하였고 구내장치에 의한 각 변수의 차이와 RDI개선도와의 상관관계, 안모 형태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구내장치는 장착전 평균 RDI=46.8에서 장착 후 평균 RDI=13.3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상관 관계에 있어서 하악의 전방이 동량과 설골의 상방 이동량은 구내장치 효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료 효과가 양호한 군에서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 사이 수준(level)에서 유의성 있는 혀의 전방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구내장치에 의한 혀의 전방 이동은 RDI 개선도와도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사이 수준(level)에서 상기도의 전후방 길이인 AW는 RDI 개선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혀의 전방 이동과 설골의 상방 이동, 상기도의 전후길이 증가등은 RDI의 양호한 개선을 나타내는 지표 였다. 주요단어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코골이 장치 두부방사선, It is well known that oral appliance could improve respiratory difficul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OSA).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appliance, polysomnography and cephalometry were performed in OSA patients before and after oral appliance was used. Twenty four OSA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piratory difficulty index (RDI) was obtained from polysomnography and the movement of soft palate, tongue, posterior pharygeal wall, hyoid bone, and mandible and the variables of the facial pattern were measured on the cephalogram. The changes of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compared to the RDI changes and the correlation was tested. After oral appliance was used, RDI decreased from 46.8 to 13.3.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DI improvement and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superior movement of the hyoid bone. In 8 patients whose RDI was most improved, RDI improvement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anterior movement of the tongue 3nd anterior-posterior (AP) diameter of the airway at the levels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palate and epiglottis. These results could conclude that anterior movement of the tongue and superior movement of the hyoid bone would be favorable cephalometric parameters for the improvement of 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